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725A -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725A
KR20050010725A KR1020040104739A KR20040104739A KR20050010725A KR 20050010725 A KR20050010725 A KR 20050010725A KR 1020040104739 A KR1020040104739 A KR 1020040104739A KR 20040104739 A KR20040104739 A KR 20040104739A KR 20050010725 A KR20050010725 A KR 2005001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camera
ink
shake
media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350B1 (ko
Inventor
도조아키히코
다카하시고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773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907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02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60387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ing medium, e.g. type, size or avail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41J19/205Position or speed detectors therefor
    • B41J19/207Encoding along a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상태에서의 프린터동작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조작성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모드시에는, 흔들림센서로서의 가속도센서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흔들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진제어를 행한다.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는, 상기가속도 센서를 겸용하고, 센서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흔들림의 양을 검출하고, 이 흔들림량에 따라서 프린트동작을 일시정지 또는 감속하도록 캐리지제어를 행한다. 이 캐리지 제어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검출된 흔들림량이 소정량보다 클때에는, 캐리지를 소정위치(주주사방향으로의 주사개시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프린터부에 송출한다. 이 지령을 받은 프린터부에서는, 캐리지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고, 캐리지를 소정위치에 일시정지 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CAMERA WITH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미디어팩, 이 미디어팩을 착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매체의 기록면에 대해서 화상을 양호한 화질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이 기록매체의 종류에 적합한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2547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미디어 팩(이 공보에 있어서는 미디어카트리지라고 호칭되어 있음)을 사용하면, 기록매체에 적합한 잉크를 확실하게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미디어카트리지는, 복수 매의 기록매체를 적재 수용하는 카세트부와, 이 기록매체의 기록에 대해서 적절한 잉크를 유지하는 잉크탱크부와, 기록헤드의 회복처리를 위해서 사용된 사용종료잉크를 회수유지하는 폐액탱크부를 가진다. 그리고, 이 미디어카트리지는 그에 수용되는 기록매체 및/또는 잉크가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 새로운 미디어카트리지로 교환된다. 또한, 다른 종류의 기록매체를 사용할 때에도 이 미디어카트리지는 소망의 기록매체 및 이 기록매체에 적합한 잉크를 수용한 다른 미디어카트리지로 교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미디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수용되는기록매체 및/또는 잉크가 모두 소비될 때마다 미디어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히 기록매체 및/또는 잉크를 보충하는 경우에 비해서 런닝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기록매체 및/또는 잉크의 사양이 각각 다른 복수의 미디어 카트리지를 교환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 각 미디어카트리지가 사용되지 않고 장기간 경과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구입시로부터 장기간 경과한 상태에 있는 미디어카트리지 내의 기록매체 및/또는 잉크는 그 특성에 변화해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열화되어 있는 일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그 미디어카트리지가 구입시로부터 장기간 경과한 것인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이 미디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미디어카트리지 내의 기록매체 및/또는 잉크가 열화되어 있으면, 소망의 화질을 가진 화질을 출력할 수 없어, 사용자는 신규의 미디어카트리지를 사용해서 다시 프린트를 행할 필요가 있는 등, 사용자에 있어서는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종래, CCD 등의 전자적인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한 화상정보를 메모리에 격납하고, 이것을 임의로 프린트출력하도록 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에 사용되는 프린터로서는, 일반적으로 용융형 열전사프린터, 승화형 열전사프린터 또는 잉크제트형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프린터 중에서도, 특히 잉크제트형 프린터는 런닝코스트, 소형화, 성전력 및 출력스피드의 점에서 뛰어나서, 휴대성을 필요로하는, 특히 일체형의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일체형의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있어서는, 수평한 지지면 상에 놓인 상태에서 촬상한 화상을 프린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동중에 있어서도 소정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촬영자가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손에 들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상하,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되어, 그 프린터는 카메라와 함께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린다. 이와 같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려진 상태에서 프린트를 행할 경우, 이 흔들림이 클 때에는 프린터에 있어서의 프린트동작이 저해되어, 소망의 프린트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그 결과, 쓸데없는 프린트 출력을 얻게 된다.
또한, 촬영자는 흔들림이 어느 정도의 크기이면 프린트동작이 저해되지 않는지를 알 수 없어, 사용의 용이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프린터에 사용되는 소모재를 보충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터쪽으로부터, 소모재의 보충 후의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미디어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소모재의 보충 후의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미디어팩의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프린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계시관리에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이 미디어팩에 배치된 메모리를 사용해서 프린트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계시관리를 행할 수 있는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케메라로 화상기록을 행할 때에 화상과 관련지어서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시계정보를 이용해서 미디어팩의 계시관리를 가능하게 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미디어팩의 소모재의 특성의 변화를 표시하는 특성변화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소모재의 특성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미디어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7의 목적은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미디어팩 내의 소모재의 특성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8의 목적은 흔들림이 발생하는 상태에서의 프린트동작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 있어서 사용하기가 용이하며, 또는 카메라쪽의 흔들림센서와 프린터쪽의 프린트제어용의 흔들림센서를 겸용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메라의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카메라에 장착가능한 미디어팩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카메라의 내부에 있어서의 주요구성부의 배치관계를 표시하는 시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프린터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프린터부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캐리지의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프린트매체반송계의 구성부분의 사시도;
도 10은 카메라부(A100)과 프린터부(B100)의 개략의 블록구성도;
도 11은 카메라부(A100)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처리의 기능블록도;
도 12는 프린터부(B100)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처리의 기능블록도;
도 13은 카메라부에 의해 행해지는 촬영모드시에 있어서의 방진제어 및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의 캐리지제어의 기능블록도;
도 14는 촬영용 섬광조명장치의 발광을 위한 DC/DC콘버터(150)를 기록헤드(207)의 인쇄용 또는 잉크펌핑용 승압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원공급제어의 기능블록도;
도 15(a) 내지 15(f)는 도 14의 전원공급제어에 있어서의 각 구동신호 S1 내지 S4의 출력타이밍차트;
도 16은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미디어팩(C100)의 소모재 보충(충전)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00: 카메라부 B100: 프린터부
C100: 미디어 팩 A001: 장치본체
B120: 기록헤드 C101: 팩본체
C104: 프린트매체 C103: 잉크팩
B104: 캐리지 M001: 캐리지모터
M002: 반송모터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미디어팩으로서, 상기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 및 프린트 매체를 적어도 수용하는 팩본체, 및 상기 팩본체에 배치되고, 적어도 잉크 및 프린트매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잉크 및 프린트매체가 충전 또는 제조된 년월의 제 1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미디어팩이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에 사용되는 소모재를 보충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터쪽으로부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후의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정보는 상기 미디어팩에 이 프린트매체가 충전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잉크의 충전 또는 제조가 행해진 년월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의 정보는 상기 제 2의 정보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잉크의 충전 또는 제조후의 경과기간에 따른 이 잉크의 특성의 변화에 관련된 제 3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프린터는 메모리 내에 기억된 제 3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잉크의 열화에 대한 보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트에 사용되는 잉크 및 프린트매체를 수용하는 팩본체, 및 상기 팩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트매체의 충전 또는 제조가 행해진 년월의 제 1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린트매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미디어팩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기구,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제 1정보에 의거해서 경과시간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한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잉크의 충전 또는 제조가 행해진 년월의 제 2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프린터는 상기 잉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에 관련된 제 3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취득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의 정보는 상기 미디어팩의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의 정보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는 또한 계수를 사용해서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실시 할 수 있는 화상처리회로, 및 상기 제 3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처리에 사용된 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계수변경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잉크의 열화에 대한 보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1종의 소모재를 수용하는 미디어팩으로서, 적어도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가 행해진 년월의 제 1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미디어팩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기구, 프린트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린트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모드설정회로, 및 상기 장착기구에 상기 미디어팩이 장착되었을 때 및 상기 프린트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1정보에 의거해서 경과기간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팩이 장착 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의 표시를 제 1의 표시형태로 행할 수 있고, 상기 프린트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의 표시를 상기 제 1의 표시형태와 다른 제 2의 표시형태로 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한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소모재의 열화경고를 친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일시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일시정보와 관련지어서 기록할 수 있는 레코더,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소모재가 수용되고, 적어도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가 행해진 년월의 제 1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미디어팩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기구, 및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 1정보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서 설정된 일시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을 검출할 수 있는검출기를 구비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의하면,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에 관련된 제 3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취득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의 정보는 상기 미디어팩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의 정보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계수를 사용해서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화상처리회로, 및 상기 취득된 제 3의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처리에 사용된 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계수변경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소모재의 열화에 대한 보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프린트동작을 실행하는 프린드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모드설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장착기구에 상기 미디어팩이 장착되었을 때 및 상기 프린트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상기 미디어팩이 장착되었을때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의 표시를 제 1의 표시형태로 행할 수 있고, 상기 프린트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의 표시를 상기 제 1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기 제 2의 표시형태로 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소모재의 열화경고를 친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5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미디어 팩으로서, 상기 프린터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소모재가 수용되는 팩본체, 및 상기 팩본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일시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미디어팩이 제공된다.
