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472A - 컬러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472A
KR20040024472A KR1020030061887A KR20030061887A KR20040024472A KR 20040024472 A KR20040024472 A KR 20040024472A KR 1020030061887 A KR1020030061887 A KR 1020030061887A KR 20030061887 A KR20030061887 A KR 20030061887A KR 20040024472 A KR20040024472 A KR 20040024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toner
point
uni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958B1 (ko
Inventor
노구치유우스케
에마히로미치
이시이히로시
후쿠치유타카
쿠마카즈오사
스즈키카즈키
키쿠라마코토
사토마스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6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023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4002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2차 전사로부터 정착까지에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장치 본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는 소형화를 도모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수단(8)이 중간 전사 벨트(7)의 하부측 주행변을 따라 병렬 배치되고, 그 중간 전사 벨트(7)의 하부측 주행변이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할 수록 화상 형성 수단(8)의 높이 레벨이 하부로 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Description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컬러 프린터, 컬러 복사기, 컬러 팩시밀리 등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 프린터나 컬러 복사기 등과 같은 풀 컬러 장치가 요망되고 있고, 그 요망에 응답하기 위하여 많은 풀 컬러 기기가 시판되고 있다. 이 풀 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는 흑백 장치와 비교하여 그 구조상에 있어 장치가 대형화되어 있고 또한 화상 형성 속도도 저속인 것이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흑백 프린터와 같이 테이블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고 또한 화상 형성 속도도 고속으로 될 것이 요망되고 있다.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컬러 기록 방식을 크게 나누면, 1 드럼형과 탠덤형의 각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드럼형은 하나의 감광체 주위에 복수색의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현상 장치로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체상에 합성 토너 화상을 형성하며, 그 토너 화상을 전사하여 용지에 컬러 화상을 기록하는 방식의 것이다. 한편, 탠덤형은 나란히 마련된 복수개의 감광체에 각각 단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들 단색 토너 화상을 순차적으로 전사하여 용지에 합성 컬러화상을 기록하는 방식의 것이다.
1 드럼형과 탠덤형의 화상 형성 장치를 비교하면, 1 드럼형은 감광체가 하나이기 때문에 탠덤형에 비하여 화상 형성부를 소형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1개의 감광체를 이용하여 복수회(통상 4회) 화상 형성을 반복하여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의 고속화에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후자의 탠덤형은 소형화, 비용 면에서는 상기 1 드럼형보다 못하지만 화상 형성의 고속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속도에 있어 흑백과 같은 수준의 속도를 얻을 수 있는 탠덤형이 요망되고 있고 또 근래에 매우 주목받고 있다.
탠덤형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감광체(51)상의 화상을 전사 장치(52)에 의해 용지 이송 벨트(53)로 이송되는 용지에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직접 전사 방식의 것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감광체(51)상의 화상을 1차 전사 장치(52)에 의해 일단 중간 전사 벨트(54)에 순차적으로 전사한 후, 그 중간 전사 벨트(54)상의 화상을 2차 전사 장치(55)에 의해 용지에 일괄적으로 전사하는 간접 전사 방식의 것이 있다.
직접 전사 방식의 것과 간접 전사 방식의 것을 비교하면, 전자는 감광체(51)를 나란히 배치한 탠덤형 화상 형성 장치의 상류 측에 용지 공급 장치(60)를, 하류 측에 정착 장치(61)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용지 이송 방향으로 대형화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후자는 2차 전사 위치(55)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용지의 이송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속도의 고속화를 고려할 때, 기록 방식이 탠덤형이면서 또한 소형화로 되려면 간접 전사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 탠덤형 기록 방식이면서 간접 전사 방식인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고찰하면, 용지 공급구로부터 정착까지의 용지의 이송 경로가 가장 짧게 되도록 세로 이송을 채용할 때, 용지의 이송 거리가 짧은 만큼 고속화되고 또 용지 걸림 등도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세로 이송 경로를 채용한 장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전사 위치(55)가 중간 전사 벨트(54)의 오른쪽 끝에 위치하게 되는 것은 필연적이다. 이 때, 일반적인 중간 전사 벨트(54)의 상부 주행변에 4개의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화상 형성 유닛(50)을 배치하면, 최종의 블랙(BK) 화상이 전사된 후 대략 반 원주 정도 회전한 다음 전사 장치(55)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만큼 최초 복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래서, 탠덤형 기록 방식이면서 간접 전사 방식인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세로 이송 경로를 채용한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54)의 아래쪽 주행변에 4개의 화상 형성 유닛(50)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이와 같이 배치된 장치에서는 용지의 이송 경로가 거의 최단으로 되고, 또한 최종 화상이 전사된 후 바로 중첩 화상이 2차 전사 위치에 오기 때문에 최초 복사 시간도 단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테이블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하고 또한 고속 화상 형성을 실현하려면 현재의 기술로부터 탠덤형 기록 방식이면서 간접 전사 방식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세로 이송 경로를 채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사 위치로부터 정착 위치까지의 거리는 사용하는 용지 크기 등에 의해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한 바, 도 6을 이용하여 그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2차 전사부(55)의 선속을 a, 정착부(61)에서의 선속을 b로 하면, 양자의 선속은 a = b가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 문제로서는 a = b로 설정하여도 공차로부터 a = b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고, 만약 전사보다 정착이 빠른 a<b가 되면, 전사부와 정착부에 걸쳐 용지가 이송될 때, 전사 중의 용지가 정착부에 의하여 끌어 당겨져 전사 편향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전사부와 정착부의 관계는 미리 a>b로 하여 상기한 전사 편향을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정착부보다 전사부의 선속이 빠른 a>b로 설정하면, 전사부와 정착부에 걸쳐 이송되는 용지가 크게 옆으로 위치가 어긋나면서 느슨함이 발생되고, 이 느슨함에 의해 미정착 토너 화상이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하여 화상이 어지러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사부로부터 정착부까지의 거리(h)는 용지의 느슨함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용지 크기에 따른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 전사점으로부터 정착점까지의 높이 h·sinβ(도 7 참조)는 용지에 전사된 화상이 주위에 의해 스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컨대
 a: 정착 롤러의 선속
 b: 전사 롤러의 선속
 c: 용지의 부주사 방향의 길이
 l: 용지 느슨함 양
 l':전사 스침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허용 느슨함 양
으로 했을 때,
 1) a ≤ b
 2) (b-a) × c/b = l
 3) MAXl ≤ l'
 을 만족시키면 좋다.
이에 탠덤형 기록 방식이면서 간접 전사 방식인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세로 이송 경로를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고찰하면, 전사부로부터 정착부까지의 거리(h)를 확보하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점유 면적이 되는 장치 본체의 폭이나 안길이도 어느 정도 작게 하고자 하여도 그 이상으로 장치 높이가 높아지면 용지 접수, 용지 걸림 처리, 토너 수납 용기의 교환 등 조작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전사부로부터 정착부까지의 거리(h)를 확보하면서 장치 본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한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상기한 세로 이송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거리(h)를 확보하면서 장치 본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한다는 것은 아주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상 형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2차 전사로부터 정착까지에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장치 본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는 소형화를 도모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직접 전사의 탠덤형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간접 전사의 탠덤형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간접 전사의 탠덤형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장치의 문제점을 경감할 수 있는 탠덤형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 설명도.
도 6은 2차 전사와 정착 사이의 용지 이송에 존재하는 종래예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형성되는 전기 장비부를 배치 가능한 공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7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정의되는 각 포인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정의되는 각 각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정의되는 각 포인트를 보충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정의되는 각 포인트를 보충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5는 대용량 토너 수납부를 한 개만으로 한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도 15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정의되는 각 포인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각 토너 수납부를 사각형으로 한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치 본체
 7중간 전사 벨트
 8Y, 8M, 8C, 8BK화상 형성 유닛
 10감광체 드럼
 12현상 장치
 202차 전사 장치
 22정착 장치
 30∼33전기 장비 유닛
36a,36b,36c,36d,36e토너 카트리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부, 이 화상 형성부의 감광체에 광 기록을 수행하는 광 기록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용지에 담지된 미정착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부, 화상 형성을 끝낸 용지를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 화상 형성 수단에 보급할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부, 및 복수개의 전기 장비 유닛을 구비하는 전기 장비부가 마련되어 있는 화상 형성부와, 이 화상 형성부로 보낼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수단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을 따라 병렬 배치되고, 이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이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할 수록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높이 레벨이 아래쪽으로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되어 그 벨트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부가 마련되고, 화상 형성부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 용지 공급구, 상기 2차 전사부, 상기 정착부 및 상기 용지 배출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용지 공급부의 용지 공급구로부터 상기 2차 전사부, 상기 정착부를 경유한 상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대략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위쪽에 상기 토너 수납부가,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부에 상기 광 기록부가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수납부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아래쪽 주행변과 평행으로 경사져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 화상 형성 수단이 각각 다른 색의 화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수납부에는 화상 형성 수단으로 형성하는 색의 토너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토너 수납 수단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토너 수납 수단의 색 배치 순서가 일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색의 상기 토너 수납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수단까지의 토너 보급 경로 길이가 대략 