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181A -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181A
KR20040022181A KR1020030061777A KR20030061777A KR20040022181A KR 20040022181 A KR20040022181 A KR 20040022181A KR 1020030061777 A KR1020030061777 A KR 1020030061777A KR 20030061777 A KR20030061777 A KR 20030061777A KR 20040022181 A KR20040022181 A KR 2004002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drive
crossbeam
guide
driv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206B1 (ko
Inventor
코허요하네스
외를레마르코
슈미트미하엘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86860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221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1, 2, 3, 3', 4, 40)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설은 승강로(10)내에 승강실(11) 및 평형추(12)를 포함한다. 승강기 시설은 크로스빔(8)상에 설치된 구동 엔진을 포함한다. 크로스빔의 각각의 2개의 단부 영역은 각각의 평형추 가이드(9, 9')에 고정되고, 또한 이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하나 이상의 승강실 가이드(5, 5')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ARRANGING A DRIVE ENGINE OF A LIFT INSTALLATION}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동 엔진이 구동 케이블에 의해 승강실 및 평형추를 구동하고 승강기 시설이 개별적인 엔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승강기 시설이 일본 실용신안 제 50297/1992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스스로 지지하는 U-자 형상의 단면 부재 형태의 2개의 수직 기둥은 승강실 및 평형추용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기둥의 상단부는 구동 엔진이 설치되는 수평 크로스빔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승강기 시설은 엔진실의 제거로 인해 저 생산 비용의 장점을 갖는다.
유럽특허 제 1045811 호에는, 구동 엔진을 지탱하는 크로스빔이 승강실 및평형추용 전체 4개의 가이드에 고정되는 승강기 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구동 엔진, 승강실 및 평형추의 전체 수직 무게는 이들 가이드에 의해 승강로(shaft) 바닥에 독점적으로 전달 및 지지된다. 그러한 경우에 경제적인 종래 가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장점 외에 추가적으로, 이러한 배치 및 고정에 의해 수직력만이 가이드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구동 엔진은 지지 가이드상에 어떠한 휨 모멘트(bending moment)도 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승강기 시설의 단점은 가이드가 연장하는 측면 승강로 영역으로 구동 엔진을 배치하는 것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엔진의 유연한 배치를 허용하는 승강기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 엔진은 승강실 및 평형추 위쪽의 전체 승강로 영역에 자유롭게 선택가능하게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엔진은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작은 치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의 정의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승강실 및 평형추를 갖는 승강기 시설 및 승강로에 관한 것이다. 이 승강기 시설은 크로스빔상에 설치된 구동 엔진을 포함한다. 크로스빔의 각각의 2개의 단부 영역은 각각의 평형추 가이드에 고정되고, 또한 이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하나 이상의 승강실 가이드에 고정된다.
2개의 평형추 가이드 및 하나의 승강실 가이드는 승강로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삼각형을 형성한다. 구동 엔진은 기다랗고 간결한 형태를 갖는다.유리하게, 구동 엔진은 승강실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구동 풀리를 포함한다.
대칭 삼각형인 가이드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 구동 엔진의 무게 및 구동 엔진의 작동중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는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또한 크로스빔 및 가이드에 의해 승강로 바닥에 전달된다. 구동 엔진은 삼각형 영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형추 및/또는 승강실 위쪽에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엔진의 배치에 대한 이러한 유연성은, 크로스빔의 크기와 형상 및/또는 사용된 편향 롤러의 개수 및/또는 채택된 구동 수단의 종류에 의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승강기 시설의 가이드의 삼각형 배치의 개략도.
도 2는 2 : 1로 현수되고 평형추 위로 수직 돌출하는 기어레스형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의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의 부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라 2 : 1로 현수되는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의 부분의 개략도.
도 5는 2 : 1로 현수되고 평형추 및/또는 승강실 위로 수직 돌출하는 기어레스형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라 2 : 1로 현수되는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2 실시예의 부분의 개략도.