이 미디어팩에 의하면, 프린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이 계시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6의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1종의 소모재가 수용된 미디어팩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기구, 및 상기 미디어 팩에 수용된 소모재를 사용해서 프린트동작을 행할 수 있는 프린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미디어팩은 상기 소모재가 수용되는 팩본체, 및 팩본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장착기구에 상기 미디어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린트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일시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프린트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프린트동작에 있어서의 에러정보를 포함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이 미디어팩에 배치된 메모리를 사용해서 프린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계시관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는 상기 프린터를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는 콘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의하면,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이 미디어팩에 배치된 메모리를 사용해서 프린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계시관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7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일시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일시정보와 관련지어서 기록할 수 있는 레코더,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에 사용되는 소모재가 수용되고,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미디어팩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기구, 및 상기 미디어팩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타이머에 의해서 설정된 일시정보를 써 넣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의하면, 카메라로 화상기록을 행할 때에 화상과 관련지어서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일시정보에 의해서 미디어팩의 계시관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팩에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1종의 소모재는 잉크 및/또는 프린트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디어팩의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소모재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일시정보와 상기 프린터의 동작에 관하 정보를 서로 관련지어서 상기 미디어팩의 상기 메모리에 써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6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8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미디어팩으로서, 상기 프린터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소모재를 수용하는 팩본체, 및 상기 팩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표시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미디어팩이 제공된다.
이 미디어팩에 의하면, 소모재의 특성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는 특성변화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소모재의 특성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 7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9의 태양에 의하면, 프린트에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소모재가 수용되는 팩본체, 및 상기 팩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기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표시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진 미디어팩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기구, 및 상기 미디어팩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회로를 구비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미디어팩을 사용할 때에 미디어팩 내의 소모재의 특성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계수를 사용해서 화상데이터의 화상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화상처리회로, 및 상기 취득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처리에 사용된 계수를 변경할 수 있는 계수변경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소모재의 열화에 대한 보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8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0의 태양에 의하면, 카메라본체, 상기 카메라본체와 일체적으로 조합된 프린터, 상기 카메라본체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는 흔들림센서,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촬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보정회로, 및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에 의하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프린트동작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 있어서 취급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카메라쪽의 흔들림센서와 프린터쪽의 프린트제어용의 흔들림센서를 겸용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기록헤드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기록헤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헤드위치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소정 주사위치에서 상기 기록헤드의 주사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트는 소정 주사방향으로 동작가능한 기록헤드를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이 소정 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의 이 소정 주사방향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주사방향으로 주사가능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의 주사방향의 주사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상기 기록헤드를 주주사방향으로 주사하면서 프린트매체를 부주사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부주사방향의 흔들림량을 구하고, 이 부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프린트매체와의 부주사방향의 상대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시정보는 시·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린트"(또는 "기록")란, 문자, 도형 등의 유의의 정보를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의무의를 불문하고, 또한 인간이 시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현재화한 것인지 아닌지를 불문하고, 넓게 프린트매체 상에 화상, 패턴 등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프린트매체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린트매체"란, 일반적인 프린터에 의해 사용되는 종이뿐만 아니라,넓게 직물, 플라스틱 필름, 금속판, 유리, 세라믹, 목재 등 잉크를 수용가능한 것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잉크"("액체"라고도 호칭함)란, 상기 "프린트"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넓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며, 프린트매체 상에 부여됨으로써, 화상, 패턴 등의 형성, 프린트매체의 가공, 또는 잉크의 처리(예를 들면, 프린트매체에 부여되는 잉크 속의 색재의 응고 또는 불용화)에 제공되는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해서 본 실시형태의 장치의 기계적인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장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장치본체(A001)에 있어서는, 카메라부(A100)의 배면쪽에 프린터부(기록장치부)(B10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부(A100)와 프린터부(B100)를 착탈가능하게 해도 된다. 그 경우, 쌍방향의 통신접점을 쌍방에 구비하고, 프린터부(B100)를 장치본체(A001)에 장착할 때 상기 통신접점을 직결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프린터부(B100)는 미디어팩(C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잉크와 프린트매체를 사용해서 화상을 기록한다. 본 구성에서는 장치본체(A001)로부터 하우징을 제거해서, 배면쪽으로부터 본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장치본체(A001)의 동 도면 속의 오른쪽에 미디어팩(C100)이 삽입되고, 장치본체(A001)의 동 도면 속의 왼쪽에 프린터부(B100)가 배치된다. 프린터부(B100)에 의해서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액정표시부(A105) 및 렌즈(A101)를 아래쪽이 되도록 장치본체(A001)를 놓은 자세로 할 수 있다. 장치본체(A001)의 이 기록자세에 있어서,프린터부(B100)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기록헤드(B120)는 잉크를 아래쪽으로 토출하는 자세가 된다. 그러나, 기록자세는 카메라부(A100)에 의한 촬영상태의 자세와 마찬가지의 자세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의 기록자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록동작의 안정성의 면에서는 상기의 잉크를 아래쪽으로 토출할 수 있는 상기 기록자세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장치의 기계적인 기본구성을 A "카메라부", B "미디어팩", C "프린터부"로 나누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A. "카메라부"
카메라부(A100)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를 구성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프린터부(B100)와 함께 장치본체(A001)에 일체적으로 조합됨으로써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외관의 프린터 내장의 디지털카메라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A101)은 렌즈, (A102)는 광학파인더, (A102a)는 파인더창, (A103)은 촬영용 섬광조명장치, (A104)는 릴리스버튼, (A105)는 액정표시부(외부표시부)이다. 카메라부(A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CCD나 MOS 등의 촬상소자를 사용해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데이터의 처리,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카드(예를 들면, CF 카드)(A107)에의 화상데이터의 기억, 화상의 표시용 신호처리, 프린터부(B100)와의 사이의 각종 데이터의 수수(쌍방향 통신) 등을 한다. (A109)는 촬영된 화상이 기록된, 후술하는 프린트매체(C104)가 배출되는 배출부이며, 도시하지 않은 뚜껑이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표시되는 (A108)은 카메라부(A100) 및 프린터부(B100)의 전원으로서의 전지이다.
B. "미디어 팩"
미디어 팩(C100)은 장치본체(A001)에 대해서 착탈가능하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치본체(A001)의 뚜껑(A002)(도 3 참조)를 열고 도시하지 않은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됨으로써 도 1과 같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된다. 삽입부는, 미디어 팩(C100)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도 3과 같이 뚜껑(A002)에 의해 닫혀져 있으며, 미디어 팩(C100)이 장착될 때에만 열려진다. 도 5는 미디어 팩(C100)이 장착된 장치본체(A100)로부터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다. 미디어 팩(C100)의 팩 본체(C101)에는,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C102)가 화살표 D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셔터(C102)는, 미디어 팩(C100)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도 4의 2점 쇄선의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서 슬라이드하고 있으며, 미디어 팩(C100)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도 4의 실선의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팩 본체(C101)에는 잉크팩(C103)과 프린트매체(C104)가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잉크팩(C103)은 프린트매체(C104)의 아래쪽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팩(C103)은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의 잉크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도록 3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매체(C10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이이며, 이하, 필요할 경우 "프린트매체"라 호칭된다. 또한 프린트매체(C104)는 팩본체(C101) 내에 20매 정도 겹쳐서 수용되어 있다. 이들 잉크와 프린트매체(C104)는 화상의 기록에 최적인 조합이 선택된 후, 같은 미디어팩(C10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와 프린트매체의 조합이 다른 여러 가지의 미디어팩(C100), 예를 들면, 초고화질용, 노멀화질용, 실(분할실)용, 광택지용, 재생지용, 중성지용 등의 미디어팩을 준비해 두고, 기록해야 할 화상의 종류, 및 화상이 형성된 프린트매체의 용도 등에 따라서 이들 미디어팩(C100)을 선택적으로 장치본체(A001)에 장착함으로써, 최적 조합의 잉크와 프린트매체를 사용해서 목적에 따른 화상을 확실히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팩(C100)에는 후술하는 메모리로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EPROM(식별 IC)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EEPROM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디어팩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와 프린트매체의 종류나 잔량, 잉크와 프린트매체의 충전 또는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나 이상 발생시의 상세 에러데이터 및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데이터, 및 잉크와 프린트매체의 색특성의 경시변화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잉크팩(C103)은, 미디어팩(C100)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되었을 때에, 색 Y,M,C의 잉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3개의 조인트(C105)를 통해서 후술하는 장치본체(A001)쪽의 잉크공급계에 접속된다. 한편, 프린트매체(C104)는 후술하는 급지롤러(C110)(도 9 참조)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분리기구에 의해서 1매씩 분리되면서 인출되어, 화살표 C방향으로 송출된다. 이 급지롤러(C110)의 구동력은 장치본체(A001)쪽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반송모터(M002)(도 9 참조)로부터 연결부(C110a)를 개재해서 공급된다.
