KR20050097501A -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501A
KR20050097501A KR1020057012729A KR20057012729A KR20050097501A KR 20050097501 A KR20050097501 A KR 20050097501A KR 1020057012729 A KR1020057012729 A KR 1020057012729A KR 20057012729 A KR20057012729 A KR 20057012729A KR 20050097501 A KR20050097501 A KR 2005009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asterbatch
powder
composition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쯔-디에터 메트제마허
라이너 실링
Original Assignee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00374A external-priority patent/GB0300374D0/en
Application filed by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9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36Silicat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but not having molecular sieve properties
    • C01B33/38Layered base-exchange silicates, e.g. clays, micas or alkali metal silicates of kenyaite or magadiite type
    • C01B33/44Products obtained from layered base-exchange silicates by ion-exchange with organic compounds such as ammonium, phosphonium or sulfonium compounds or by intercalation of organic compounds, e.g. organoclay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2C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미리-박리시키는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로 변형된 팽윤성 무기 층상 물질(inorganic layered material)로 구성된 나노클레이(nanoclay)를 함유하는 조성물, 특히 분말의 마스터배취(master batch)에 관련된다. 상기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의 염, 지방산 유도체, 폴리머 지방산, 및 실옥산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EPM), 에틸렌 프로필렌 터폴리머(EPD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결합제, 가교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분말의 마스터 배취 또는 조성물은 폴리머 분말과 균질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마스터 배취는 또한 분말의 마스터 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합성함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분말의 마스터 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 배취는 많은 상이한 폴리머 조성물에서 충전제로서 또는 충전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MASTERBATCHES BASED ON PRE-EXFOLIATED NANOCLAYS AND THE USE OF THE SAME}
본원 발명은 조성물, 특히 유기적으로 층간 삽입된 나노클레이에 기초된 마스터배치, 이러한 조성물/마스터배치의 독창적인 용도, 및 이들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성질 또는 폴리머 물질의 성질은 충전제로서의 나노클레이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음이 상당히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여기서 이러한 나노클레이의 중요한 공급원(source)은 물-팽윤성(water-swellable) 천연 또는 합성 파일로실리케이트이다. 물에서의 팽윤은 나노층상형태(nanolamellae)을 방출하여, 그리하여 진정의 망상조직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또는 긴-사슬 이온, 또는 다른 하전된 입자들을 중간체 층으로 침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층간 삽입(intercalate)이라고 정의한다.
생성된 층간 삽입된 나노클레이가 산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나노클레이를 추가적인 팽윤제(swelling agent)를 사용하여 박리시켜야만 한다. 파일로실리케이트 내부의 처음의 밀접-범위 정렬은 이러한 박리 공정에서 사라진다. 예컨대, 이러한 유형의 파일로실리케이트의 예로서 몬트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완전히 박리된 스멕타이트(smectite)는 약 1nm의 직경, 약 100nm의 폭, 500 내지 1000nm의 길이의 층에 의하여 수득된 최고 1000의 매우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진 입자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에 있어서, 나노클레이라는 용어는 언제나 유기적으로 층간 삽입된 파일로실리케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층간 삽입에 해당한다. 이러한 나노클레이들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나노필(nanofil)"이라는 명칭은 몬트모릴로나이트-기초 나노클레이를 판매하기 위하여 쥐드케미 아게(Suedchemie AG)사가 사용한다. 실례는 "나노필 15" 및 "나노필 5"인데, 이들은 디스테아로일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유기적으로 층간 삽입되어 있다. "EA 108"이라는 이름을 가진 미국 엘리멘티스 코오퍼레이션(Elementis Corp.)사의 제품은 헥토라이트에 기초된다.
플라스틱-가공 산업에서 이러한 나노클레이의 사용에 관한 문제는 천연 또는 합성 파일로실리케이트가 소수성 플라스틱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먼저 친유기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양이온 교환은 파일로실리케이트의 이러한 친유기적 변형에 있어 중요한 공정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양이온 교환은 암모늄 계면활성제, 또는 포스포늄 계면활성제, 또는 설포늄 계면활성제에 기초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진 수성 상(phase)에서 이루어진다. 또다른 공지된 공정은 산 활성화(acid activation)이다. 산 활성화는 예컨대, 염산을 사용한다.
나노클레이는 할로겐-없는 난연제(flame retardant)에서 첨가제로서 중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DE-A-199 21 472는 할로겐 없는 충전제로서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가교결합 가능한 폴리머,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아연, 및/또는 수산화 알루미늄 및/또는 이들의 이중 수산화물 및 또한 팽윤성 스멕타이트에 기초하여 유기적으로 층간 삽입된 파일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개시한다.
나노클레이는 할로겐-없는 난연제에서 첨가제로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나노클레이가 폴리머의 연소 동안 안정한 껍질층의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껍질층의 형성은 연소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공정인 폴리머의 추가적인 점화(ignition), 연소하는 폴리머로부터 물질의 떨어짐 또는 붕괴(collapse)를 저해한다.
만약 나노클레이 충전제가 할로겐-없는 난연제의 활성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이들이 도입되는 폴리머 내부에서 박리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완전한 박리가 선행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특히 유기 용제가 사용될 때, 합성 공정 동안 팽윤제의 존재는 공정 기술로 인하여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기능성 실란(functionalized silane)과 같은 전통적인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종 폴리머에서, 지금까지 관찰된 바람직하지 않은 인자(factor)는 나노클레이 충전제의 사용이 폴리머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및 압출성(extrudability)을 상당히 손상시킨다는 것이다. 나노클레이 충전제는 각각의 폴리머 조성물로 편입되는 동안 문제점을 가진다. 왜냐하면 나노클레이 충전제의 박리가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나노클레이 충전제가 전체적인 폴리머 조성물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어려웠다. 지금까지 이러한 및 이들의 높은 비용은 이들의 적용 분야를 제한하여왔다. 추가적인 문제점들이 전기 분야에서 발생한다. 특히 소금물에서, 300 V를 사용한 이틀 이상의 담금(immersion) 테스트는 아크(arcing)에 의하여 폴리머의 파손을 일으켰다.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기본이 되는 목적은, 폴리머 물질의 성질, 특히 미리-박리 및 원하는 폴리머로 편입된 후의 완전한 갈라짐/박리를 각각 개선시키기 위하여, 및 나노클레이 충전제의 용도를 새로운 적용 분야에 도입하기 위하여, 이들의 사용에 대하여 발생되어야 하는 비용을 줄여 비용-효율성을 증가시킨 반면에, 다양한 폴리머 물질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나노클레이 충전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의 조성물, 특히 미리-박리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하여 변형되고, 팽윤성 무기 층상 물질로 구성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pulverulent)(분말)의 마스터배취에 의하여 달성된다.
마스터배취(masterbatch)라는 용어는 원래 화학에서 공지이며, 생산 공정 또는 공정 연쇄에서 처음에 제조되어 사용되는 예비혼합물에 대한 명칭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만약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가 성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충전제로서, 플라스틱 일 수도 있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서 미리 제조된 유닛의 형태로 처음 제조되어 사용된다면,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결점들은 제거될 수 있다.
마스터배취에 존재하는 나노클레이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이다.
나노클레이는 가루로 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완전히 가루로 될 수 있다. 그라인딩(grinding)은 본래 높은 작업처리량을 허용하며 가루로 된 나노클레이를 높은 수득률로 제공하는 공지된 공정이다. 그라인딩 공정 그 자체에 대하여 어떠한 특정한 요구사항도 주어질 필요가 없다. 그라인딩 공정은 제트 밀(jet mill) 또는 볼밀(ball mill)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으나, 특히 진동형 밀(vibratory mill), 롤형 밀(roll mill), 충격형 밀(impact mill), 마찰식 밀(attrition mill), 또는 핀드 디스크 밀(pinnde disk mill)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나노클레이의 입자 크기 이하로 감소되어 가루로 된 나노클레이는, 생성물이 폴리머 조성물에서 난연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할로겐-없는 충전제와 함께 사용하는 마스터배취의 제조일 때, 특히 매우 유리하다. 매우 놀랍게도, 비록 이 때 나노클레이가 원하는 작용을 할 수 없게 되는 평균 입자 크기로 감소된다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마스터배취의 사용은 폴리머 조성물의 기계적 성질 뿐만 아니라 폴리머 조성물의 가공 성질도 상당히 개선시킴이 발견된다.
