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351A -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351A
KR20050085351A KR1020057010102A KR20057010102A KR20050085351A KR 20050085351 A KR20050085351 A KR 20050085351A KR 1020057010102 A KR1020057010102 A KR 1020057010102A KR 20057010102 A KR20057010102 A KR 20057010102A KR 20050085351 A KR20050085351 A KR 2005008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content
reproduction
content file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요시 오카모토
마사타카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웨이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웨이브
Publication of KR2005008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면서 2차원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불가결한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된 유통용 기록매체(α)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헤더정보(a)의 재생정보(a1)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가능한 관리센터(110)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센터(110)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통신가능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구비한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DIGITAL CONTENT}
본 발명은, CD, DVD 등의 기록매체, 인터넷 회선, 전화회선 등을 통해서 유저에게 배포/배신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예로서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동 시스템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 CD-ROM 등의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저의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의한 과금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를 입수한 유저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이고 또한 관리수단에 인터넷 회선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이 신청을 인터넷 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복호 키 데이터를 인터넷 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복호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해서 재생하는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등 참조). 「특허문헌: 일본 특허공개 2002-33417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례예에 의한 경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디지털 콘텐츠가 한번 복호화되면,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뿐만 아니라 복사가 간단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2차적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없다라는 본질적인 결점이 있다.
단, 재생의 신청으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삭제한다라는 기능을 부가하면, 2차적인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일단 가능하지만, 2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이미 기대할 수 없다라는 또 다른 결점이 있다.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용 기록매체를 통해서 유저에 배부한 경우만의 특유한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 회선 등을 통해서 유저에게 디지털 콘텐츠를 배신했을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콘텐츠 홀더 등의 본래 얻어져야 할 이익이 부당하게 손상되고, 이 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의 촉진이 방해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작된 것이며, 그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면서 2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의 구성도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2는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의 구성도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5는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α … 유통용 기록매체
100,200 …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110,210 … 관리센터
120,220 …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140,240 …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
300,400,500 …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310,410,510 … 배신 관리센터
320,420,520 …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은,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은, 또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적어도 헤더정보의 일부(즉, 헤더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데에 필요 불가결한 재생정보)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된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은 유저의 인증 및/또는 과금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부분데이터를 분리해서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를 분리한 콘텐츠 파일을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유통용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는,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본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은,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그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켜 통신회선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전송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2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은, 또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의 일부(즉, 헤더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재생정보)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미리 준비됨과 아울러, 이 헤더정보의 일부가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된 서버이며 상기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은 유저의 인증 및/또는 과금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 2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는,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후,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에 미리 준비되어 있을 때, 유저에 의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관해서는,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는, 부분데이터와는 별도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 중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의 일부를 미리 결락시키는 한편, 동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동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에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을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동 장치에 입력되면, 동 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동 장치에 전송하고, 동 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게 되어 있다.
이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은, 또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의 일부를 미리 결락시키는 한편, 동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동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에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을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동 장치에 입력되면, 동 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동 장치에 송신하고, 동 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게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항1 및 2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의한 경우, 콘텐츠 파일은 헤더정보의 일부가 결락된 상태에서 유통용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인 부분데이터가 없는 한, 상기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할 수 없다.즉, 진정한 재생조작이 아닌 한,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할 수 없으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면서 2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콘텐츠 홀더 등의 본래 얻어져야 할 이익이 확보되어, 이 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의 촉진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따른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의한 경우,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분리해서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것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를 작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의 방지를 도모하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및 청구항5에 따른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경우,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을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처음으로 상기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6 및 7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의한 경우, 헤더정보의 일부가 결락된 상태의 콘텐츠 파일과, 이 결락시킨 헤더정보의 일부인 부분데이터가 미리 배신 관리수단에 준비되어 있고, 진정한 재생의 신청에 의해 상기 부분데이터를 얻지 않는 한, 상기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면서 2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콘텐츠 홀더 등의 본래 얻어져야 할 이익이 확보되어, 이 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의 촉진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8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및 청구항9에 따른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경우,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을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처음으로 상기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 사용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0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의한 경우,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에 도달하면,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게 되어 있으므로, 부정한 2차적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1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및 청구항12에 따른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경우, 청구항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3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의한 경우, 청구항1,2,6 또는 7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4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에 의한 경우, 청구항1 또는 청구항6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5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의한 경우, 유저에 의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은 상기 유저의 인증 및/또는 과금을 조건으로 하고 있으므로, 유저의 인증 및/또는 과금이 완료하지 않는 한 재생의 신청이 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정한 목적으로 부분데이터를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16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청구항17에 따른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및 청구항18에 따른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의한 경우, 부분데이터와는 별도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가 소정 기간 이상 유저의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내에 기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정한 목적으로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의 복사를 방지하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19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에 의한 경우, 청구항2 또는 청구항7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1」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의 구성도를 포함한 도면이고, 도 2는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100)은, 유저에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포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렌탈의 대상인 것은 콘텐츠 파일이며, 유통용 기록매체(α) 자체는 아니다.
동 시스템은,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본체(b)의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a)의 일부를 결락시킨 유통용 기록매체(α)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헤더정보(a)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할 수 있는 관리센터(110)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센터(110)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통신가능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구비한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여기서는 컴퓨터이고, 동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관리센터(110)에 미리 준비되어 있다.
또한, 통신회선(β)에 대해서는 인터넷 회선이나 전화회선 등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관리센터(110)나 은행·카드회사(130)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와의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유통용 기록매체(α)는 CD, DVD 등의 일반적인 기록매체이다.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은, 음악, 동영상, 정지화상,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파일인 유저 영역의 데이터 본체(b)와, 데이터 본체(b)에 부수된 콘텐츠 정보인 비유저 영역의 헤더정보(a')(도시생략)를 갖는 데이터 구조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가 후술하는 콘텐츠 ID도 포함시켜 암호화된 형태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기록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에게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포된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그 기능상,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 및 복사하기 위해서는, 헤더정보(a')의 내용 전체가 소정의 레지스트리에 세팅되어 있지 않는 한, 유통용 기록매체(α)로부터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유통용 기억매체에 복사를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의 이 성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로부터 이것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부분데이터)를 결락시켜[결락 후의 헤더정보(a')를 헤더정보(a)로서 나타내고 있다],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에 데이터 본체(b)와 함께 헤더정보(a)를 포함시키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본체(b)의 부정 재생이나 부정 복사를 방지하고 있다.
부분데이터는 암호화된 형태로 관리센터(110)의 부분데이터 DB(111)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관리센터(110)에 있어서, 많은 종류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 전체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부분데이터 DB(111) 상의 부분데이터에 콘텐츠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콘텐츠 ID를 부가하고 있다.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에 있어서도, 헤더정보(a)의 부분데이터가 들어가는 빈 영역에 동일한 콘텐츠 ID를 암호화한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과 부분데이터 DB(111) 상의 부분데이터의 대응관계를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관리센터(110)는, 부분데이터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전송하기 전에, 콘텐츠 ID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포함시켜서 확인하는 것이므로, 콘텐츠 ID는 부정 사용방지에도 도움이 되게 된다. 단, 관리센터(110)에 있어서, 관리해야 할 콘텐츠 파일이 1종류이면, 부정 사용방지의 문제는 별도로 하여, 콘텐츠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유저가 사용하는 범용의 컴퓨터이다. 도면 중 121은 CPU 등의 제어부, 122는 모니터나 스피커 등의 출력부, 123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부, 124는 유통용 기록매체(α) 등에 대하여 데이터의 리드/라이트를 행하는 재생 복사부, 125는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부, 126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메모리부(125)에는 기본 프로그램 이외에 도 2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는 관리센터(110)로부터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무료 소프트이며,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다. 또한, 메모리부(125)에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할당된 플레이어 키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관리센터(110)로부터 전송된 부분데이터 및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가 기록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동 소프트웨어가 제어부(121)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110)에 전송하고, 그 후, 관리센터(110)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 재생조작시에만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리센터(110)는 데이터 본체(b)에 포함된 저작물의 저작권자 등과의 사이의 계약하에,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데이터 본체(b)를 유저에 렌탈함과 아울러 그 렌탈 사용료를 유저로부터 회수한다라는 사업을 행하는 자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도면 중 111은 부분데이터나 콘텐츠 파일의 복호화에 필요한 콘텐츠 키가 암호화된 형태로 미리 기록된 부분데이터 DB이고, 112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이며, 113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고, 114는 유저에 대한 인증 및 과금 등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과금 DB이며, 115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미리 기록된 소프트웨어 DB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서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 및 관리센터(1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도 2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미리 입수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세트하고, 조작부(123)를 조작하여 통신회선(β)을 통해 관리센터(110)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유저 등록을 행한다. 그러면, 관리센터(110)는, 이것에 따라서 유저 등록을 행하는 한편, 유저의 ID나 패스워드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그 후,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관리센터(110)에 액세스하고,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입력한다. 이 때, 유저의 ID나 패스워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유저의 컴퓨터는, 그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110)에 전송한다. 관리센터(110)는, 이 요구를 받아서 소프트웨어 DB(225) 상의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판독하여,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그러면, 도 2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동 컴퓨터의 메모리부(125)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된다.