또한, 팩본체(C101)에는 후술하는 프린터부의 기록헤드를 청소하기 위해서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C106)와, 프린터부 쪽의 폐액조인트(도시생략)로부터 배출된 폐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잉크흡수체(C107)가 구비되어 있다.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기록헤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의 주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미디어팩(C100)이 장치본체(A001)로부터 제거되어 있을 때는 셔터(C102)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도 4의 2점 쇄선의 위치로 슬라이드해서 조인트(C105), 와이퍼(C106), 및 잉크흡수체(C107) 등을 보호한다.
C. "프린터부"
본 실시형태의 장치의 프린터부(B100)는 잉크제트기록헤드를 사용하는 시리얼타입이다. 이 프린터부(B100)에 대해서는 C-1. "프린트 동작부", C-2. "프린트매체반송계", 및 C-3. "잉크공급계"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C-1. "프린트 동작부"
도 6은 프린터부(B100) 전체의 사시도, 도 7은 프린터부(B100)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프린터부(B100)의 본체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A001)에 장착된 미디어팩(C100)의 선단부분이 위치한다. 미디어팩(C100)으로부터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송출된 프린트매체(C104)는 후술하는 프린트매체반송계에 있어서의 LF롤러(B101)와 LF핀치롤러(10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플래튼(B103) 상에서 화살표 B의 부주사방향(주주사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B104)는 가이드축(B105)과 리드스크루(B106)를 따라서 화살표 A의 주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캐리지이다.
캐리지(B104)에는,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B105)용의 베어링(B107)과, 리드스크루(B106)용의 베어링(B108)이 구비되어 있다. 캐리지(B104)의 소정위치에는 베어링(B108)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스크루핀(B109)(도 7 참조)이 스프링(B110)을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스크루(B106)의 외주부에 형성된 나선홈에 대해서 스크루핀(B109)의 선단이 끼워맞춤됨으로써, 리드스크루(B106)의 회전이 캐리지(B104)의 화살표 A방향의 왕복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도 8의 캐리지(B104)에는 색 Y,M,C의 잉크를 토출가능한 잉크제트기록헤드(120)와, 이 기록헤드(120)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보조탱크(도시생략)가 탑재되어 있다. 기록헤드(B120)에는 화살표 A의 주주사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주사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잉크토출구(B121)(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토출구(B121)는 보조탱크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가능한 노즐을 구성한다.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발생수단으로서는 노즐마다 구비된 전기열변화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전기열변환체는 발열구동됨으로써 노즐 내의 잉크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발포에너지에 의해서 잉크토출구(B121)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시킨다.
보조탱크는 미디어팩(C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팩(C100)보다도 소용량이며, 적어도 프린트매체(C104)의 1매분의 화상기록에 필요한 양의 각 색의 잉크를 각각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보조탱크에 있어서, 색 Y,M,C의 각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잉크수용부에는 각각 잉크공급부와 부압도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잉크공급부는 대응하는 3개의 중공의 니들(B122)에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이들 부압도입부는 공통의 공급에어포트(B123)에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조탱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지(B104)가 도 6에 표시하는 홈포지션으로 이동했을 때에 미디어팩(C100)의 잉크팩(C103)으로부터 잉크가 보급된다.
도 8의 캐리지(B104)에 있어서, (B124)는 니들커버이며, 니들(B122)과 미디어팩의 조인트(C105)(도 4 참조)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동 도면과 같이 니들(B122)을 보호하는 위치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니들(B122)과 조인트(C105)가 서로 연결될 때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동 도면의 위쪽으로 밀려져서 니들(B122)의 보호를 해제한다. 캐리지(B104)의 A방향의 이동위치는 캐리지(B104) 쪽의 엔코더센서(B131)와, 프린터부(B100)의 본체 쪽의 리니어 스케일(B132)(도 6 참조)에 의해서 검출된다. 또한, 캐리지(B104)가 홈포지션에 이동한 것은 캐리지(B104) 쪽의 HP(홈포지션)플래그(B133)와, 프린터부(B100)의 본체 쪽의 HP센서(B134)(도 7 참조)에 의해서 검출된다.
도 7에 있어서, 가이드축(B105)의 양단에는 그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지지축(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축(B105)은 그 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조정됨으로써 캐리지(B104)의 위치가 조정되고, 기록헤드(B120)와 플래튼(B103) 상의 프린트매체(C104) 사이의 거리("지간거리"라고도 함)가 조정된다. 또한, 리드스크루(B106)는 스크루기어(B141), 아이들러기어(B142), 및 모터기어(B143)를 개재해서 캐리지모터(M001)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또한, (B150)은 후술하는 제어계와 기록헤드(B1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케이블이다.
도 8의 기록헤드(B120)는 캐리지(B104)와 함께 화살표 A의 주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화상신호에 따라서 잉크토출구(B121)로 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플래튼(B103) 상의 프린트매체에 1행분의 화상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록헤드(B120)에 의한 1행분의 기록동작과, 후술하는 프린트매체반송계에 의한 화살표 B의 부주사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매체의 소정량의 반송동작이 반복됨으로써, 프린트매체 상에 순차적으로 화상이 기록된다.
C-2. "프린트매체반송계"
도 9는 프린터부(B100)에 있어서의 프린트매체반송계의 구성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B201)은 1쌍의 배지롤러이며, 동 도면 중 위쪽의 한 쪽의 배지롤러(B201)는 배지롤러기어(B202) 및 중계기어(B203)를 개재해서 반송모터(M002)에 의해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LF롤러(B101)는 LF롤러기어(B204)와 중계기어(B203)를 개재해서 반송모터(M002)에 의해 구동된다. 반송모터(M002)가 정전했을 때 배지롤러(B201) 및 LF롤러(B101)는 반송모터(M002)의 정전시의 구동력에 의해서 프린트매체(C104)를 화살표 B의 부주사방향으로 반송한다.
한편, 반송모터(M002)가 역전했을 때는 전환슬라이더(B211) 및 전환캠(B212)을 개재해서 플래튼헤드(B213)와 도시하지 않은 록기구가 구동되는 동시에, 미디어 팩(C100) 쪽의 급지롤러(C110)에 반송모터(M002)의 역전시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플래튼헤드(B213)는 반송모터(M002)의 역전시의 구동력에 의해서 미디어팩(C100)의 셔터(C102)의 창부(102A)(도 4 참조)를 통과해서 미디어팩(C100) 내에 집적되어 있는 프린트매체(C104)를 도 4 속의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도4 속의 최하위치의 프린트매체(C104)가 미디어팩(C100) 내의 급지롤러(C110) 상에 가압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록기구는 반송모터(M002)의 역전시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상태로 되어, 장치본체(A001)에 대해서 미디어팩(C100)을 록해서 미디어팩(C100)의 제거를 금지한다. 동시에, 미디어 팩(C100) 쪽의 급지롤러(C110)는 반송모터(M002)의 역전시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도 4 속의 최하위치의 1매의 프린트매체(C104)를 화살표 C방향으로 반출한다.
이와 같이, 반송모터(M002)가 역전함으로써 미디어 팩(C100)으로부터 프린트매체(C104)가 1매만 도 9에 있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인출되고, 그 후, 반송모터(M002)가 정전함으로써 이 프린트매체(C104)가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된다.
C-3. "잉크공급계"
프린터부(B100)에 장착된 미디어 팩(100)의 조인트(C105)는 홈포지션에 이동한 캐리지(B104) 쪽의 니들(B122)(도 8 참조)의 아래에 위치한다. 프린터부(B100)의 본체에는 조인트(C10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조인트 포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인트포크가 조인트(C105)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인트(C105)가 니들(B122)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미디어 팩(C100) 쪽의 잉크팩(C103)과, 캐리지(B104) 쪽의 보조탱크의 잉크공급부와의 사이에 잉크공급로가 형성된다. 또한, 프린터부(B100)의 본체에는 홈포지션으로 이동한 캐리지(B104)의 공급에어포트(B123)(도 8 참조)의 아래에 위치하는 공급조인트(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조인트는 공급튜브(도시 생략)를 개재해서 부압발생원으로서의 펌프의 펌프실린더(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조인트는 도시하지 않은조인트 리프터에 의해서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캐리지(B104) 쪽의 공급에어포트(B123)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캐리지(B104) 쪽의 보조탱크의 부압도입부와 펌프실린더 사이에 부압도입로가 형성된다. 조인트리프터는 조인트모터(M003)의 구동력에 의해서 공급조인트와 함께 조인트포크를 상하이동시킨다.