동일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수납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른 색 토너 수납 수단의 토너 수납량이 상이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너 수납 수단이 상부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장치 본체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병렬 배치되어 있고, 그 때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토너 수납 수단일수록 높이 레벨이 위쪽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광 기록부의 하부에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전기 장비부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공간에 배치된 전기 장비부가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략 삼각형인 공간에 제어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대략 삼각형인 공간 밖으로 상기 전사부와 반대측 방향의 중간 전사 벨트의 안쪽에 전원 유닛이 배치되어 있으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 분리하는 점과 같은 높이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정착부의 정착 닙부 중심점을 TT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T1 (y)이 상기 점유 공간의 최상위 점인 동시에, 정착 닙부 중심점의 폭 TT (x)에 있어서 T1 (y) ≤ TT (x)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 분리하는 점과 같은 높이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정착부의 정착 닙부 중심점을 TT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3 (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 (y)에 있어서 TT (y) ≤ T3 (y)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3 (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 T4 (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 (y)에 있어서 T4 (y) ≤ TT (y) ≤ T3 (y)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최하부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배출부의 배출점을 HS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1 (y)과 배출점 HS (y)에 있어서 HS (y) ≤ T1 (y)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1 (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점 T2 (y)와 배출점의 높이 HS (y)에 있어서 T2 (y) ≤ HS (y) ≤ T1 (y)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θ로 할 때, 이 각도 θ가 5도∼25도의 범위이면 효과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컬러 레이저 프린터(10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컬러 레이저 프린터(100)는 장치 본체(1)의 하부에 용지 공급부(2)가 배치되고, 그 상방에 화상 형성부(3)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3)에는 복수개의 롤러(4, 5, 6)에 씌워진 가요성을 구비한 엔드리스 벨트에 의하여 구성된 화상 담지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7)의 롤러(4)와 롤러(5) 사이는 이 벨트의 하부측 벨트 주행변에 상당하고, 그 아래쪽 주행변에 대향하여 화상 형성부가 마련되며 이 화상 형성부에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이 배치되어 있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은 중간 전사 벨트(7)에 접하는 잠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감광체 드럼(10)의 주위에는 대전 장치(11), 현상 장치(12), 클리닝 장치(13)가 배치되고, 나아가 감광체 드럼(10)이 중간 전사 벨트(7)에 접하는 위치에서의 중간 전사 벨트(7) 내측에는 1차 전사의 전사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은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현상 장치(12) 내의 현상제 색은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BK)의 4색으로 나뉘어진다. 또,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의 하부에는 광 변조된 레이저광(L)을 각 감광체 드럼 표면에 조사하는 광 기록 수단으로서의 광 기록 유닛(15)이 배치되는데, 이 레이저광(L)은 대전 장치(11)와 현상 장치(12) 사이로 감광체 드럼(10)에 조사된다. 광 기록 유닛(15)은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이 각각 마련하여도 좋지만, 본 예와 같이 공통의 광 기록 유닛(15)을 이용하면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화상 형성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의 감광체 드럼(10)이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그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이 대전 장치(11)에 의해 소정의 극성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체 표면에는 광 기록 유닛(15)으로부터의 레이저광(L)이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10)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때, 각 감광체 드럼(10)에 노광되는 화상 정보는 소망하는 풀 컬러 화상을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의 색 정보로 분해한 단색의 화상 정보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2)를 통과할 때, 각 현상 장치(12)의 현상제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가시상화된다.
또, 중간 전사 벨트(7)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4, 5, 6)중 1개의 롤러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 역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것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가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주행 구동되며 다른 롤러가 종동 회전한다. 이와 같이 주행하는 중간 전사 벨트(7)에는 옐로우 현상 장치(12)를 구비하는 옐로우 화상 형성 유닛(8Y)으로 형성된 옐로우 토너 화상이 전사 장치(14)에 의해 전사된다. 그 전사된 옐로우 토너 화상에는 화상 형성 유닛(8C, 8M, 8BK)으로 형성된 시안 토너 화상, 마젠타 토너 화상 및 블랙 토너 화상이 전사 장치(14)에 의해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되고, 최종적으로는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에 풀 컬러 토너 화상이 담지된다. 나아가, 중간 전사 벨트(7)에는 롤러(6)에 대향하여 2차 전사 장치(20)가 배치되고, 롤러(4)에 대향하여 벨트 표면을 청소하는 벨트 클리닝 장치(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의 감광체 드럼 표면에 부착하는 잔류 토너는 클리닝 장치(13)에 의해 감광체 드럼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고 계속하여 그 표면이 도시하지 않는 방전 장치에 의해 방전 작용을 받음으로써 그 표면 전위가 초기화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에 대비할 수 있다.