우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1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직후에는 1회이므로,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는 한편, 관리센터(110)에 액세스하여, 재생 신청 처리를 행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110)에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센터(110)는 재생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전송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122)에 표시 출력한다(s2).
유저가 재생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 렌탈 금액 및 지불 조건(자기의 은행구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을 조작부(123)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최후에 유저의 ID나 패스워드를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재생 신청으로서 조작부(123)를 통해서 입력하면(s3),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출력부(1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110)에 전송한다. 이 때, 유통용 기록매체(α)의 헤더정보(a)에 포함된 콘텐츠 ID 및 메모리부(125) 상의 플레이어 키를 판독하여, 신청과 함께 관리센터(110)에 전송한다(s4).
그러면, 관리센터(1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다. 즉, 전송된 유저의 플레이어 키 등을 참조해서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미리 준비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함과 아울러, 전송된 유저의 은행구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을 참조해서 은행·카드회사(130)에 액세스하고, 은행·카드회사(130)에 대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렌탈 사용료에 상당하는 금액을 자동 납부하고, 관리센터(110)의 사업자에게 지불하는 것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요청한다.
관리센터(1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은행·카드회사(130)로부터 지불 불가의 회답이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어 온 경우, 어느 것에 대해서도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전송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하고, 또한 은행·카드회사(130)로부터 지불 완료의 대답이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어 온 경우, 유저의 플레이어 키 등의 정보와 함께 과금 회수의 정보를 과금 DB(114)에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DB(111)를 검색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나 콘텐츠 키를 판독하고, 이것을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전송한다.
또한, 유저의 렌탈 사용료의 관리센터(110)의 지불에 관해서는,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통해서 은행·카드회사(130)에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요청하거나, 통신회선(β)을 사용하는 않고 그 사업자에게 입금하는 형태를 갖더라도 상관없다. 이들의 경우, 관리센터(110)는, 유저의 과금을 확인함에 있어서, 은행·카드회사(130)에 대해서 지불 가능인지의 여부가 아니라, 유저의 지불이 완료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그 후, 관리센터(1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s5),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하여, 이 사항을 출력부(122)에 표시 출력하고(s6), 동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한편, 관리센터(1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부분데이터나 콘텐츠 키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a5),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하여(s6), 부분데이터 및 콘텐츠 키를 메모리부(125)에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시계기능을 이용하여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를 메모리부(125)에 기록한다. 그리고 재생조작시에만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헤더정보(a) 및 메모리부(125) 상의 부분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도록 설정한다(s7). 이와 같은 설정이 종료하면, 동 프로그램의 처리가 종료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는, 유저에 의해 재생조작을 하면, 메모리부(125) 상의 콘텐츠 키를 판독하여 복호화하고,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를 판독하고,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한편, 메모리부(125) 상의 부분데이터를 판독하고, 콘텐츠 키를 이용해서 복호화한다. 이들 콘텐츠 정보가 소정의 레지스트리에 등록되면,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콘텐츠 키를 이용해서 복호화되어 재생된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그 조작대로 재생된다. 한편,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다른 유통용 기록매체를 세트해서 복사 조작을 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이 그대로 다른 유통용 기록매체에 복사된다. 이것에는 부분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유통용 기록매체(α)가 작성되는 것뿐이다.
그 후,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조작하여,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1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직후가 아니라, 상기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 것 때문에, 메모리부(125) 상의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를 판독하고, 현재가 렌탈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와 현재의 일시의 차를 부분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으로서 구하고, 이것이 렌탈정보에 포함되는 렌탈기간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외인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렌탈기간에 아직 도달하지 않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내인 것으로 판정한다(s8).
이 판정의 결과, 렌탈기간 외일 때는, 출력부(122)에 그 취지를 표시 출력함과 아울러 메모리부(125) 상의 부분데이터 및 콘텐츠 키를 삭제하고(s9), 동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한편, 렌탈기간 내일 때는, 그대로 동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이 경우,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직후의 경우와 완전히 마찬가지이므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그 조작대로 재생된다.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에 다른 유통용 기록매체를 세트해서 복사 조작한 경우에도, 새로운 유통용 기록매체(α)가 작성되는 것뿐이다.
이와 같이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사용해서 재생조작해도, 관리센터(110)에 대한 인증과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끝나지 않는 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할 수 없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 대신에 일반적인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1차적뿐만 아니라 2차적, 3차적으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통용 기록매체(α)의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사용해서 재생하고자 하면, 그 시점에서 메모리부(125) 상의 부분데이터 등이 자동적으로 삭제될 뿐이므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은 그대로이다. 렌탈기간 내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새로운 기록매체인 유통용 기록매체(α)를 복사에 의해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120)를 사용하여, 관리센터(110)에 대한 인증 및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필요하게 되므로, 여기에 2차적, 3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140)에 대해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140)는, 관리센터(110)의 사업자 또는 이것에 관계되는 사람이 사용하는 장치이며, 헤더정보(a')와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부분데이터를 분리해서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를 분리한 콘텐츠 파일을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다.
도 1 중 141은, 콘텐츠 홀더로부터 입수한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 DVD 등의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입력부이고, 142는 도 3에 나타내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CPU 등의 제어부이며, 143은 CD, DVD 등의 기록매체가 세트가 가능하며 동 기록매체에 콘텐츠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부이고, 144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분리된 부분데이터를 기록하는 부분데이터용 메모리이다.
이하, 도 3에 나타내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서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1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140)에 DVD 등의 기록매체를 기록부(143)에 세트한다. 또한 입력부(141)에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 DVD 등을 세트한다.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우선, 입력부(141)에 의해 세트된 DVD 등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판독하고(s1),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헤더부(a')로부터 부분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부분데이터를 암호화해서 부분데이터용 메모리(144)에 기록한다(s2). 그 후, 부분데이터를 분리한 후의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고(s3), 기록부(143)에 세트된 DVD 등의 기록매체에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한다(s4). 이것으로 동 소프트웨어가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유통용 기록매체(a)가 작성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렌탈이 아니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유저에게 양도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렌탈기간 내외에 따른 일련의 처리를 삭제하는 것만의 내용으로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관해서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관리센터(110)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은 아니고, CD 등을 기록매체를 통해서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컴퓨터가 아니라 전용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하고,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110)에 전송하고, 그 후, 관리센터(110)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 재생조작시에만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한다라는 기능을 갖는 한, 어떤 구성의 것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의 구성도를 포함한 도면이고, 도 5는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200)은, 유저에게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포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렌탈의 대상은 콘텐츠 파일이며, 유통용 기록매체(α) 자체는 아니다.
동 시스템은,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의 일부[즉,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한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된 유통용 기록매체(α)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관리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결락시킨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할 수 있는 관리센터(210)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센터(210)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를 구비한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여기서는 컴퓨터이고, 동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관리센터(210)에 미리 준비되어 있다.
통신회선(β)에 대해서는 광통신회선 등의 디지털 회선이나 전화회선 등의 아날로그 회선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관리센터(210)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유통용 기록매체(α)는 CD, DVD 등의 일반적인 기록매체이다.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은, 음악, 동영상, 정지화상, 텍스트, 게임 또는 소프트웨어 등의 데이터인 데이터 본체(b)와, 데이터 본체(b)에 할당된 콘텐츠 ID나 부분데이터(d)가 저장된 관리센터(210)의 WEB 어드레스의 정보 등의 콘텐츠 정보(a2)를 갖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헤더정보(a)[재생정보(a1), 콘텐츠 정보(a2)]와 데이터 본체(d)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후, 암호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생정보(a1)는 데이터 본체(b)가 입력해야 할 섹터의 어드레스 값이나 상기 데이터 본체(b)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유저가 사용하는 범용의 컴퓨터이다. 도면 중 221은 CPU 등의 제어부이고, 222는 모니터나 스피커 등의 출력부이며, 223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부이고, 224는 유통용 기록매체(α) 등에 대해서 데이터의 리드/라이트를 행하는 재생 복사부이며, 225는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부이고, 226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메모리부(225)에는 기본 프로그램 이외에, 도 5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는 유저 등록을 조건으로 하여 관리센터(210)로부터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유상 또는 무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다. 또한, 메모리부(225)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할당된 플레이어 ID가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관리센터(210)로부터 송신되어,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부(225)에는 관리센터(210)로부터 송신된 부분데이터(d), 복호키 등이 기록되는 것 외에,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나 렌탈기간 등을 나타내는 렌탈 정보가 기록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동 소프트웨어가 제어부(221)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송신하고, 그 후, 관리센터(210)로부터 부분데이터(d)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 및 상기 부분데이터(d)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기능과, 관리센터(210)로부터 부분데이터(d)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리센터(210)는 데이터 본체(b)에 포함된 저작물의 저작권자 등과의 사이의 계약하에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데이터 본체(b)를 유저에 렌탈시킴과 아울러 그 렌탈 사용료를 유저로부터 회수한다라는 사업을 행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서버이다. 도면 중 211은 암호화된 부분데이터(d)나 상기 부분데이터(d), 콘텐츠 파일의 복호화에 필요한 복호키가 미리 기록된 부분데이터 DB이고, 212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이며, 213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고, 214는 유저 정보가 기록되는 것 외에, 이것에 기초하는 인증이나 과금 등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유저정보 DB이고, 215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미리 기록된 소프트웨어 DB이다.