이러한 기계적 성질 및 가공 성질의 개선은 동일한 기계적 성질 및 동일한 가공 품질을 위하여, 난연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없는 충전제를 가진 폴리머 조성물의 더 높은 부하(loading)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반면에, 난연제 충전제를 가진 더 낮은 부하는 추가적으로 폴리머 조성물의 난연성을 동시에 손상시키지 않고 기계적 성질 및 가공 품질을 개선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더 상세한 사항은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의 용도에 대한 이하의 다음 단계에서 제공될 것이다.
무기 층상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파일로실리케이트(층상 실리케이트)에서 선택되었다. 특히 언급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파일로실리케이트는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및 베이델라이트 중에서도 스멕타이트이다. 벤토나이트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조성물 또는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는 또한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의 염, 지방산 유도체, 폴리머 지방산, 실옥산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모든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은 나노클레이의 박리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언급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층간 삽입제와 관련하여 값이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우수하게 화학적으로 양립가능한 특수한 이점을 가진다.
놀랍게도, 만약 건조한, 고운가루의 나노클레이가 본원 발명의 조성물/마스터배취의 제조에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이 때 나노클레이가 미리-박리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하여 건조 공정에서 변형된다면, 가장 우수한 제품 성질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공정에서, 나노클레이는 건조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하여 코팅되며, 여기서는 특히 높은 회전 속도의 전통적인 건조 믹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건조"라 함은 고운가루가 아닌 또는 반죽같은(압출가능한) 덩어리, 또는 슬러리 또는 현탁액의 반대의 의미이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나노클레이의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변형 공정 또는 표면 코팅 공정이다.
본원 발명의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의 한 가지 특수한 이점은 가루로 된 나노클레이와의 조합에서 얻어지는데, 가루로 된 나노클레이는 미세한-입자 분말이며, 미세한 먼지를 형성할 수 있어, 폭발 위험의 잠재적 공급원을 제공한다. 상술된 첨가제 중 하나 또는 원하는 상술된 첨가제의 혼합물은 이러한 문제를 상당히 완화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는 10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특히 라우릭 애시드, 팔미틱 애시드, 스테아릭 애시드, 올레익 애시드, 리놀레익 애시드, 카프로익 애시드, 및 카스터 오일이 언급된다.
지방산, 특히 이러한 그룹의 상술한 대표예들은 많은 양으로 용이하게 수득될 수 있고 동시에 값이 싼 이점을 가지며, 다음으로는 대량의 산업 규모에서 안전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지방산 유도체는 수소화된 유도체, 알코올 유도체, 아민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폴리머성 지방산, 케토 지방산, 지방산 알킬옥사졸린 및 지방산 알킬비스옥사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었을 수도 있다.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 특히 모노- 또는 폴리불포화된 수산화 지방산이 언급될 수 있다.
만약 첨가제로서 실옥산 유도체가 사용된다면, 실옥산 유도체는 올리고머성 또는 폴리머성 실옥산 또는, 각각, 실옥산 유도체, 특히 올리고알킬실옥산, 폴리디알킬실옥산, 폴리알킬아릴실옥산, 폴리디아릴실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언급된 실옥산 유도체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그룹에 의하여 기능화되어 있다.
언급된 첨가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PM),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EPD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커플링제, 가교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기능성 실란은 사용될 커플링제로서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PM 및/또는 EPDM의 평균 분자량은 20000 미만이다. EPM 및/또는 EPDM 내의 에틸렌:프로필렌의 비율은 40:60 내지 60:40 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의 균질한 혼합물의 형태인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는 폴리머 분말과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폴리머 분말이 상승된 온도에서 저장될 때, 폴리머 분말은 주로 분말 마스터배취의 점결(caking)을 저해하고자 한다. 이는 최종 분말 마스터배취의 자유-유동성(free-flowability)의 개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머 분말에 대한 적합한 선택 기준은 본질적으로 의도적으로 추가 사용하는 분말 마스터배취와의 양립가능성이다. 언급되어야 하는 적합한 폴리머 분말의 예는 폴리에틸렌-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E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M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BA), 이들의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MAH)-변형된 유도체, 아이오노머(ionomer), 스티렌-엘라스토머 시스템, 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코폴리머(PEBA),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실리콘 고무, 또는 언급된 폴리머의 혼합물 등이다. 이러한 혼합물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EVA/SAN, EVA/PA11, EVA/PS, 및 또한 PVDF/EVA 이다. 후자는 듀퐁(DePont)사의 ALCRYN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를 미리 결정된 담체 폴리머와 함께 합성함으로써 수득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통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담체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M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BA), 이들의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MAH)-변형된 유도체, 아이오노머, 스티렌-엘라스토머 시스템, 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코폴리머(PEBA),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실리콘 고무, 또는 언급된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혼합물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EVA/SAN, EVA/PA11, EVA/PS, 및 또한 PVDF/EVA이다. 후자는 듀퐁사의 ALCRYN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유리하고, 산업적 적용을 단순화시키는 사실은, 분말 마스터배취로 실질적으로 균질한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머 분말로서, 그리고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형성하기 위한 담체 폴리머로서 동일한 출발 물질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보다 단순한 산업적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립가능성의 문제도 피할 수 있다.
폴리머 마스터배취 내의 담체 폴리머의 비율은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이다. 펠릿 형태(pellet)의 폴리머 마스터 배취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이 증명되었다.
본원 발명의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만약 언급된 한 실시예에서 적절하다면, 폴리머, 폴리머 조성물, 또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에서 나노충전제로서 폭넓은 다양한 용도로 편입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미리 전통적인 충전제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및 일반적으로 생성된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의 성질 측면을 개선시키기 위한 이미 공지된 충전제 시스템에서의 추가적인 용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요한 분야는 할로겐-없는 난연제에서의 사용이다. 난연제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된 할로겐-없는 충전제는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화물(뵈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브루사이트, 탄산 마그네슘,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훈타이트, 보크사이트, 탄산 칼슘, 활석, 유리 분말, 멜라민 이소시아뉴레이트, 이들의 유도체 및 제조, 보레이트, 스탄네이트, 및 하이드록시스탄네이트, 인산, 또는 이들의 원하는 혼합물이다. 사용된 할로겐-없는 충전제와, 할로겐-없는 난연제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충전제들이 편입되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 사이의 양립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행 기술은 할로겐-없는 충전제, 특히 여기서는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으로 언급된 충전제가 표면-변형 되어있을 것을 미리 필요로 하였다. 이것은 원하는 수준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성질을 수득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놀랍게도 그리고 유리하게도, 만약 언급된 할로겐-없는 충전제가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와 함께 사용된다면, 이제 할로겐-없는 충전제의 이전의 전통적인 표면-변형은 필요하지 않다.
언급된 할로겐-없는 충전제에 관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추가적인 정보는 특히 여기서 수산화 알루미늄[일반적인 구조식 Al2O3 × 3H2O의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ATH)] 및 수산화 마그네슘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는 것이며, 이러한 그룹 모두에 대하여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은 난연제에서의 이들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연기 생성의 감소에 있어서의 특이한 효율성, 및 할로겐화된, 특히 브롬계 및 염소계 폴리머에서의 용도, 또한 그 중에서도 특히 PVC에서의 용도이다. 본원 발명의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본원 발명의 폴리머 마스터배취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성질 측면에 어떠한 역효과도 미치지 않고 할로겐-없는 충전제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산화 마그네슘의 경우에, 합성 형태 또는 천연 물질 브루사이트가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충전제들은 1 내지 12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의 평균 입자 크기로 갈아진다. 충전제가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가공 온도가 180℃ 미만, 또는 연장된 기간 동안 최종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의 사용 온도는 150℃ 미만이고,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내지 8 ㎛ 일 때, 특히 우수한 결과가 달성된다.