도 7은 2 : 1로 현수되고 승강실 위로 수직 돌출하는 기어레스형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따라 1 : 1로 현수되는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의 부분의 개략도.
도 9는 2 : 1로 현수되고 승강실 위로 수직 돌출하는 기어가 있는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4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라 2 : 1로 현수되는 기어가 있는 구동 엔진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4 실시예의 부분의 개략도.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 모터 2 : 브레이크 3, 3' : 구동 풀리 4 : 축
5, 5' : 승강실 가이드 7 : 브래킷 8 : 크로스빔
9, 9' : 평형추 가이드 10 : 승강로 11 : 승강실 12 : 평형추
도 1은 승강기 시설의 가이드(5, 5', 9, 9')의 삼각형 배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승강기 시설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직 승강로(10)내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0)는 예를 들어, 4개의 벽으로 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승강실 가이드(5, 5') 및 평형추 가이드(9, 9')는 승강로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승강실 가이드는 승강실(11)을 안내하고 2개의 평형추 가이드는 평형추(12)를 안내한다. 이들 가이드는 옆에 인접하는 벽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평형추 가이드(9, 9')와 제 1 승강실 가이드(5)는 제 1 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승강실 가이드(5')는 제 2 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벽은 제 1 벽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승강실 가이드(5)는 2개의평형추 가이드(9, 9')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는 강(steel)과 같은 검증된 재료로 제조된다. 가이드를 벽에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나사 연결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둥근 단면을 갖는 다른 승강로 형상도 실현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2개의 평형추 가이드(9, 9)와 2개의 승강실 가이드(5, 5')중 하나의 가이드는 승강로(10)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삼각형(T)을 형성한다. 2개의 평형추 가이드 사이의 수평 연결기는 삼각형(T)의 제 1 변을 형성한다. 평형추 가이드와 승강실 가이드 사이의 수평 연결기는 삼각형(T)의 제 2 변 및 제 3 변을 형성한다. 유리하게, 평형추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가 승강실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보다 더 길어서, 제 1 벽의 가이드(9, 9', 5)로 이루어진 삼각형(T)은 평형추 가이드(9, 9')의 수평 연결기의 반대편에서 둔각을 갖고, 제 1 벽의 평형추 가이드(9, 9')와 제 2 벽의 승강실 가이드(5')로 이루어진 삼각형(T)은 평형추 가이드(9, 9')의 수평 연결기의 반대편에서 예각을 갖는다. 유리하게 승강실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가 평형추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와 실질적으로 중심에 교차하므로, 삼각형(T)은 실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구동 풀리(3, 3')를 갖는 구동 엔진(1, 2, 3, 3', 4, 40)을 도시한다. 유리하게 구동 풀리(3, 3')는 축(4)에 의해 모터(1) 및 브레이크(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리하게, 모터 및 브레이크는 축의 양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 풀리는 모터와 브레이크 사이의 축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기 시설의 제어부 및/또는 변압기는 승강로(10)의 벽의 스위치 박스(6)내에 유리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엔진은 기어레스형(gearless)이고 또한 기다란 형상을 갖고, 즉 축(4)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서 바라본 구동 엔진의 직경은 구동 엔진의 길이보다 더 작다. 도 9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엔진에는 기어(40)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엔진은 기다란 형상을 갖고, 즉 기어(40)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서 바라본 구동 엔진의 직경은 구동 엔진의 길이보다 더 작다.
유리하게, 2개의 구동 풀리(3, 3')는 승강실 가이드(5, 5')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3, 3')의 직경은 모터 하우징 및/또는 브레이크 하우징보다 더 작은 것이 유리하다.
승강로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구동 엔진은, 승강로내에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19, 1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승강실 및 평형추를 구동시킨다. 구동 수단은 2개의 단부(18, 18')를 갖는다. 구동 수단은 임의 형상의 케이블 및/또는 벨트이다. 구동 수단의 하중 지지 영역은 강과 같은 금속 및/또는 아라미드(aramide)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 또는 다중 케이블일 수 있고, 이 케이블은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외부 보호 피복을 가질 수 있다. 벨트는 평평할 수 있고, 또한 외부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부드럽거나, 또는 예를 들어 쐐기형 리브 또는 톱니바퀴가 달린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2개의 구동 수단이 채택된다.