부분데이터 DB(211) 상의 부분데이터(d)에는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콘텐츠 ID가 부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과 부분데이터 DB(211) 상의 부분데이터(d)의 대응관계를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유저정보 DB 상의 유저 정보에는 대응하는 유저의 유저 ID 및 플레이어 ID가 부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저 ID 또는 플레이어 ID를 이용하여 유저정보 DB에 있어서의 각 유저의 유저 정보와의 대응관계를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관리센터(210)는, 부분데이터(d)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송신하기 전에, 유저 ID 및 패스워드의 확인(즉, 인증)을 행하는 것 외에, 콘텐츠 ID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포함시켜 확인하므로, 콘텐츠 ID는 부정 사용방지에도 도움이 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서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 및 관리센터(2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도 5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조작부(223)를 조작해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액세스하고, 유저 등록을 행한다(구체적으로는, 성명, 주소 및 지불 조건 「자기의 은행구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을 등록한다). 그러면, 관리센터(210)는, 이것에 따라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작성하고, 이들 유저 정보를 유저정보 DB(214)에 등록하는 한편, 상기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송신한다. 또한, 유저 ID나 패스워드는 유저등록시에 유저 자신에게 입력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 후,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관리센터(210)에 액세스하고,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입력한다. 이 때, 유저 ID나 패스워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유저의 컴퓨터는, 그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송신한다. 관리센터(210)는, 이 요구를 받아서 소프트웨어 DB(215) 상의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판독하고,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송신한다. 그러면, 도 5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동 컴퓨터의 메모리부(225)에 다운로드되어, 인스톨된다. 이것에 의해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로 되는 것이다.
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유저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α)가 세트되는 한편,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화면 상에 렌탈 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가 표시된다(s1). 즉, 재생의 신청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을 플레이 리스트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조작부(223)를 통해 재생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재생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조작부(223)를 통해서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입력의 조작(디스크 로드의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 디스크 로드의 조작이 되면, 재생의 신청이 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콘텐츠 리스트를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s4). 즉,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리스트에 표시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콘텐츠 리스트 상의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되면, 관리센터(210)에 액세스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상기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콘텐츠 정보(a2)를 입력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a2)에 포함되는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콘텐츠 ID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생 신청 처리를 행한다라는 취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관리센터(210)는 재생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s5).
그 후, 유저가 재생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을 조작부(223)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입력 또는 선택(이것에 의해 렌탈 금액이 결정된다)하고, 최후에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재생 신청으로서 조작부(223)를 통해서 입력하면(s6),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출력부(2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송신한다. 이 때,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정보(a2)의 콘텐츠 ID 및 메모리부(225) 상의 플레이어 ID를 판독하고, 신청 데이터와 함께 관리센터(210)에 송신한다(s7).
그러면, 관리센터(2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다. 즉, 송신된 유저의 유저 ID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유저정보 DB(214)로부터 상기 유저의 유저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유저가 진정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관리센터(210)는, 유저정보 DB(214)에 렌탈 요금의 미지불 등이 소정 이상 있는 부적당자 리스트가 미리 준비되고 있고, 상기 인증과 함께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이 부적당자 리스트의 확인은 임의이다).
관리센터(2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정한 유저이거나 또는 진정의 유저이지만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송신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진정한 유저이며 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한 경우, 유저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상기 유저의 유저정보 DB(214) 상의 유저 정보에 과금을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DB(211)를 검색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를 판독하고, 이것을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에 대해서는, 소정 기간마다 유저정보 DB(214)에 기초하여, 은행·카드회사(230)에 청구하던가 또는, 유저에 직접 청구하고, 유저에 불입이나 편의점 등에서 지불을 시키도록 한다. 아직, 관리센터(210)가 은행·카드회사(230)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즉시 결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그 후, 관리센터(2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s8), 에러 메시지를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s9).
한편, 관리센터(2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a8),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는 한편,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메모리부(225)에 기록한다(s10).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시계기능을 이용하여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를 메모리부(225)에 기록한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를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s1).
그 후,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조작부(223)를 통해서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해서 콘텐츠 파일의 재생조작이 되면(s2), 메모리부(225)로부터 복호키를 판독하여 부분데이터(d)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데이터(d)에 기초하여 메모리부(225)로부터 데이터 본체(d)를 판독하는 한편, 메모리부(225)로부터 다른 복호키를 판독하여 데이터 본체(d)를 복호하면서 재생한다(s11).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종료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종료한다.
또한, 재생용 소프트웨어에는, 상술한 기본 기능 외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의 전원이 ON으로 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상주하고,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을 갖고 있다. 이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에 있어서는, 메모리부(225) 상의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와 현재의 일시의 차를 부분데이터(d)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으로서 구하고, 이것이 렌탈 정보에 포함되는 렌탈기간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외인 것으로 하여 메모리부(225) 상의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삭제하는 한편,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를 사용해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재생 조작하더라도, 진정한 재생의 신청자로서 관리센터(210)로부터 부분데이터(d)를 얻지 않는 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일시적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탈기간이 지나버린 것에 대해서는, 부분데이터(d)가 삭제되므로, 이차적인 부정 사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해 유통용 기록매체(α)가 다른 유통용 기록매체에 복사되었더라도, 다른 유통용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에는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가 결락되어 있으므로, 진정한 재생의 신청자로서 부분데이터(d)를 얻지 않는 한,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3차적인 부정 사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통용 기록매체(α)의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는 메모리부(225) 상의 부분데이터 등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뿐이므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은 그대로이다. 렌탈기간 내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새로운 기록매체인 유통용 기록매체(α)를 복사에 의해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를 사용하여, 관리센터(210)에 대한 인증 및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필요하게 되므로, 여기서 2차적, 3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통용 기록매체(α)와는 별도로, 재생의 신청에 있어서 콘텐츠 파일 데이터 본체(d)에 관계되는 과금의 회수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무료로 배포하고, 그 후 재생의 신청을 한 사람에 대해서 과금을 행하거나,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이것에 따른 대금만으로 판매하고, 그 후 재생의 신청을 한 사람에 대해서 과금을 행하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의 내용이 의학서 등의 전문서인 경우, 의학서 등의 전문서의 내용을 각 항목으로 분할하고, 각각 항목을 콘텐츠 파일로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기록하고, 각 항목마다 재생의 신청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고가인 전문서이여도 각 가정에 상비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항목마다 재생의 신청(렌탈)을 해서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 시스템을 사용하면, 각종 신규의 비즈니스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복수의 콘텐츠 파일이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저에 있어서는 시청하고 싶은 콘텐츠 파일만을 렌탈할 수 있다. 한편,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는 사람에 있어서는 각 유저의 기호나 유행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의 콘텐츠 파일이 기록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작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작성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240)에 대해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동 시스템에 이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240)는, 관리센터(210)의 사업자 또는 이것에 관계되는 사람이 사용하는 장치로서, 헤더정보(a)와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상기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부분데이터(d)로서 분리하여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d)를 분리한 콘텐츠 파일을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4 중 241은, 마스터 디스크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판독하는 입력부이고, 242는 도 6에 나타내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CPU 등의 제어부이고, 243은 CD, DVD 등의 기록매체가 세트가 가능하며 동 기록매체에 콘텐츠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부이고, 244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분리된 부분데이터(d)를 기록하는 부분데이터용 메모리이다.
이하, 도 6에 나타내는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서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2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240)는 전원이 ON으로 되면, 기록매체작성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입력부(241)에는 마스터 디스크가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세트된다. 또한, 기록부(243)에는 DVD 등의 기록매체가 자동적으로 순차 세트되게 되어 있다.
우선, 입력부(241)에 의해 세트된 마스터 디스크로부터 콘텐츠 파일을 판독하고(s1), 콘텐츠 파일에 포함되는 헤더정보(a)로부터 상기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부분데이터(d)로서 분리하고, 분리된 부분데이터(d)를 암호화해서 부분데이터용 메모리(244)에 기록한다(s2). 그 후,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 암호화를 행하고(s3), 상기 콘텐츠 파일을 기록부(243)에 세트된 DVD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s4). 이것으로 동 소프트웨어가 종료하게 된다. 또한, 부분데이터용 메모리(244)에 기록된 부분데이터(d)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관리센터(210)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유통용 기록매체(a)가 작성된다.