보조탱크의 부압도입부에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잉크의 통과를 저지하는 박막형상의 기액분리부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기액분리부재는 부압도입로를 통과해서 흡인되는 보조탱크 내의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이에 의해 미디어 팩(C100)으로부터 보조탱크에 잉크가 보급된다. 그리고, 보조탱크 내의 잉크가 기액분리부재에 도달할 정도로 잉크가 충분히 보급되었을 때에, 이 기액분리부재가 잉크의 통과를 저지함으로써 잉크의 보급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기액분리부재는 보조탱크의 잉크수용부에 있어서의 잉크공급부에 구비되어 있어, 이들 잉크수용부마다 잉크의 보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프린터부(B100)의 본체에는 홈포지션에 이동한 캐리지(B104) 쪽의 기록헤드(B120)(도 8 참조)에 대해서 캡핑이 가능한 흡인캡(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흡인캡은 그 내부에 흡인튜브(도시 생략)를 통과해서 펌프실린더로부터 부압이 도입됨으로써 기록헤드(B120)의 잉크토출구(B121)로부터 잉크를 흡인배출(헤드회복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B120)는 필요에 따라서 화상의 기록에 기여하지 않는 잉크를 흡인캡 내로 토출시킨다(예비토출처리). 흡인캡 내의 잉크는 펌프실린더로부터 폐액튜브(도시 생략)와 폐액조인트(도시 생략)를 통과해서 미디어 팩(C110) 내의 잉크흡수제(C107)에 배출된다.
펌프실린더는 이것을 왕복구동하기 위한 펌프모터(도시 생략) 등과 함께 펌프유닛을 구성한다. 펌프모터는 와이퍼 리프터(도시 생략)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도 기능한다. 와이퍼 리프터는 프린터부(B100)에 장착된 미디어 팩(C100)의 와이퍼(C106)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와이퍼(C106)를 기록헤드(B120)의 와이핑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본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계를 포함하는 신호처리계의 기본구성을 D "신호처리계"로서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D. "신호처리계"
도 10은 카메라부(A100)와 프린터부(B100)의 개략의 블록구성도이다.
카메라부(A100)에 있어서, (101)은 촬상소자로서의 CCD를 표시한다. 물론 CCD 대신에 다른 타입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MOS형 이미지센서 등)라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02)는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 (103)은 하드웨어처리를 행하는 AISC(용도-특정집적회로), (104)는 화상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제 1 메모리, (105)는 촬상화상을 기억하는 착탈가능한 화상메모리로서의 CF카드("CF카드(A107)"에 상당), (106)은 촬상화상 또는 재생화상을 표시하는 LCD("액정표시부(A105)"에 상당), (107)은 렌즈유닛("렌즈(A101)"에 상당), (108)은 촬영시 등에 발생하는 카메라흔들림을 광학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보정기구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행하고 투명한 평판을 광축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는 동시에, 이 각도를 흔들림량 및 흔들림방향에 따라서 카메라흔들림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흔들림보정기구로서는, 이외에도 가변정각프리즘이나 소위, 전자방진(촬상신호를 일시 화상메모리에 기억하고, 카메라흔들림량에 따라서 이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영역을 시프트함으로써 카메라흔들림에 기인하는 번짐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사용해도 된다. (109)는 카메라흔들림의 크기를 검지하기 위한 흔들림검출센서로서의, 예를 들면, 가속도센서이며 여기서, 예를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흔들림 보정을 하기위한 보정회로를 메모리(104), CPU(120), ASIC(103)등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111)은 촬영용 섬광조명장치("촬영용 섬광조명장치(A103)"에 상당), (112)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SW군("릴릴스버튼(A104)"를 포함), (113)은 조작음, 경고음 등을 발생하는 스피커, (120)은 카메라부(A100)의 제어를 하는 제 1 CPU, (150)은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를 발광시키기위한 승압회로로서의 DC/DC콘버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프린터부 쪽의 펌핑용의 모터 또는 기록헤드의 잉크펌핑동작 또는 인쇄동작을 위해서 공급해야 할 소정의 직류전압으로서 상기 섬광조명장치를 위한 승압회로의 일부 승압출력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부(A100)는 일시정보를 화상 1매씩 관련지어서 기록하기 위한 일시정보를 카운트하는 시계(TM)를 가진다. 또한, ASIC(103)은 카메라부 및 프린터부의 각종의 시각 관련의 동기제어를 상기 시계(TM)카운트에 의거해서 행한다.
프린터부(100)에 있어서, (210)은 카메라부(A100)와 프린터부(B100) 사이의 인터페이스, (201)은 화상처리부(화상을 2치화하는 2치화처리부를 포함), (202)는 화상처리를 행하는 데 사용하는 제 2메모리, (203)은 밴드메모리제어부, (204)는 밴드메모리, (205)는 마스크메모리, (206)은 헤드제어부, (207)은 기록헤드("기록헤드(B120)"에 상당), (208)은 엔코더("엔코더센서(B131)"에 상당), (209)는 엔코더카운터, (220)은 프린터부(B10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제 2CPU, (221)은 모터드라이버, (222)는 모터("모터(M001), (M002), (M003)"을 포함), (223)은 센서군( "HP센서(B314)"를 포함), (224)는 다시 써 넣을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한 어떤 타입이라도 되는, 미디어 팩(C100)에 내장되어 있는 EEPROM, (230)은 음성엔코더부, (250)은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전지(A108)"에 상당)이다.
도 11은 카메라부(A100)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처리의 기능블록도이다. 촬영모드시는 렌즈(107)를 통과해서 CCD(10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ASIC(103)에 의해 신호처리(CCD신호처리)되어, YUV(휘도 2색차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 신호는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즈되고, JPEG 압축되어서, CF카드(105)에 기록된다. 또한, CF카드(105)에 화상을 1매씩 기록할 때에 자동적으로 시계(TM)에 의해 계시된 일시(예를 들면, 년월일 시각)정보가 화상과 관련지어져서 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음성에 관해서는 마이크(102)에 의해 입력되고, ASIC(103)을 개재해서 CF카드(105)에 기록된다. 음성의 기록에 관해서는, 촬영시와 동시 또는 촬영 후의 포스트레코드로서 기록시킬 수 있다. 재생모드시에는 CF카드(105)로부터 JPEG화상이 판독되고, ASIC(103)에 의해 JPEG 신장되고, 또한 표시용의 해상도로 리사이즈되어서 LCD(106)에 표시된다.
도 12는 프린터부(B100)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처리의 기능블록도이다.
카메라부(A100) 쪽에서 재생된 화상, 즉 CF카드(105)로부터 판독된 화상은,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ASIC(103)에 의해서 JPEG 신장되고, 프린트에 적합한해상도로 리사이즈된다. 그리고, 리사이즈된 화상데이터(YUV)는 도 10의 인터페이스(210)를 개재해서 프린터부(B100)에 보내진다. 프린터부(B100)에서는, 도 10,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A100)로부터 보내진 화상데이터를 화상처리부(201)에 의해 화상처리하고, 화상데이터의 RGB신호로의 변환, 카메라의 특성에 따로 입력 γ 보정, 룩업테이블(LUT)의 사용에 의한 색보정 및 색변환, 프린트하기 위한 2치화신호로의 RGB신호의 변환을 한다. 여기서, 상기 룩업테이블에 의한 색보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디어팩 내의 EEPROM(224) 내의 색 보정용 데이터에 의거해서 CPU에 의해 보정되는 경우가 있다.
2치화처리시에는 오차확산(ED)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오차메모리로서 제 2메모리(202)를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화상처리부(201)에 있어서의 2치화처리부는 오차확산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디더패턴을 사용한 2치화처리 등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2치화된 프린트데이터는 밴드메모리제어부(203)를 개재해서 일시 밴드메모리(204)에 기억된다. 프린터부(B100)의 엔코터카운터(209)에는, 기록헤드(207) 및 엔코더(208)를 탑재한 캐리지(B104)가 일정거리 이동할 때마다 엔코더(208)로부터 엔코더펄스가 들어간다. 그리고, 엔코더펄스의 입력과 동기해서 밴드메모리(204)와 마스크메모리(205)로부터 프린터데이터가 판독되고, 이 프린트데이커에 의거해서 헤드제어부(206)가 기록헤드(207)를 제어해서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도 12의 밴드메모리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헤드(207)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은, 예를 들면, 1200dpi의 밀도를 유지하도록 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록헤드(207)를 사용해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캐리지를 도 6 내지 도 9의 A방향으로 1회 주주사시킬 때에는 부주사방향(도 6 내지 도 9의 B방향)에 대해서는 노즐 수에 대응하는 양, 주주사방향에 대해서는 기록영역에 대응하는 양의 기록데이터(1주사 동작에 대응하는 기록데이터)를 미리 작성하여 둘 필요가 있다. 기록데이터는 화상처리부(201)에 의해 작성 된 후, 밴드메모리제어부(203)에 의해서 밴드메모리(204)에 일시 기억된다. 밴드메모리(204)에 1주사동작에 대응하는 양의 기록데이터가 기억되었을 때, 캐리지가 주주사방향으로 주사된다. 캐리지의 이 주주사동작시, 엔코더(208)에 의해 입력된 엔코더펄스가 엔코더카운터(209)에 의해 카운트되고, 이 엔코더펄스에 따라서 밴드메모리(204)로부터 기록데이터가 판독되고, 이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헤드(207)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된다. 기록헤드(207)의 A방향의 왕주사시 및 복주사시에 화상을 기록(즉 왕로기록 및 복로기록)하는 쌍방향기록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기록헤드(207)의 주사방향에 따라서 밴드메모리(204)로부터 화상데이터가 판독된다. 예를 들면, 기록헤드(207)의 왕로기록시는 밴드메모리(204)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순차적으로 인크리멘트되고, 기록헤드(207)의 복로기록시는 밴드메모리(204)로부터 판독되는 화상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순차적으로 디크리멘트된다.