구동 수단의 각각의 단부는 승강로벽/승강로 천장 및/또는 승강실 가이드및/또는 평형추 가이드 및/또는 크로스빔(8) 및/또는 승강실 및/또는 평형추에 고정되어 있다. 유리하게, 구동 수단의 단부는 고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감쇠를 위한 탄성 매개 요소에 의해 고정된다. 매개 요소는, 예를 들어 불유쾌하게 느껴지는 진동이 구동 수단으로부터 승강로벽/승강로 천장 및/또는 승강실 가이드 및/또는 평형추 가이드 및/또는 크로스빔 및/또는 승강실 및/또는 평형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요소이다. 구동 수단의 단부를 고정하는 여러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하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수단의 제 1 단부(18)는 승강로벽/승강로 천장 및/또는 승강실 가이드(5')에 고정되고, 구동 수단의 제 2 단부(18')는 승강로벽/승강로 천장 및/또는 크로스빔(8) 및/또는 승강실 가이드(5)에 고정된다.
- 도 5 및 도 6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수단의 하나의 단부 또는 양단부(18, 18')는 승강로벽/승강로 천장 및/또는 승강실 가이드 및/또는 크로스빔에 고정된다.
-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동 수단의 제 1 단부(18)는 승강실(11)에 고정되고, 구동 수단의 제 2 단부(18)는 평형추(12)에 고정된다.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구동 풀리는 마찰 결합에 의해 2개의 구동 수단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당업자라면 실시예와 상이한 구동 수단 뿐만 아니라 구동 엔진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하나의 구동 풀리 또는 2개 이상의 구동 풀리를 갖는 구동 엔진을 사용할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구동 피니언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구동 피니언은 구동 수단으로서 톱니바퀴가 달린 벨트와 기계적으로 확실히 결합된다.
현수(suspension)의 여러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하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2 실시예, 또한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실과 평형추는 2 : 1 로 현수된다. 승강실(11)의 2 : 1 현수의 경우에, 여러개의 편향 롤러(13, 13', 14, 14')는 승강실(11)에 설치된다. 평형추(12)의 2 : 1 현수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17, 17')는 평형추(12)에 설치된다. 유리하게, 구동 엔진은 평형추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 즉 평형추 위로 수직하게 돌출하여 배치된다. 구동 엔진은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완전히 위쪽 영역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유리하게, 구동 엔진은 평형추 및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 즉 평형추 및 승강실 위로 수직하게 돌출하여 배치된다.
- 도 7 및 도 8의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실과 평형추는 1 : 1 로 현수된다. 유리하게,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의 구동 엔진은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 즉 승강실 위로 수직하게 돌출하여 배치된다. 실시형태의 제 3 실시예의 구동 엔진은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완전히 위쪽 영역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도 2는 기어레스형 구동 엔진(1, 2, 3, 3', 4)의 배치의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구동 엔진은 승강로(10)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크로스빔상에 설치된다. 크로스빔은, 예를 들어 강과 같은 검증된 재료로 제조된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에서, 크로스빔은 제 1 벽의 평형추 가이드(9, 9') 및 승강실 가이드(5)에 고정된다. 유리하게 크로스빔의 2개의 단부 영역은 평형추 가이드에 고정되고, 또한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승강실 가이드에 고정된다. 크로스빔의 3개의 고정 영역을 이들 3개의 가이드에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나사 연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리하게, 구동 엔진은 브래킷(7)에 의해 크로스빔상에 간접적으로 설치된다. 브래킷은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에 유리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브래킷은 다리부(7.5, 7.6)에 의해 크로스빔(8)상에 설치된다. 브래킷은, 예를 들어 강과 같은 검증된 재료로 제조된 정사각형 부재 또는 평평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나사 연결에 의해 크로스빔상에 설치된다. 유리하게 구동 엔진은 모터 하우징 및 브레이크 하우징에 의해 브래킷에 고정된다. 모터 하우징은 제 1 브래킷 설치대(7.1)에 유리하게 고정되고, 브레이크 하우징은 제 2 브래킷 설치대(7.2)에 고정된다. 2개의 브래킷 설치대(7.1, 7.2)는, 예를 들어 받침대(7.3, 7.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축(4)의 축선에 대한 굽힘에 있어서 단단하게 된다. 유리하게, 브래킷 설치대(7.1, 7.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터 하우징 또는 브레이크 하우징의 경계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브래킷 설치대(7.1, 7.2)는 모터 하우징 또는 브레이크 하우징의 단부면을 수용한다. 유리하게, 모터(1) 및 브레이크(2)는 브래킷(7)의 엔클로저의 실질적으로 외부 영역에 배치되고, 반면에 구동 풀리(3, 3')는 브래킷(7)의 엔클로저의 실질적으로 내부 영역에 배치된다.