이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200)에 대해서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을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한 어떤 설계 변형을 행하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유통용 기록매체(α)에 대해서는,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밖의 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기록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그 밖의 정보로서는, 유저의 컴퓨터에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관리센터(210)의 HP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록시켜 두면,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미리 입수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세트하면, 관리센터(210)의 WEB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관리센터(210)에 액세스한다. 그 후, 상술한 순서로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입수하면,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유저 등록, 유저 인증을 행하는 타이밍이나 그 내용 등을 변경하는 것은 임의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렌탈이 아니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유저에게 양도된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이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장점을 가진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렌탈기간 내외에 따른 일련의 처리를 삭제하는 것만의 내용으로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관해서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관리센터(210)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은 아니고, CD 등을 기록매체를 통해서 인스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컴퓨터가 아니라 전용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하고,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관리센터(210)에 송신하고, 그 후, 관리센터(210)로부터 부분데이터(d)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d)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한다라는 기능을 갖는 한, 어떤 구성의 것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실시예3」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300)은, 유저에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신된 콘텐츠 파일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동 시스템은, 헤더정보(a)와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으로서의 배신 관리센터(310)와, 배신 관리센터(310)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여기서는 컴퓨터이고, 동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배신 관리센터(310)에 미리 준비되어 있다.
또한, 통신회선(β)에 대해서는 인터넷 회선이나 전화회선 등이며, 배신 관리센터(310)나 은행·카드회사(330)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와의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 파일은, 음악, 동영상, 정지화상,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파일인 유저 영역의 데이터 본체(b)와, 데이터 본체(b)에 부수된 콘텐츠 정보인 비유저 영역의 헤더정보(a')(도시생략)를 갖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파일이 암호화된 형태로 배신 관리센터(310)의 디지털 콘텐츠 DB(311)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에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그 기능상,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 및 복사하기 위해서는, 헤더정보(a')의 내용 모두가 소정의 레지스트리에 세팅되지 않는 한, 유통용 기록매체(α)로부터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유통용 기억매체에 복사를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의 상기 기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로부터 이것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부분데이터)를 결락시켜[결락후의 헤더정보(a')를 헤더정보(a)로서 나타내고 있다],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에 데이터 본체(b)와 함께 헤더정보(a)를 포함시키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 본체(b)의 부정 재생이나 부정 복사를 방지하고 있다.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암호화된 형태로 배신 관리센터(310)의 디지털 콘텐츠 DB(311)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부분데이터 및 콘텐츠 키 등에 대해서도 암호화된 형태로 디지털 콘텐츠 DB(311)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유저가 사용하는 범용의 컴퓨터이다. 도면 중 321은 CPU 등의 제어부이고, 322는 모니터나 스피커 등의 출력부이고, 323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부이고, 324는 유통용 기록매체(α) 등에 대하여 데이터의 리드/라이트를 행하는 재생 복사부이고, 324는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부이고, 326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메모리부(324)에는 기본 프로그램 이외에 도 8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는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무료 소프트로서,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다. 또한,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전송된 부분데이터, 콘텐츠 키 등이 기록되는 것 외에,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가 기록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동 소프트웨어가 제어부(321)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유저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전송하고,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전송된 후,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전송하고, 그 후,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 재생조작시에만 전송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신 관리센터(310)는 배신해야 할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에 포함된 저작물의 저작권자 등과의 사이의 계약하에서, 콘텐츠 파일을 유저에 렌탈함과 아울러 그 사용료를 유저로부터 회수한다라는 사업을 행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서버이다. 도면 중 311은 배신해야 할 콘텐츠 파일이 암호화된 형태로 콘텐츠 ID와 함께 미리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 DB이고, 312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이고, 313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고, 314는 유저에 대한 인증 및 과금 등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과금 DB이고, 315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미리 기록된 소프트웨어 DB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서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도 8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조작부(323)를 조작해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액세스하고, 필요한 유저 등록을 행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310)는, 이것에 따라 유저 등록을 행하는 한편, 유저의 ID나 패스워드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그 후,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배신 관리센터(310)에 액세스하고,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인력 한다. 이 때, 유저의 ID나 패스워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유저의 컴퓨터는, 그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전송한다. 배신 관리센터(310)는, 이 요구를 받아서 소프트웨어 DB(315) 상의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판독하고,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동 컴퓨터의 메모리부(324)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된다.
우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1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직후는 1회이므로,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는 한편, 배신 관리센터(310)에 액세스하여, 재생 신청 처리를 행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전송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310)는 재생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전송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322)에 표시 출력한다(s2).
유저가 재생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 렌탈 금액 및 지불 조건(자기의 은행구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을 조작부(323)를 통해서 순차 입력하고, 최후에 유저의 ID나 패스워드를 유통용 기록매체(α)의 재생 신청으로서 조작부(323)를 통해서 입력하면(s3),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출력부(3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310)에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센터(1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다. 즉, 전송된 유저의 유저의 ID 등을 참조해서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미리 준비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함과 아울러, 전송된 유저의 은행구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을 참조해서 은행·카드회사(330)에 액세스하고, 은행·카드회사(330)에 대하여 콘텐츠 파일의 렌탈 사용료에 상당하는 금액을 지불하고, 배신 관리센터(310)의 사업자에게 지불하는 것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요청한다.
배신 관리센터(3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은행·카드회사(330)로부터 비불 불가의 회답이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어 온 경우, 어느 것에 대해서도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전송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하고, 또한 은행·카드회사(330)로부터 지불 완료의 대답이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어 온 경우, 유저의 유저 ID 등의 정보와 함께 과금 회수의 정보를 과금 DB(314)에 기록하는 한편, 디지털 콘텐츠 DB(311)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 DB(311) 상의 콘텐츠 파일을 판독하고, 그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분데이터를 결락시킨 채로, 그 부분데이터 및 플레이어 키와 함께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전송한다.
한편,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디지털 콘텐츠 등이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전송되면(a5),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하여(s6), 콘텐츠 파일 등을 메모리부(324)에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시계기능을 이용하여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를 메모리부(324)에 기록한다. 그리고 재생조작시에만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 및 부분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도록 설정한다(s7). 이와 같은 설정이 종료하면, 동 프로그램의 처리가 종료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는, 유저에 의해 재생조작이 되면, 메모리부(324) 상의 콘텐츠 키를 판독하여 복호화하고,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를 판독하고,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한편, 메모리부(324) 상의 부분데이터를 판독하고, 콘텐츠 키를 이용해서 복호화한다. 이들 헤더정보 및 부분데이터가 상기 레지스트리에 등록되면,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콘텐츠 키를 이용해서 복호화되어 재생된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그 조작대로 재생된다. 한편,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유통용 기록매체를 세트해서 복사 조작을 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의해 콘텐츠 파일이 그대로 그 유통용 기록매체에 복사하여, 유통용 기록매체(α)가 작성되는 것뿐이다.
그 후,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조작하여,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1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직후가 아니고, 상기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부(324) 상의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를 판독하고, 현재가 렌탈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부분데이터 전송 일시와 현재의 일시의 차를 부분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으로서 구하고, 이것이 렌탈 정보에 포함되는 렌탈기간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외인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렌탈기간에 아직 도달해 있지 않을 때는 렌탈기간 내인 것으로 판정한다(s8).
이 판정의 결과, 렌탈기간 외일 때는, 출력부(322)에 그 취지를 표시 출력함고 아울러 메모리부(324) 상의 부분데이터 및 콘텐츠 키를 삭제하고(s9), 동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한편, 렌탈기간 내일 때는, 그대로 동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이 경우,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직후의 경우와 완전히 마찬가지이므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가 그 조작대로 재생된다.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유통용 기록매체를 세트해서 복사 조작한 경우도, 새로운 유통용 기록매체(α)가 작성되는 것뿐이다.
