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885A -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885A
KR20040087885A KR1020040023286A KR20040023286A KR20040087885A KR 20040087885 A KR20040087885 A KR 20040087885A KR 1020040023286 A KR1020040023286 A KR 1020040023286A KR 20040023286 A KR20040023286 A KR 20040023286A KR 20040087885 A KR20040087885 A KR 20040087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hicle body
cross
seal in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타타츠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접합이 용이함과 함께, 후방으로부터의 하중과 측면으로부터의 하중의 양쪽에 대해 강성이 높은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사이드 멤버(1)와, 크로스 멤버(2)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을 구비한다. 사이드 멤버(1)는 사이드 하벽(11)과 사이드 내측벽(12)과 사이드 외측벽(13)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 외측벽(13)은 사이드 하벽(11)의 전단(11a)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전부(13a)가 마련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2)는 크로스 저벽(21)과 크로스 후벽(22)을 구비한다. 크로스 저벽(21)은 좌우 양단(21a)이 사이드 하벽(11)에 하방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된다. 크로스 후벽(22)의 좌우 양단은 사이드 내측벽(12)에 접합된다.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실 이너 종벽(31)의 후부(31a)가 사이드 외측벽(13)의 전부(13a)에 중첩되어 접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rear portion of automotive vehicle body}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는 차체의 후부 구조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사이드 실 이너 패널, 리어 플로어 패널을 구비한다.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사이드 멤버는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크로스 멤버의 양단부는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사이드 멤버의 한쪽 측면(내측벽)의 전단부에 마련된 제 1 플랜지는 크로스 멤버의 측면(후벽) 및 하면(저벽)에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멤버의 다른쪽의 측면(외측벽)의 전단부에 마련된 제 2 플랜지는 크로스 멤버보다도 후방의 위치에서 사이드 실 이너 패널과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멤버의 전단부의 하면(하벽)으로부터 늘어져서 마련된 제 3 플랜지는 크로스 멤버의 하방을 밑으로 빠져나가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7-81627호 공보(단락 OO07 내지 O008, 도 1)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을 최후로 접합하는 경우, 크로스 멤버와 플로어 패널을 스폿 용접으로 접합하는데는, 부재의 어딘가에 스폿 용접용의 건(gun)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멤버를 최후로 접합하는 경우는 사이드 멤버의 내측벽의 플랜지와 크로스 멤버를 스폿 용접하기 위한 개구부가 필요하고,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최후로 접합하는 경우에는 크로스 멤버의 양단부와 사이드 실 이너를 스폿 용접하기 위한 개구부가 필요하다. 그런데, 개구부를 마련하면, 개구부를 마련한 면을 따른 방향의 좌굴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개구부를 만들지 않고 용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개구부를 만들지 않고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외면으로부터 편측용접하는 방법이 있지만, 접합면을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단하중이 작용하는 부위의 접합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사이드 멤버의 외측벽과 사이드 실 이너 패널과의 용접은, 플로어 패널을 최후로 부착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개구부를 만들지 않고, 중첩시켜 스폿 용접할 수 없다. 따라서 사이드 멤버의 외측벽의 전단부에는,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따라 외측 후방으로 되접어 꺾은 플랜지를 마련하고, 이 플랜지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이 스폿 용접된다. 이 때문에, 후방 충돌 등 사이드 멤버의 외측벽에 작용한 전후 방향의 하중은, 되접어 꺾은 부분에 집중하고,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효율적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멤버에 마련된 플랜지는 다양한 방향을 향하여 절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이 번거롭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접합이 용이함과 함께, 후방으로부터의 하중과 측면으로부터의 하중의 양쪽에 대해 강성이 높은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 형태인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의 좌측 부분을 좌전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플로어 패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의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태의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2 중의 F5-F5를 따라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 중의 F6-F6을 따라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 중의 F7-F7을 따라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멤버 2 : 크로스 멤버
