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04B1 - 덤웨이터 구조물 - Google Patents

덤웨이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04B1
KR101651804B1 KR1020160028089A KR20160028089A KR101651804B1 KR 101651804 B1 KR101651804 B1 KR 101651804B1 KR 1020160028089 A KR1020160028089 A KR 1020160028089A KR 20160028089 A KR20160028089 A KR 20160028089A KR 101651804 B1 KR101651804 B1 KR 10165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pe
sensor
ca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수 filed Critical 김옥수
Priority to KR102016002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66B11/0273Pass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덤웨이터의 카(car)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를 1:2 비율이 되도록 움직도르레, 모터 및 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에 작용하는 힘을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은, 덤웨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최상단에 칸막이로 영역을 구분한 뒤, 모터 및 제어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기계실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건물을 증축하지 않아도 되며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덤웨이터 구조물{DUMBWAITER APPARATUS}
본 발명은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덤웨이터의 카(car)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를 1:2 비율이 되도록 움직도르레, 모터 및 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에 작용하는 힘을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은, 덤웨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최상단에 칸막이로 영역을 구분한 뒤, 모터 및 제어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기계실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건물을 증축하지 않아도 되며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발전에 의해 높은 곳을 오르고 내리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개발되고 보급되었다.
엘리베이터란,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상, 하로 나르는 장치로서, 승강기 또는 자동 승강기로로 지칭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설비를 위한 공간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특히 소형 화물을 나르기 위한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이나 기타 소형 화물만 취급하기 위한 덤웨이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현재 복수 층을 갖는 가정집이나 식당에 주로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덤웨이터는 아래와 같은 몇가지 단점도 있다.
첫째, 덤웨이터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계실이 상측에 마련되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
둘째, 소형 화물 등이어도 소정의 무게를 견뎌야 하므로 소비되는 전력이 다량으로 요구된다. 이 요구는 로프와 도르레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한편, 덤웨이터에 관련된 기술로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778251호의 덤웨이터의 도어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998523호의 홈 오토메이션 연동 덤웨이터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1267057호의 이동장치를 포함한 다단형 덤웨이터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0616017호의 덤웨이터 카 고정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모두 덤웨이터의 부가 기능을 개발함으로써 덤웨이터의 안정성 또는 용이함에 특화된 기술일 뿐,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관련기술로서는,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178810호의 엘리베이터 안전장치가 있는데, 해당 기술은 한 끝이 고정체에 추착된 암의 다른 한 끝에 추지된 인장풀리와, 상기 인장풀리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암의 회전각도가 소정치를 초과했을 때 작동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 작동시간을 검출하는 작동시간 검출수단과, 상기 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내일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최기층까지 운전하여 카내 승객이 내린 후에 엘리베이터 운전을 정지하는 운전제어수단을 기재하고 있다.
위 기술의 대표도면은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보면, 로프와 도르레 구성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구조로서, 덤웨이터(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가 1:2 비율이 된다면, 모터에 작용하는 힘을 절반으로 절감할 수 있어서, 동작에 요구되는 소비전력과, 이에 더불어 설비에 필요한 원자재의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본 출원인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기계실을 마련하지 않고도 덤웨이터(또는 엘리베이터)가 설비되는 공간 영역 구분하여 구분된 영역 중 상측을 상기 기계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하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고자 한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178110호(2001.04.1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덤웨이터의 카(car)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를 1:2 비율이 되도록 움직도르레, 모터 및 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의 힘을 증진시키고, 이로 인해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덤웨이터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덤웨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최상단에 칸막이로 영역을 구분한 뒤, 칸막이의 상부 공간 영역에 모터 및 제어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기계실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건물을 증축하지 않아도 되며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덤웨이터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은, 칸막이를 기준으로 제어반 영역 및 설비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반 영역에는 모터;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동작되는 로프; 및 덤웨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반;이 구비되고, 상기 설비 영역에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카; 상기 로프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는 균형추; 상기 카가 정지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출입구;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어패널; 상기 설비 영역의 측벽에 구성되는 카 레일; 및 상기 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 레일에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칸막이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기계실이 요구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의 이동거리와 상기 로프의 이동거리가 1:2가 되도록 로프를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은, 덤웨이터의 카(car)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를 1:2 비율이 되도록 움직도르레, 모터 및 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에 작용하는 힘을 절반으로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덤웨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최상단에 칸막이로 영역을 구분한 뒤, 모터 및 제어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기계실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건물을 증축하지 않아도 되며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카(car)의 동작원리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칸막이 상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제어반의 기능적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178110호의 대표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덤웨이터의 카(car)의 이동거리와 로프의 이동거리를 1:2 비율이 되도록 움직도르레, 모터 및 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에 작용하는 힘을 절반으로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은, 덤웨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최상단에 칸막이로 영역을 구분한 뒤, 모터 및 제어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종래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기계실을 제거할 수 있어서 별도의 건물을 증축하지 않아도 되며 불필요하게 공간을 낭비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전체공간을 칸막이(10)를 통해 영역이 구분되되, 상기 칸막이(10)의 상부측은 제어반 영역(1)으로 지칭하고, 칸막이(10)의 하부측은 설비 영역(2)으로 지칭한다.