이와 같이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사용하여 재생 조작하더라도, 배신 관리센터(210)에 대한 인증과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끝나지 않는 한,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할 수 없다.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의해 작성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다른 컴퓨터에서 재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1차적뿐만 아니라 2차적, 3차적으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사용해서 재생하고자 하면, 그 시점에서 메모리부(324) 상의 부분데이터 등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뿐이므로, 콘텐츠 파일은 그대로이다. 렌탈기간 내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사용해서 유통용 기록매체(α)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통용 기록매체(α)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를 사용하여, 배신 관리센터(310)에 대한 인증 및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필요하게 되므로, 여기에 2차적, 3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렌탈이 아니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배신된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이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배신된 콘텐츠 파일이 렌탈기간 외일 때의 처리를 삭제하는 것만의 내용으로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320)에 관해서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배신 관리센터(310)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은 아니고, CD 등을 기록매체를 통해서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컴퓨터가 아니라 전용장치의 형태로 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4」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400)은, 유저에 렌탈을 목적으로 하여 배신된 콘텐츠 파일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동 시스템은, 헤더정보(a)와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의 일부[즉,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2)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미리 준비됨과 아울러, 상기 콘텐츠 파일과는 별도로 결락시킨 재생정보(a2)가 부분데이터(d)로서 미리 준비된 서버이며 상기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b)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으로서의 배신 관리센터(410)와, 배신 관리센터(410)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재생 및 복사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여기서는 컴퓨터이고, 동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배신 관리센터(410)에 미리 준비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 파일은, 음악, 동영상, 정지화상, 텍스트, 게임 또는 소프트웨어 등의 데이터인 데이터 본체(b)와, 데이터 본체(b)에 할당된 콘텐츠 ID나 부분데이터(d)가 저장된 관리센터(110)의 WEB 어드레스의 정보 등의 콘텐츠 정보(a2)를 갖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헤더정보(a)[재생정보(a1), 콘텐츠 정보(a2)]와 데이터 본체(d)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후, 암호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재생정보(a1)는 데이터 본체(b)가 입력해야 할 섹터의 어드레스 값이나 상기 데이터 본체(b)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유저가 사용하는 범용의 컴퓨터이다. 도면 중 421은 CPU 등의 제어부이고, 422는 모니터나 스피커 등의 출력부이고, 423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부이고, 424는 유통용 기록매체(α) 등에 대하여 데이터의 리드/라이트를 행하는 재생 복사부이고, 424는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부이고, 426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메모리부(424)에는 기본 프로그램 이외에 도 10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다.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는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유저 등록을 조건으로 하여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유상 또는 무상의 소프트웨어이며,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이다. 또한, 메모리부(424)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할당된 플레이어 ID나 부분데이터(d)가 저장된 배신 관리센터(410)의 WEB 어드레스의 정보가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송신되어,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부(424)에는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송신된 부분데이터(d), 복호키 등이 기록되는 것 외에,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나 렌탈기간 등을 나타내는 렌탈 정보가 기록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제어부(421)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후,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하고, 그 후,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부분데이터(d)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 및 상기 부분데이터(d)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하는 기능과,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부분데이터(d)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신 관리센터(410)는 배신해야 할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에 포함된 저작물의 저작권자 등과의 사이의 계약하에서, 콘텐츠 파일을 유저에 렌탈시킴과 아울러 그 사용료를 유저로부터 회수한다라는 사업을 행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서버이다. 도면 중 411은 배신해야 할 콘텐츠 파일이 암호화된 형태로 콘텐츠 ID와 함께 미리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 DB이고, 412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이고, 413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고, 414는 유저 정보가 기록되는 것 외에, 이것에 기초하는 인증이나 과금 등의 정보가 순차 기록되는 유저정보 DB이고, 415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미리 기록된 소프트웨어 DB이고, 416은 부분데이터(d)나 상기 부분데이터(d) 및 콘텐츠 파일의 복호화에 필요한 복호키가 암호화된 형태로 콘텐츠 ID와 함께 미리 기록된 부분데이터 DB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4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울러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조작부(423)를 조작해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액세스하고,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유저 등록을 행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410)는, 이것에 따라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작성하고, 이들 유저 정보를 유저정보 DB(414)에 등록하는 한편, 상기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송신한다. 또한, 유저 ID나 패스워드는 유저등록시에 유저 자신에게 입력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 후,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배신 관리센터(410)에 액세스하고,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를 입력한다. 이 때, 유저의 ID나 패스워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유저의 컴퓨터는, 그 요구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한다. 배신 관리센터(410)는, 이 요구를 받아서 소프트웨어 DB(415) 상의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판독하고,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유저의 컴퓨터에 송신한다. 그러면,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동 컴퓨터의 메모리부(424)에 다운로드되어, 인스톨된다. 이것에 의해 동 컴퓨터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로 되는 것이다.
다음에, 콘텐츠 파일을 취득함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유저의 조작부(423)를 통한 조작에 따라 배신 관리센터(410)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410)는 콘텐츠 파일 리스트의 데이터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파일 리스트를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 또한, 배신 관리센터(410)에 액세스할 때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와 함께 기록된 WEB 어드레스에 기초해서 액세스해도 좋고, 유저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등록한 WEB 어드레스에 기초해서 액세스해도 좋다.
그 후, 유저가 조작부(423)를 통해서 콘텐츠 파일 리스트로부터 렌탈하는 콘텐츠 파일을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한 콘텐츠 파일의 신청의 데이터를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한다.
배신 관리센터(410)는, 이 신청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에 포함되는 콘텐츠 ID를 참조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을 디지털 콘텐츠 DB(411)로부터 검색해서 판독하고,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상기 콘텐츠 파일을 수신하면, 메모리부(424)의 레지스트리 또는 복사부(425)에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그 후, 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유저에 의해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콘텐츠 파일을 기록매체에 기록한 경우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한편 상기 기록매체가 세트된다.),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 그러면, 메모리부(424)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a2)를 입력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화면 상의 플레이 리스트에 표시된다(s1). 이 플레이 리스트에는 콘텐츠 파일의 파일명과 함께, 상기 콘텐츠 파일이 렌탈 중이라는 취지가 표시된다. 즉, 재생의 신청이 된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이 렌탈 중인 것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이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조작부(423)를 통해서 렌탈 중의 콘텐츠 파일이 재생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재생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조작부(423)를 통해서 플레이 리스트에 표시된 렌탈 중이 아닌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 조작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 그 결과, 재생의 신청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조작부(423)를 통해서 기록매체의 입력의 조작(로드의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 로드의 조작이 되면, 재생의 신청이 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콘텐츠 리스트를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s5). 즉,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리스트에 표시한다.
유저에 의해 플레이 리스트 상 또는 콘텐츠 리스트 상의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되면, 메모리부(424) 또는 기록매체 상의 상기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콘텐츠 정보(a2)를 입력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a2)에 포함되는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콘텐츠 ID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생 신청 처리를 행한다라는 취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410)는 재생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s6).
그 후, 유저가 재생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을 조작부(423)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입력 또는 선택(이것에 의해 렌탈 금액이 자동적으로 정해진다)하고, 최후에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콘텐츠 파일의 재생 신청으로서 조작부(423)를 통해서 입력하면(s7),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출력부(4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한다. 이 때, 메모리부(424) 또는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정보(a2)의 콘텐츠 ID와 상기 메모리부(424) 상의 플레이어 ID를 판독하고, 신청 데이터와 함께 배신 관리센터(410)에 송신한다(s8).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4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다. 즉, 송신된 유저의 유저 ID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유저정보 DB(414)로부터 상기 유저의 유저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유저가 진정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배신 관리센터(410)는, 유저정보 DB(414)에 렌탈 요금의 미지불 등이 소정 이상 있는 부적당자 리스트가 미리 준비되고 있고, 상기 인증과 함께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의 확인은 임의이다).
배신 관리센터(4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정한 유저이거나 또는 진정의 유저이지만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진정한 유저이며 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한 경우, 유저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상기 유저의 유저정보 DB(414) 상의 유저 정보에 과금을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DB(416)를 검색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를 판독하고, 이것을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에 대해서는, 소정 기간마다 유저정보 DB(414)에 기초하여, 은행·카드회사(430)에 청구하거나 또는, 유저에 직접 청구하여, 유저에 송금이나 편의점 등에서 지불을 시키도록 한다. 아직, 배신 관리센터(410)가 은행·카드회사(430)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즉시 결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그 후,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s9), 에러 메시지를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s10).
한편,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a9),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는 한편,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메모리부(424)에 기록한다(s11).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시계기능을 이용하여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를 메모리부(424)에 기록한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를 출력부(422)에 표시 출력한다(s1).
그 후,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조작부(423)를 통해서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콘텐츠 파일의 재생조작이 되면(s2), 메모리부(424)로부터 복호키를 판독하여 부분데이터(d)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데이터(d)에 기초하여 데이터 본체(d)를 판독함과 아울러, 메모리부(424)로부터 다른 복호키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본체(d)를 복호하면서 재생한다(s12). 또한,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종료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종료한다.