실제로는, 화상처리부(201)에 의해 작성된 화상데이터(색 C,M,Y)가 밴드메모리(204)에 써 넣어져서 1밴드분의 화상데이터가 준비되었을 때 기록헤드(207)의 주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헤드(207)를 주사하고, 밴드메모리(204)로부터화상데이터를 판독해서, 이 화상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헤드(207)가 화상을 기록한다. 기록동작시에 다음에 기록해야 할 화상데이터가 화상처리부(201)에 의해 작성되고, 이 화상데이터는 그 기록위치에 대응하는 밴드메모리(204)의 영역에 써넣어진다.
이와 같이, 밴드메모리제어는 화상처리부(201)에 의해 작성된 기록데이터(색 C,M,Y)를 밴드메모리(204)에 써넣는 작업과, 캐리지의 주사동작에 맞추어서 기록데이터(색 C,M,Y)를 헤드제어부(206)에 보내기 위해서 판독하는 작업을 전환하면서 행한다.
다음에, 도 12의 마스크메모리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마스크메모리제어는 멀티패스기록방식의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이 방식의 경우, 노즐열의 길이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1행분의 기록화상은 기록헤드(207)의 복수회의 주사로 나누어서 기록된다. 즉, 부주사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프린트매체의 반송량이 노즐열의 길이의 1/N로 설정되고, 예를 들면, N=2일 때는 1행분의 기록화상이 2회의 주사로 나누어서 기록(2패스 기록)되고, N=4일 때는 1행분의 기록화상이 4회의 주사로 나누어서 기록(4패스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N=8일 때는 8패스기록, N=16일 때는 16패스 기록이 행해진다. 따라서, 멀티패스기록방식의 경우, 1행분의 기록화상이 기록헤드(207)의 복수 회의 주사에 의해서 완성되게 된다.
실제로는, 마스크메모리(205)에 화상데이터를 기록헤드(207)의 복수 회의 주사에 할당하기 위한 마스크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으며, 이 마스크데이터와 화상데이터와의 논리적(AND)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헤드(207)가 잉크를 토출해서 화상을 기록한다.
또한,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CF카드(105)에 기억된 음성데이터는 ASIC(103)에 의해 화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210)를 개재해서 프린터부(B100)에 보내진다. 프린터부(B100)에 보내진 음성데이터는 음성엔코더(230)에 의해 코드화(엔코드)된 후, 소정의 변조를 받음으로써 프린트화상 속에 2차원바코드데이터의 형태로 "워터마크"정보로서 기록된다. 프린트화상에 음성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없을 때, 또는 음성데이터가 없는 화상을 프린트할 때에는 2차원 바코드형태의 음성데이터는 프린트되지 않고, 화상만이 프린트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디어팩(C100) 내의 소모재(즉, 잉크 및 프린트매체)의 열화를 관리하기 위한 미디어팩소모재관리제어와, 흔들림검출센서(가속도센서)(109)를 사용한 촬영모드시에 있어서의 방진제어 및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의 캐리지제어와, 카메라부(A100)에 있어서의 촬영용섬광조명장치발광을 위한 승압용 DC/DC콘버터(150)를 프린터부(B100)의 기록헤드(207)의 인쇄용 또는 펌핑용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원공급제어를 행한다.
우선, 상기 미디어팩소모재관리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미디어팩(C100)의 소모재보충(충전)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디어팩(C100)은 소모재로서 잉크 및 프린트매체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소모재 및 그 보충에 관한 데이터를 EEPROM(224)에 써넣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EEPROM(224)에 기록되는소모재의 잔량이나 충전 또는 제조를 행한 년월일 등의 일시데이터는 소모재의 감소시나 보충(충전)시 또는 제조시마다 갱신되어, 미디어팩(C100) 내의 소모재의 관리에 사용된다.
미디어팩(C100)의 소모재의 보충(충전)을 행할 때에는, 미디어팩(C100)이 공장 또는 프린트숍에 투입되고, 미디어팩(C100)에 대한 소모재의 충전이 공장 또는 프린트숍의 작업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행해진다. 이 소모재의 충전에 있어서는,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01에 있어서 미디어팩(C100) 내의 각 색(Y,M,C)의 잉크팩(C103)에 잉크를 충전하는 동시에 스텝 S102에서 프린트매체(C104)를 충전한다. 그리고, 스텝 S103에 있어서, 메모리써넣기장치에 의해 미디어팩(C100) 내의 EEPROM(224)에 소모재를 보충(충전) 또는 제조한 날짜(년월 및/또는 일시)데이터, 보충한 잉크의 특성데이터(색특성데이터, 점성 등에 관한 데이터 등), 잉크의 잔량데이터, 프린트매체의 특성데이터(예를 들면, 광택지, 중성지, 재생지 등의 재질에 관한 데이터, 지색 등에 관한 데이터 등), 프린트매체의 잔매수데이터, 및 잉크의 열화특성데이터(경과 년월일 수와 색변화의 관계를 리니어매트릭스계수로서 기술한 룩업테이블데이터 포함)를 써넣는다. 이 경우에, EEPROM(224)에 록업테이블데이터 자체를 기억하지 않고, 도 12의 룩업테이블 속에 복수 종류의 색보정용의 룩업테이블을 미리 기억하여 두고, 이 중 어느 테이블을 사용하는지를 소모재의 열화의 정도에 따라서 표시한 데이터를 EEPROM(224) 또는 카메라부 내의 메모리 또는 프린터부 내의 메모리에 기억하여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미디어팩(C100)의 소모재의 보충(충전)이 완료하면, 이 미디어팩(C100)이 사용자에게 발송 또는 직접 건네진다. 또한, 공장으로부터 제품으로서 출하되는 미디어팩(C100)에도 상기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가 써넣어지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팩(C100)의 사용시에는 이 EEPROM(M224)에 써넣어져 있는 소모재에 관한 데이터가 판독되고, 이 판독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소모재관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에 의거해서 소모재의 열화의 정도 등을 추정하고, 이 추정결과에 의거해서 경고, 색보정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촬영모드시에 있어서의 방진제어,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의 캐리지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모드시에 있어서의 방진제어 및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의 캐리지제어의 기능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모드시에는 가속도센서(109)의 출력신호에 의거해서 카메라흔들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한 방진제어를 행한다. 이 방진제어에서는 가속도센서(109)의 출력신호에 의거해서 카메라흔들림의 양 및 그 방향을 검출하고, 이 검출량 및 카메라흔들림의 방향에 의거해서 흔들림보정기구(108)의 보정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흔들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렌즈(107)에 대한 입사광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보정량으로서 산출하고, 이 보정량에 의거해서 흔들림보정기구(108)를 구동제어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흔들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이 보정되어, 흔들림이 없는 화상데이터가 얻어진다.
또한, 프린트모드시에 있어서는, 같은 가속도센서(109)의 출력신호에 의거해서 카메라흔들림의 양을 검출하고, 이 카메라흔들림의 양에 따라서 프린트동작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캐리지제어를 행한다. 이 캐리지제어에서는,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카메라흔들림량이 소정량보다 클 때에는 캐리지(225)를 소정위치(주사개시위치 또는 주주사 종료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을 프린트부(B100)에 송출한다. 이 지령을 받는 프린트부(B100)에서는 캐리지(225)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해서, 캐리지(225)를 소정 위치에 일시 정지시킨다.
다음에, 촬영용 섬광조명장치를 위한 승압용 DC/DC콘버터(150)를 프린터부(B100)의 기록헤드(207)의 인쇄용 또는 잉크펌핑용의 승압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원공급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능블록도, 도 15는 상기 전원공급제어에 의한 구동신호 SG1 내지 SG5의 발생의 타이밍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DC/DC콘버터(150)은 1차측에 전원부(250)로부터의 전압이 스위치(SW)(14)를 개재해서 인가되는 트랜스(151)와, 발진회로(152)와, 트랜스(151)의 2차측으로부터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에 공급될 소정 전압을 발생시켜서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회로(154)와,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에 소정 트리거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리거(155)로 구성된다. 트랜스(151)의 2차측에 있어서는 충전회로(154)에 대한 전압과, 정류회로(RT)를 통하여 프린터부(B100)의 기록헤드(207)의 구동전압과, 기록헤드의 잉크펌핑용 모터(228)의 구동전압이 각각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이 기록헤드(207)의 구동전압은 스위치(SW)(13)를 개재해서 정류회로(RT)를 통하여 기록헤드(207)에 공급되는 동시에, 펌핑모터(228)의 구동전압은 스위치(SW)(13')를 개재해서 모터(228)에 공급된다.
