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026A -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026A
KR20040082026A KR1020040006506A KR20040006506A KR20040082026A KR 20040082026 A KR20040082026 A KR 20040082026A KR 1020040006506 A KR1020040006506 A KR 1020040006506A KR 20040006506 A KR20040006506 A KR 20040006506A KR 20040082026 A KR20040082026 A KR 2004008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ide member
joined
front sid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타타츠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서도 차체 앞부분의 강성을 높이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사이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사이드 부재(1)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와, 리어 사이드 부재(3)와, 브레이스(4)를 구비한다. 프론트 사이드 부재(2)는 대시 패널(50)의 종벽(51)에 따른 대시면(D)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대시면(D)을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난다. 리어 사이드 부재(3)는 대시면(D)에 후방으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대시면(D)을 넘어서 전방으로 늘어나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2)와 접합된다. 브레이스(4)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의 만곡부(22a)보다도 전방으로부터 종벽(51)에 맞닿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CAR SIDE MEMB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는 차체의 강도 부재에 있어서, 차체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 사이드 부재는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차실의 아래를 빠져나와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좌우의 사이드 부재는 차실 앞부분에서,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크로스 부재) 및 대시 패널과 접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사이드 부재는 어퍼 패널(upper panel)과 언더 패널(under panel)을 구비한다. 어퍼 패널은 평판형상이고,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부로부터 전방으로 늘어난다. 언더 패널은 상방을 향하여 열린 모자(hat) 형상 단면을 가지며,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부로부터 전방으로 늘어남과 함께 대시 패널에 따라 차실의 아래를 빠져나와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크로스 부재는 후방을 향하여 열린 모자 형상 단면을 가지며, 대시 패널의 차실 외측에 접합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는 사이드 부재와의 접합부가 사이드 부재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크로스 부재는 차폭 방향 양 단부가 후방으로 만곡하고 있다.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는 차폭 방향으로 외측벽 및 내측벽의 2면에서 서로 스폿(spot)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부재에 가하여지는 하중은 접합부를 통하여 크로스 부재로 전달되고 차량 앞부분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특허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2522690호 공보(도 1)
그러나,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는 접합부에서 외측벽 및 내측벽에 접합되고, 상벽 및 하벽(언더 패널의 하측벽)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방충돌이나 측방충돌 등의 하중은 상벽 및 하벽으로부터 크로스 부재로 전달되지 않고, 외측벽 및 내측벽의 접합 부분에 집중된다. 그 때문에, 사이드 부재는 크로스 부재의 접합부와의 부근에서 절곡되기 쉽다.
또한, 사이드 부재의 어퍼 패널(상벽)은 대시 패널보다도 전방에서 도중에 잘려 있다. 그리고, 사이드 부재의 언더 패널의 내측벽과 외측벽은 크로스 부재 및 대시 패널에 플랜지로 접합되어 있다. 주행중에 전륜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에 의해 사이드 부재가 비틀리는 경우, 사이드 부재 그 자체에 강성이 없으면, 크로스 부재나 대시 패널에 접합된 플랜지 부에 하중이 집중함과 함께, 잡아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폿 용접부가 변형하기 쉽다.