한편, 용지 공급부(2)로부터 종이 또는 수지 시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지가 용지 공급구(2a)를 통하여 화상 형성부(3)로 공급된다. 화상 형성부(3)로 이송된 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4)를 통하여 롤러(6)와 대향하는 2차 전사 장치(20)의 사이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때 2차 전사 장치(20)에는 중간 전사 벨트 표면의 토너 화상의 토너 대전 극성과 역극성의 전사 전압이 가해지고, 이것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 표면의 토너 화상이 용지상에 일괄적으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22)를 통과할 때, 정착 장치(22)의 열 및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용지에 용융되어 정착된다. 정착된 용지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배출 롤러(23a)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의 상부로 구성된 용지 배출부(23)로 배출된다. 또,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한 후의 중간 전사 벨트(12)는 이 벨트에 잔류한 토너가 클리닝 장치(21)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의 설명은 용지상에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의 화상 형성 동작이지만,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단색 화상을 형성하거나 2색 또는 3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컬러 프린터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8Y, 8M, 8C 및 8BK)을 중간 전사 벨트(7)에 대향하여 마련하고 중간 전사 벨트(7)에 순차적으로 각 색의 토너 화상을 중첩 전사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수단 하나가 4색의 현상 장치를 구비하여 중간 전사체상에 토너 화상을 중첩 전사한 후 용지에 전사하는 형식의 것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간 전사 벨트의 상부 주행변에 화상 형성 수단을 배치한 것과 비교하여 최초 인쇄가 빠르게 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컬러 프린터는 중간 전사 벨트(7)의 롤러(4)와 롤러(5)간의 아래쪽 주행변을 경사시키고, 그 경사진 아래쪽 주행변에 대향시켜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을 병렬 배치시키고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7)의 아래쪽 주행변의 경사 방향은 중간 전사 벨트(7)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한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일수록 높이 레벨이 하부로 되는 방향이며, 도 7에서는 오른쪽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컬러 프린터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린터와 대략 동일한 구성 부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장치 본체의 높이는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이송 경로인 용지 공급부(2)로부터 정착 장치(20)까지의 거리도 짧게 되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7)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경로가 짧아져도 2차 전사 장치(20)로부터 정착 장치(20)까지에 필요한 거리(h)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있다.
또, 중간 전사 벨트(7)의 주행변이 도 4와 같이 수평이면, 벨트 전체를 동일 높이 레벨에 위치시키게 되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좌측이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프린터 본체에는 좌측 아래에 현저한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도 8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 기록 유닛(15)의 폭을 A로 하면, 한 변의 높이가 A·sinθ, 다른 한 변의 길이가 A·cosθ인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그 공간에 전기 장비 유닛을 배치하면 프린터는 높이 뿐만이 아니라 폭방향에 있어서도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나아가, 도 7의 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7)의 하부에 4개의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 그 하부에 광 기록 유닛(15), 그리고 광 기록 유닛(15) 아래에는 각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필요한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 전원 유닛(30)과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내부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 유닛(31) 및 장치 전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엔진 제어기(32)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린터에 필요되는 전기 장비 유닛을 광 기록 유닛(15)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프린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프린터에서는 전원 유닛(33)만을 장치 후방에 직립하여 배치하고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본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3)의 레이아웃은 수학식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3)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분리하는 점과 같은 높이의 점을 원점으로 했을 때의 레이아웃 관계식에 있어 각 포인트의 정의는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배출점:HS(x, y)
 2) 정착 닙부 중심점:TT(x, y)
 3) 전사점:TS(x, y)
 4) 레지스트레이션점:RE(x, y)
 5) 공급 분리점:BR(x, y)
 6)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의 높이를 규정하는 점: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T1(x, y)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T2(x, y),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T3(x, y),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T4(x, y)
정착 닙부 중심점과 토너 수납부의 최단 거리를 형성하는 토너 수납부의 점:T5(x, y)이다.
또, 레이아웃 관계식에 있어서의 각 각도의 정의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중간 전사 벨트(7) 하부 주행변과 수평면(HL)이 형성하는 각도: θ
 2) 중간 전사 롤러(5)의 전사점(TS)과 화상 형성부(8)의 단부가 연장하여 중간전사 벨트와 접하는 점을 연결하는 선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각도: φ
 3) 전사점(TS)과 공급 분리점(BR)을 연결하는 선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각도: γ
 4) 정착점과 전사점을 연결하는 선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각도: β
나아가, 레이아웃 관계식에 있어서의 각 거리의 정의는 도 10,1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중간 전사 벨트 하부 주행변에서 화상 형성 수단을 사이에 두고 광 기록 수단의 하변부까지의 폭: d1
 2) 공급 분리점(BR)으로부터 광기록 수단(15)까지의 y방향의 거리: d2
3) 중간 전사 벨트(7) 하부 주행변에서 전사점(TS)까지의 거리: d3
 4) 공급 분리점(BR)으로부터 전사점(TS)까지의 y방향의 거리: D
 5) 토너 고착 방지 거리: HI
 6) 토너 고착 방지 거리(x방향): HIx
 7) 토너 고착 방지 거리(y방향): HIy
 8) 전사점과 정착점의 거리: h
 9) 안쪽 원통형 토너 수납부(36d)의 중심점과 앞측 원통형 토너 수납부의 중심점과의 거리: N
 10) 원통형 토너 수납부의 반경: R1
 11) 원통형 토너 수납부의 반경(다른 것과 상이한 반경의 경우): R2
 이다.