분말 마스터배취 형태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 형태인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의 한가지 특히 놀라운 용도는 혼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즉 "합금")에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가공 플라스틱에서, 폴리스티렌에서,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P) 시스템 및 에폭시 수지 시스템과 같은 열경화성 플라스틱에서 충전제로서의 용도이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시스템에서 충전제로 사용되는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이상적인, 즉, 지금까지는 비-극성 폴리머로는 불가능했던 폴리머 매트릭스에서의 박리된 분산을 달성한다. 이전에는 이러한 유형의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전통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나노클레이의 매우 적은 비율, 예컨대, 0.1 내지 15 중량%의 균일한 분산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결과 연소성 테스트에서 기계적 성질의 상당한 손상 및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성능의 상당한 손상이 있었다.
본원 발명의 분말 마스터배취 및 폴리머 마스터배취에서 발견된 전반적인 특수한 이점은 이들이 상용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겉껍질 형성제(crust-former)로, 그리하여 또한 난연제의 효과적인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폴리머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게 본래 잘 알려져 있는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에 관한 또 다른 폭넓은 적용 분야는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에서 충전제로서의 용도이다.
언급된 폭넓게 다양한 폴리머 시스템에서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이점은 다음과 같은 매우 일반적인 말로 요약될 수 있다: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의 사용은 예컨대, 표면 매끄러움 또는 균일성, 미끈미끈함이 없는 표면 외관, 및 프린팅 및 복사 공정에서의 탁월한 성능과 같이 폴리머 조성물의 표면 성질을 개선시킨다. 이와 함께, 마모 저항성이 개선되며, 투과성 및 또한 마찰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산업적 이용에 관하여 언급할 수 있는 특히 유리한 특징은 다양한 기체 물질에 대하여 투과성이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주입-성형 공정(injection-molding process)에서의 가공 품질은 증가된 가소성(plasticity) 및 성형성(moldability)을 통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언급하여야 할 다른 유리한 성질은 압출기에서의 개선된 가공성, 감소된 수축, 및 감소된 탁함(haze)이다. 중공 성형(blow molding)에서, 중공된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전체적인 효과 및 우수한 가공성이 관찰되었다. B1 및 UL 94와 같은 연소 시험(fire test)은 나노클레이 충전제가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의 형태로 매우 적게 부하된 상태에서 조차도 물질이 덜 낙하함을 나타내었다.
본원 발명의 분말 마스터배취의 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는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위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나노클레이를 선택하여, 미리-박리시키고, 선택적으로 원하는 입자 크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곱게 간다. 이는 또한 실질적으로 균질한 혼합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머 분말을 가지며 가공될 수 있는 가루로 된 마스터배취를 제공한다.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난연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없는 충전제를 가진 이러한 마스터배취를 폴리머로 도입하기 위한 두 가지 상이한 가능한 공정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를 충전제와 혼합하고, 이후 폴리머와 합성하여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두번째 다른 방법은, 고운가루 마스터배취 및 충전제를 서로 별개로 용융된 폴리머의 흐름에 계량하여 넣어서, 그 안에 포매시켜,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이러한 유형의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폴리머 조성물을 위하여 원하는 폴리머를, 우선 나노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미리-박리 시킴으로써,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의 폴리머 마스터배취와 합성하고, 선택적으로 원하는 입자 크기로 곱게 간다. 이는 만약 적절하다면, 균질한 혼합물에서 폴리머 분말을 가진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를 제공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폴리머 분말에 조화되거나 또는 사용된 폴리머 분말과 동일한 담체 폴리머와 합성되어,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형성하고, 이 후 더욱 가공하여 최종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시 여기서, 두가지 다른 절차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편입될 폴리머와 기계적으로 혼합하고, 이후 난연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없는 충전제와 합성하여, 최종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두번째 다른 방법은,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난연제로 만들 폴리머와 함께 합성기의 제 1 주입구에 도입시키고, 다음으로 난연제 충전제를 용융된 폴리머 조성물에 첨가하거나, "스플릿-피드(split-feed)" 공정으로 계량하여 넣어, 최종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한다.
분말 마스터배취 및 폴리머 마스터배취에 관하여 설명된 공정은 난연제 폴리머성 조성물을 제조하는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또한 원칙적으로 예컨대, 폴리올레핀의 합성과 같은 폴리머 마스터배취 및 분말 마스터배취의 그밖의 다른 폭넓은 다양한 적용을 위하여도 이용될 수 있다. 합성시키는 동안의 탁월한 결과는, 폴리머 마스터배취에 대한 시작점이기도 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통하여, 실제 합성 단계가 일어나기 전에, 사용된 나노클레이 층의 박리를 준비하고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나노클레이가 처리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합성 공정은 더욱 효율적이며, 원하는 폴리머 안에서 나노클레이를 박리시키기 위한 에너지 손실 및 시간 손실이 적어진다. 상기 결과는 합성에 있어서 제조된 마스터배취를 사용할 때, 매우 실질적인 이점인데, 왜냐하면, 폴리머의 체류 시간이 감소되며, 폴리머의 열이력(heat history)이 최소화되고, 이는 열 분해에 대한 예방적 조치 및 제지-조치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최종 폴리머 조성물 또는 합성된 물질의 색채 강도(color strength) 및 기계적 성질이 상당히 개선되며, 작업 처리량이 증가되고, 합성 공정 비용은 현저히 감소된다.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 중 하나의 사용에 대해 언급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질적인 이점은, 예컨대, 난연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난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나노클레이를 가진 폴리머 조성물 또는 폴리머의 총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의 비율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비교를 위하여, 나노클레이를 가진 폴리머 조성물의 전통적인 부하의 경우에 필요한 총 부하는 5 내지 10 중량% 이다.
합성 공정 자체 동안 및 합성된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의 성질 측면에 관한 이러한 현저한 개선점은, 합성 공정을 시작하기 전에 박리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마스터배취의 형태로 나노클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이 나노클레이를 폴리머 및 다른 할로겐-없는 충전제와 혼합하는 것을 도와주며, 및/또는 폴리머가 실제적인 합성 단계 동안의 혼합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65 중량%의 총 충전제 부하를 가진 폴리프로필렌에 기초된 폴리머 조성물 또는 폴리머의 경우에, 200% (2 m/m에 해당)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500% (5 m/m에 해당)이상, 또는 그 이상의 파열시 인장 변형률(tensile strain)은 합성 공정 이후에 본원 발명의 마스터배취를 사용하지 않은 10% (0.1 m/m에 해당)과 비교하여 설명될 수 있다.
난연제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공정은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생산하기 위한 생성된 폴리머 조성물의 압출성형과 같은 하부 가공 단계를 통하여 보충된다. 수반할 수 있는 추가적인 공정은, 생성된 폴리머 조성물을 최종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생성된 폴리머 조성물의 가공 방법을 몇가지만 언급하자면, 폴리머 조성물의 주입-성형, 필름 블로우잉(film blowing), 및 회전 성형(rotational molding)을 들 수 있다.
폴리머성 또는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은 난연 분야에서 껍질 형성을 위한 상승제로서 및 상용화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머 조성물의 폭넓은 다양한 성질을 개선시키는 수단으로서, 및 장벽-층-형성 조성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조성물의 성질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는 이러한 폴리머 조성물 중의 하나이다.
선택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 사용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폴리머 조성물은 이하에 언급된 표준 시험 및 표준 측정을 거치게 하였다:
DIN 53 735에 대한 용융 지수 (MFI),
DIN 53 455에 대한 인장 강도,
DIN 53 455에 대한 파열시 인장 변형률,
DIN 53 454에 대한 충격 저항성 테스트(an),
UL 94 테스트(미국 안전 시험 기관 표준)에 의한 연소 성능.