또한, 사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크로스 부재의 접합부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크로스 부재를 돌출시켜서 만들어져 있다. 접합부는 돌출량이 크면, 디프드로잉 가공으로 되어, 가공이 곤란하다. 따라서 접합부의 돌출량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크게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와의 사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차량의 앞부분의 강성을 높이기가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차체 앞부분의 강성을 높이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사이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부재는 차체의 폭방향으 가로질러서 차실의 앞부분에 배치되고 대시 패널의 아래를 빠져나오며,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를 전제로 한다. 이 사이드 부재는 대시 패널의 종벽에 따른 대시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대시면을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대시면을 넘어서 전방으로 늘어나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접합되는 리어 사이드 부재와, 일단측으로부터 프론트 사이드 부재의 만곡부보다도 전방측에 접속되고 타단측이 종벽에 맞닿는 브레이스 부재를 구비한다.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리어 사이드 부재와의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전부상벽과 전부하벽과 전부내측벽을 갖는 이너 부재와, 전부외측벽을 갖는 아우터 부재를 구비하고, 리어 사이드 부재를 이너 부재와 아우터 부재의 사이로 후방으로부터 들어가게 한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부재에 가하여지는 하중을 효율 좋게 리어 사이드 부재로 전달하기 위해,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이너 부재 및 아우터 부재에 의해 폐단면을 형성하고, 리어 사이드 부재는 저벽과 후부내측벽과 후부외측벽을 갖고서 대시 패널과의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는 어퍼 부재와, 이 어퍼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로우어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의 폐단면과 리어 사이드 부재의 폐단면을 연속시키기 위해, 어퍼 부재를 로우어 부재보다도 전방까지 프론트 사이드 부재로 들어가게 한다. 사이드 부재의 비틀림 강성을 높이기 위해, 로우어 부재의 외측연에 마련된 로우어 상향 플랜지의 전단을, 이너 부재의 전부상벽의 외측연에 마련된 상방 플랜지의 후단과 아우터 부재의 전부외측벽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플랜지와의 사이에 끼운다. 또한, 로우어 부재는 어퍼 부재의 후부외측벽보다도 외측을 향하여 늘려서 대시 패널의 외측단과 접합한다. 또한, 어퍼 부재의 후부외측벽의 상연에 마련되는 외향 플랜지의 전단을, 로우어 상향 플랜지와 어퍼 부재의 외측벽에 겹쳐지는 하부외측벽의 상단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선반부에 접합한다. 프론트 사이드 부재의 만곡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브레이스 부재는 아우터 부재의 상측 플랜지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상부외측벽의 상연에 마련되는 상연 플랜지와, 이너 부재의 전부내측벽에 접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 형태의 사이드 부재 중, 좌측의 사이드 부재를 차실 내측 상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이드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이드 부재 어우터를 떼어내고 차실 외측 상방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사이드 부재 어우터를 떼어내고 차실 외측 후방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사이드 부재의 어우터를 떼어냄과 함께, 로우어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차실 외측 옆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 중 F6-F6에 따라 도시한 사이드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도 5 중 F7-F7에 따라 도시한 사이드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5 중 F8-F8에 따라 도시한 사이드 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도 5 중 F9-F9에 따라 도시한 사이드 부재의 단면도.
1 : 사이드 부재
2 : 프론트 사이드 부재
3 : 리어 사이드 부재
4 : 브레이스
22 : 이너
22a : 만곡부
23 : 아우터
24 : 전부상벽
24a : 이너 상방 플랜지
24b : 후단
25 : 전부하벽
26 : 전부내측벽
27 : 전부외측벽
27a : 아우터 상측 플랜지
28 : 상부외측벽
28a : 상연 플랜지
32 : 어퍼
33 : 로우어
33a : 로우어 상향 플랜지
33b : 전단
33c : 하부외측벽
33d : 선반부
34 : 저벽
35 : 후부내측벽
36 : 후부외측벽
36a : 어퍼 외향 플랜지
36b : 전단
50 : 대시 패널
51 : 종벽
D : 대시면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side member)(1)에 관하여, 도 1부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자동차의 진행 방향(F)을 기준으로 전방(앞측), 뒤쪽(후측), 좌우 폭방향을 정의하고, 자동차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방향(내측), 자동차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방향을 외방향(외측)이라고 한다. 또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방향(하측), 중력에 반하는 방향을 상방향(상측)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1)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 중, 좌측의 사이드 부재(1)이다. 우측의 사이드 부재는 좌측의 사이드 부재(1)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사이드 부재(1)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차실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대시 패널(dash panel)(50)의 전방으로부터 차실의 아래를 빠져나와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대시 패널(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벽(51)을 갖고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벽(51)에 따라 대시(dash)면(이하, 대시면(D) 이라고 한다)(D)이 설정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1)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front 사이드 부재)(2), 리어 사이드 부재(rearside member)(3), 브레이스(brace)(4)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부재(2)의 후부는 전방으로부터 대시면(D)에 근접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부재(2)의 후단(21)은 대시면(D)을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 있다. 리어 사이드 부재(3)의 전부(前部)는 후방으로부터 대시면(D)에 근접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리어 사이드 부재(3)의 전단(31)은 대시면(D)을 넘어서 전방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부재(3)의 전단(31)은 프론트 사이드 부재(2)의 후단(21)과 겹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접합은 스폿(spot) 용접에 의해 행하여지고, 대표하는 수개의 위치를 도면중에 접합부(X)로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부재(2)는 이너(inner)(22)와 아우터(outer)(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22)는 전부상벽(24)과 전부하벽(25)과 전부내측벽(26)을 가지며, 아우터(23)는 전부외측벽(27)을 갖고 있다. 전부상벽(24)에는 외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이너 상방 플랜지(24a)가 마련되고, 전부하벽(25)에는 외측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이너 하방 플랜지(25a)가 마련되어 있다. 전부외측벽(27)의 상측에는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가 마련되고, 전부외측벽(27)의 하측에는 아우터 하측 플랜지(27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23)에는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상부외측벽(28)이 마련되고, 이 상부외측벽(28)의 상연에는 상연 플랜지(28a)가 마련되어 있다. 이너 상방 플랜지(24a)는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와 접합되고, 이너 하방 플랜지(25a)는 아우터 하측 플랜지(27b)와 접합된다.