3 : 사이드 실 이너 패널 4 : 플로어 패널
5 : 벌크 헤드 6 : 브래킷
11 : 사이드 하벽 11a : 전단
12 : 사이드 내측벽 13 : 사이드 외측벽
13a : 전부 14 : 외향 플랜지
15 : 내향 플랜지 15a : 내향 플랜지 전단부
21 : 크로스 저벽 21a : 양단부
22 : 크로스 후벽 23 : 하향 플랜지
24 : 상연후향 플랜지(크로스 후벽의 상연)
25 : (좌연)후향 플랜지 31 : 실 이너 종벽
31a : 후부 32 : 실 이너 상벽
33 : 실 이너 하벽 64 : 전연 내측 플랜지
A : 단면 W : 편측용접
X : 스폿 용접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자동차의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 후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좌우 양단이 사이드 멤버와 접합되는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보다도 차체의 폭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크로스 멤버보다도 전방 및 후방으로 늘어나는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구비한다. 사이드 멤버는 사이드 하벽과, 이 사이드 하벽의 차체의 내측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사이드 내측벽과, 사이드 하벽의 전단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전연이 마련된 사이드 외측벽을 갖고 있다. 크로스 멤버는 좌우 양단이 사이드 하벽에 하방에서 중첩되어 접합되는 크로스 저벽과, 좌우 양단에서 사이드 내측벽을 따라 후방으로 늘어나는 후향 플랜지에 의해 사이드 내측벽의 도중에 접합되는 크로스 후벽을 갖고 있다.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은 후부가 사이드 외측벽의 전부에 차체의 폭방향 외측부터 중첩되어 접합되는 실 이너 종벽을 갖고 있다.
측면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 내측벽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후벽의 좌우 연장상이 되는 위치에 벌크 헤드를 부착한다. 또한,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은 실 이너 종벽의 하연으로부터 차체의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는 실 이너 하벽을 가지며, 이 실 이너 하벽은 사이드 하벽의 외측연에 마련된 외향 플랜지와 중첩되어 접합된다.
또한,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크로스 저벽의 전연과, 크로스 후벽의 상연과, 사이드 내측벽의 상연과, 실 이너 종벽의 상연으로부터 차체의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는 실 이너 상벽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을 마련한다. 또한, 사이드 멤버의 가공을 간략화하기 위해, 사이드 내측벽 및 사이드 하벽의 전연과 플로어 패널을 접합하는 브래킷을 구비한다. 접합 부분을 늘려 강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 내측벽의 상연으로부터 차체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내향 플랜지의 크로스 후벽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내향 플랜지 전단부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 및 브래킷의 전연으로부터 내방향으로 늘어나는 전연 내측 플랜지와 플로어패널과의 접합부는 플로어 패널을 관통하여 내향 플랜지 및 전연 내측 플랜지에 융합되는 편측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휠 베이스의 길이나 차실의 크기가 다른 차체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드 내측벽과 사이드 하벽, 실 이너 종벽 및 플로어 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단면은, 크로스 멤버와의 결합부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범위에 걸쳐 같은 형상으로 한다.
각 부재의 접합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은 사이드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한 후 부착한다. 또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 및 벌크 헤드를 접합한 후 사이드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하고, 이 후에 플로어 패널을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접합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관해, 도 1부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자동차의 진행 방향(F)을 기준으로 전방(전측), 후방(후측), 좌우 폭방향을 정의하고, 자동차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방향(내측), 자동차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방향을 외방향(외측)이라고 한다.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방향(하측), 중력에 반항하는 방향을 상방향(상측)이라고 한다. 또한,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좌우 대상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을 예로 도시하고 이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사이드 멤버(1), 크로스 멤버(2), 사이드 실 이너 패널(3) 및 플로어 패널(4)을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멤버(1)는 자동차의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멤버(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하벽(11)과 사이드 내측벽(12)과 사이드 외측벽(13)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 하벽(11)은 외측연에 외향 플랜지(14)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내측벽(12)은 사이드 하벽(11)의 차체의 폭방향으로 내측의 연(내측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사이드 내측벽(12)의 상연에는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내향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외측벽(13)은 사이드 하벽(11)의 차체의 폭방향으로 외측의 연(외측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 있고, 전부(13a)가 사이드 하벽(11)의 전단(11a)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2)는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좌우 양단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의 전부와 접합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저벽(21)과 크로스 후벽(22)을 구비하고 있다. 