크로스빔은 삼각형(T)의 적어도 꼭대기에 고정된다. 유리하게, 크로스빔(8)의 양단부는 평형추 가이드(9, 9')상에 놓이고, 이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하나 이상의 승강실 가이드(5, 5')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한다.
크로스빔 고정의 실시형태의 여러가지 예시적인 형태가 구분될 수 있다:
- 구동 엔진이 평형추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에 배치되는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빔(8)은 제 1 벽의 평형추 가이드(9, 9') 및 승강실 가이드(5)에 고정되는데, 이 제 1 벽은 평형추 가이드(9, 9') 및 승강실 가이드(5)에 가장 가깝게 놓인다. 크로스빔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 구동 엔진이 평형추 및/또는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에 배치되는 도 2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빔(8)은 평형추 가이드(9, 9'), 제 1 벽의 승강실 가이드(5) 및/또는 제 2 벽의 승강실 가이드(5')에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빔은 직선 또는 굴곡 측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고,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빔은 T-형상을 갖는다.
브래킷(7) 및 구동 풀리(3, 3')는 삼각형(T)의 중심 영역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유리하게, 브래킷은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콘솔(7)의 다리부(7.5, 7.6)는 승강실가이드(5, 5')의 양측면의 크로스빔(8)상에 승강실 가이드(5, 5')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 풀리(3, 3')는 승강실 가이드(5, 5')의 양측면의 축(4)상에 승강실 가이드(5, 5')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 엔진은 삼각형(T)의 영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형추 위쪽 및/또는 승강실 위쪽에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삼각형(T)에 있어서 가이드의 대칭인 이러한 배치에 의해, 구동 엔진의 무게 힘 및 구동 엔진의 작동중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는, 예를 들어 브래킷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또한 크로스빔 및 가이드에 의해 승강로 바닥에 전달된다. 가이드는, 예를 들어 승강로 바닥상의 다리판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브래킷 설치대(7.1)는 모터(1)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흡수하고, 제 2 브래킷 설치대(7.2)는 브레이크(2)로부터 발생하는 제동력을 흡수한다. 또한, 2개의 브래킷 설치대(7.1, 7.2)는 구동 풀리(3, 3')로부터 발생하는 힘을 흡수한다. 유리하게, 2개의 구동 풀리(3, 3')는 승강실 가이드(5, 5')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평형추의 위쪽 영역 및/또는 실질적으로 승강실의 위쪽 영역에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15, 15', 16, 16')가 설치되는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편향 롤러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크로스빔(8)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편향 롤러는 크로스빔(8) 또는 브래킷(7)에고정된다. 편향 롤러(15, 15', 16, 16')의 쌍은 승강실 가이드(5, 5')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유리하게 배치된다. 편향 롤러의 개수 및 위치로 인해, 삼각형 영역에서의 구동 엔진의 배치에 있어서의 유연성이 가능하다. 특히, 승강로 부피의 높은 이용도가 실현될 수 있고, 데드 부피(dead volume)가 크게 방지된다. 또한, 작동의 현대화의 경우에라도 구동 엔진의 배치가 소정의 승강로 관계에 유연성있게 적응될 수 있어서, 따라서 이러한 유연성에 의해 표준 부품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비용이 많이 드는 특별한 해결책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엔진이 삼각형의 영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형추 및/또는 승강실 위쪽에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승강기 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2)