UTBD(다져 굳히지 않은 용적 밀도)는 kg/l로 치밀하지 않은 용적 밀도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용되는 고속 믹서(mixer)는 항상 M.I.T.의 60/2500이다.
Ⅰ. 분말 마스터배취의 제조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1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독일 엠머리히의 유니케마 인터내셔널 사의 폴리머 지방산 "Pripol 1004" 34 kg을 약 30초간 첨가제로서 계량하여 넣는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회전 속도에서 10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4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5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실시예로서, EVA 분말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분말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1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U" 폴리머 지방산 24 kg, 및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실옥산 4.4 kg (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9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2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82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a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U" 폴리머 지방산 24 kg, 및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실옥산 4.4 kg (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9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9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3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PK" 폴리디메틸실옥산 4.4 kg 및
"Lithsolvent STT" 폴리데카노익 애시드 24.4 kg(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3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5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실시예 4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948"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U" 폴리머 지방산 24.4 kg 및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폴리실옥산 4.4 kg (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1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8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73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5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TB" 폴리라우릭 애시드 24.4 kg 및
"Lithsolvent PK" 폴리디메틸폴리실옥산 4.4 kg(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85℃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4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7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6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미국 엘리멘티스 사의 나노클레이 "Elementis EA 108"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U" 폴리머 지방산 24.4 kg 및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의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폴리실옥산 4.4 kg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0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8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81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7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미국 텍사스 주 곤잘레스의 서던 클레이 프로덕트 사의 나노클레이 "SCP 30 B"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KU" 폴리머 지방산 24.4 kg 및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의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폴리실옥산 4.4 kg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0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8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1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8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Lithsolvent OF" 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24.4 kg, 및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폴리실옥산 4.4 kg (두가지 모두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65℃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56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9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1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독일, 엠머리히, 유니케마 인터내셔널 사의 스테아릭 애시드 "Pristerene 4912" 12.2 kg 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78℃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74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0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1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독일, 엠머리히, 유니케마 인터내셔널 사의 팔미틱 애시드 "Pristerene 4934" 14 kg, 및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의 폴리머 지방산 "Lithsolvent KU-A" 6 kg 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2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5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80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1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쉘 사의 폴리머 "EPIKOTE 1004" 34 kg 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2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5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63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2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1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독일, 헨켈 KG 사의 라우릭 애시드 "Edinor C 12/98-100" 42 kg 을 첨가제로서 약 30초간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8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49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3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5"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에서 약 45℃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미국, 유니로얄 사의 액체 엘라스토머 "Trilene 66" 33 kg 을 믹서에 처음 충전으로서 사용하였으며, 이후 상기 회전 속도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독일, 뒤셀도르프, 케보 사의 이소스테아릴 테트라티타네이트 "Lithsolvent OF" 7 kg을 약 30초간 계량하여 넣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2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5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89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4 :
폭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속 믹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독일 쥐드케미 아게사의 나노클레이 "Nanofil 32" 100 kg을 1360 rpm(분당 회전)의 약 45℃의 온도로 및 이 온도에서 가열한다.
"Lithsolvent OF" 이소스테아릴 테트라티타네이트 24.4 kg, 및
독일, 뒤셀로르프, 케보 사의 "Lithsolvent PL" 폴리디에틸실옥산 4.4 kg을 첨가제로서 약 30초의 기간에 걸쳐 상기 언급된 순서에 계량하여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기 언급된 회전 속도에서 100℃의 방출 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냉각 믹서에서 약 30℃의 최종 온도로 냉각시킨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보관하는 중에 점결을 저해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말 40 kg을 상기 수득된 반응 혼합물과 균질하게 혼합하고, 상기 물질을 꺼내어 장벽층을 가진 봉지에 포장한다.
생성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을 가진 자유-유동성의 먼지없는 분말인데, 이의 UTBD는 0.86 kg/l 이다. 매우 우수한 계량 용량은 이러한 분말 마스터배취를 연속적인 합성 어셈블리에 매우 적합하게 만든다.
Ⅱ. 폴리머 마스터배취의 제조
원칙적으로, 고도의 충전된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합성 산업에 사용된 공정 기계는 폴리머 마스터배취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데, 공정기계의 예는 투-롤 밀(two-roll mill), 내부 믹서, FCM, 싱글-스크류 압출기, 트윈-스크류 압출기, Buss 코-니더(Buss co-kneader), 또는 유사한 공정 기계이다. 만약 Buss 코-니더가 사용된다면, 공정 길이는 적어도 11 L/D 에 해당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5 :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를 사용한다. 본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엑손-모빌(Exxon-Mobil)사의 "Escorene Ultra UL 00119"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VA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펠릿트화 스크류(PS)를 약 135℃로, 다이를 약 145℃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gravimetric feed system)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6 :
본원 발명의 실시예 16의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5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되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예 2a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여기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의 분말 마스터배취 대신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7 :
본원 발명의 실시예 17와 같은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5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되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예 3과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여기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의 분말 마스터배취 대신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8 :
본원 발명의 실시예 18과 같은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15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되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예 8과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의 분말 마스터배취 대신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19 :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이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미국, 듀퐁 사의 "FUSABOND"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P-g-MAH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65℃로, 다이를 약 170℃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0 :
본원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이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엑손-모빌 사의 "EXXELOR PO 1050"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P-g-MAH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65℃로, 다이를 약 175℃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1 :
본원 발명의 실시예 8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이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엑손-모빌 사의 "Escor 5000"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EA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25℃로, 다이를 약 135℃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2 :
본원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가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미국, 알리드 시그날 사의 "ACLYN AC 201 A"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칼슘 아이오노머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25℃로, 다이를 약 135℃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3 :
본원 발명의 실시예 8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가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미국, 엑손-모빌 사의 "Iotek 7010"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AAZ 폴리머를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10℃로, 다이를 약 125℃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4 :
본원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가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미국, 엑손-모빌 사의 "EXXELOR PO 1015"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H)-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또한 엑손-모빌 사의 Escorene Ultra 00328의 10 중량%와 혼합되었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185℃로, 다이를 약 200℃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 25 :
본원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 및 원하는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하여 선택된 담체 폴리머를 Buss 코-니더 또는 유사한 적합한 공정 기계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수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60 중량% 및 담체 폴리머의 40 중량%이 사용된다. 본원 발명의 본 실시예를 위하여 사용된 담체 폴리머는 스위스 EMS-케미 사의 "Grilamid 20 LM" 명칭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카프로락탐을 포함한다.
Buss 코-니더의 구역 1 및 2, 및 또한 이의 PS를 약 200℃로, 다이를 약 220℃로 가열하고, 담체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계량하여 넣는다. 선택된 분말 마스터배취의 해당량을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예컨대, 중력계량적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Buss 코-니더의 주요 수용부에 첨가한다. 원통안에서, 분말 마스터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혼합하고, 이후 생성된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가공하여 펠릿을 제공하고, 냉각시켜, 꺼낸다.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원통형 펠릿 또는 콩모양(lenticular)의 펠릿의 형태로 수득된다.
Ⅲ. 선택된 폴리머 조성물에서의 분말 마스터배취 및 폴리머 마스터배취
아래 표의 모든 백분율은 다른 언급이 없는한 중량%에 기초한다.
다음의 약어가 표에서 사용된다:
ATH = 일반 구조식 Al2O3 × 3H2O의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
PUMB = 분말 마스터배취
POMB = 폴리머 마스터배취
[표 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득된 결과는, 표 3의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수치와 비교할 때, 본원 발명의 분말 마스터배취의 사용은, 난연성은 적어도 동일하지만, 파열시 동일한 및 종종 훨씬 더 나은 인장 강도로 실질적으로 개선된 인장 변형률을 제공하였음을 보여준다.