크로스 저벽(21)은 좌우 양단부(21a)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사이드 하벽(11)에 하방에서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저벽(22)의 전연에는 하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하향 플랜지(23)가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 후벽(22)은 상연후향 플랜지(24), 우연후향 플랜지, 좌연후향 플랜지(25)를 구비하고 있다. 상연후향 플랜지(24)는 크로스 후벽(22)의 상연으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우연후향 플랜지 및 좌연후향 플랜지(25)는 각각 우측단 및 좌측단으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내측벽(12)을 따라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후벽(22)은 우연후향 플랜지 및 좌연후향 플랜지(25)에 의해 사이드 내측벽(12)의 도중에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1)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실 이너 종벽(31)과 실 이너 상벽(32)과 실 이너 하벽(33)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이너 종벽(31)의 후부(31a)는 사이드 외측벽(13)의 전부(13a)에 외측에서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이너 상벽(32)은 실 이너 종벽(31)의 상단으로부터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실 이너 하벽(33)은 실 이너 종벽(31)의 하단에서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또한,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실 이너 상벽(32)의 외측단에서 상방향으로 늘어나는 실 이너 상플랜지(34)와, 실 이너 하벽(33)의 외측단에서 하방향으로 늘어나는 실 이너 하플랜지(35)를 구비한다.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실 이너 상플랜지(34) 및 실 이너 하플랜지(35)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실 아우트 패널(30)과 접합되어 사이드 실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내측벽(12)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후벽(22)의 외방향의 연장상 및 이와 평행으로 후방의 위치에는 벌크 헤드(5)가 부착되어 있다. 벌크 헤드(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내측벽(12)의 외측면, 사이드 하벽(11)의 상면 및 실 이너 종벽(31)의 내측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전벽(41)과 플로어 상벽(42)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어 전벽(41)은 크로스 저벽(21)의 하향 플랜지(23)와 접합되어 있다. 플로어 전벽(41)의 좌우 양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의 실 이너 종벽(31)을 따라 전방으로 늘어나는 전향(前向) 플랜지(4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어 전벽(41)은 이 전향 플랜지(43)에 의해 실 이너 종벽(31)과 접합된다. 플로어 전벽(41)의 상연은 플로어 상벽(42)의 전연에 연결되어 있다. 플로어 상벽(42)은 플로어 전벽(41)의 상연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상벽(4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후벽(22)의 상연후향 플랜지(24)와, 사이드 내측벽(12)의 내향 플랜지(15)와, 실 이너 상벽에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연후향 플랜지(24)의 양단부(24a)와 이 부분과 겹쳐지는 내향 플랜지(15) 및 플로어 상벽(42)은 3장 겹쳐 접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의 전단부에는 브래킷(6)이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하여 형성된 브래킷 내벽(61), 브래킷 하벽(62), 브래킷 외벽(63)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 내벽(61)은 사이드 내측벽(12)의 전부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하벽(62)은 사이드 하벽(11)의 전부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외벽(63)은 실 이너 종벽(31)의 전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내벽(61)에는 전연으로부터 내방향으로 늘어나는 전연 내측 플랜지(64)가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 하벽(62)에는 전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전연 하측 플랜지(65)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내측벽(12)과 사이드 하벽(11)과 실 이너 종벽(31)과 플로어 상벽(42)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폭방향의 단면(A)은 크로스 멤버(2)가 사이드 멤버(1)와 결합하여 있는 부분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범위에 걸쳐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분을 갖음에 의해, 휠 베이스 및 차실의 크기가 다른 사양의 자동차라도, 동일한 금형으로 제조된 사이드 멤버(1)를 사용하고, 크로스 멤버(2) 및 벌크 헤드(5)의 설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각 부분의 접합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사이드 멤버(1)에 벌크 헤드(5) 및 브래킷(6)을 부착한다. 이 단계에서는 크로스 후벽(22)의 연장상에 배치되는 벌크 헤드(5)는 사이드 하벽(11)에 접합하는 것 만으로 멈추고, 사이드 내측벽(12)과는 접합하지 않고 둔다. 또한, 사이드 하벽(11)과 크로스 저벽(21)이 겹쳐지는 범위의 브래킷 하벽(62)도 마찬가지로 접합하지 않고 둔다.