상기 SW(13), SW(13'), SW(14), 충전회로(154), 트리거(155)의 동작은 카메라부(A100)의 CPU(120)에 의한 전원공급제어에 따라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파워스위치(SW)(11)가 온되면, 구동신호(SG1)가 SW(14)에 출력되어 SW(14)가 온된다(도 15(b) 참조). 그리고, 모드전환스위치(SW)의 출력에 의거해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가 카메라모드인지 프린터모드인지가 판별된다. SW(12)가 "a"쪽에 전환되어 있을 때에는 카메라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SW(12)가 b쪽에 전환되어 있을 때에는 프린터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폴트에 의해 SW(11)의 온 시에는 카메라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카메라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를 발광시키기 위한 준비동작으로서 충전회로(154)의 구동개시를 지시하는 구동신호(SG2)가 충전회로(154)에 출력된다(도 15(c) 참조). 그리고, 소정의 촬영동작타이밍에서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를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SG3)가 트리거(155)에 출력되어(도 15(d) 참조), 촬영용 섬광조명장치(111)가 발광된다.
사용자가 촬상한 화상의 프린트출력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SW(12)의 전환조작에 의해 프린터모드가 설정된다(도 15(a) 참조). 프린터모드가 설정되면, 기록헤드(207)의 인쇄동작타이밍에 맞추어서 구동신호(SG4)가 SW(13)에 출력된다.(도 15(e) 참조). 이에 의해 SW(13)가 온되고, DC/DC콘버터(150)로부터 정류회로(RT)를 통하여 기록헤드(207)에 구동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잉크의 펌핑동작을 위해서 구동신호(SG5)가 SW(13')에 출력되면(도 15(f) 참조), SW(13')가 온되서, DC/DC콘버터(150)로부터 정류회로(RT)를 통하여 펌핑용모터(228)에 구동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프린터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DC/DC콘버터(150)로부터 기록헤드(207)의 인쇄용 또는 잉크펌핑용의 구동전압이 모터(228)에 공급되기 때문에 프린터부(B100)에 기록헤드(207)의 인쇄용 또는 잉크펌핑용의 구동전압공급회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프린터부(B100)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장치의 대폭적인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카메라전원이 온되면,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미디어팩 장전검출용 스위치의 출력에 의거해서 미디어팩이 장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미디어팩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EEPROM(224))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3로 나아가서, 데이터의 판독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의 판독이 실패했을 경우, 즉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와의 통신이 실패했을 경우(예를 들면, 미디어팩의 전기접점과 카메라본체 쪽의 전기접점과의 기계적 접촉상태불량에 의해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바르게 판독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전기적 접속은 바르게 행해지고 있어도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에 노이즈 등이 섞여있기 때문에 통신불량이라고 판단된 경우 등)에는 스텝 S4로 나아가서, 메모리팩 내의 메모리에 현재의 일시(예를 들면, 년월일 (필요에 따라서, 시각))를 기억하는 동시에, 에러정보를 상기 일시데이터와 함께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이 경우에는 통신이 실패했기 때문에 에러정보로서 통신에러인 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5로 나아가서, 에러플래그를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써넣고, 이어지는 스텝 S6에서 제 1의 표시형태로 에러정보를 LCD(106)에 표시한다. 이 제 1의 표시형태란, 예를 들면, 에러정보를 소정의 마크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7에 표시하는 스텝 S11로 나아간다.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통신에러가 없었을 경우에는 스텝 S7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에러플래그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에러플래그란, 예를 들면, 잉크가 없는 경우, 프린트매체로서의 종이가 없는 경우, 잉크 및/또는 종이가 소정 기간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경우 등의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에러정보와 함께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써 넣어져 있는 플래그이다.
상기 스텝 S7에 있어서, 에러플래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나아가서 에러플래그에 대응하는 에러정보를 제 1의 표시형태로 LCD(106)에 표시하고, 도 17에 표시하는 스텝 S11로 나아간다.
상기 스텝 S7에 있어서, 에러플래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스텝 S8로 나아가서, 판독한 데이터에 의거해서 미디어팩 내의 잉크 및/또는 프린트매체로서의,예를 들면, 종이가 충전된 일시(예를 들면, 년월일) 또는 잉크 또는 프린트매체의 제조일시를 검출해서, 충전 또는 제조의 일시(예를 들면, 년월일)와 카메라 본체의 시계(TM)의 일시(예를 들면, 년월일)를 비교하고, 이어지는 스텝 S9에서 그 비교결과(양자의 차)가 소정치(Ta)(예를 들면, 2년)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클 경우, 즉 잉크 및/또는 프린트매체의 충전 또는 제조 후 2년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모재로서의 잉크 및/또는 소모재로서의 종이 등의 프린트매체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단해서 스텝 S4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잉크 및/또는 프린트매체가 열화되어 있다고 하는 에러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를 이 에러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5에서 에러플래그를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써 넣고, 이어지는 스텝 S6에서 제 1의 표시형태로 에러정보를 표시수단으로서의 LCD(106)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 17에 표시하는 스텝 S11로 나아간다.
상기 스텝 S9에 있어서 상기 차가 소정치(Ta) 이하의 경우에는, 도 17에 표시하는 S11로 나아간다. 또한, 상기 스텝 S1에 있어서 미디어팩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미디어팩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 1의 표시형태로 LCD(106)에 표시한다. 이 때의 제 1의 표시형태는 상기 스텝 S6의 제 1의 표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고레벨의 표시이다.
스텝 S11에서는, 현재의 모드가 프린터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프린터모드일 경우에는 스텝 S12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에러플래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에러플래그가 있으면, 스텝 S13으로 나아가서,제 2의 표시형태에 의해 그 에러정보를 LCD(106)에 표시하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한다. 이 제 2의 표시형태는 상기 제 1의 표시형태와는 달리, 사용자가 보다 인식하기 쉽도록 경고레벨을 제 1의 표시형태보다 높게 설정한 표시형태이다. 예를 들면, 에러정보를 제 1의 표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형의 마크나 문자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보다 큰 마크나 문자를 사용해서 에러정보를 보다 인식하기 쉽게 표시하고, 또한, 음성을 사용해서 조작자가 보다 알아차리기 쉽도록 하고 있다. 물론 제 1의 표시형태에 있어서 음성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 2의 표시형태는 그것보다도 큰 음량 등으로 함으로써 인식하기 쉽게 한다. 그리고, 스텝 S11로 복귀한다. 이에 대해서 상기 스텝 S12에 있어서 에러플래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스텝 S13을 스킵하고 스텝 S14로 나아간다.
스텝 S14에서는, 미디어팩이 장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정하고, 미디어팩이 장전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5로 나아가서, 미디어팩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을 제 2의 표시형태(즉, 마크나 문자를 크게 하거나 음성을 사용해서 보다 인식하기 쉽게 하는 표시형태)로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스텝 S14로 복귀해서 미디어팩이 장전될 때까지 기다린다.
상기 스텝 S14에 있어서 미디어팩이 장전된 것이 검출되면, 스텝 S16으로 나아가서, 미디어팩의 잉크팩의 캡을 개방하고, 부압노즐을 결합해서, 회복펌핑동작 등의 프린트 준비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린트모드 설정 이후, 이와 같은 준비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팩 장착이나 카메라의 메인전원의 온에 의해서 상기의 S16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쓸데없는전력 및 잉크의 소모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 S17로 나아가서, 프린트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버튼이 눌려지면, 스텝 S18로 나아가서, 급지롤러를 구동해서 미디어팩으로부터 1매의 프린트매체, 예를 들면, 종이를 급지한다. 이어서, 스텝 S19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의 프린트매체 매수를 1 줄여서 갱신하고, 그리고, 스텝 S20에 있어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 색수정 매트릭스의 계수데이터를 사용해서 프린트색의 리니어매트릭스변환을 행한다. 여기서, 잉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경과년월(일)수에 따른 잉크색(예를 들면, 옐로우, 시안, 마젠타)의 변화특성을 미리 측정하고 있으며, 이 변화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리니어 매트릭스계수(보정 전의 옐로우, 시안, 마젠타의 데이터에 대해서 매트릭스연산에 사용되는, 예를 들면, 3×3=9개의 매트릭스계수)가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록업테이블의 형태로 기억되어 있다. 혹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2의 룩업테이블 속에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여 두고, 그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를 잉크의 열화상태에 따라서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가 EEPROM(224) 또는 카메라부나 프린트부 내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미디어팩 내로의 잉크충전 후의 경과년월(일) 수가 상기 스텝 S9에서 판단됨으로써, 이 경과년월(일) 수에 따른 잉크색의 특성의 변화를 보정한 최적의 프린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또는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시데이터정보로서 년월일의 정보가 시각정보의 예를 표시하고 있지만, 일시데이터정보로는 반드시 시각이나 일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년 정보만, 년월 정보, 년월일 정보, 또는 년월일시분초 모두를 포함하는 정보 등의 어떤 시각정보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스텝 S21로 나아가서, 상기 스텝 S19에서 갱신된 프린트매체로서의 종이의 잔량이 제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잔량이 제로이면, 스텝 S22로 나아가서 , 이것을 에러내용으로 하는 에러정보를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써 넣는 동시에, 에러플래그를 써 넣는다. 또한, 이 때의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년월일, (필요에 따라서, 시각))도 이 에러내용과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그리고, 도 18에 표시하는 스텝 S23으로 나아간다. 갱신된 프린트매체의 잔량이 제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스텝 S22를 스킵하고 도 18에 표시하는 스텝 S23으로 나아간다.