[표 2]
표 2는 본원 발명의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를 설명한다. 수치를 분말 마스터배취를 사용하여 표 1에서 수득된, 파열시 인장 변형률의 수치와 비교할 때, 하나를 제외하고, 보다 더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표 3의 수치와 비교하면, 표 1에 관한 이전의 설명이 원칙적으로 다시 적용가능하다.
[표 3]
FR 20은 여기서 사용된 수산화 마그네슘의 등급에 대하여, 이스라엘의 생산자 데드 씨 브로민(Dead Sea Bromine) 사에 의하여 사용되는 명칭이다.
용융 지수 및 파열시 인장 변형률에 관하여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수치는 그 자체로 가공가능성에 관한 경계선이다. 파열시 인장 변형률에 관한 C1, C2, 및 C4에서 수득된 수치는 1.5의 표준 이하이다.
[표 4]
충격 저항성에 관하여 각괄호 안에 언급된 수치는 물질이 부서짐을 보이지 않았을 때, 각 경우에서 측정된 충격 에너지를 표시한다.
물질의 부서짐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 P9에서만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 저항성에 대한 우수한 수치가 얻어졌으며, 표 5의 비교 실시예의 수치를 훨씬 넘어섰고, 이는 또한 포장의 축조를 포함하는 우수한 가공가능성을 제공한다.
[표 5]
이러한 비교 실시예에서 얻어진 충격 저항성은 예컨대, 포장의 축조에서 요구되는 수치보다 훨씬 낮다. 비교 실시예 C5에 대하여 측정된 바와 같이, C8의 충격 저항성은 매우 부서지기 쉬운, 단단한 물질임을 표시하며, 포장의 축조에도 부적합하다. 포장의 축조에서 요구되는 충격 저항성은 적어도 30이다.
비교 실시예 C5 내지 C8의 물질 모두가 물질의 부서짐을 보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부서짐 에너지를 언급할 필요가 없었다.
[표 6]
파열시 인장 변형률은, 예컨대, 여기서 사용된 PA6 Ultramid B3L와 같은 가공 폴리아미드에서 언급될 수 있는 해결하기 어려운 성질이다. 비교 실시예 C9 - C12를 가진 표 7에 의하여 명백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파열시 인장 변형률은, 일반적으로 0.02를 넘지 않는다. 오직 C10 만이 1 크기 자리수로 개선된 수치를 보여주는데, 이는 AMEO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파열시 인장 변형률에 대한 전통적인 낮은 수치는 전통적으로 처리한 폴리아미드의 부서지기 쉬운 부서짐에서 나타난다.
[표 7]
표 6의 설명에서 이미 명백한 바와 같이, 파열시 인장 변형률은 폴리머 조성물을 위하여 여기서 사용된 폴리아미드의 처리 유형에 관하여 예외적으로 중요하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P13을 제외하고, 본원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각각의 폴리머 조성물은, 파열시 인장 변형률에 관하여 선행 기술에서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달성된 수치를 넘는, 적어도 3 크기 자리수의 파열시 인장 변형률을 가진다.
[표 8]
극성(출발) 폴리머를 가지고 :
지금까지는 선행 기술에서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극성(출발) 폴리머를 가지고 본원 발명적으로 제조한 폴리머 조성물은 탁월한 성질 측면을 보여준다. 발견된 특히 유리한 특징은 압출성형 공정을 하는 동안 버(burr)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 및 상기 물질은 모든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압출성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주입-성형 공정을 하는 동안의 수축은 보다 작아지며, 표면은 보다 현저히 우수해진다.
폴리머 조성물 또는 합성된 폴리머 물질의 성질 측면은 보다 높은 충전제의 비율로 선형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 사이에 퍼져 있는 편견에 반박하기 위한 고안이 시도된다.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 쌍 P21-P22는 조사된 성질에 관하여 높은 테스트 수치 또는 균형잡힌 평균 수치를 가진, 가장 균형잡힌 성질 측면을 가진다.
[표 9]
비-극성(출발) 폴리머를 가지고 :
폴리머 조성물 또는 합성된 폴리머 물질의 본 실시예는 블로운-필름(blown-film) 산물에 대한 필름 등급에 관련된다. 마스터배취의 백분율에 관하여 폴리머/충전제 마스터배취 조성물 (이는 기본적으로 또한 충전제를 나타내기도 함)에 대해 이미 언급되었던 비-선형성을 여기서 다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실험 P25는 균형잡힌 테스트 결과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매우 우수한 성질 측면을 달성하였는데, 예컨대, 실험 P23 및 P24와 비교 할 때, 상기 성질은 마스터배취의 20% 정도로 훨씬 더 우수하였다.
그러나 P23 및 P24는 또한 비교 실시예 C16과 비교 할 때, 보다 현저히 우수한 수치를 보인다. 파열시 인장 변형률이 단지 0.2인 비교 실시예의 물질은 필름 안정성을 확보하지 않는다.
[표 10]
비-극성 (출발) 폴리머를 가지고 :
표 10의 Eltex KL 104는 주입 성형 및 압출성형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을 지칭한다. 실험 P28 - P30의 조성물을 가진 본원 발명의 폴리머 조성물 또는 합성된 폴리머 물질은 또다시 가장 균형잡힌 성질 측면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선형성 또한 여기서 관찰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P30은 파열시 인장 변형률은 여기서는 덜 바람직하지만, 용융 지수에 대하여 탁월한 수치를 가진다. 그러나 이는 언급된 가공 방법에 있어서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파열시 인장 변형률은 기본적으로 압출성형 공정 그 자체에 의하여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머, 폴리머 조성물, 및 합성된 물질은 각각 지금까지 선행 기술에 공지되고 충전제로서 나노클레이만으로 제조된 폴리머, 폴리머 조성물 및 합성된 물질을 능가하는 실질적인 이점을 가진다. 이들은 보다 효율적인 가공이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먼지가 없고, 상대적으로 높은 용적 밀도(치밀하지 않은)를 가진다.
본원 발명은 미리-박리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하여 변형된 팽윤성 무기 층상 물질(inorganic layered material)로 구성된 나노클레이(nanoclay)를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master batch)에 관련된다.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은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PM),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EPD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커플링제, 가교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에서 선택되었다.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또는 조성물은 폴리머 분말과 균질의 혼합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고운가루의 마스터 배취를 담체 폴리머와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폴리머 마스터배취는 다양한 폴리머 조성물에서 충전제 시스템에서 또는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미리-박리시키는 첨가제(pre-exfoliating additives) 또는 첨가제 조성물에 의하여 변형된 팽윤성 무기 층상 물질로 구성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pulverulent)의 마스터배취(masterbatch).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하는 나노클레이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하는 나노클레이는 갈아진 나노클레이(ground nanoclay)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층상 물질(inorganic layered material)은 천연 또는 합성 파일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의 염, 지방산 유도체, 폴리머 지방산, 실옥산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는 10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7. 제 5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유도체는 수소화된 유도체, 알코올 유도체, 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8. 제 5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모노- 또는 폴리불포화된 수산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9. 제 5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유도체는 폴리머성 지방산, 케토 지방산, 지방산 알킬옥사졸린 및 지방산 알킬비스옥사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옥산 유도체는 올리고알킬실옥산, 폴리디알킬실옥산, 폴리알킬아릴실옥산, 폴리디아릴실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옥산 성분은 하나 이상의 반응성 그룹에 의하여 기능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2.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은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EPM),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EPD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커플링제(coupling agent), 가교결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3. 제 12항에 있어서, EPM 및/또는 EPDM의 분자량이 2000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4.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EPM 및/또는 EPDM 내에서의 에틸렌:프로필렌 비율이 40:60 내지 60:4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
  15. 제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와 폴리머 분말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혼합물 형태의 조성물, 특히 고운가루의 또는 입자의 마스터배취.