본 프린터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점의높이 방향(y방향)의 크기를 T1(y)로 하면,
T1(y) = R1+(N + R1) sinθ + HIy + h·sinβ + D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R1 + (N + R1) sinθ +HIy는 정착점(TT)으로부터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부까지의 높이, h·sinβ 는 전사점(TS)으로부터 정착점(TT)까지의 높이, 그리고 D는 공급 분리점(BR)으로부터 전사점(TS)까지의 y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D는
 D = d2 + d1·cosθ + d3 sinφ
로 나타낼 수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프린터의 최대폭 점의 x방향의 크기 TT(x)는
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관계식으로부터, 화상 형성부(3)의 레이아웃은 화상 형성부(3)의 가장 안쪽 최하부를 원점으로서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의 높이 T1(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폭TT(x)에 있어서 T1(y) ≤ TT(x)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의 높이 T3(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y)에 있어서, TT(y) ≤ T3(y)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의 높이 T3(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의 높이 T4(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y)에 있어서, T4(y) ≤ TT(y) ≤ T3(y)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의 높이 T1(y)와 배출점 HS(y)에 있어서, HS(y) ≤ T1(y)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의 높이 T1(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의 높이 T2(y)와 배출점의 높이 HS(y)에 있어서, T2(y) ≤ HS(y) ≤ T1(y)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 중간 전사 벨트(7)의 하부측 주행변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 θ를
 sinθ =(T1(y) - HIy - h·sinβ - D - R1)/(N+R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각도 θ가 5도 ∼ 25도의 범위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7의 본 프린터와 도 4의 프린터를 비교해 본다. 또한, 도 9는 도 7의 프린터의 평면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린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또, 양자는 각 구성 부재가 대략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도 7 및 도 9와 도 4 및 도 5로부터 분명하듯이, 상기한 레이아웃 관계식에 의해 규정된 본 프린터는 도 7의 우측 단부쪽을 정면으로 했을 때, 양자의 깊이는 570 mm로 동일 사이즈이지만, 폭에 있어서 420 mm와 475 mm로 55 mm만큼 소형화되고,높이에 있어서 468 mm와 475 mm로 7 mm만큼 소형화되므로 본 프린터를 소형 사이즈로 할 수 있다. 이 차이는 밀리 단위이지만 현시점에서의 소형화 기술이 거의 망라되어 있고,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수밀리라도 소형화로 되는 것은 아주 유익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한 프린터에 있어서 토너는 소모품이므로, 소비량에 따라 토너가 토너 수납 수단으로서의 토너 카트리지(36)로부터 보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모두 동일 사이즈로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36)와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의 현상 장치(12)가 도시하지 않는 토너 보급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토너 보급 장치는 오거에 의해 토너를 이송하는 것인데, 그 오거의 구동은 메인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달받는다. 이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36a,36b,36c,36d)로부터 그 토너를 보급하는 현상 장치(12)까지의 토너 이송 경로의 길이, 각도를 모두 동일하게 한다. 즉, 각 토너 카트리지(36a,36b,36c,36d)는 중간 전사 벨트(7)의 위쪽에서 그 중간 전사 벨트(7)의 아래쪽 주행변의 경사와 동일 각도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의 배치 간격과 동간격으로 병렬 배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토너 카트리지(36a,36b,36c,36d)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닛(8Y, 8C, 8M, 8BK)의 현상 장치(12)까지의 이송 조건이 대략 동일하게 되고, 동일 구동원으로 토너 이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설정 및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토너 카트리지(36)는 토너 엔드(END)로 되면 신품과 교환하여야 하는데,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용지 배출부(23)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부 커버(37)를 도 14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6)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36)는 안쪽의 것일 수록 상위 위치에 위치하므로 취급하기 쉽고, 모든 토너 카트리지(36)를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교환 작업성, 시인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의 프린터는 용지 공급으로부터 용지 배출까지의 이송 경로를 거의 최소 길이로 할 수 있고, 나아가 이송 경로는 도 7과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4)로부터 정착 장치(22)까지를 거의 직선으로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직선적인 이송 경로는 용지 걸림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아주 유리하다. 또한, 프린터(100)의 정면 판을 개폐 가능토록 함으로써 용지 걸림 처리를 위한 이송 경로의 개방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토너 수납부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36e)를 다른 토너 카트리지(36a,36b,36c)보다 수납량을 크게 할 수 있는데, 예컨대 가장 소비량이 많은 블랙 토너의 수납량을 다른 컬러 토너보다 크게 하면 교환 빈도를 억제할 수 있어 유리하다. 나아가 토너 카트리지(36f)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이 아니고 네모난 통형이어도 좋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화상 형성 수단이 배치되는 하부측 벨트 주행변이 경사져 있으므로, 복수개의 화상 형성 수단을 이용하는 형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그 종횡 양쪽의 크기를 모두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용지 공급에서 용지 배출까지의 이송 경로가 세로 방향이므로, 이송 경로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의 길이로 하여 화상 형성 시간을 가장 단축시킬 수 있고 게다가 용지 걸림 등의 위험도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4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부와 화상 형성부의 배치에 규칙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각 토너 수납 수단으로부터 각 화상 형성 수단까지의 토너 보급에 관한 이송 조건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어 토너 보급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 빈도가 높은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 수단을 대용량으로 하므로 토너 수납 수단의 교환 횟수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토너 수납 수단 교환시에 안쪽일 수록 상위에 위치하므로, 교환 작업성이나 시인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광 기록 수단의 하부에 전기 장비 유닛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9 