리어 사이드 부재(3)는 어퍼(upper)(32)와 로우어(lower)(33)를 구비하고 있다. 어퍼(32)는 저벽(34)과 후부내측벽(35)과 후부외측벽(36)을 가지며, 로우어(33)는 리어 사이드 부재(3)의 만곡부로서 어퍼(32)가 상방으로 만곡하는 부분(만곡부(32a))보다도 뒤쪽 측의 위치로부터 앞의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덮고서 부착되어 있다. 어퍼(32)와 로우어(33)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서 접합된다. 리어 사이드 부재(3)는 이너(22)와 아우터(23)의 사이로 들어가 있다. 어퍼(32)는 로우어(33)보다도 전방까지 프론트 사이드 부재(2)에 들어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퍼(32)의 저벽(34)은 이너(22)의 전부하측벽(25)에 접합된다. 어퍼(32)의 후부내측벽(35)은 이너(22)의 전부내측벽(26)에 접합된다. 어퍼(32)의 후부외측벽(36)은 아우터(23)의 전부외측벽(27)에 접합된다. 로우어(33)의 외측연에는 로우어 상향 플랜지(33a)가 마련되고, 로우어 상향 플랜지(33a)의 전단(33b)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상방 플랜지(24a)의 후단(24b)과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접합된다.
어퍼(32)의 후부내측벽(35)에는 상연으로부터 내측으로 늘어나는 어퍼 내향 플랜지(35a)가 마련되어 있다. 어퍼(32)의 후부외측벽(36)에는 상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늘어나는 어퍼 외향 플랜지(36a)가 마련되어 있다. 어퍼 내향 플랜지(35a) 및 어퍼 외향 플랜지(36a)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로 들어간 부분보다도 뒤쪽측의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어퍼 외향 플랜지(36a)의 전단(36b)은 로우어(33)의 로우어 상향 플랜지(33a)와 후부외측벽(36)에 겹쳐지는 하부외측벽(33c)의 상단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선반부(33d)에 접합된다. 또한, 어퍼 내향 플랜지(35a) 및 어퍼 외향 플랜지(36a)는 대시 패널(50)의 차실 외측으로부터 접합된다. 어퍼(32)는 대시 패널(50)과의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한다.
브레이스(4)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의 만곡부가 되는 이너(22)의만곡부(22a)보다도 전방의 전부상벽(24) 및 전부내측벽(26)에 따라 후방으로 늘어나는 브레이스 상벽(41)과 브레이스 내측벽(42)을 구비한다. 브레이스(4)의 후단(4a)은 대시 패널(50)의 종벽(51)에 맞닿아 있다. 브레이스(4)는 브레이스 상벽(41)의 외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브레이스 상향 플랜지(41a)를 구비한다. 브레이스 상향 플랜지(41a)는 전단(41b)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상향 플랜지(24a)에 접합됨과 함께, 이너 상향 플랜지(24a)를 상방으로 넘어서 아우터(23)의 상연 플랜지(28a)와 접합된다. 또한, 브레이스 상벽(41)의 전단(41c)은 이너(22)의 전부상벽(24)에 접합되고, 브레이스 내측벽(42)은 이너(22)의 전부내측벽(26)에 접합된다. 브레이스(4)의 후단(4a)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시 패널(50)의 종벽(51)에 따라 차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크로스 부재(52)의 상벽(53)에 접합된다. 그리고, 대시 패널(50)의 차실 외측부분에는 브레이스(4), 이너(22), 아우터(23)에 의해, 2단으로 폐단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강도가 증가한다.