  1. 크로스빔(8)상에 설치된 구동 엔진(1, 2, 3, 3', 4, 40)과, 승강로(10)내에 설치된 승강실(11) 및 평형추(12)를 가지며, 이 크로스빔(8)이 각각의 평형추 가이드(9, 9') 및 승강실 가이드(5, 5')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기 시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엔진은 2개의 구동 풀리(3, 3')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엔진은 기어레스형(gearl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축(4)에 의해 모터(1)와 브레이크(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풀리는 상기 승강실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는 축에서 모터와 브레이크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엔진은 모터 하우징과 브레이크 하우징에 의해 브래킷에 고정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풀리는 브래킷의 엔클로저내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가이드 및 승강실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삼각형(T)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빔은 삼각형의 꼭대기에 고정되고 및/또는 상기 크로스빔의 각각의 2개의 단부 영역은 각각의 상기 평형추 가이드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상기 승강실 가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가이드 및 평형추 가이드는 승강로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크로스빔은 승강로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엔진은 승강로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엔진은 브래킷(7)에 의해 상기 크로스빔에 설치되고, 이 브래킷은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구동 수단이 승강실 및 평형추를 이동시키고, 각 구동 수단은 2개의 단부를 갖고, 구동 수단의 각각의 단부는 승강로벽 또는 승강로 천장, 평형추 가이드, 승강실 가이드, 크로스빔, 평형추 또는 승강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구동 수단이 승강실 및 평형추를 이동시키고, 이 구동 수단은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실은 2 : 1 로 현수되고 구동 엔진은 평형추의 이동 경로의 위쪽 영역에 배치되고, 승강실은 2 : 1 로 현수되고 구동 엔진은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에 배치되고, 승강실은 2 : 1 로 현수되고 구동 엔진은 평형추 및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위쪽 영역에 배치되고, 또는 승강실은 1 : 1 로 현수되고 구동 엔진은 승강실의 이동 경로의 실질적으로 위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
  10. 승강로(10)내에 승강실(11) 및 평형추(12)를 갖는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1, 2, 3, 3', 4, 40)의 배치 방법으로서, 이 구동 엔진은 크로스빔상(8)에서 2개의 평형추 가이드(9, 9') 및 하나 이상의 승강실 가이드(5, 5')에 고정되는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 가이드의 수평 연결기의 좌우측에는, 2개의 구동 풀리(3, 3)를 갖는 구동 엔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가이드 및 승강실 가이드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삼각형(T)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빔은 삼각형의 꼭대기에 고정되고 및/또는 상기 크로스빔의 각각의 2개의 단부 영역은 각각의 평형추 가이드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크로스빔의 중심 영역은 승강실 가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엔진은 상기 삼각형(T)의 영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평형추의 위쪽 및/또는 실질적으로 상기 승강실의 위쪽에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KR1020030061777A 2002-09-05 2003-09-04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KR101070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05768.9 2002-09-05
EP02405768 2002-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81A true KR20040022181A (ko) 2004-03-11
KR101070206B1 KR101070206B1 (ko) 2011-10-06

Family

ID=2868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777A KR101070206B1 (ko) 2002-09-05 2003-09-04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20040108170A1 (ko)
EP (3) EP1640308B1 (ko)
JP (2) JP4629963B2 (ko)
KR (1) KR101070206B1 (ko)
CN (2) CN1990373B (ko)
AR (1) AR041156A1 (ko)
AT (1) ATE326421T1 (ko)
AU (1) AU2003244558B2 (ko)
BR (1) BR0303462B1 (ko)
CA (1) CA2439181A1 (ko)
CY (3) CY1106143T1 (ko)
DE (1) DE50303348D1 (ko)
DK (3) DK1400477T4 (ko)
ES (3) ES2565435T3 (ko)