및 10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 유닛을 낭비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나아가 전원 유닛은 정착열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고 방열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장치가 너무 높음으로 인한 조작성의 악화를 방지하고, 장치의 안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장치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장치를 너무 높게 하거나 설치 면적을 넓게 하는 일 없이, 조작성의 향상과 장치의 소형화를 균형있게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 및 13의 구성에 의하면, 각 토너 수납 수단의 시인성이 좋고 또한 교환이 용이한 상태로 경사져 있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 가장 앞에 있는 토너 수납 수단이 가장 취급하기 양호한 높이로 되어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 및 15의 구성에 의하면, 각 토너 수납 수단의 시인성이 좋고 또한 교환이 용이한 상태로 경사져 있고, 또 사용자에게 있어 가장 안쪽에 있는 토너 수납 수단이 가장 취급하기 좋은 높이로 되어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6의 구성에 의하면,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장 고속이고 소형이고 조작성이 좋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감광체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부, 이 화상 형성부의 감광체에 광 기록을 수행하는 광 기록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용지에 담지된 미정착 토너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부, 화상 형성을 끝낸 용지를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 화상 형성 수단에 보급할 토너를 수납한 토너 수납부, 및 복수개의 전기 장비 유닛을 구비하는 전기 장비부가 마련되어 있는 화상 형성부와, 이 화상 형성부로 보낼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을 따라 병렬 배치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은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할 수록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높이 레벨이 하부로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되어 그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부가 마련되고, 화상 형성부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 용지 공급구, 상기 2차 전사부, 상기 정착부 및 상기 용지 배출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용지 공급부의 용지 공급구로부터 상기 2차 전사부, 상기 정착부를 통한 상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대략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위쪽에 상기 토너 수납부가, 상기 화상 형성부의 하부에 상기 광 기록부가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수납부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아래쪽 주행변과 평행으로 경사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 화상 형성 수단은 각각 상이한 색의 화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수납부에는 화상 형성 수단으로 화상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색 토너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토너 수납 수단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토너 수납 수단의 색 배치 순서가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색의 토너 수납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수단까지의 토너 보급 경로의 길이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른 색 토너 수납 수단의 토너 수납량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납 수단이 상부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시인성이 좋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장치 본체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병렬 배치되어 있고, 그 때 안쪽에 위치하는 토너 수납 수단일수록 높이 레벨이 위쪽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광 기록부의 하부에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전기 장비부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공간에 배치된 전기 장비부는 제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삼각형인 공간에 제어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대략 삼각형인 공간 밖으로 상기 전사부와 반대측 방향의 중간 전사 벨트의 안쪽에 전원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 분리하는 점과 같은 높이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정착부의 정착 닙부 중심점을 TT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T1(y)이 상기 점유 공간의 최상위 점인 동시에, 정착 닙부 중심점의 폭 TT(x)과의 관계에 있어서
    T1 (y) ≤ TT (x)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 분리하는 점과 같은 높이의 점을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정착부의 정착 닙부 중심점을 TT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3 (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y)의 관계에 있어서
    TT (y) ≤ T3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3(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 T4(y)와 정착 닙부 중심점의 높이 TT(y)에 있어서
    T4 (y) ≤ TT (y) ≤ T3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최하부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1,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2,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을 T3,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을 T4로 하고, 배출부의 배출점을 HS로 했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1(y)과 배출점을 HS (y)에 있어서
    HS (y) ≤ T1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토너 수납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 수납부의 최상위 점 T1(y) 및 그 토너 수납부의 최하위 점 T2(y)와 배출점의 높이 HS(y)에 있어서
    T2 (y) ≤ HS (y) ≤ T1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변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θ로 할 때, 이 각도 θ는 5도∼25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61887A 2002-09-12 2003-09-04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0564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6629A JP4190237B2 (ja) 2001-10-22 2002-09-12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266629 2002-09-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395A Division KR100603656B1 (ko) 2002-09-12 2005-03-17 컬러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72A true KR20040024472A (ko) 2004-03-20
KR100564958B1 KR100564958B1 (ko) 2006-03-30

Family