이때 칸막이(10)는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전체공간의 최상단에 구비되며, 제어반이나 모터가 설치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만 확보하도록 한다.
제어반 영역(1)을 보면, 모터(11) 및 제어반(13)이 구비되고, 모터(11)에는 카(20) 및 균형추(40)에 연결되는 로프(12)가 구비된다.
이때 로프(12)는 칸막이(10)에 형성된 로프 통과 홈(도면부호 및 도면에 미도시)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모터(11)는 구동됨으로써 카(20)와 균형추(40)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하고, 제어반(13)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의 제어를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후술한다. 또한 후술되는 과정에서 종래의 덤웨이터 및/또는 유사 기술분야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 기능을 설명되지 않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다음으로, 설비 영역(2)을 살펴본다.
설명에 앞서,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덤웨이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도면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모터(11), 로프(12) 등의 구조는 후술되는 도 2 내지 4와 이들을 통해 설명되는 하기의 기재에 의해 한정됨이 당연하다.
카(20)는 로프(12)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모터(11)의 구동에 따라 로프(12)와 함께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카(20)는 정해진 위치마다 멈추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정해진 위치는 출입구(30)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출입구(30)는 카(20)가 출입구(30)의 위치에서 멈추면 개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패널(31)은 출입구(30)의 일측에 구성되어 카(20)가 출입구(30)의 위치에 서고, 출입구(30)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고, 이를 위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출입구(30)는 테이블형식 및 플로어형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패널(31)을 출입구(30)의 일측에 구비함으로써, 만일 고장수리시 출입구에 위치한 기술자가 덤웨이터를 구동시키고 카(20)를 보면서 위치를 파악하여 고장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카(20)를 살펴보면, 상기 카(20)는 카 레일(21)을 따라 상, 하 동작되는데, 카 레일(21)은 카(20)가 동작되는 공간의 측벽에 구성되고, 카(20)를 고정하기 위한 홈구성(도면에 미도시, 단 종래의 구성을 채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카(20)의 외면에는 레일 연결부(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레일 연결부(22)가 카 레일(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카 레일(21)의 홈구성의 폭은 레일 연결부(22)의 폭에 대응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레일 연결부(22)에는 카(2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센서의 경우 레일 연결부(22)의 아무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무게 감지를 위해 레일 연결부(22)의 하부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카(2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카 레일(21)의 일측 중 출입구(30)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방진고무가 구비될 수 있다.
방진고무는 카(20)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카(20)와 카 레일(22)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켜주며, 카(20)가 출입구(30) 측에서 멈추거나 출발할 때 발생되는 충격도 완충시킬 수 있다.
로프(12)의 다른 일단에는 균형추(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12)에 카(20)와 균형추(40)가 연결되는 구조를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카(car)의 동작원리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모터(11)는 'ㅍ'자 형태의 모터 커버(14)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 커버(14)는 상, 하부의 양단에 돌출된 날개가 형성되고, 이 날개에 도 2와 같이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14)는 천장과 칸막이(10)에 나사결합 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자체하중을 갖고 또한 카(20) 및 균형추(40)의 하중을 간접적으로 하중을 받는 모터(11)의 하부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추락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모터(20)에 연결된 로프(12)의 양단에는 움직도르레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12)는 움직도르레를 통해 한 번 더 감아져 천장에 구비된 고정수단(도면부호 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한다.
즉, 카(20) 및 균형추(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움직도르레인 것이다.