  16. 미리 결정된 담체 폴리머와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운가루의 마스터배취의 합성을 통하여 수득된 조성물, 특히 폴리머 마스터배취.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담체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E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M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BA), 이들의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MAH)-변형된 유도체, 아이오노머(ionomer), 스티렌-엘라스토머 시스템, 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코폴리머(PEBA),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실리콘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폴리머의 비율은 1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6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펠릿(pellet)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서 충전제(filler)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1.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을 위한 충전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2. 제 21항에 있어서, 난연제 충전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3. 제 22항에 있어서, 할로겐-없는 충전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없는 난연제 충전제는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화물(뵈마이트,boehmite),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브루사이트(brucite), 탄산 마그네슘,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훈타이트(huntite), 보크사이트, 탄산 칼슘, 활석(talc), 유리 분말, 멜라민 이소시아뉴레이트, 이들의 유도체 및 제형(preparation), 보레이트(borate), 스탄네이트(stannates), 및 하이드록시스탄네이트(hydroxystannates), 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5. 제 20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가공 플라스틱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및 또한 합금에서 충전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6. 제 20항 또는 21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27. 제 20항 내지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폴리머 또는 폴리머 조성물에서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함량은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특히 분말 마스터배취 또는 제 16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마스터배취.
KR1020057012729A 2003-01-08 2004-01-08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KR20050097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00374A GB0300374D0 (en) 2003-01-08 2003-01-08 Organoclay compositions
GB0300374.6 2003-01-08
DE10326977.0 2003-06-12
DE10326977 200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501A true KR20050097501A (ko) 2005-10-07

Family

ID=327148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29A KR20050097501A (ko) 2003-01-08 2004-01-08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KR1020057012730A KR20050097502A (ko) 2003-01-08 2004-01-08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30A KR20050097502A (ko) 2003-01-08 2004-01-08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60155018A1 (ko)
EP (2) EP1581588B1 (ko)
JP (2) JP2006517597A (ko)
KR (2) KR20050097501A (ko)
AT (2) ATE359321T1 (ko)
DE (2) DE502004003032D1 (ko)
DK (1) DK1581588T3 (ko)
ES (2) ES2279338T3 (ko)
PT (1) PT1581588E (ko)
SI (1) SI1581588T1 (ko)
WO (2) WO2004063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48B1 (ko) * 2008-06-09 2010-08-17 (주)엔플라스텍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배선 보호용 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3264A1 (de) * 2003-01-08 2004-07-29 Süd-Chemie AG Masterbatche auf der basis pre-exfolierter nanoclays und in ihre verwendung
ATE328952T1 (de) * 2003-06-12 2006-06-15 Sued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composit- additiven mit verbesserter delaminierung in polymeren
US7232856B1 (en) * 2003-06-17 2007-06-19 Polyone Corporation Flame-retardant polyolefin compounds and their use in surface coverings
US20070122947A1 (en) * 2003-12-25 2007-05-31 Adeka Corporation Metal compound, material for thin film formation, and process of forming thin film
DE102004039451A1 (de) * 2004-08-13 2006-03-02 Süd-Chemie AG Polymerblend aus nicht verträglichen Polymeren
US7691932B2 (en) 2004-09-27 2010-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mposition and nanocomposites therefrom
US7495051B2 (en) * 2004-09-27 2009-0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ano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838764A4 (en) * 2005-01-14 2009-11-04 Agency Science Tech & Res NANOCOMPOSITES BASED ON THERMOPLASTIC POLYMER
CA2599122A1 (en) * 2005-03-03 2006-09-0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lenum cable-flame retardant layer/component with excellent aging properties
CN1305977C (zh) * 2005-03-04 2007-03-21 北京化工大学 用转移法对纳米级无机颗粒表面改性的方法
CN1314778C (zh) * 2005-03-04 2007-05-09 北京化工大学 用转移法制备纳米无机复合阻燃剂的方法
JP4979903B2 (ja) * 2005-07-05 2012-07-18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用床材
US20100025147A1 (en) * 2005-10-31 2010-02-04 L&L Products, Inc. Damping material, method of forming the damping material and method of using the damping material
US7605206B2 (en) * 2005-11-04 2009-10-20 Glen Burnie Technologies, Llc Method of compatibilizing non polymer solid fillers in polymeric materials and compositions therefrom
ITVI20050323A1 (it) * 2005-12-06 2007-06-07 Sacme Spa Compound termoplastico autoestinguente, nonche' metodo di preparazione dello stesso
CN1992099B (zh) * 2005-12-30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电复合材料及含有该导电复合材料的电缆
JP5194400B2 (ja) * 2006-01-05 2013-05-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熱収縮チューブ
BRPI0621452A2 (pt) * 2006-03-03 2012-10-09 Pirelli Tyre Spa pneu, banda de rodagem de pneu, composição elastomérica reticulável, produto fabricado elastomérico reticulado, e, ativador obtido por co-moagem a seco de uma mistura
US20080317987A1 (en) * 2006-07-21 2008-12-25 David Abecassis Nanocomposite materials for ethanol, methanol and hydrocarbon transportation use and storage
US7326750B1 (en) 2006-10-12 2008-02-05 Kivanc Isik Expanded nanoclays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expanded nanoclays
US7947774B2 (en) * 2006-10-20 2011-05-2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f increased mechanical properties
JP5182543B2 (ja) * 2007-04-27 2013-04-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熱収縮チューブ
KR100940262B1 (ko) * 2007-05-15 2010-02-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블랭크 마스크 및 제조 방법
WO2008151272A1 (en) * 2007-06-05 2008-12-11 Lord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rubber to metal bonded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high temperature engine mounts
KR101374987B1 (ko) * 2007-07-2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재료용 봉지제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플라스틱 기판
US20090255571A1 (en) * 2008-04-14 2009-10-15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Thermal Conducting Materials for Solar Panel Components
DE102010007820A1 (de) 2010-02-11 2011-08-11 Granulat GmbH, 53842 Selbstverlöschendes Extrudat aus einer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269107B2 (en) * 2010-05-28 2012-09-18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olefin
SG11201400132XA (en) * 2011-08-22 2014-03-28 Sylvia R Hofmann Isocyanate free polymers and methods of their production
US9439334B2 (en) 2012-04-03 2016-09-06 X-Card Holdings, Llc Information carrying card comprising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122968B2 (en) 2012-04-03 2015-09-01 X-Card Holdings, Llc Information carrying card comprising a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387695B1 (en) * 2012-06-23 2013-03-05 Newbasis West Ll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ownhole cementing operations
US10023783B2 (en) 2012-06-23 2018-07-17 Pumprock, Ll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ownhole cementing operations
CN104487513B (zh) * 2012-07-27 2018-09-11 巴斯夫欧洲公司 基于金属氢氧化物和聚酯醇的阻燃热塑性聚氨酯
WO2014149926A1 (en) 2013-03-15 2014-09-25 X-Card Holdings, Llc Methods of making a core layer for an information carrying card, and resulting products
KR101478919B1 (ko) * 2013-08-16 2015-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재료용 봉지제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 플라스틱 기판
TWI685524B (zh) 2013-12-17 2020-02-21 美商畢克美國股份有限公司 預先脫層之層狀材料
RU2647314C2 (ru) 2014-01-31 2018-03-15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Нанокомпозитная упаковочная пленка
EP3105053B1 (en) 2014-01-31 2021-09-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in nanocomposite film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US9562145B2 (en) 2014-07-11 2017-02-07 Elementis Specialties, Inc. Organoclay compositions having quaternary ammonium ion having one or more branched alkyl substituents