벌크 헤드(5)와 브래킷(6)이 부착된 사이드 멤버(1)는 크로스 멤버(2)와 접합된다. 이 단계에서, 앞서 접합하지 않고 둔 벌크 헤드(5)와 크로스 후벽(22)의 좌연후향 플랜지(25)와 사이드 내측벽(12)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장 겹쳐 접합한다. 마찬가지로, 브래킷 하벽(62)의 접합하지 않고 둔 부위(62a)와 크로스 저벽(21)의 양단부(21a)와 사이드 하벽(11)을 3장 겹쳐서 접합한다. 또한, 내향 플랜지(15)와 겹쳐지는 상연후향 플랜지(24)의 양단(24a) 및 하향 플랜지(23)의 좌우 양단부(23a)와 전부 하측 플랜지(65)는 접합하지 않고 둔다.
사이드 멤버(1)와 크로스 멤버(2)를 접합한 후,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은 사이드 멤버(1)와 벌크 헤드(5)와 브래킷(6)에 접합되고,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실 이너 하벽(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하벽(11)의 외향플랜지(14)에 위로부터 중첩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된다. 실 이너 종벽(31)은 벌크 헤드(5) 및 브래킷 외벽(63)과 접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이너 종벽(31)의 후부(31a)는 사이드 외측벽(13)의 전부(13a)에 외측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된다.
이 후, 플로어 패널(4)을 사이드 멤버(1)와 크로스 멤버(2)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에 접합한다. 플로어 전벽(41)의 전향 플랜지(4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이너 종벽(31)에 접합된다. 크로스 저벽(21)의 하향 플랜지(23) 및 브래킷(6)의 전부 하측 플랜지(65)는 플로어 전벽(41)에 접합된다. 크로스 후벽(2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내측벽(12)의 내향 플랜지 전단부(15a)와 플로어 상벽(42)과의 접합부 및 브래킷(6)의 전부 내측 플랜지(64)와 플로어 전벽(41)과의 접합부는 도 7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4)을 관통하여 내향 플랜지 전단부(15a) 및 전연 내측 플랜지(64)에 융합하는 편측용접(W)에 의해 접합된다.
이상의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편측용접(W)을 행하는 부분 이외의 접합부는 스폿 용접(X)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스폿 용접(X)을 행하는 이외에, TIG 용접, MIG 용접, YAG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다. 편측용접은 YAG 레이저 용접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가재(溶加材)를 사용하지 않는 TIG 용접, 소위 맞붙임용접이라도 좋고, 용가재를 사용한 TIG 용접이나 MIG 용접이라도 좋다. 또한, 내향 플랜지 전단부(15) 및 전연 내측 플랜지(64)는 이 편측용접(W)에 의해 부분융합 용접되어도 완전융합 용접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순서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를 조립하는 순서의 한 예이다. 따라서 사이드 멤버(1)와 크로스 멤버(2)를 접합하기 전에, 사이드 멤버(1)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을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멤버(1)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을 접합한 후에 벌크 헤드(5) 및 브래킷(6)을 부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사이드 외측벽(13)의 전부(13a)와 실 이너 종벽(31)의 후부(31a)가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음과 함께, 사이드 하벽(11)의 외향 플랜지(14)와 실 이너 하벽(33)이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등에 의한 하중이 효율적으로 사이드 멤버(1)로부터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사이드 실)에 전해진다. 또한, 플로어 전벽(41)이 실 이너 종벽(31)에 접합되고, 크로스 저벽(21)의 양단부(21a)가 사이드 하벽(11)에 중첩되어 접합되고, 사이드 하벽(11)의 외향 플랜지(14)가 실 이너 하벽(33)에 중첩되어 접합되고, 사이드 내측벽(12)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후벽(22)의 연장상에 벌크 헤드(5)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의 충돌(측돌) 등에 의한 하중이 효율적으로 사이드 실 이너 패널(3)로부터 크로스 멤버(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각 부재의 사이에서 하중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하중이 집중하는 일이 없고, 차체의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사이드 멤버(1)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을 접합한 후, 플로어 패널(4)을 