다음에, 사이드 부재(1)의 조립 순서의 한 예를 설명한다. 우선, 이너(22)의 만곡부(22a)보다도 전방의 전부상벽(24) 및 전부내측벽(26)과 브레이스(4)의 전단(4b), 및, 만곡부(22a)의 범위의 전부내측벽(26)과 브레이스 내측벽(42)의 하연(42a)을 접합한다. 또한, 어퍼(32)와 로우어(33)의 겹치는 부분을 각각 접합한다(도 3 참조). 어퍼 외향 플랜지(36a)의 전단(36b)과 선반부(33d)와의 접합은 이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고, 사이드 부재(1)를 대시 패널(50)에 접합하는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리어 사이드 부재(3)에 조립된 어퍼(32)와 로우어(33)를 차체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이너(22)에 부착한다. 이 단계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하벽(25)과 저벽(34)의 전단(34a),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내측벽(26) 및 브레이스 내측벽(42)의 하연(42a)과 후부내측벽(35)의 전단(35b),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하벽(25)의 후단(25b)과 로우어(33)의 전단하부(33e) 및 어퍼(32)의 저벽(34), 전부내측벽(26)의 후단(26a)과 로우어(33)의 전단내측(33f) 및 어퍼(32)의 후부내측벽(35)이 접합된다. 로우어 상향 플랜지(33a)의 전단(33b)과 이너 상향 플랜지(24a)의 후단(24b)은 이 단계에서 접합하여도 좋고, 사이드 부재(1)를 대시 패널(50)에 접합하는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최후로, 차체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아우터(23)를 부착한다. 이 단계에서, 도 6부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상향 플랜지(24a)와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23)의 상연 플랜지(28a)와 브레이스 상향 플랜지(41a), 도 6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하향 플랜지(25a)와 아우터 하측 플랜지(27b),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어 상향 플랜지(33a(33b))와 아우터 상측 플랜지(27a),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외측벽(27)과 후부외측벽(36)의 전단(36b),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부외측벽(27)과 로우어(33)의 하부외측벽(33c) 및 어퍼(32)의 후부외측벽(36)이 각각 접합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함으로써, 접합은 전부 스폿 용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폿 용접을 행하는 대신에, MIG 용접, TIG 용접, YAGlaser 용접 등으로 행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이드 부재(1)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가 대시면(D)을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 있음과 함께, 리어 사이드 부재(3)가 대시면(D)을 넘어서 전방으로 늘어나 프론트 사이드 부재(2)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부상벽(24), 전부하벽(25), 전부내측벽(26), 전부외측벽(27)에 의해 폐단면이 구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2)와, 저벽(34), 후부내측벽(35), 후부외측벽(36), 및 대시 패널(50)에 의해 폐단면이 구성되는 리어 사이드 부재(3)가 매끈하게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충돌 등의 전방으로부터의 하중을 적확하게 후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재는 각각 겹쳐지게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굽힘, 인장, 비틀림의 하중이 사이드 부재에 가해져도 각 접합부(X)에 걸리는 하중은 전단하중이다. 특히, 프론트 사이드 부재(2)와 리어 사이드 부재(3)의 접합부(X)에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면에 걸쳐서 서로의 부재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만곡부(22a, 32a)는 복수의 부재를 겹처서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부재(1) 단체(單體)로서의 강성이 높다.
본 발명의 사이드 부재에 의하면, 굽힘, 인장, 비틀림에 대한 사이드 부재 단체로서의 강성이 높고, 크로스 부재와의 접합 강도에 의지하지 않고 차체 앞부분의 강성을 높이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이너 부재와 아우터 부재의 사이에 리어 사이드 부재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리어 사이드 부재의 폐단면이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프론트 사이드 부재의 하중이 적확하게 리어 사이드 부재로 전달되기가 쉬워진다.
그리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 및 리어 사이드 부재의 각각은 접합부 및 만곡부에서 복수의 부재가 서로 겹처짐에 의해 강성이 높아진다.