ID=323756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87A KR100564958B1 (ko) 2002-09-12 2003-09-04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22395A KR100603656B1 (ko) 2002-09-12 2005-03-17 컬러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395A KR100603656B1 (ko) 2002-09-12 2005-03-17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6898407B2 (ko)
EP (3) EP1548516B1 (ko)
KR (2) KR100564958B1 (ko)
CN (3) CN1300645C (ko)
DE (2) DE60310588T2 (ko)
ES (1) ES227636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118411B (zh) * 2003-03-05 2010-04-2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US7016629B2 (en) * 2003-04-17 2006-03-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ing unit of increased capacity
JP4444719B2 (ja) * 2003-07-07 2010-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279743B2 (en) * 2003-12-02 2007-10-09 Vishay-Siliconix Closed cell trench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JP2005181815A (ja) * 2003-12-22 2005-07-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7788B2 (ja) * 2004-06-18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措置
JP4490195B2 (ja) 2004-07-12 2010-06-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7447469B2 (en) * 2004-10-18 2008-11-0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 toner container thereon
CN100440065C (zh) * 2004-10-18 2008-12-03 株式会社理光 成像设备和用于将墨粉容器安装在其上的安装构件
JP4521759B2 (ja) * 2004-11-26 2010-08-11 株式会社リコー 排気装置及びその排気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663455B2 (ja) * 2004-11-30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15340B2 (ja) * 2005-03-17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ユニット及びこれが挿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2006259430A (ja) * 2005-03-18 2006-09-28 Ricoh Co Ltd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6370B2 (ja) 2005-04-11 2011-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60291906A1 (en) * 2005-06-23 200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25086A (ja) * 2005-07-14 2007-02-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70059056A1 (en) * 2005-09-13 2007-03-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JP4639131B2 (ja) * 2005-09-15 2011-02-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ユニット位置調整方法
US7512373B2 (en) * 2005-09-15 2009-03-3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ier capable of supplying developer at increased speed
JP2007163742A (ja) * 2005-12-13 2007-06-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23484B2 (ja) 2005-12-13 2012-09-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39211B2 (ja) * 2006-07-31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14272B2 (ja) * 2006-08-30 2011-06-2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トナーカートリッジ用アダプタ、トナーカートリッジ組立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42689B2 (ja) 2006-12-21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3222B2 (ja) * 2007-06-18 2013-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75409A (ja) * 2007-09-21 2009-04-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8301052B2 (en) * 2009-02-25 2012-10-30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user contact prevention
CN101624714B (zh) * 2009-08-18 2010-12-29 杜强 含有机添加剂的铜锡锌镀液及利用该镀液进行电镀的工艺
JP5510895B2 (ja) 2010-05-14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用電源スイッチの配置構造、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9823092B2 (en) 2014-10-31 2017-11-21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or providing a movement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2658A (ja) 1990-02-21 1991-10-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210573A (en) * 1990-07-26 1993-05-11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240864A (ja) 1991-01-25 1992-08-28 Canon Inc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5216323A (ja) 1992-02-05 1993-08-27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5232776A (ja) 1992-02-19 1993-09-1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289468A (ja) 1992-04-06 1993-11-05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6214436A (ja) 1993-01-18 1994-08-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143300A (ja) 1993-11-12 1995-06-02 Canon Inc 電子写真装置
US5508789A (en) * 1994-11-22 1996-04-16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and calibrate deliberate speed mismatch in color IOTs
JP3374056B2 (ja) 1997-09-24 2003-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37641B2 (ja) 1999-03-16 2007-06-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80171B2 (ja) 1999-03-31 2004-10-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42680A (ja) * 1999-06-14 2001-09-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ユニット装置、並びにベルト装置
JP3815139B2 (ja) 1999-09-06 2006-08-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321052B1 (en) * 1999-09-08 2001-11-20 Fuji Xero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running state and tension for an endless belt in an image-forming apparatus
JP2001100488A (ja) 1999-09-30 2001-04-13 Casio Electronics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198890B1 (en) * 1999-10-06 2001-03-06 Aetas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ing arrangement with inclined photoreceptor path