US9534162B2 (en) 2014-07-11 2017-01-03 Elementis Specialties, Inc. Organoclay compositions for drilling fluids useful to provide substantially constant rheology profiles to such fluids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US9562146B2 (en) 2014-07-11 2017-02-07 Elementis Specialties, Inc. Composite compositions for polymers and organoclay compositions having quaternary ammonium ion having one or more branched alkyl substituents
CN105482320B (zh) * 2016-01-28 2017-10-13 西安科技大学 一种聚氯乙烯增韧增强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643889B1 (en) 2016-04-08 2017-05-09 King Saud University Method of storing exfoliated nanoclay particles
JP6886250B2 (ja) * 2016-07-29 2021-06-16 住友理工株式会社 鉄道車両用外幌
FR3058418B1 (fr) * 2016-11-10 2020-07-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 Cnrs - Nanocomposites nanomateriau/ systeme polymoleculaire colloidaux, et methodes de preparation
CN106832568B (zh) * 2016-12-21 2019-02-12 湖南登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性塑料填充润滑母料及其制备方法
WO2018182522A1 (en) * 2017-03-28 2018-10-04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 of forming an exfoliated or intercalated filler material
WO2019173455A1 (en) 2018-03-07 2019-09-12 X-Card Holdings, Llc Metal card
WO2020219447A1 (en) 2019-04-23 2020-10-29 Elementis Specialties, Inc. Slurry compositions containing mixed branched alkyl organoclay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6236A (en) * 1929-05-29 1930-04-29 Turbo Mixer Corp Mixing, dissolving, or similar apparatus
GB1118723A (en) 1964-12-18 1968-07-03 Berk Ltd Polyolefin-and polyamide-containing compositions
GB1114174A (en) 1964-12-18 1968-05-15 Berk Ltd Synthetic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3576388A (en) 1968-12-05 1971-04-27 Stauffer Wacker Silicone Corp Electrical cable
US4070315A (en) * 1976-04-12 1978-01-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ntonite/halogen flame retarding additive
US4069288A (en) * 1976-04-26 1978-01-17 Monsanto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fire retardant molding compositions
US4173561A (en) * 1977-01-12 1979-11-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JPS55112248A (en) 1979-02-22 1980-08-2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Polyolefinic resin composition highly filled with inorganic material
US4255318A (en) 1979-07-17 1981-03-10 Dainichi-Nippon Cables, Ltd. Fire-retardant putty-like compositions
US4402881A (en) 1980-11-12 1983-09-06 International Minerals & Chem. Corp. Method of making organophilic clays
US4434076A (en) * 1981-10-19 1984-02-28 Nl Industries, Inc. Clay cation complexes and their use to increase viscosity of liquid organic systems
US4412018A (en) * 1980-11-17 1983-10-25 Nl Industries, Inc. Organophilic clay complexes,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complexes
US4434075A (en) * 1981-10-19 1984-02-28 Nl Industries, Inc. Anionically modified organophilic clays and their preparation
US4410364A (en) 1980-11-17 1983-10-18 Nl Industries, Inc. Printing ink compositions
DE3145452A1 (de) * 1980-11-17 1982-06-24 NL Industries, Inc., 10020 New York, N.Y. Gelbildender, orgaophiler to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4391637A (en) * 1981-10-19 1983-07-05 Nl Industries, Inc. Rheological additive for non-aqueous fluid systems
JPS5790050A (en) * 1980-11-26 1982-06-0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Preparation of 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clay mineral and organic polymer
US4517112A (en) * 1982-02-18 1985-05-14 Nl Industries, Inc. Modified organophilic clay complexes, their preparation and non-aqueous systems containing them
US4474706A (en) * 1982-08-30 1984-10-02 The Sherwin-Williams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philic clays
US4546126A (en) 1983-07-13 1985-10-08 Ciba Geigy Corporation Flame-retarding, reinforced moulding material based on thermoplastic polyesters and the use thereof
US4558075A (en) * 1984-03-30 1985-12-10 Ppg Industries, Inc. High-solids coating composition for improved rheology control containing organo-modified clay
US4582866A (en) * 1984-04-30 1986-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multi-block copolyester elastomers
US4695402A (en) 1985-08-20 1987-09-22 Nl Chemicals, Inc. Organophilic clay gellant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US4739007A (en) * 1985-09-30 1988-04-19 Kabushiki Kaisha Toyota Chou Kenkyusho Composite materia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4664820A (en) 1985-10-28 1987-05-12 Nl Industries, Inc. Preactivated organophilic clay gellant lubricating grease thickened with preactivated organophilic clay gellant and process for preparing preactivated organophilic clay gellants
JPS62101644A (ja) 1985-10-29 1987-05-12 Sumitomo Bakelite Co Ltd 難燃樹脂組成物
JPS62181144A (ja) 1986-02-06 1987-08-08 東レ株式会社 難燃性基材
US4708975A (en) * 1986-04-02 1987-1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smoke generating, high char form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multi-block copolyesters
US4777206A (en) * 1986-04-07 1988-10-11 Corning Glass Works Article of manufacture composed of gel
JPH0674405B2 (ja) 1986-07-23 1994-09-21 株式会社フジクラ 防火用難燃性弾性パツキング材
JPS63207617A (ja) 1987-02-24 1988-08-29 Mitsui Toatsu Chem Inc 無機フイラ−含有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4866018A (en) * 1987-03-26 1989-09-12 United Catalyst Organophilic clay modified with zirconium aluminum organic complexes
US4874728A (en) 1987-03-26 1989-10-17 United Catalyst Inc. Organophilic clay modified with silane compounds
JPS63260957A (ja) 1987-04-20 1988-10-27 Sumitomo Electric Ind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S63273693A (ja) 1987-04-30 1988-11-10 Hitachi Cable Ltd 防火材
US4826899A (en) 1987-06-15 1989-05-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smoke generating, high char forming, flame resistant thermoplastic multi-block copolyesters
GB8806497D0 (en) 1988-03-18 1988-04-20 Mortile Acoustic Ind Ltd Non-toxic fire retardant thermoplastic material
US5091462A (en) * 1989-03-17 1992-02-25 Ube Industries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E64663B1 (en) * 1989-11-01 1995-08-23 Lonza Ag Surface-modified fillers
JP2872756B2 (ja) 1990-05-30 1999-03-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ポリイミド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32350A (en) * 1990-07-13 1992-07-2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525968B2 (ja) * 1990-09-07 1996-08-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の製法、それからの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チュ―ブ
CA2115255A1 (en) 1991-08-12 1993-03-04 Macrae Maxfield Melt process form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 of exfoliated layered material
WO1993004118A1 (en) * 1991-08-12 1993-03-04 Allied-Signal Inc. Melt process form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 of exfoliated layered material
US5429999A (en) 1991-11-14 1995-07-04 Rheox, Inc. Organoclay compositions containing two or more cations and one or more organic anion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non-aqueous systems
US6130256A (en) 1993-05-07 2000-10-10 Rheox, Inc. Organoclay thickener compatible with system to be thickened
US5554670A (en) 1994-09-12 1996-09-10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preparing layered silicate-epoxy nanocomposites
IL117216A (en) * 1995-02-23 2003-10-31 Martinswerk Gmbh Surface-modified filler composition
JPH08259846A (ja) * 1995-03-24 1996-10-08 Kao Corp 樹脂被覆超微粉状珪酸塩、該珪酸塩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95630A (ja) 1995-07-24 1997-04-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塗料組成物、それが塗装された電線または電力ケーブル
US5780376A (en) 1996-02-23 1998-07-14 Southern Clay Products, Inc. Organoclay compositions
AU1977097A (en) 1996-02-27 1997-09-16 Southern Clay Products Inc. High performance dry process organocla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JP3377159B2 (ja) 1996-09-04 2003-02-1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粘土複合ゴム材料の製造方法
JPH10139998A (ja) 1996-11-07 1998-05-26 Mitsubishi Eng Plast Kk 密閉型蓄電池ケーシ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296986B2 (ja) 1997-01-20 2002-07-02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71517A (ja) * 1997-06-20 1999-03-16 Unitika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てなる成形品