접합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각 부재의 벽에 접합용의 개구 구멍을 마련하는 일 없이, 사이드 멤버(1)와 크로스 멤버(2)의접합 및 사이드 멤버(1)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3)의 접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사이드 내벽(12)을 플로어 전벽(41)까지 연속하는 부재로 하는 것, 사이드 내측벽(12)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후벽(22)의 연장상에 벌크 헤드(5)를 부착하는 것, 크로스 저벽(21)의 양단부(21a)를 사이드 하벽(11)과 중첩하여 접합하는 것, 사이드 하벽(11)의 외향 플랜지(14)와 실 이너 하벽(33)을 중첩하여 접합하는 것, 사이드 외측벽(13)의 전부(13a)와 실 이너 종벽(31)의 후부(31a)를 중첩하여 접합한 것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사이드 멤버(1)와 플로어 패널(4)을 접합하는 브래킷(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멤버(1)의 성형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휠 베이스 및 차실의 길이가 다른 사양의 자동차에 대응하여 전부의 길이를 변경한 사이드 멤버(1)의 전연에 이 브래킷(6)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한, 사이드 내측벽(12)의 내향 플랜지 전단부(15a) 및 브래킷(6)의 전부 내측 플랜지(64)와 플로어 패널(4)을 편측용접(W)하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2)와 사이드 멤버(1)의 결합부에 있어서, 접합되지 않은 부분이 없어지고,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사이드 외측벽의 전부에 실 이너 종벽의 후부를 외측에서 중첩하여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멤버를 후방으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돌 등의 하중이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크로스 저벽은 사이드 하벽에 하방에서 중첩되어 접합되어있다. 따라서 차체의 측면으로부터의 충돌 등의 하중이 효율적으로 크로스 멤버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각 부재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일이 없고, 접합이 용이함과 함께, 후방으로부터의 하중 및 측면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달한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다.
또한, 사이드 내측벽을 사이에 두고 크로스 후벽의 좌우 연장상이 되는 위치에 벌크 헤드를 부착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의 하중을 크로스 후벽에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 이너 하벽은 사이드 하벽의 외측연과 중첩되어 접합되기 때문에, 사이드 하벽과 실 이너 하벽과의 사이에서 하중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크로스 저벽의 전연과 크로스 후벽의 상연과 사이드 내측벽의 상연과 실 이너 상벽과 실 이너 종벽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을 구비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는 강성이 높다. 사이드 멤버의 전단과 플로어 패널을 접합하는 브래킷을 구비하기 때문에, 사이드 멤버의 가공을 간략화할 수 있다. 사이드 내측벽의 내향 플랜지 전단부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 및 브래킷의 전연 내측 플랜지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는 플로어 패널을 관통하여 내향 플랜지 전단부 및 전연 내측 플랜지에 융합하는 편측용접으로 접합함에 의해 접합 부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로서의 강성이 높아진다.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와의 결합부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범위에 걸쳐, 사이드 내측벽과 사이드 하벽과 실 이너 종벽과 플로어 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폭방향의 단면 형상을 같은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휠 베이스의길이나 차실의 크기가 다른 사양의 차체에 대해, 크로스 멤버의 부착 위치를 전후로 비킴으로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사이드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한 후에 플로어 패널을 부착하는, 또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 및 벌크 헤드를 접합한 후, 사이드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하고, 이 후에 플로어 패널을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접합하기 때문에, 각 부재의 벽에 접합용의 개구 구멍을 마련하는 일이 없고, 각 부분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접합 구조는 강성이 높다.