이때 로프(12)의 거리는, 카(20) 및 균형추(40)의 이동거리의 2배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부연하면 카(20)가 1m 움직이게 되는 경우 로프(12)는 2m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모터의 힘을 절감시킴으로써, 일예로 종래의 300Kg 용량에 적용되던 2.2K 모터를 1.1K 모터로 적용할 수 있어서 소요되는 전기, 소모품 및 기계부품이 절반으로 감소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기요금 및 원가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술된 고정수단은 그 내부에 용수철저울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수철저울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일측에는 고리가 연결되고, 상기 고리에는 로프(12, 또는 로프연결고리)가 연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의 내부 일측에는 장력측정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력측정센서는 측정된 장력을 센서값으로 하여 제어반(13)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도 2에서는 천장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정수단을 칸막이(10)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칸막이(10)는 그 하면에 설치된 칸막이 지지수단(10a)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칸막이 지지수단(10a)은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층 구분 돌출벽에서부터 칸막이(10)의 하면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기둥 또는 벽의 구조로 형성된다.
즉,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칸막이(10)의 4개 모서리 부분에서 지지되며, 벽으로 형성되는 칸막이(10)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의 면을 지지하는 일자(-)벽 구조로 형성되거나 기억자(ㄱ)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칸막이는 처짐 방지에 유용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질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처짐을 완벽히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처짐을 감지하는 센서를 칸막이 지지수단(10a)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처짐을 감지하는 센서는 칸막이 감지센서(50a)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칸막이 감지센서(50a)는 후술될 로프를 감지하는 로프 감지센서(50)와는 구분되기 위해 다른 도면부호를 기재한다.
다만, 적외선 및 레이저 등을 출력하고 반사된 것을 수신하여 감지값을 출력하는 기능적인 부분은 동일하며,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의하면 칸막이 지지수단(10a)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므로, 실제로는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측벽 중 상기 칸막이 지지수단(10a)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칸막이 감지센서(50a)는 칸막이에서 처짐이 가장 먼저 발생되는 중단측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칸막이 감지센서(50a)는 지속적으로 칸막이(10)의 형태를 감지하여 센서값으로 출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모터 커버(1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칸막이 상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모터(11)는 모터축(11a) 및 모터롤러(11b)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프(12)는 모터롤러(11b)의 외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모터 커버(14)는 모터 안전판(14a), 홈부(14b) 및 접촉센서(14c)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안전판(14a)은 모터 커버(14)의 내면 중 모터롤러(11b) 전부와 모터축(11a)의 일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그 재질은 탄력성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카(20) 또는 균형추(40)를 지지함에 따라 하부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모터(20), 모터축(11a) 및/또는 모터롤러(11b)가 내려앉는 경우,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홈부(14b)는 모터롤러(11b)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 안전판(14a)의 상면에서부터 모터 커버(14)의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접촉센서(14c)는 모터 안전판(14a)의 상면 중, 모터축(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으로 접촉식 센서로 구성된다.
즉, 특정대상이 접촉되면 센서값을 출력하는 것인데, 이로 인해 만약 모터(20), 모터축(11a) 및/또는 모터롤러(11b)가 내려앉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센서값을 출력하게 된다.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설비 영역(2)의 측벽 일측에 로프 감지센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로프 감지센서(50)는 적외선, 레이저 등의 광(光)을 발광하고,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형태를 인식하고 센서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로프 감지센서(50)에서 출력되는 센서값(접촉센서의 센서값도 마찬가지)은 제어반(13)이 수신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어반(13)은 로프(12)의 형태를 판단하여 로프(12)의 파손상태를 판단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덤웨이터 구조물에서 제어반의 기능적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어반(13)은 센서값 수신부(131), 무게초과 판단부(132), 로프파손 감지부(133), 모터이상 판단부(134), 정보 저장부(135), 처짐 감지부(136) 및 고정수단이상 감지부(137)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반(13)은 당연히 덤웨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 제어구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유추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센서값 수신부(131)는 접촉센서(14c), 로프 감지센서(50) 및 무게센서의 센서값을 수신한다.
무게초과 판단부(132)는 무게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카(20)에 적재될 수 있는 최대중량이 초과되었음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로프파손 감지부(133)는, 로프 감지센서(50)의 센서값에 따라 로프(12)가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로프 파손의 감지는, 정보 저장부(135)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로프(12)는 카(20) 및 균형추(40)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구조로 밧줄과 같이 복수의 강철타래로 이루어진 강철끈이 복수 개 꼬여져 있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강철타래가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강철타래가 끊어짐이 누적됨에 따라 로프(12)의 형태는 상기 '정상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와 다른 형태를 갖게 되는데, 로프파손 감지부(133)는 이를 비교하여 형태학적 정보를 통해 로프(12)가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정상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와 더불어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즉, 로프 감지센서(50)를 통해 감지된 로프(12)의 형태가 상기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의 형태가 유사한 경우 덤웨이터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경보등을 울려 위험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와 실제 파손되는 로프(12)의 형태는 현실적으로 파손되는 부위가 상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로프파손 감지부(133)는, 로프(12)가 파손된 위치의 비율과 상기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에 따른 파손된 위치의 비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율이 근접하는 경우 로프(12)가 파손된 것으로 감지한다.