또한, 재생용 소프트웨어에는, 상술한 기본 기능 외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의 전원이 ON으로 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상주하고,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을 갖고 있다. 이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에 있어서는, 메모리부(424) 상의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와 현재의 일시의 차를 부분데이터(d)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으로서 구하고, 이것이 렌탈 정보에 포함되는 렌탈기간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외인 것으로 하여 메모리부(424) 상의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삭제하는 한편,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 부정재생방지 시스템(400)에 있어서는, 유저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재생 조작하더라도, 진정한 재생의 신청자로서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부분데이터(d)를 얻지 않는 한,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b)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콘텐츠 파일의 일시적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탈기간이 지난 것에 대해서는, 부분데이터(d)가 삭제되므로, 이차적인 부정 사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이 다른 기록매체 등에 복사되었더라도,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에는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가 결락되어 있으므로, 진정한 재생의 신청자로서 부분데이터(d)를 얻지 않는 한,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3차적인 부정 사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는 메모리부(424) 상의 부분데이터(d) 등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만이므로, 콘텐츠 파일은 그대로이다. 따라서, 렌탈기간 내외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다른 기록매체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를 사용하여, 배신 관리센터(410)에 대한 인증 및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필요하게 되므로, 여기에 2차적, 3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기록매체에 간단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렌탈 비디오점 등에서는 비디오 테이프나 CD, DVD 등의 기록매체를 진열하는 대신에 상기 컴퓨터를 설치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기록매체의 반환은 불필요하므로, 가게측 및 고객 쌍방에 장점이 있다. 또한, 고객에 관해서는, 어떤 콘텐츠 파일을 다운로드했는지 점원에게 알려질 일이 없으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는 빌리기 쉽게 된다. 이 경우, 렌탈 비디오점으로서의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고, 인터넷 카페의 서비스로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렌탈 비디오점이나 인터넷 카페에 콘텐츠 DB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부정재생방지 시스템(400)에 대해서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미리 준비됨과 아울러, 이 헤더정보의 일부가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된 서버이며 상기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한 어떠한 설계 변형을 행하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배신 관리센터(410)는, 디지털 콘텐츠 DB(411)가 1개인 것으로 하였지만, 복수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1의 DB에 영화의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2의 DB에 음악의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콘텐츠 파일군을 DB에 각각 저장하도록 해도 좋고, 각 DB에 저장하는 콘텐츠 파일군을 동일하게 하여 혼잡시에 1의 DB에 액세스가 집중하는 것을 막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인 것이 부분데이터 DB(416)에도 말할 수가 있다. 또한, 배신 관리센터(410)는 디지털 콘텐츠 DB(411), 부분데이터 DB(416)를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디지털 콘텐츠 DB(411), 부분데이터 DB(416)를 배신 관리센터(410)와는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신 관리센터(410)는 유저의 인증을 한 후에 디지털 콘텐츠 DB(411), 부분데이터 DB(416)의 WEB 어드레스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는 상기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 DB(411), 부분데이터 DB(416)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파일, 부분데이터(d)를 얻도록 하면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DB(411)에는,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밖의 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기록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그 밖의 정보로서는, 유저의 컴퓨터에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배신 관리센터(410)의 HP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록시켜 두면,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미리 입수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면, 배신 관리센터(410)의 WEB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배신 관리센터(410)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한다. 그 후, 상술한 순서로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입수하면, 메모리부(424)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유저 등록, 유저 인증을 행하는 타이밍이나 그 내용 등을 변경하는 것은 임의이다. 또한, 콘텐츠 파일을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의 메모리부(424)에 기록한 경우에는, 렌탈기간이 지나면, 부분데이터(d)와 함께,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부분데이터(d)와는 별도로, 콘텐츠 파일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상기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렌탈이 아니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배신된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이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배신된 콘텐츠 파일이 렌탈기간 외일 때의 처리를 삭제하는 것만의 내용으로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420)에 관해서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배신 관리센터(410)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은 아니고, CD 등을 기록매체를 통해서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컴퓨터가 아니라 전용장치의 형태로 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5」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500)은 부정사용방지 시스템(400)과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부정사용방지 시스템(400)과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의 제어부(512)에 의해 처리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이 다르다. 이하, 도 12에 나타내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는, 실시예4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메모리부(524)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콘텐츠 파일을 취득함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유저의 조작부(523)를 통한 조작에 따라 배신 관리센터(510)에 액세스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510)는 렌탈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2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탈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222)에 표시 출력한다.
그 후, 유저가 렌탈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을 조작부(523)를 통해서 순차 입력 또는 선택(이것에 의해 렌탈 금액이 자동적으로 정해진다)하고, 최후에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콘텐츠 파일의 렌탈 신청으로서 조작부(523)를 통해서 입력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출력부(5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510)에 송신한다. 이 때, 메모리부(524) 상의 플레이어 ID를 판독하고, 신청 데이터와 함께 배신 관리센터(210)에 송신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5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다. 즉, 송신된 유저의 유저 ID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유저정보 DB(514)로부터 상기 유저의 유저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유저가 진정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배신 관리센터(510)는, 유저정보 DB(514)에 렌탈 요금의 미지불 등이 소정 이상 있는 부적당자 리스트가 미리 준비되고 있고, 상기 인증과 함께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의 확인은 임의이다).
배신 관리센터(5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정한 유저이거나 또는 진정의 유저이지만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진정한 유저이며 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한 경우, 유저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상기 유저의 유저정보 DB(514) 상의 유저 정보에 과금을 기록하는 한편, 콘텐츠 파일 리스트의 데이터를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에 대해서는, 소정 기간마다 유저정보 DB(514)에 기초하여, 은행·카드회사(530)에 청구하던가 또는, 유저에 직접 청구하고, 유저에 지불이나 편의점 등에서 지불을 시키도록 한다. 아직, 배신 관리센터(510)가 은행·카드회사(530)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시 결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파일 리스트를 출력부(522)에 표시 출력한다. 또한, 배신 관리센터(510)에 액세스할 때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와 함께 기록된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액세스해도 좋고, 유저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등록한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액세스해도 좋다.
그 후, 유저가 조작부(523)를 통해서 콘텐츠 파일 리스트로부터 렌탈하는 콘텐츠 파일을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한 콘텐츠 파일의 신청의 데이터를 배신 관리센터(510)에 송신한다.
배신 관리센터(510)는, 이 신청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에 포함되는 콘텐츠 ID를 참조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을 디지털 콘텐츠 DB(511)로부터 검색해서 판독하는 한편,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부분데이터 DB(516)로부터 검색해서 판독하고, 그리고 콘텐츠 파일,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순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상기 콘텐츠 파일을 수신하면, 메모리부(524)의 레지스트리 또는 복사부(525)에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한편, 상기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수신하면, 미리 결정된 메모리부(524)의 콘텐츠 파일이 기록되는 레지스트리와는 다른 부분데이터용 레지스트리에 기록한다. 그리고,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콘텐츠 파일을 기록매체에 기록한 경우에는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한편 상기 기록매체가 세트된다.),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출력부(522)에 표시 출력한다. 그러면, 메모리부(524)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a2)를 입력하고, 상기 콘텐츠 파일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화면 상의 플레이 리스트에 표시된다(s1). 이 플레이 리스트에는 콘텐츠 파일의 파일명과 함께, 상기 콘텐츠 파일이 렌탈 중이라는 취지가 표시된다. 즉, 소정의 플래그가 세팅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이 렌탈 중인 것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이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조작부(523)를 통해서 렌탈 중의 콘텐츠 파일이 재생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재생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조작부(523)를 통해서 렌탈 중이 아닌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 즉, 렌탈기간이 종료한 콘텐츠 파일의 재렌탈의 신청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재생의 신청이 된 것으로 판정하면, 메모리부(524) 또는 기록매체 상의 상기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정보(a2)를 입력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a2)에 포함되는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콘텐츠 ID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재생 신청 처리를 행한다라는 취지를 배신 관리센터(510)에 송신한다.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510)는 재생 신청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 신청용 화면을 출력부(522)에 표시 출력한다(s4).
그 후, 유저가 재생 신청용 화면이 나타내는 바에 따라서 렌탈기간을 조작부(523)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입력 또는 선택(이것에 의해 렌탈 금액이 자동적으로 정해진다)하고, 최후에 유저 ID나 패스워드를 콘텐츠 파일의 재생 신청으로서 조작부(523)를 통해서 입력하면(s5),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메모리부(522)의 표시 출력을 인증 화면으로 전환하는 한편, 입력된 신청 데이터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배신 관리센터(510)에 송신한다. 이 때, 메모리부(524) 또는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정보(a2)의 콘텐츠 ID와 상기 메모리부(524) 상의 플레이어 ID를 판독하고, 신청 데이터와 함께 배신 관리센터(510)에 송신한다(s6).
그러면, 배신 관리센터(510)는,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다. 즉, 송신된 유저의 유저 ID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유저정보 DB(514)로부터 상기 유저의 유저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유저가 진정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배신 관리센터(510)는, 유저정보 DB(514)에 렌탈 요금의 미지불 등이 소정 이상 있는 부적당자 리스트가 미리 준비되고 있고, 상기 인증과 함께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이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의 확인은 임의이다).
배신 관리센터(510)는,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부정한 유저이거나 또는 진정의 유저이지만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를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한편, 신청에 관련되는 유저가 진정한 유저이고 또한 부적당자 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인 것을 확인한 경우, 유저의 플레이어 ID 등을 참조해서 상기 유저의 유저정보 DB(514) 상의 유저 정보에 과금을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DB(516)를 검색해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를 판독하고, 이것을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통신회선(β)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그 후, 배신 관리센터(5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거부한다라는 취지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s7), 에러 메시지를 출력부(522)에 표시 출력한다(s8).
한편, 배신 관리센터(510)로부터 유저의 신청을 승낙한다라는 취지의 회답으로서 부분데이터(d)나 복호키가 통신회선(β)을 통해서 송신되면(a7),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는 한편,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상술한 메모리부(524)의 부분데이터용 레지스트리에 기록한다(s9).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시계기능을 이용하여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를 메모리부(524)에 기록한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를 출력부(522)에 표시 출력한다(s1).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조작부(523)를 통해서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렌탈 중의 콘텐츠 파일의 재생조작이 되면(s2), 메모리부(524)로부터 복호키를 판독하여 부분데이터(d)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데이터(d)에 기초하여 데이터 본체(d)를 판독함과 아울러, 메모리부(524)로부터 다른 복호키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본체(d)를 복호하면서 재생한다(s10). 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종료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종료한다.