Claims (9)

  1. 자동차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차체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사이드 멤버와, 상기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좌우 양단이 상기 사이드 멤버와 접합되는 크로스 멤버와,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도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보다도 전방 및 후방으로 늘어나는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멤버는, 사이드 하벽과, 이 사이드 하벽의 상기 차체의 내측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사이드 내측벽과, 상기 사이드 하벽의 전단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전부(前部)가 마련된 사이드 외측벽을 가지며,
    상기 크로스 멤버는, 좌우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 하벽에 하방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되는 크로스 저벽과,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내측벽을 따라 후방으로 늘어나는 후향 플랜지에 의해 상기 사이드 내측벽의 도중에 접합되는 크로스 후벽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은, 후부가 상기 사이드 외측벽의 전부에 상기 차체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되는 실 이너 종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크로스 후벽의 좌우 연장상이 되는위치에 벌크 헤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은, 상기 실 이너 종벽의 하연으로부터 차체의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는 실 이너 하벽을 가지며, 이 실 이너 하벽은 상기 사이드 하벽의 외측연에 마련된 외향 플랜지와 중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저벽의 전연과, 상기 크로스 후벽의 상연과, 상기 사이드 내측벽의 상연과, 상기 실 이너 종벽의 상연으로부터 차체의 외방향을 향하여 늘어나는 실 이너 상벽에 접합되는 플로어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측벽 및 상기 사이드 하벽의 전단과 상기 플로어 패널을 접합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측벽의 상연으로부터 차체의 내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내향 플랜지의 상기 크로스 후벽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내향 플랜지 전단부와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 및 상기 브래킷의 전연으로부터 내방향으로 늘어나는 전연 내측 플랜지와 상기 플로어 패널과의 접합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내향 플랜지 전단부 및 상기 전연 내측 플랜지에 융합되는 편측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측벽, 상기 사이드 하벽, 상기 실 이너 종벽 및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단면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와의 결합부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범위에 걸쳐 같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한 후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 및 상기 벌크 헤드를 접합한 후,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실 이너 패널을 접합하고, 이 후에 상기 플로어 패널을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사이드 실 이너 패널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KR1020040023286A 2003-04-07 2004-04-06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KR20040087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3031A JP4168812B2 (ja) 2003-04-07 2003-04-07 自動車の車体後部の結合構造
JPJP-P-2003-00103031 2003-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85A true KR20040087885A (ko) 2004-10-15

Family

ID=3309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286A KR20040087885A (ko) 2003-04-07 2004-04-06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1366B2 (ko)
JP (1) JP4168812B2 (ko)
KR (1) KR20040087885A (ko)
CN (1) CN1318252C (ko)
DE (1) DE102004017181B4 (ko)
TW (1) TWI243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1380B2 (ja) * 2004-06-01 2010-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レーム構造
JP4587782B2 (ja) 2004-11-08 2010-11-24 株式会社アステア 隔壁部材
US7699346B2 (en) * 2005-03-23 2010-04-20 Chrysler Group Llc Force redistributing system for a vehicle in the event of a rear impact
DE602005015218D1 (de) * 2005-09-08 2009-08-13 Ford Global Tech Llc Aufprallschutzstruktur
EP1806270B1 (en) * 2006-01-05 2009-06-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 force coupling assembly
JP4654917B2 (ja) * 2006-01-12 2011-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4281797B2 (ja) * 2006-12-21 2009-06-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DE102007032245A1 (de) * 2007-07-11 2009-01-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karosserie mit seitlichen Schwellern
CN101835676A (zh) * 2007-10-24 2010-09-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体侧部构造
JP5417878B2 (ja) * 2008-05-09 2014-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の後部構造
DE102008036188B4 (de) * 2008-08-02 2017-08-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aufbau für ein Kraftfahrzeug
US8087717B2 (en) * 2008-08-04 2012-01-03 Honda Motor Co., Ltd. Light weigh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reinforcing an automotive roof assembly
CN102666264B (zh) * 2009-12-16 2015-07-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面板接合构造
WO2011114434A1 (ja) * 2010-03-16 201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サイドメンバ構造
JP5604996B2 (ja) * 2010-06-07 2014-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パネル強化構造
FR2962968B1 (fr) * 2010-07-23 2013-02-22 Renault Sa Chassis avec caisson de rehausse pour ancrage de sieges passagers
JP5358597B2 (ja) * 2011-02-17 2013-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のフレーム構造
DE102011051622B4 (de) * 2011-07-07 2021-03-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stärkungselement für eine Fahrzeugstruktur, insbesondere für einen Schweller eines Kraftfahrzeugs
CN103717482B (zh) * 2011-08-02 2016-03-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体后部构造
DE102011115586A1 (de) * 2011-10-11 2013-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Unterbaustruktur für wenigstens zwei Kraftfahrzeuge, insbes. für wenigstens zwei Personenkraftwagen
JP5487236B2 (ja) * 2012-04-05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US8608230B2 (en) * 2012-04-13 2013-12-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ocalized energy dissipation structures for vehicles
JP5597681B2 (ja) * 2012-09-12 2014-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6123506B2 (ja) * 2013-06-10 2017-05-1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6060873B2 (ja) * 2013-11-07 2017-01-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MX2016010018A (es) * 2014-03-05 2016-09-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uerpo de estructura de junta de miembros.