Claims (12)

  1. 차체의 폭방향에 가로질러 차실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대시 패널의 아래를 빠저나오며,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대시 패널의 종벽에 따른 대시면을 넘어서 후방으로 늘어나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대시면을 넘어서 전방으로 늘어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차량 전후방향으로 늘어난 면에서 중합하고, 해당 중합부에서 접합되는 리어 사이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일단측이 해당 프론트 사이드 부재에 접합되고, 타단측이 상기 종벽에 접합되는 브레이스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대시 패널 부근에서 상기 브레이스 부재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에 의해 또한 폐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전부상벽과 전부하벽과 전부내측벽을 갖는 이너 부재와, 전부외측벽을 갖는 아우터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스 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의 상기 아우터 부재에 형성된 상측 플랜지로부터 상방에 늘어나는 상부외측벽의 상연에 마련되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전부내측벽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의 전단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 내부로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는 전부상벽과 전부하벽과 전부내측벽을 갖는 이너 부재와, 전부외측벽을 갖는 아우터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의 전단은 저벽과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의 저벽은 상기 이너 부재의 하벽에 접합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의 내측벽은 상기 이너 부재의 내측벽에 접합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의 외측벽은 상기 아우터 부재의 외측벽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사이드 부재는 후부저벽과 후부내측벽과 후부외측벽을 가지며 상기 대시 패널과의 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는 어퍼 부재와, 상기 어퍼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로우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부재는 상기 로우어 부재보다도 전방까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부재의 외측연에 마련된 로우어 상향 플랜지의 전단은 상기 이너 부재의 전부상벽의 외측연에 마련된 이너 상방 플랜지의 후단과, 상기 아우터 부재의 상기 전부외측벽의 상측에 마련된 아우터 상측 플랜지와의 사이에 끼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부재는 상기 어퍼 부재의 후부외측벽 보다도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서 상기 대시 패널의 외측단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부재의 후부외측벽의 상연에 마련되는 어퍼 외향 플랜지의 전단은 상기 로우어 상향 플랜지와 상기 후부외측벽에 겹쳐지는 하부외측벽의 상단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선반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12.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대시 패널의 종벽에 따른 대시면의 아래를 빠져나와 후방으로 늘어나는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대시면의 아래를 빠져나와 전방으로 늘어나는 리어 사이드 부재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중합하여 접합되고, 차체의 사이드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KR1020040006506A 2003-03-17 2004-02-02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KR20040082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2057 2003-03-17
JP2003072057A JP4123021B2 (ja) 2003-03-17 2003-03-17 自動車のサイドメン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26A true KR20040082026A (ko) 2004-09-23

Family

ID=3295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506A KR20040082026A (ko) 2003-03-17 2004-02-02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8146B2 (ko)
JP (1) JP4123021B2 (ko)
KR (1) KR20040082026A (ko)
CN (2) CN100491180C (ko)
DE (1) DE102004012804B4 (ko)
TW (1) TWI240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219A (ko) * 2003-10-24 2005-04-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사이드멤버 보강구조
JP4398746B2 (ja) * 2004-02-04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フレーム構造
KR100644942B1 (ko) * 2004-10-0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워의 하부 충돌 분산 구조
JP4394032B2 (ja) * 2005-04-15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005021462A1 (de) * 2005-05-10 2006-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r Strukturverstärkung an einem geschlossenen oder prozessbedingt bereits geschlossenem Profil
JP4761905B2 (ja) * 2005-09-27 2011-08-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ハット型金属製部材とその設計方法
US7347491B2 (en) * 2006-02-14 2008-03-25 Ford Motor Company Rail to rocker joint using hydroformed members
DE102006036455A1 (de) * 2006-08-04 2008-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Neues Vorderrahmenkonzept für den Karosserieaufbau auf einer multiplen Plattform
JP4297152B2 (ja) * 2006-10-06 2009-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2009234495A (ja) * 2008-03-28 2009-10-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DE102008047695A1 (de) 2008-09-18 2010-03-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JP4881937B2 (ja) * 2008-11-12 2012-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4881936B2 (ja) * 2008-11-12 2012-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FR2943610A1 (fr) 2009-03-25 2010-10-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chassis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9049312B3 (de) 2009-10-14 2011-06-16 Audi Ag Längsträger eines Fahrzeugkarosserieaufbaus