HK (3) HK1064355A1 (ko)
HU (2) HUE031357T2 (ko)
IL (2) IL157277A (ko)
MX (1) MXPA03007689A (ko)
NO (1) NO324849B1 (ko)
PE (1) PE20040235A1 (ko)
PL (1) PL211302B1 (ko)
PT (2) PT1640308T (ko)
RU (1) RU2365536C2 (ko)
SG (1) SG111145A1 (ko)
SI (2) SI1591404T1 (ko)
TW (1) TWI306445B (ko)
ZA (2) ZA200306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04B1 (ko) * 2016-03-09 2016-08-26 김옥수 덤웨이터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80964A (en) *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JP2004142927A (ja) 2002-10-28 2004-05-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US7377366B2 (en) * 2002-11-25 2008-05-27 Otis Elevator Company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101005395B1 (ko) * 2003-06-20 2010-12-3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통합된 접근 가능한 데드 엔드 히치를 갖춘 밀집된 베드판
EP1510493A1 (de) * 2003-08-12 2005-03-02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belastungsabhängigem Tragmittelfixpunkt
JP4895500B2 (ja) 2004-01-07 2012-03-14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設備用駆動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用駆動装置の交換方法
NZ540310A (en) 2004-06-19 2006-03-31 Inventio Ag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NZ540311A (en) 2004-06-19 2006-11-30 Inventio Ag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EP1627841B1 (de) * 2004-06-19 2013-08-28 Inventio AG Antrieb für eine Aufzugsanlage
JP5049125B2 (ja) * 2004-07-12 2012-10-17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昇降機および昇降機に使用するためのプーリ組み立て体
EP1621508A3 (de) * 2004-07-17 2006-08-23 Inventio Ag Ein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Kabine in einer Aufzugsanlage
JP5214098B2 (ja) * 2004-07-17 2013-06-19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設備におけるケージまたは釣り合いおもりの懸架のための装置、および懸架手段の取り付けおよび保守のための方法
US7753175B2 (en) * 2005-02-25 2010-07-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having an angled underslung roping arrangement
PT1698581E (pt) * 2005-03-01 2011-10-19 Ind Montanesas Electricas Mecanicas S L Máquina, sistema elevatório e elevador sem casa das máquinas
EP1886957A1 (de) 2006-08-11 2008-02-13 Inventio Ag Aufzugriemen für eine Aufzug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Aufzugriemens
EP1935829A1 (de) * 2006-12-21 2008-06-25 Inventio Ag Aufzug mit zwei übereinander liegend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DE202008001786U1 (de) 2007-03-12 2008-12-24 Inventio Ag Aufzugsanlage,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ragmittels
FI20080640L (fi) 2008-11-28 2010-05-29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2010184791A (ja) * 2009-02-13 2010-08-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ES2628779T3 (es) 2009-04-28 2017-08-03 Otis Elevator Company Bastidor de máquina de ascensor con configuración de reducción de ruido
US20120085594A1 (en) * 2010-10-11 2012-04-12 Tim Wright Drive Arrangement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RU2568238C2 (ru) * 2011-04-06 2015-11-1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с конфигурацией размещения канатов или ремней по типу 4:1
ES2539165T3 (es) * 2012-03-15 2015-06-26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scensor de polea motriz sin sala de máquinas