US9452783B1 (en) * 2015-04-02 2016-09-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ffset bulkhead for creating a compressive mechanical lock
US9758192B2 (en) * 2015-05-11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derbody structure for absorbing energy to improve roof structure integrity during side impact
JP2017013522A (ja) * 2015-06-26 2017-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DE102015220308B3 (de) * 2015-10-19 2017-0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struktur für ein zweispuriges Fahrzeug
US9751567B2 (en) * 2015-12-07 2017-09-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ail assembly for controlled lateral deformation
JP6500768B2 (ja) * 2015-12-21 2019-04-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FR3052427B1 (fr) * 2016-06-13 2018-07-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un panneau arriere et de sa doublure avec un element de renforcement integre
JP6544369B2 (ja) * 2017-03-03 2019-07-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10202028B1 (en) * 2017-08-09 2019-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action Battery Sub-Frame Assembly
JP2019081491A (ja) * 2017-10-31 2019-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ラダーフレーム
US10293862B1 (en) 2018-01-12 2019-05-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sill assembly reinforced with a tube and box-shaped brackets
JP2019131007A (ja) * 2018-01-30 2019-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11186317B2 (en) * 2019-06-24 2021-11-3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20214684A1 (de) * 2020-11-23 2022-05-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trägerstruktur mit geschlossenem Hohlprofil, insbesondere Längsträger, sowie Fahrzeugrahmenstruktur mit mindestens einer solchen Fahrzeugträger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891A (en) * 1962-02-05 1964-05-12 Gen Motors Corp Vehicle underbody construction
US3423122A (en) * 1966-12-29 1969-01-21 Budd Co Unitized automobile body construction
JPS58133967A (ja) * 1982-02-04 1983-08-0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S5911971A (ja) * 1982-07-12 1984-01-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4673205A (en) * 1986-06-16 1987-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structure
US4950031A (en) * 1987-07-04 1990-08-21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rear underbody structure
JP3467756B2 (ja) * 1993-03-30 2003-11-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構造
JP3114451B2 (ja) 1993-09-20 2000-1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JP3194261B2 (ja) * 1993-12-14 2001-07-30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側部構造
DE19811781B4 (de) * 1998-03-18 2004-01-29 Daimlerchrysler Ag Karosseriestruktur
DE50109497D1 (de) * 2001-07-05 2006-05-24 Ford Global Tech Llc Kraftfahrzeugkarosserie
JP3674571B2 (ja) * 2001-10-15 2005-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0251A (en) 2005-01-01
CN1318252C (zh) 2007-05-30
DE102004017181B4 (de) 2014-10-09
CN1535880A (zh) 2004-10-13
US6951366B2 (en) 2005-10-04
JP2004306777A (ja) 2004-11-04
TWI243775B (en) 2005-11-21
US20040195865A1 (en) 2004-10-07
DE102004017181A1 (de) 2004-11-18
JP4168812B2 (ja)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7885A (ko) 자동차의 차체 후부의 결합 구조
KR100932066B1 (ko) 자동차 차실 전부의 결합 방법
US654731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5703380B2 (ja) 車体上部構造
US9604675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and vehicle body assembly method
CN106515866B (zh) 车辆框架结构
KR2004008202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CN103391874A (zh) 汽车的车身前部构造
JP6485419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5180877B2 (ja) 車体骨格構造
JP2006240415A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
JP4045775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6272931B2 (ja) 車体構造
JP2009143335A (ja) カウルサイド部の接合構造
JP2009248820A (ja) 車体前部構造
JP7177813B2 (ja) 車体前部構造
JP7177815B2 (ja) 車体前部構造
JP4036430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3205856A (ja) 自動車のピラー構造
JP5871682B2 (ja) 車両の車体補強構造
US20220348264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2024067348A (ja) フロントピラーロア
JP5799900B2 (ja) 車両前部構造
JP2005199919A (ja) サイドメンバ構造
JP2023000440A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06

Effective date: 2006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