EP0905204B1 (de) * 1997-09-26 2002-11-20 MERCK PATENT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plättchenförmige Substrate
US5773502A (en) 1997-10-14 1998-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Fire retardant blends
US6034163A (en) 1997-12-22 2000-03-0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nanocomposites for high barrier applications
JP3497369B2 (ja) 1998-02-12 2004-0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US6380295B1 (en) * 1998-04-22 2002-04-30 Rheox Inc. Clay/organic chemical compositions useful as additives to polymer, plastic and resin matrices to produce nanocomposites and nanocomposites containing such compositions
DE19818924A1 (de) * 1998-04-28 1999-11-04 Degussa Oberflächenmodifizierte Füll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US5968669A (en) * 1998-06-23 1999-10-19 J. M. Huber Corporation Fire retardant intumescent coating for lignocellulosic materials
CN1322057C (zh) 1998-07-30 2007-06-20 东丽株式会社 聚酰胺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AR022140A1 (es) 1998-12-31 2002-09-04 Kimberly Clark Co Una composicion de materia, una pelicula y un articulo que comprenden dicha composicion y el proceso para hacer dicha composicion
JP2001026724A (ja) * 1999-07-16 2001-01-30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7504451B1 (en) 1999-04-30 2009-03-17 Rockwood Clay Additives, Gmbh Fire retardant compositions
DE19921472A1 (de) * 1999-05-08 2000-11-16 Sued Chemie Ag Flammgeschützte Polymerzusammensetzung
US6521690B1 (en) * 1999-05-25 2003-02-18 Elementis Specialties, Inc. Smectite clay/organic chemical/polymer compositions useful as nanocomposites
AU5488400A (en) 1999-06-17 2001-01-09 Triton Systems, Inc. High performance nanocomposites
DE60023297T2 (de) 1999-07-13 2006-06-01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Füllstoffmischungen
JP2001055476A (ja) * 1999-08-18 2001-02-27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樹脂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6492453B1 (en) 1999-09-24 2002-12-10 Alphagary Corporation Low smoke emission, low corrosivity, low toxicity, low heat release, flame retardant, zero halogen polymeric compositions
US6610770B1 (en) 1999-10-04 2003-08-26 Elementis Specialties, Inc. Organoclay/polymer compositions with flame retardant properties
JP2003515648A (ja) 1999-12-01 2003-05-07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非晶質オリゴマーを含むポリマー−クレーナノ複合材
US6632868B2 (en) * 2000-03-01 2003-10-14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rcalates formed with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intercalants
US6414070B1 (en) * 2000-03-08 2002-07-02 Omnova Solutions Inc.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ally modified clay
US6911488B2 (en) * 2000-09-27 2005-06-28 Shamrock Technologies, Inc. Physical methods of dispersing characteristic use particles and compositions thereof
FR2819518B1 (fr) * 2001-01-12 2005-03-11 Omya Ag Procede de traitement d'une charge minerale par un polydialkylsiloxane et un acide gras, charges hydrophobes ainsi obtenues, et leurs applications dans des polymeres pour films "respirables"
JP3784260B2 (ja) * 2001-01-25 2006-06-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US6849680B2 (en) * 2001-03-02 2005-02-01 Southern Clay Products, Inc. Prepar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s by dispersion destabilization
US7491764B2 (en) 2001-06-13 2009-02-1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ow permeability nanocomposites
US6583209B2 (en) * 2001-09-06 2003-06-24 Equistar Chemicals, Lp Propylene polymer composites having improved melt strength
CN1182190C (zh) * 2001-09-27 2004-12-2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原位聚合制备聚烯烃/无机组份纳米复合材料的方法
US6802784B2 (en) * 2002-05-29 2004-10-12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ntaining graphite nanosheets in a polymeric network
US6759464B2 (en) 2001-12-21 2004-07-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nanocomposite, composition and article thereof
US20050215718A1 (en) * 2002-01-04 2005-09-29 Murali Rajagopalan Nanocomposite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for golf balls
US6828371B2 (en) * 2002-01-11 2004-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roducing a well-exfoliated and dispersed polymer silicate nanocomposite by ultrasonication
US7135508B2 (en) * 2002-02-20 2006-11-14 The University Of Chicago Coatings and films derived from clay/wax nanocomposites
US6822035B2 (en) * 2002-02-20 2004-11-23 The University Of Chicag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clays
JP2003292816A (ja) * 2002-04-01 2003-10-15 Asahi Kasei Corp 無機系機能付与剤
WO2004063264A1 (de) 2003-01-08 2004-07-29 Süd-Chemie AG Masterbatche auf der basis pre-exfolierter nanoclays und in ihre verwendung
ATE328952T1 (de) * 2003-06-12 2006-06-15 Sued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composit- additiven mit verbesserter delaminierung in polymeren
WO2004113429A2 (en) * 2003-06-23 2004-12-29 The University Of Chicago Polyolefin nanocomposites
US7087529B2 (en) * 2003-10-02 2006-08-08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CMP) slurry and method of planarizing surfaces
DE102004039451A1 (de) * 2004-08-13 2006-03-02 Süd-Chemie AG Polymerblend aus nicht verträglichen Polyme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48B1 (ko) * 2008-06-09 2010-08-17 (주)엔플라스텍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배선 보호용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8191B2 (en) 2009-05-05
WO2004063260A2 (de) 2004-07-29
DK1581588T3 (da) 2007-04-02
EP1581587B1 (de) 2007-04-11
KR20050097502A (ko) 2005-10-07
EP1581587A1 (de) 2005-10-05
PT1581588E (pt) 2007-05-31
WO2004063264A1 (de) 2004-07-29
EP1581588B1 (de) 2007-02-28
DE502004003032D1 (de) 2007-04-12
ATE355328T1 (de) 2006-03-15
EP1581588A2 (de) 2005-10-05
US20060155018A1 (en) 2006-07-13
DE502004003464D1 (de) 2007-05-24
ATE359321T1 (de) 2007-05-15
WO2004063260A3 (de) 2004-09-23
ES2281776T3 (es) 2007-10-01
SI1581588T1 (sl) 2007-08-31
ES2279338T3 (es) 2007-08-16
JP2006517597A (ja) 2006-07-27
US20060155035A1 (en) 2006-07-13
JP2006515896A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7501A (ko)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Cárdenas et al. Mechanical and fire retardant properties of EVA/clay/ATH nanocomposites–Effect of particle size and surface treatment of ATH filler
AU2003228571B2 (en) Novel boehmite particles and polymer materials incorporating same
JP2002543260A (ja) 難燃剤組成物
KR101449059B1 (ko) 수산화알루미늄
JP4997704B2 (ja) 表面被覆難燃性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02965A (ja) ジオポリマー複合材並びにジオポリマー複合材を含んでなる発泡性ビニル芳香族ポリマー顆粒状物及び発泡ビニル芳香族ポリマーフォーム
TW201029926A (en) Synthetic inorganic flame retardant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flame retardants
WO2013085788A1 (en) Synergized flame 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article thereof,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3507498A (ja) インシチューでの重合によるポリアミドナノ複合材料組成物の調製のための方法
Lopez-Cuesta Flame-retardant polymer nanocomposites
EP1711434A1 (en) Ultrafine natural ground brucite
WO2009029310A1 (en) Fire and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es
US7160942B2 (en) Polymer-phyllosilicate nanocomposites and their preparation
Tang et al. Preparation of poly (propylene)/clay layered nanocomposites by melt intercalation from pristine montmorillonite (MMT)
Rodríguez‐Llamazares et al. The effect of clay type and of clay–masterbatch product in the preparation of polypropylene/clay nanocomposites
Ahmadi et al. Morphology and characterization of clay-reinforced EPDM nanocomposites
CN108752727B (zh) 一种溶胶凝胶法改性阻燃乙烯-乙酸乙烯酯共聚物的方法
WO2002051926A2 (en) Use of a nanofiller-containing polyolefi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improved articles
EP1177252B1 (en) Fire retardant compositions
Haveriku et al. Optimiz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olefin Composites Loaded with Mineral Fillers for Flame Retardant Cables. Micro 2021, 1, 102–119
WO1992005113A1 (en) Treatment of magnesium hydroxide and its use as plastics filler
Makadia Nanocomposites of polypropylene by polymer melt compounding approach
이정훈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lame-retardant nanocomposites based on ethylene vinyl acetate and cationic c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