FI125124B (fi) * 2012-05-23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WO2014070208A1 (en) 2012-11-05 2014-05-08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including structurally independent elevator machine guiderail mounts
CN103350942A (zh) * 2013-07-04 2013-10-16 上海法西驱动技术有限公司 采用扁平聚氨酯复合钢带曳引的分离式永磁无齿轮曳引机
ES2564378T3 (es) * 2013-08-26 2016-03-22 Kone Corporation Un ascensor
JP5787422B1 (ja) * 2014-04-11 2015-09-30 東亜工業株式会社 ワーク積載装置
EP2985255B1 (en) * 2014-08-11 2021-11-17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04555660A (zh) * 2015-01-13 2015-04-29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房电梯的布置结构
WO2016166563A1 (en) 2015-04-17 2016-10-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EP3170782A1 (en) * 2015-11-23 2017-05-24 Sele S.R.L. Movement assembly for lifts, hoists and the like
CN105692411A (zh) * 2016-04-07 2016-06-2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房电梯布置结构
CN105692414A (zh) * 2016-04-07 2016-06-2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房电梯
WO2017182256A1 (de) 2016-04-22 2017-10-26 Inventio Ag Aufzugsanlage
DE202018103585U1 (de) * 2018-06-25 2019-09-26 Vestner Aufzüge GmbH Motorlagerung für einen Aufzugsantriebsmotor
CN112299201A (zh) * 2019-07-31 2021-02-02 爱默生电梯(上海)有限公司 一种充电式四驱电梯
CN112374326A (zh) * 2020-11-09 2021-02-19 山东奔速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的导靴
KR102438764B1 (ko) * 2022-02-18 2022-09-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8077A (en) * 1956-01-24 1958-08-19 Otis Elevator Co Elevator guide rail fastener
US3559768A (en) * 1969-12-22 1971-02-02 Henry P Cox Emergency elevator evacuation of tall buildings
US4664230A (en) * 1984-03-23 1987-05-12 Olsen Lawrence O Elevator
DE9205254U1 (ko) * 1992-04-15 1992-06-17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De
ATE192995T1 (de) * 1994-06-09 2000-06-15 Aldo Loiodice Selbsttragendes aufzugsystem und einbaueinrichtung für dessen hauptmotor
DK0846645T3 (da) * 1996-12-03 2004-11-15 Inventio Ag Modulært opbygget elevator
DE69810558T2 (de) * 1997-09-26 2003-11-20 Toshiba Kawasaki Kk Einsetzen einer Antriebseinheit in einem Aufzugsschacht
US6991069B1 (en) * 1997-12-23 2006-01-31 Inventio Ag Cable elevator with a drive plate
DE29924745U1 (de) * 1998-02-26 2005-06-0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Richtungsübereinstimmung von Flachseilen für Aufzüge
US6848543B2 (en) * 1998-10-30 2005-02-01 Otis Elevator Company Single wall interface traction elevator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US6098758A (en) * 1998-11-23 2000-08-08 Lucent Technologies Inc. Tower hoist mechanism confined within a tower interior
FI111622B (fi)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Vetopyörähissi ja taittopyörän käyttö
US6601828B2 (en) * 2001-01-31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 machin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JP2000344449A (ja) * 1999-06-02 2000-12-12 Teijin Seiki Co Ltd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JP4404999B2 (ja) * 1999-08-16 2010-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MXPA02002832A (es) * 1999-10-11 2002-07-22 Inventio Ag Elevador de cable.