US8485591B2 (en) * 2010-05-10 2013-07-16 Honda Motor Co., Lt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10021995A1 (de) * 2010-05-29 2011-12-01 Audi Ag Bodenbaugruppe eines Fahrzeugkarosserieaufbaus
DE102010034932A1 (de) * 2010-08-20 2012-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strukturverstärkter Vorderrahmenanbindung
DE102010051256A1 (de) * 2010-11-12 2012-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Verstärkungsstruktur
FR2970459B1 (fr) * 2011-01-18 2013-02-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Liaison entre le longeron interieur et le longeronnet avant de la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insi equipe
CN103391874B (zh) * 2011-02-23 2016-01-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汽车的车身前部构造
FR2989054B1 (fr) 2012-04-05 2014-03-21 Renault Sa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optimise pour l'absorption d'un choc frontal
JP6060873B2 (ja) * 2013-11-07 2017-01-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5999134B2 (ja) * 2014-04-25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10086873B2 (en) * 2016-01-06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ruded multi-component motor vehicle sub-frame
JP6172426B1 (ja) * 2016-02-19 2017-08-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自動車部材
EP3418165B1 (en) 2016-02-19 2021-09-08 Nippon Steel Corporation Automobile member
KR101795399B1 (ko) 2016-06-22 2017-1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JP6590129B1 (ja) * 2018-02-28 2019-10-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用の金属板、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部品の製造方法
JP7047479B2 (ja) * 2018-03-09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FR3094326B1 (fr) * 2019-03-28 2021-02-26 Psa Automobiles Sa Structure arrière de caiss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platines de renfort fixées sur les longeronnets avant
JP7137904B2 (ja) * 2019-12-04 2022-09-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FR3134782B1 (fr) * 2022-04-21 2024-03-0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longeron avec une pièce de renfor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4379C2 (de) * 1981-04-09 1986-11-20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Aufbaustruktur eines Personenkraftwagens
JPS6364883A (ja) * 1986-09-04 1988-03-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レ−ム構造
JPH0386689A (ja) * 1989-08-31 1991-04-11 Mazda Motor Corp 車両フレーム構造
JPH0750301Y2 (ja) 1989-09-30 1995-11-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522690Y2 (ja) 1990-05-14 1997-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2652928B2 (ja) * 1994-10-17 1997-09-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6412818B1 (en) 1999-08-31 2002-07-02 Dana Corporation Vehicle body and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439432B2 (ja) * 2000-06-27 2003-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KR100361299B1 (ko) * 2000-11-01 2002-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 분산기능을 갖는 차량의 전방실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76788A (ja) 2004-10-07
CN100460264C (zh) 2009-02-11
US20040183340A1 (en) 2004-09-23
TWI240690B (en) 2005-10-01
TW200422219A (en) 2004-11-01
CN1530275A (zh) 2004-09-22
DE102004012804A1 (de) 2004-10-07
DE102004012804B4 (de) 2022-11-17
CN100491180C (zh) 2009-05-27
CN101007546A (zh) 2007-08-01
US6908146B2 (en) 2005-06-21
JP4123021B2 (ja)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202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부재
KR100932066B1 (ko) 자동차 차실 전부의 결합 방법
JP5235889B2 (ja) ロッカに対するピラーの接合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168812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の結合構造
JP3738508B2 (ja) 車体の前部フレーム構造
JP4696756B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WO2013069086A1 (ja)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JP200313713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H0976937A (ja) 車体骨格部材の結合部構造
JP6181099B2 (ja) 車体の後部構造
JP4421380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H08113166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6282106A (ja) 車体骨格の補強構造
JP4285414B2 (ja) 車体骨格構造
JP5411245B2 (ja) 車体側部構造
JP4442987B2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2002154459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4093017B2 (ja) 後部車体構造
KR100402441B1 (ko) 차체 구조
JP2000318644A (ja) 車体構造
KR100521927B1 (ko) 테일 게이트 상단 코너부의 강성 보강구조
JPH0925482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7101355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H0621832Y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H11310160A (ja) 自動車のクロスメンバ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17

Effective date: 2007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