또한, 재생용 소프트웨어에는, 상술한 기본 기능 외에,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의 전원이 ON으로 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상주하고,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을 갖고 있다. 이 부분데이터 관리기능에 있어서는, 메모리부(524) 상의 부분데이터(d)의 관리를 행하는 한편, 부분데이터 송신 일시와 현재의 일시의 차를 부분데이터(d)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으로서 구하고, 이것이 렌탈 정보에 포함되는 렌탈기간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렌탈기간 외인 것으로 하여 메모리부(524) 상의 부분데이터(d) 및 복호키를 삭제하는 한편, 소정의 플래그를 세팅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정재생방지 시스템(500)에 있어서는, 콘텐츠 파일과 동시에 그 부분데이터(d)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실시예4와 비교해서 콘텐츠 파일의 진정한 일시적 사용이 용이해진다. 또한, 렌탈기간이 지나친 것에 대해서는, 부분데이터(d)가 삭제되므로, 2차적인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었더라도,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파일에는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가 결락되어 있으므로, 진정한 재생의 신청자로서 부분데이터(d)를 얻지 않는 한,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3차적인 부정 사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는 메모리부(224) 상의 부분데이터(d) 등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뿐으로, 콘텐츠 파일은 그대로이다. 따라서, 렌탈기간 외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를 사용해서 콘텐츠 파일을 다른 기록매체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를 사용하여, 배신 관리센터(510)에 대한 인증 및 렌탈 사용료의 지불이 필요하게 되므로, 여기에 2차적, 3차적 사용에 의한 과금의 회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부정재생방지 시스템(500)에 대해서는,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미리 준비됨과 아울러, 이 헤더정보의 일부가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된 서버이며 상기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인증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한 어떠한 설계 변형을 행하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배신 관리센터(510)는, 디지털 콘텐츠 DB(511)가 1개인 것으로 하였지만, 복수이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1의 DB에 영화의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2의 DB에 음악의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콘텐츠 파일군을 DB에 각각 저장하도록 해도 좋고, 각 DB에 저장하는 콘텐츠 파일군을 동일하게 하고 혼잡시에 1의 DB에 액세스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인 것이 부분데이터 DB(516)에도 말할 수가 있다. 또한, 배신 관리센터(510)는 디지털 콘텐츠 DB(511), 부분데이터 DB (516)를 갖는 것으로 했지만, 디지털 콘텐츠 DB(511), 부분데이터 DB(516)를 배신 관리센터(510)와는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신 관리센터(510)는 유저의 인증을 한 후에 디지털 콘텐츠 DB(511), 부분데이터 DB(516)의 WEB 어드레스를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는 상기 WEB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 DB(511), 부분데이터 DB(516)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파일, 부분데이터(d)를 얻도록 하면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DB(511)에는, 헤더정보(a) 및 데이터 본체(b)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a)에 포함되는 재생정보(a1)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밖의 정보를 부가한 상태에서 기록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그 외의 정로보서, 유저의 컴퓨터에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배신 관리센터(510)의 HP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록시켜 두면, 유저가 자기의 컴퓨터[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상당하는 컴퓨터이고,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미리 입수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면, 배신 관리센터(510)의 WEB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배신 관리센터(510)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한다. 그 후, 상술한 순서로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입수하면, 메모리부(524) 상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유저 등록, 유저 인증을 행하는 타이밍이나 그 내용 등을 변경하는 것은 임의이다. 또한, 콘텐츠 파일을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의 메모리부(524)에 기록한 경우에는, 렌탈기간이 지나면, 부분데이터(d)와 함께,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부분데이터(d)와는 별도로, 콘텐츠 파일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상기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렌탈이 아니라 유상 또는 무상으로 배신된 콘텐츠 파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이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배신된 콘텐츠 파일이 렌탈기간 외일 때의 처리를 삭제하는 정도의 내용으로 좋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520)에 관해서는,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배신 관리센터(510)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은 아니고, CD 등을 기록매체를 통해서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컴퓨터가 아니라 전용장치의 형태로 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부분데이터(d)를 어떤 타이밍에서 취득가능하게 할지의 여부는 시스템의 내용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변경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9)

  1.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2.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적어도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기록된 유통용 기록매체와,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과,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있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로부터 부분데이터를 분리해서 기록하는 한편, 부분데이터를 분리한 콘텐츠 파일을 세트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유통용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용 기록매체 작성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컴퓨터이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통용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
  6.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그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켜 통신회선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미리 준비된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전송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7.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이 헤더정보의 일부를 결락시킨 상태에서 미리 준비됨과 아울러, 이 헤더정보의 일부가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된 서버이며 상기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하는 한편, 상기 데이터 본체의 이용을 관리하는 배신 관리수단과, 배신 관리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가능하고 또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파일을 적어도 재생할 때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콘텐츠 파일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그 후,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후,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의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컴퓨터이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후,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그 후,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면, 재생조작시에 송신된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
  10.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는,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11.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12.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부분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부분데이터를 삭제하는 내용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
  13.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컴퓨터이고, 동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제5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재생용 소프트웨어가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 재생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의 요구가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입력되면,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요구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 또는 배신 관리수단이 상기 요구에 따른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재생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14.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 중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 및 부정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의 일부를 미리 결락시키는 한편, 동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동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에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을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 인증 및 과금을 조건으로 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동 장치에 입력되면, 동 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전송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 및 과금을 확인한 후에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동 장치에 전송하고, 동 장치가 재생조작시에만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
  15.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은 상기 유저의 인증 및/또는 과금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는, 부분데이터와는 별도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부분데이터와는 별도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부분데이터와는 별도로, 배신 관리수단으로부터 콘텐츠 파일이 송신된 시점으로부터 경과 기간을 구하고, 상기 경과 기간이 소정 기간에 도달했을 때는, 송신된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 시스템에 이용되는 재생용 소프트웨어.
  19. 디지털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본체를 갖는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의 부정 재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텐츠 파일로부터 헤더정보의 일부를 미리 결락시키는 한편, 동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파일의 이용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동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회선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관리수단에 상기 헤더정보의 일부를 부분데이터로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을 조건으로, 유저에 의해 콘텐츠 파일의 재생의 신청이 동 장치에 입력되면, 동 장치가 상기 신청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수단에 송신하고, 관리수단이 상기 신청에 따른 유저의 인증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신청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부분데이터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동 장치에 송신하고, 동 장치가 재생조작시에 콘텐츠 파일의 헤더정보 및 상기 부분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본체를 재생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재생방지방법.