JP3812246B2 (ja) 1999-10-25 2006-08-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17389B2 (ja) 1999-11-02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JP3844658B2 (ja) 2000-02-08 2006-11-15 株式会社リコー 荷電ローラ、帯電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荷電ローラへのフィルム材巻付方法
JP2001265096A (ja) 2000-03-14 2001-09-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38954B2 (ja) 2000-03-14 2008-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890849B2 (ja) 2000-03-31 2007-03-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1143304B1 (en) 2000-04-07 2008-05-14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minimizing toner contamination on an image formation member
US6591077B2 (en)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CN1220117C (zh) * 2000-05-11 2005-09-21 株式会社理光 彩色图象形成装置和调色剂供给装置
US6798430B2 (en) 2000-06-14 2004-09-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ndem type color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rayed in running direction of intermediate image transfer member
JP2002005183A (ja) 2000-06-26 2002-01-09 Ricoh Co Ltd 回転摺動用カラー
JP3795770B2 (ja) 2000-06-30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4351814B2 (ja) * 2000-07-2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535818B2 (ja) 2000-08-31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容器およびこれの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826626B1 (en) 2000-09-27 2012-12-05 Ricoh Company, Ltd.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JP3958511B2 (ja)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87324A (ja) 2000-10-11 2002-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開閉部スイッチ機構
CN100403187C (zh) * 2000-10-27 2008-07-16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方法及其装置
JP2002144633A (ja) * 2000-11-10 2002-05-22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957968B2 (ja) 2000-11-24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2166593A (ja) 2000-11-30 2002-06-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82451A (ja) 2000-12-13 2002-06-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14868A (ja) * 2001-01-18 2002-07-31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998120B2 (ja) 2001-01-23 2007-10-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該画像形成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ATE370445T1 (de) * 2001-12-07 2007-09-15 Seiko Epson Corp Entwicklungsgerät und dieses beinhaltender bildformungsapparat
US6647233B2 (en) * 2002-01-22 2003-11-1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29057A (ja) * 2002-06-21 2004-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53818A (ja) 2002-07-18 2004-02-1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CN1268987C (zh) * 2002-07-26 2006-08-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包括转印带的图像形成装置
JP2004245874A (ja) * 2003-02-10 2004-09-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295575B2 (ja) * 2003-08-05 2009-07-15 株式会社リコー 像担持体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1836A3 (en) 2004-06-30
EP2003511B1 (en) 2010-07-07
DE60333318D1 (de) 2010-08-19
EP1548516A1 (en) 2005-06-29
EP1431836A2 (en) 2004-06-23
US7406283B2 (en) 2008-07-29
US7263309B2 (en) 2007-08-28
KR100603656B1 (ko) 2006-07-24
DE60310588D1 (de) 2007-02-01
US20080240799A1 (en) 2008-10-02
US20050169653A1 (en) 2005-08-04
US20070127946A1 (en) 2007-06-07
KR20050044872A (ko) 2005-05-13
CN1991614B (zh) 2010-04-21
CN100557520C (zh) 2009-11-04
CN1493931A (zh) 2004-05-05
CN1991614A (zh) 2007-07-04
CN1664712A (zh) 2005-09-07
US7606521B2 (en) 2009-10-20
EP1548516B1 (en) 2006-12-20
EP2003511A1 (en) 2008-12-17
US20070242976A1 (en) 2007-10-18
US6898407B2 (en) 2005-05-24
DE60310588T2 (de) 2007-09-27
KR100564958B1 (ko) 2006-03-30
US7333749B2 (en) 2008-02-19
US20040126150A1 (en) 2004-07-01
CN1300645C (zh) 2007-02-14
ES2276363T3 (es) 200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958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US9152070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76099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7385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mage forming unit assembly
US20100215401A1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50078795A1 (en) Waste-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9023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2020011711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72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269544A1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4480553B2 (ja) 画像形成装置
US109965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developer container each having an engagement portion
US89091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pport members with predetermined electric potentials
JP394074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54737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193369A (ja) 画像形成装置
US6418294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length a non-integral multiple of image pitch
JP2005128543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子写真方式印刷機
US105309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95564A (ja) 画像形成装置
US5132721A (en) Multipurpose imaging apparatus
US10001728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llection container with a swing portion
KR100553894B1 (ko) 토너 카트리지
US2006007835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