KR20010094686A (ko) * 2000-04-01 2001-11-01 백영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JP2002080178A (ja) * 2000-09-04 2002-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EP1329412B1 (en) * 2000-10-10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AT410784B (de) * 2000-10-12 2003-07-25 Manfred Grubbauer Aufzuege Ges Aufzug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DE60043829D1 (de) * 2000-12-11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Hebevorrichtung für aufzug
US6591944B2 (en) * 2000-12-12 2003-07-15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teering angle for elevator sheave
DE20021886U1 (de) * 2000-12-23 2001-03-15 Ziehl Abegg Gmbh & Co Kg Treibscheibenaufzug mit einer Aufzugskabine in Rucksack-Bauweise
JP2002241070A (ja) * 2001-02-19 200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04B1 (ko) * 2016-03-09 2016-08-26 김옥수 덤웨이터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0308A3 (de) 2007-02-21
NO20033909L (no) 2004-03-08
SG111145A1 (en) 2005-05-30
HK1084932A1 (zh) 2006-08-11
CN1990373A (zh) 2007-07-04
TW200406355A (en) 2004-05-01
CN1328144C (zh) 2007-07-25
CN1488565A (zh) 2004-04-14
HK1090014A1 (zh) 2006-12-15
DK1400477T3 (da) 2006-09-18
ES2565435T3 (es) 2016-04-04
IL157278A (en) 2009-07-20
ES2597379T3 (es) 2017-01-18
CA2439181A1 (en) 2004-03-05
AU2003244558B2 (en) 2008-07-17
DE50303348D1 (de) 2006-06-22
EP1400477A3 (de) 2004-11-03
JP4629963B2 (ja) 2011-02-09
TWI306445B (en) 2009-02-21
RU2003127027A (ru) 2005-03-27
AU2003244558A1 (en) 2004-03-25
ZA200306198B (en) 2004-06-04
ES2265541T5 (es) 2012-07-11
ZA200306199B (en) 2004-06-04
SI1400477T2 (sl) 2012-07-31
CY1106143T1 (el) 2011-06-08
EP1640308B1 (de) 2016-07-13
PT1640308T (pt) 2016-10-18
HUE027175T2 (hu) 2016-10-28
EP1591404A2 (de) 2005-11-02
CY1117496T1 (el) 2017-04-26
US20040108170A1 (en) 2004-06-10
EP1400477B2 (de) 2012-03-21
PT1400477E (pt) 2006-09-29
RU2365536C2 (ru) 2009-08-27
AR041156A1 (es) 2005-05-04
EP1640308A2 (de) 2006-03-29
NO20033909D0 (no) 2003-09-04
HK1064355A1 (en) 2005-01-28
BR0303462B1 (pt) 2011-08-23
BR0303462A (pt) 2004-09-08
EP1400477A2 (de) 2004-03-24
SI1400477T1 (sl) 2006-10-31
PE20040235A1 (es) 2004-06-07
MXPA03007689A (es) 2004-03-10
ATE326421T1 (de) 2006-06-15
EP1400477B9 (de) 2006-08-30
JP2010228921A (ja) 2010-10-14
EP1591404B9 (de) 2016-05-18
KR101070206B1 (ko) 2011-10-06
DK1640308T3 (da) 2016-10-10
IL157277A (en) 2007-12-03
PL361942A1 (en) 2004-03-08
CY1118298T1 (el) 2017-06-28
IL157277A0 (en) 2004-02-19
DK1591404T3 (en) 2016-03-29
IL157278A0 (en) 2004-02-19
SI1591404T1 (sl) 2016-04-29
DK1400477T4 (da) 2012-07-02
CN1990373B (zh) 2012-12-05
NO324849B1 (no) 2007-12-17
JP2004262649A (ja) 2004-09-24
PL211302B1 (pl) 2012-05-31
HUE031357T2 (hu) 2017-07-28
ES2265541T3 (es) 2007-02-16
ES2565435T9 (es) 2016-06-03
EP1400477B1 (de) 2006-05-17
EP1591404B1 (de) 2015-12-23
EP1591404A3 (de)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206B1 (ko)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US8522927B2 (en) Drive moto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motor
KR100595335B1 (ko) 구동판을 갖춘 케이블 엘리베이터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50958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1626970B (zh) 安装在无机房电梯系统中的机器
EP1302430B1 (en) Elevator device
US6640935B1 (en) Elevator having vibration damping to attenuate vibration transfer to an elevator cage
EP0985624B1 (en) Elevator with drive unit supported by guide rail
CN110546098B (zh) 电梯装置
CN108377647B (zh) 电梯装置的对重和电梯装置
KR20180086214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CN100457592C (zh) 电梯装置
EP0385277A2 (en) Laterally suspending structure for elevator car
EP1808399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RU2091290C1 (ru) Лифт
KR102414241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진동저감장치
KR10143245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16836A (ko) 엘리베이터 장치
AU2006252029B2 (en)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AU2006202257B2 (en)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CN117466103A (zh) 无机房电梯装置及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