KR1020057010102A 2003-05-16 2004-01-30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KR20050085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9688 2003-05-16
JPJP-P-2003-00139688 2003-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351A true KR20050085351A (ko) 2005-08-29

Family

ID=3344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102A KR20050085351A (ko) 2003-05-16 2004-01-30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4249B2 (ko)
EP (1) EP1626344A1 (ko)
JP (1) JP3895358B2 (ko)
KR (1) KR20050085351A (ko)
CN (1) CN1735871A (ko)
RU (1) RU2005129075A (ko)
WO (1) WO2004102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85B1 (ko) * 2006-02-17 2008-04-29 (주)이엑스쓰리디 무선 통신망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012B1 (fr) * 2004-05-28 2006-08-11 Sagem Procede de chargement de fichiers depuis un client vers un serveur cib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20060051061A1 (en) * 2004-09-09 2006-03-09 Anandpura Atul M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data to a multimedia device
US8434116B2 (en) 2004-12-01 2013-04-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levision tuners
JP2006331011A (ja) * 2005-05-25 2006-12-07 Japan Wave:Kk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コピー防止方法及びこのコピー防止方法に係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282476B2 (en) 2005-06-24 2012-10-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media-based video game distribution
US8365218B2 (en) 2005-06-24 2013-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ed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US8635659B2 (en) 2005-06-24 2014-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dio receiver modular card and method thereof
JP4590333B2 (ja) * 2005-09-27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39568A (ja) * 2008-07-31 2010-02-18 Toshiba Corp 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コンテンツ鍵管理方法
US20160036906A1 (en) * 2014-08-04 2016-02-04 Vixlet LLC Dynamic adjustment of client thickness
WO2017109859A1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954A (en) * 1987-12-04 1994-04-12 Magellan Corporation (Australia) Pty. Ltd.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696219B2 (ja) 1988-03-31 1998-01-14 東洋通信機株式会社 情報保護方法
JPH01296362A (ja) * 1988-05-24 1989-11-29 Nec Corp 記録媒体の機密保護方式
JPH0454529A (ja) 1990-06-22 1992-02-21 Fanuc Ltd 評価用ソフトウェアの使用期間制限方式
JPH04104325A (ja) 1990-08-23 1992-04-06 Nec Corp ソフトウェアのプロテクションシステム
JP2579064B2 (ja) 1990-11-29 1997-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ランブル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3606591B2 (ja) 1992-05-11 2005-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786721A (ja) 1993-09-16 1995-03-31 Toshiba Corp 配線基板
JPH07234785A (ja) 1994-02-24 1995-09-05 Canon Inc ソフトウエアの貸出し期限管理を行うコンピュータとソフトウエアの貸出し期限管理方法
US5689560A (en) 1994-04-25 1997-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ial period use of software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try-and-buy user interaction
US5757907A (en) * 1994-04-25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ial period use of software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achine-dependent identification
US5802274A (en) 1994-05-04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tridge manufacturing system for game programs
JP3531978B2 (ja) * 1994-08-10 2004-05-31 富士通株式会社 ソフトウエアの課金方式
US6963859B2 (en) * 1994-11-23 2005-11-08 Contentguard Holdings, Inc. Content rendering repository
US5892900A (en) * 1996-08-30 1999-04-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JP3627765B2 (ja) 1995-06-15 2005-03-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クランブルにより情報秘匿を行なう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装置
GB9520888D0 (en) 1995-10-12 1995-12-13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in-film circuitry
EP0791706B1 (en) * 1996-01-31 2004-07-14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ull-wave rectifiers
US5825879A (en) * 1996-09-30 1998-10-2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py-protecting distributed video content
US5923885A (en) * 1996-10-31 1999-07-13 Sun Microsystems, Inc. Acquisition and operation of remotely loaded software using applet modification of browser software
JP3766197B2 (ja) 1997-01-21 2006-04-12 株式会社東芝 ソフトウエア流通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H10240517A (ja) 1997-02-21 1998-09-11 Sony Corp ソフトウェアの複製防止方法及び装置
JP3688424B2 (ja) 1997-03-27 2005-08-3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0983559A1 (en) 1997-05-19 2000-03-08 Intervu, Inc.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delivery of audio and video data over a computer network
US20030040962A1 (en) * 1997-06-12 2003-02-27 Lewis William H. System and data management and on-demand rental and purchase of digital data products
JPH1125110A (ja) 1997-07-04 1999-01-29 Toshiba Corp データ管理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同方法がプログラムされ記録される記憶媒体
JPH11102468A (ja) 1997-09-26 1999-04-13 Ntt Data Corp 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カード読書装置及びカード不正防止方法
JPH11149707A (ja) 1997-11-19 1999-06-02 Adams:Kk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H11316729A (ja) 1997-12-08 1999-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課金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課金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203127A (ja) 1998-01-09 1999-07-30 Casio Comput Co Ltd プログラム管理システム及び端末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11345261A (ja) 1998-06-01 1999-12-14 Pfu Ltd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0049765A (ja) 1998-07-24 2000-02-18 Sony Corp 暗号鍵通信システム及び暗号鍵通信方法、記録媒体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JP2000069452A (ja) 1998-08-20 2000-03-03 Hitachi Ltd コンテンツ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2000098655A (ja) 1998-09-28 2000-04-07 Kyocera Corp 導体パターン形成用金属トナー、導体パターン形成用金属ト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導体パターン形成用金属トナーの使用方法
JP2000115766A (ja) 1998-09-29 2000-04-21 Ando Electric Co Ltd 動画再生分析装置
JP2000115162A (ja) 1998-10-08 2000-04-21 Kodo Ido Tsushin Security Gijutsu Kenkyusho:Kk セキュア通信装置及び記憶装置
JP2000188595A (ja) 1998-10-15 2000-07-04 Sony Corp 管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提供媒体、並びに情報利用システム
JP2000123084A (ja) 1998-10-15 2000-04-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提供媒体
JP2000124890A (ja) 1998-10-19 2000-04-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管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利用システム、提供媒体、並びに外部記憶媒体
JP4392559B2 (ja) 1998-11-04 2010-01-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
EP1039392A4 (en) 1998-10-15 2007-08-01 Sony Corp INFORMATION PROVIDER SYSTEM
US7017188B1 (en) * 1998-11-16 2006-03-21 Softric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ntent delivery over broadband access networks
US7162642B2 (en) * 1999-01-06 2007-01-09 Digital Video Express, L.P.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2000242699A (ja) 1999-02-19 2000-09-08 Sharp Corp 利用期限指定型コンテンツレンタル方法及び該コンテンツレンタル方法で用いる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利用装置
US6507908B1 (en) * 1999-03-04 2003-01-14 Sun Microsystems, Inc. Secure communication with mobile hosts
US6367019B1 (en) * 1999-03-26 2002-04-02 Liquid Audio, Inc. Copy security for portable music players
US6134130A (en) * 1999-07-19 2000-10-17 Motorola, Inc. Power reception circuits for a device receiving an AC power signal
KR20000018052A (ko) 2000-01-07 2000-04-06 김주현 워터마킹을 적용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
JP2001265122A (ja) 2000-03-17 2001-09-28 Murata Mfg Co Ltd 回路形成用電子写真法および装置
JP3943794B2 (ja) 2000-03-22 2007-07-11 ヴィジョネア株式会社 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338049A (ja) * 2000-05-30 2001-12-07 Akiyoshi Okamoto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方法
CN1212584C (zh) * 2000-05-30 2005-07-27 日本波技术集团有限公司 数字内容的租用系统、租用方法及租用数字内容的服务器
JP2002352153A (ja) * 2001-05-25 2002-12-06 Akiyoshi Okamoto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方法及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用サーバー
JP2002007914A (ja) 2000-06-16 2002-01-11 Nec Corp 電子コンテンツ開封方法及び電子コンテンツレンタル方法並びにレンタル実現の装置
JP4088909B2 (ja) 2000-06-30 2008-05-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コンテンツ課金方法及び課金センタ
US7035828B2 (en) * 2000-10-25 2006-04-25 Topmoxie, Inc.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nd transmitting data between a portable computer and a network
JP2002278859A (ja) * 2001-03-16 2002-09-27 Nec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ための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7328453B2 (en) * 2001-05-09 2008-02-05 Ecd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unauthorized use and manipulation of digital content
JP2002334172A (ja) 2001-05-11 2002-11-22 Nec Corp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布システム
US7222104B2 (en) * 2001-05-31 2007-05-22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usage rights and digital work having transferrable usage rights
JP2003132234A (ja) 2001-10-23 2003-05-09 Global Friendship Inc 試用可能な電子情報配送システム
US7243366B2 (en) * 2001-11-15 2007-07-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Key management protocol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secure internet protocol rights management architecture
US7218738B2 (en) * 2002-01-02 2007-05-15 Sony Corporation Encryption and content control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US7302059B2 (en) * 2002-01-02 2007-11-27 Sony Corporation Star pattern partial encryption
DE10209400A1 (de) 2002-03-04 2003-10-02 Infineon Technologies Ag Transponderschaltung mit einer Gleichrichterschal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ansponderschaltung mit einer Gleichrichterschaltung
US7167560B2 (en) * 2002-08-08 2007-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rtial encryption of stream-formatted media
JP2004095732A (ja) 2002-08-30 2004-03-25 Idemitsu Kosan Co Ltd 接合材料、接合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電子回路基板の製造方法
GB0321383D0 (en) 2003-09-12 2003-10-15 Plastic Logic Ltd Polymer circuits
DE102004059467A1 (de) 2004-12-10 2006-07-20 Polyic Gmbh & Co. Kg Gatter aus organischen Feldeffekttransistoren
US7228738B2 (en) * 2005-06-06 2007-06-12 Bei Technologies, Inc. Torsional rate sensor with momentum balance and mode de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85B1 (ko) * 2006-02-17 2008-04-29 (주)이엑스쓰리디 무선 통신망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5129075A (ru) 2006-06-10
JP3895358B2 (ja) 2007-03-22
US20060085859A1 (en) 2006-04-20
JPWO2004102395A1 (ja) 2006-07-13
US8584249B2 (en) 2013-11-12
CN1735871A (zh) 2006-02-15
EP1626344A1 (en) 2006-02-15
WO2004102395A1 (ja) 2004-11-25
WO2004102395A9 (ja)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038B2 (ja) 物理媒体上のマルチディアコンテンツを配信して再生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サービス
JP4583434B2 (ja) 保険システム
US7020636B2 (en) Storage-medium rental system
JP444229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US20050273399A1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JP2005523487A (ja) リチャージ可能なメディア配布/再生システム
JP2002100116A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GB2378290A (en) Legitimate sharing of electronic content
JP2004070606A (ja) コンテンツ管理方法および装置
US7801823B2 (en) Large capacity data sales serve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KR20050085351A (ko)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사용방지 시스템
TW559736B (en) Method of regeneration permission for content file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regeneration software of content file regeneration
JP2002140637A (ja) 電子データレンタル装置および電子データレンタル方法、ならびに電子データレンタ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77990B1 (ko) 데이터의 가공방법, 암호화 데이터의 부정사용 방지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리드장치
JP200123632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1236403A (ja) デジタル情報からなる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18630A (ja) ソフトウェア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519286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JP2005100447A (ja) 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コンテンツの記録に利用する商品、およびシステム
JP2002189957A (ja) ソフトレンタル方式
JP200526732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記録装置、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再生装置、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記録用ソフトウエア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再生用ソフトウエア
JP4029082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
JP2006004374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再生装置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
JP2004208082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レンタルシステム
WO2004031965A1 (ja) コンテンツ記録方法、その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コンテンツの記録に利用する商品、コンテンツを記録媒体に書き込む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