스텝 S23에서는 프린트동작을 개시하고, 이어지는 스텝 S24에서 가속도센서(109)를 사용해서 카메라흔들림량이 소정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카메라흔들림이 소정량보다 클 경우에는 스텝 S25로 나아가서, 프린트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이 때, 프린터부(B100)의 캐리지(225)가 주주사단에 있을 때에 프린트동작을 일시 정지하도록 프린터부(B1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흔들림량이 작아질 때까지 프린트동작을 이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카메라흔들림량이 작아져서 프린트가 재개되었을 경우에 인쇄의 어긋남이 현저하지 않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카메라흔들림량이 상기 소정량 이하일 경우, 스텝 S26으로 나아가서, 프린트동작이 일시 정지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일시 정지중일 때에는 프린트동작을 재개시키고, 스텝 S28로 나아가고, 일시 정지중이 아닐 때에는 스텝 S27을 스킵하고 스텝 S28로 나아간다. 스텝 S28에서는 프린트가 1매분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스텝S24로 복귀한다. 프린트가 1매분 종료하면, 스텝S29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의 잉크잔량데이터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의 잉크잔량데이터로부터 잉크의 토출량(이 데이터는 실제로 토출한 잉크양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고, 화상데이터에 의거해서 사용되는 각 색의 잉크량을 연산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이다) 및 기록헤드(207) 내의 보조탱크에 흡인된 잉크량(이 양은 거의 일정치로 설정된다)을 감한 값으로 갱신한다.
다음에, 스텝S30으로 나아가서, 어느 하나의 색의 잉크가 없어졌는지(반드시 제로라고 하는 의미가 아니고, 소정량 이하가 된 것을 표시한다)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색잉크의 어느 하나가 없어진 경우에는 스텝S31로 나아가서, 잉크가 없어진 것을 에러정보로 하는 써넣기를 행하는 동시에 에러플래그를 써넣는다. 또한, 이 때의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년월일, (필요에 따라서, 시각))을 에러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S32에 있어서, 프린트동작에 이상(예를 들면, 카메라 흔들림이나 큰 진동에 의해서 인쇄가 도중에서 종료해서 실패한 것이나, 기록헤드의 막힘 등에 의해서 특정한 색을 인쇄할 수 없었던 경우 등)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스텝S33으로 나아가서, 프린트성공을 표시하는 정보를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시각)와 함께 관련지어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써넣고, 이어지는 스텝S34에 있어서, 프린트가 정상으로 종료한 것을 LCD(106)에 표시한 후, 상기 스텝S11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스텝S32에 있어서 프린트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 검출되면, 스텝S35로 나아가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이상을 표시하는 정보를 써넣고, 이어지는 스텝S36에서 에러플래그를 써넣고, 이들과 관련지어서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년월일(및 시각))를 역시 써넣는다. 그리고, 스텝S37로 나아가서, 에러정보를 LCD(106)에 표시하고, 상기 스텝S11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종 에러내용의 검출된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년월일, 및 시각)와 관련지어서 미디어팩 내의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팩을 후에 회수하는 경우, 또는 반복 사용하는 경우에 이 미디어팩의 수리나 데이터의 보정 등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미디어팩의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텝S11(도 17)에 있어서 현 모드가 프린터모드가 아니라 카메라 모드라고 판정되면, 도 19에 표시하는 스텝S38로 나아가서, 플런저에 의해 렌즈(107)의 전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렌즈배리어를 개방하고, 이어지는 스텝S39에서 릴리스버튼이 제 1스트로크위치까지 눌려지는 것, 즉 SW1이 온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 릴리스버튼의 SW1이 온이 되면, 스텝S40으로 나아가서, 측광, 측색, 측거동작 등의 측정동작을 행한다.
이어서, 스텝S41로 나아가서, 릴리스버튼이 제 2스트로크위치까지 눌려지는 것, 즉 SW2가 온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 SW2가 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텝S39로 복귀하고, SW2가 온되어 있으면 스텝S42로 나아간다. 스텝S42에서는 가속도센서(109)의 출력에 의거하여 흔들림량 및 흔들림방향을 검출한후, 상기 카메라흔들림량이 소정량보다 큰지의 여부에 따라서 카메라흔들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카메라흔들림이 있으면 스텝S43으로 나아가서, 흔들림량 및 흔들림방향에 따라서 흔들림보정기구(108)를 구동해서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한 후, 스텝S44로 나아간다. 이에 대해서 카메라흔들림이 없을 때에는 상시 스텝S43을 스킵하고 스텝S44로 나아간다.
스텝S44에서는 조리개나 셔터를 사용한 노출동작을 행하고, 이에 의해서 소정량의 노광을 (C8(101))에 대해서 행한다. 그리고, 스텝S45로 나아가서, 화이트밸런스보정, 감마보정, 색보정, 압축 등의 화상처리를 행하고, 그리고, 스텝S46에 있어서 화상을 CF카드(105)에 기억한다. 또한, 이 때 카메라부 내의 시계(TM)에 의해서 계시된 일시정보를 화상 1매씩에 대해서 관련지어서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스텝S47로 나아가서, 현 모드가 카메라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카메라 모드이면 상기 스텝S39로 복귀하고, 카메라모드가 아니면, 스텝S48에서 렌즈배리어를 폐쇄한 후, 상기 스텝S11로 복귀한다.
(다른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의 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 가속도센서(109)를 사용한 캐리지제어에 있어서, 소정 방향의 카메라흔들림량의 크기에 따라서 캐리지(225)의 주행속도 및 종이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점에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텝S240에 있어서 프린트동작을 개시하며(도 18의 스텝S23에 상당), 이어지는 스텝S250에서 가속도센서(109)를 사용해서 흔들림량 및 흔들림방향을 검지한다. 그리고, 스텝S260에 있어서, 검출된 흔들림량 및 흔들림방향으로부터 주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량을 구하고, 이 흔들림성분량이 소정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주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량이 소정량보다 클 경우에는 스텝S270으로 나아가서, 주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량에 따라서 현재의 캐리지(225)의 주행속도를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주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량에 따라서 캐리지(225)의 주행속도에 대한 감속량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감속량에 따라서 캐리지(225)의 주행속도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흔들림성분량이 중정도의 크기이면, 작은 감속량을 설정해서, 프린트효율의 저하를 가능한 한 억제한다. 이에 대해서 흔들림성분량이 크면, 감속량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주사속도의 편차에 대한 흔들림의 영향도를 소정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억제해서, 기록헤드(207)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종이에 대한 착탄위치의 오차를 소정량 이하가 되도록 억제한다.
이어서, 스텝S280으로 나아가서, 현재의 기록헤드(207)의 위치를 검지하고, 기록헤드(207)가 주주사단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록헤드(207)가 주주사단에 없을 때에는 상기 스텝S250으로 복귀하고, 다시 흔들림량을 검지한다. 이에 대해서 기록헤드(207)가 주주사단에 있을 때에는 스텝S290으로 나아가서, 캐리지(225)를 일시 정지시켜, 주주사를 일시 중단한다. 그리고, 스텝S310으로 나아가서, 흔들림량으로부터 부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을 구하고, 이 흔들림성분이 소정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부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이 소정량보다 클 때에는 스텝S330으로 나아가서, 종이공급을 정지시키고, 그리고, 상기 스텝S250으로 복귀해서 다시 흔들림량을 검지한다. 한편, 상기 스텝310에서 부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이 소정량 이하일 때에는 스텝S320으로 나아가서, 소정량의 종이공급을 실행하고, 이어지는 스텝S340에서 기록위치가 부주사단까지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1매분의 프린트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록위치가 부주사단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프린트가 종료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텝S250으로 복귀해서 다시 흔들림량의 검지를 행한다.
상기 스텝S260에 있어서 주주사방향의 흔들림성분량이 소정량 이하일 때에는 스텝S300으로 나아가서, 캐리지(225)를 표준속도로 구동한다. 즉, 주주사를 표준주사속도로 행한다. 또한, 캐리지(225)의 현재 주행속도가 감속되어 있을 때에는 주행속도를 다시 표준속도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텝 S310 내지 330에 있어서, 부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종이공급을 정지 또는 속행한다.
상기 스텝S340에 있어서 1매분의 프린트가 종료하면, 이후는 도 18에 표시하는 스텝 S29로 복귀한 후, 스텝S29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해서 행한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부(A100)와 프린터부(B100)가 일체로 된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설명을 행해 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부(A100)와 프린터(B100)를 분리한 따로따로의 장치로 하고, 이들을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해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에 사용되는 소모재를 보충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터쪽으로부터, 소모재의 충전 또는 제조 후의 긴 경과기간에 기인하는 소모재의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Claims (5)

  1.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와 일체적으로 조합된 프린터;
    상기 카메라 본체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는 흔들림센서;
    메모리, CPU 및 ASIC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흔들림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촬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보정회로;
    상기 흔들림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기록헤드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기록헤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헤드위치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소정의 주사위치에서 상기 기록헤드의 주사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소정 주사방향으로 동작가능한 기록헤드를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소정 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의 상기 소정 주사방향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주사방향으로 주사가능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의 주사방향의 주사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기록헤드를 주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프린트매체를 부주사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흔들림센서의 출력에 의거해서 상기 부주사방향의 흔들림량을 구하고, 이 부주사방향의 흔들림량에 따라서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프린트매체와의 부주사방향의 상대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KR10-2004-0104739A 2000-09-12 2004-12-13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KR10049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7370 2000-09-12
JPJP-P-2000-00277368 2000-09-12
JP2000277370A JP2002090789A (ja) 2000-09-12 2000-09-12 プリンタ付カメラ
JP2000277368 2000-09-12
JP2001270220A JP2002160387A (ja) 2000-09-12 2001-09-06 メディアパック、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付カメラ
JPJP-P-2001-00270220 2001-09-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88A Division KR100502647B1 (ko) 2000-09-12 2001-09-12 미디어팩,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725A true KR20050010725A (ko) 2005-01-28
KR100495350B1 KR100495350B1 (ko) 2005-06-16

Family

ID=273446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88A KR100502647B1 (ko) 2000-09-12 2001-09-12 미디어팩,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KR10-2004-0104739A KR100495350B1 (ko) 2000-09-12 2004-12-13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88A KR100502647B1 (ko) 2000-09-12 2001-09-12 미디어팩, 프린터 및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34865B2 (ko)
EP (3) EP1815998B1 (ko)
KR (2) KR100502647B1 (ko)
CN (4) CN100343068C (ko)
DE (3) DE60132738T2 (ko)
TW (1) TW5778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6958B2 (en) * 2003-12-18 2007-07-24 Xerox Corporation Hand-propelled wand printer
JP2005218015A (ja) * 2004-02-02 2005-08-11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23758A (ja) * 2004-02-06 2005-08-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6082422A (ja) * 2004-09-16 2006-03-3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条件設定プログラム
US20070195151A1 (en) * 2006-02-23 2007-08-23 Anderson Frank E Hand-held ink jet pen
US7370806B2 (en) * 2006-09-19 2008-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bel for an electronic product that provides failure information when the product fails
GB0621428D0 (en) * 2006-10-27 2006-12-06 Tymatic Ltd Consumables authentication
JP2008290319A (ja) 2007-05-24 2008-12-04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KR101239767B1 (ko) * 2007-11-12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72498B2 (en) * 2007-12-17 2013-02-12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Composite core densification
US20100271413A1 (en) * 2009-04-27 2010-10-2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9285834B2 (en) * 2009-09-08 2016-03-15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obile writer for erasable media
CN102837518A (zh) * 2012-10-09 2012-12-26 漳州日茂塑胶有限公司 复合软包装袋赏味期限的印刷方法
TWI555650B (zh) * 2013-01-31 2016-11-01 誠研科技股份有限公司 可儲存資訊之熱轉印列印系統
US9019405B2 (en) * 2013-05-21 2015-04-28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velength specific correction of distortion in digital images
US20140347709A1 (en) * 2013-05-21 2014-11-27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digital images
JP6229448B2 (ja) * 2013-11-15 2017-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20160045382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TWI618949B (zh) * 2016-04-01 2018-03-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機構及其控制方法
CN110466264A (zh) * 2018-05-10 2019-11-19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用于电子秤的打印机
US20210313033A1 (en) * 2018-08-24 2021-10-07 Cytiva Sweden Ab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Biopharmaceutical Products
CN114599521A (zh) * 2020-02-06 2022-06-07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材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068A (en) * 1992-08-05 1996-03-12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having hand shake detecting function and trimming mode selecting function
US5999203A (en) * 1995-08-18 1999-12-07 Ttp Group, Plc Printer assembly with easily loaded paper cartridge
JPH0985537A (ja) * 1995-09-25 1997-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FR2744391B1 (fr) * 1996-02-01 1998-03-06 Imaje Sa Imprimante industrielle apte a recevoir au moins une cartouche de consommable
US6168262B1 (en) * 1997-01-30 2001-01-02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 for replaceable ink containers
US6227643B1 (en) * 1997-05-20 2001-05-08 Encad, Inc. Intelligent printer components and printing system
AUPO798697A0 (en) * 1997-07-15 1997-08-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RT51)
JPH1195274A (ja) * 1997-09-24 1999-04-09 Olympus Optical Co Ltd ブレ検出機能付きカメラ
JPH11254700A (ja) 1998-03-10 1999-09-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
JP3818563B2 (ja) * 1998-03-16 2006-09-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プリンタ
MY125797A (en) 1998-05-25 2006-08-30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refilling device
JP2000039663A (ja) * 1998-07-23 2000-02-08 Canon Inc 画像記録媒体に適用される装置
US6494562B1 (en) * 1998-09-03 2002-12-1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sales channel
US6488352B1 (en) * 1998-09-03 2002-12-0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mpatibility of a replaceable printing component
DE19942900B4 (de) * 1998-09-08 2004-01-22 Ricoh Company, Ltd.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Bildfehlern, die durch ein Kameraverwackeln hervorgerufen werden
JP2000147586A (ja) * 1998-09-08 2000-05-26 Ricoh Co Ltd 手振れ補正機能付きカメラ
JP3250556B2 (ja) 1998-11-11 2002-0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メモリ装置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6149256A (en) * 1998-11-24 2000-11-21 Eastman Kodak Company Insertable cartridge for digital camera with ink jet printer
JP4395943B2 (ja) * 1998-11-26 2010-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その情報の管理方法
JP3374787B2 (ja) * 1999-06-18 2003-02-10 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リンタ一体型デジタルカメラ
JP2001146008A (ja) * 1999-09-10 2001-05-29 Canon Inc 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及び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を着脱自在に構成された画像記録装置
US6658219B1 (en) * 1999-09-30 2003-12-0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devic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improper cartridge, and cartridge
US7038714B1 (en) * 2000-05-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a digital printer that uses a digital camera image display
JP2001331069A (ja) * 2000-05-19 2001-11-30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
JP3631116B2 (ja) * 2000-09-14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2120407A (ja) * 2000-10-16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光プリンタ
US6584290B2 (en) * 2000-12-19 2003-06-24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a customer replaceable unit
US6655776B2 (en) * 2001-05-15 2003-12-02 Eastman Kodak Company Media pack for combination image acquisition and printing device
JP2003084513A (ja) * 2001-09-14 2003-03-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3068C (zh) 2007-10-17
US7468741B2 (en) 2008-12-23
EP1657067A2 (en) 2006-05-17
KR100495350B1 (ko) 2005-06-16
US20060033815A1 (en) 2006-02-16
CN1619413A (zh) 2005-05-25
DE60136398D1 (de) 2008-12-11
EP1815998A1 (en) 2007-08-08
EP1657067B1 (en) 2008-10-29
CN1618616A (zh) 2005-05-25
EP1186429B1 (en) 2008-02-13
US20020036802A1 (en) 2002-03-28
CN100492169C (zh) 2009-05-27
EP1186429A3 (en) 2002-10-16
DE60132738D1 (de) 2008-03-27
TW577816B (en) 2004-03-01
DE60139518D1 (de) 2009-09-17
KR20020021047A (ko) 2002-03-18
CN1197710C (zh) 2005-04-20
EP1657067A3 (en) 2006-11-22
CN100437349C (zh) 2008-11-26
KR100502647B1 (ko) 2005-07-22
DE60132738T2 (de) 2009-02-05
CN1619412A (zh) 2005-05-25
EP1815998B1 (en) 2009-08-05
EP1186429A2 (en) 2002-03-13
US7034865B2 (en) 2006-04-25
CN1347807A (zh)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350B1 (ko) 프린터와 함께 사용되는 카메라
JP3703414B2 (ja) プリンタ付カメラ、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2095181A (ja) 複合システム
JP2002090864A (ja) プリンタ付カメラ
JP3938171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2160387A (ja) メディアパック、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付カメラ
JP2002090789A (ja) プリンタ付カメラ
JP2002112101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3787553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086702A (ja) 記録機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付き撮像装置
JP2002086808A (ja) 画像記録部を有したカメラ、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保存方法
JP2002087635A (ja) シート材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記録装置、記録機構付き撮像装置
JP2002086839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2086845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086829A (ja) 走査装置、記録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記録機構付き撮像装置
JP2002086700A (ja) 情報処理機器、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の初期化方法
JP2002094851A (ja) 記録部を有する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086826A (ja) プリンタ用消耗材収納容器、該容器を用いるプリンタ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4299360A (ja) 電子機器
JP2002094850A (ja) 情報処理機器、撮像装置並びに画像記録装置
JP2002094901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該デジタルカメラ用プリンタ
JP2006256330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表示処理方法
JP2002086814A (ja) プリント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トデータ記憶媒体
JP2002103728A (ja) 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086819A (ja) プラテン、画像記録装置及び記録機構付き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