이때 비율은, 예를 들어 상기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에 따른 비율이 50%인 경우, 로프(12)의 파손된 위치의 비율이 50%인 경우 파손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50%보다 -5%에 해당되는 45%인 경우 파손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비율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일정범위 내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로프(12)가 파손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모터이상 판단부(134)는, 접촉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모터, 모터축 및/또는 모터롤러가 내려앉았음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접촉센서로부터 감지값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반(13)은 상기 모터, 모터축 및/또는 모터롤러가 내려앉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이상 판단부(134)에 의해 모터, 모터축 및/또는 모터롤러가 내려 앉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별도의 경보수단(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음성 및 영상 등의 경보 및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정보 저장부(135)는 칸막이(10)의 형태를 이미지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된 칸막이(10)의 형태 이미지 정보는 칸막이(10)가 처지지 않았을 때의 정상적인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처짐 감지부(136)가 칸막이 감지센서(50a)에서 출력된 감지값과 저장된 칸막이(10)의 이미지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칸막이(10)에 처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칸막이(10)의 처짐 발생은, 위 로프파손과 같이 처진 비율을 판단하고 비율에 근접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도록 할 수도 있으나, 처짐의 특성상 한번 처짐이 발생되면 칸막이(10)에 적용되는 하중이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처짐이 신속히 진행되므로, 처짐 발생이 감지되면 바로 위험을 알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이상 감지부(137)는 장력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분석하여 고정수단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장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정수단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술된 기준값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른 수치로서, 예를 들어 장력이 1~5(5가 최대로 늘어난 값, 소수점값)인 경우, 3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3의 값을 초과하면 위험한 것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위의 장력에 따른 값은 본 발명의 쉬운 이해를 위한 기재일 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제어반 영역
2 : 설비 영역
10 : 칸막이
10a : 칸막이 지지수단
11 : 모터
11a : 모터축
11b : 모터롤러
12 : 로프
13 : 제어반
14 : 모터 커버
14a : 모터 안전판
14b : 홈부
14c : 접촉센서
20 : 카
21 : 카 레일
22 : 레일 연결부
30 : 출입구
31 : 제어패널
40 : 균형추
50 : 로프 감지센서
50a : 칸막이 감지센서
131 : 센서값 수신부
132 : 무게초과 판단부
133 : 로프파손 감지부
134 : 모터이상 판단부
135 : 정보 저장부
136 : 처짐 감지부
137 : 고정수단이상 감지부

Claims (14)

  1. 칸막이를 기준으로 제어반 영역 및 설비 영역으로 구분된 공간에 설치되는 덤웨이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제어반 영역에는,
    모터;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동작되는 로프; 및 덤웨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반;이 구비되고,
    (b) 상기 칸막이의 설비 영역의 일측에는,
    상기 칸막이의 처짐을 감지하는 칸막이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 감지센서는 상기 칸막이의 형태를 감지한 센서값을 제어반으로 출력되며,
    (c) 상기 설비 영역에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카; 상기 로프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는 균형추; 상기 카가 정지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출입구;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어패널; 상기 설비 영역의 측벽에 구성되는 카 레일; 및 상기 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 레일에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가 구비되되,
    상기 칸막이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기계실이 요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상기 카의 이동거리와 상기 로프의 이동거리가 1:2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그 양단이 천장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연결되되,
    일단에서부터 다른 일단까지 고정수단-움직도르레-모터-움직도르레-고정수단의 순서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그 양단이 칸막이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연결되되,
    일단에서부터 다른 일단까지 고정수단-움직도르레-모터-움직도르레-고정수단의 순서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연결부는,
    상기 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카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가 초과되는 경우 센서값을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 레일은,
    그 일측 중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방진고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카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카가 출입구 측에서 멈추거나 출발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는 모터축 및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어 모터축의 회동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모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의 천장과 상기 칸막이에 나사결합되는 'ㅍ'자 형태의 모터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는,
    그 내면 중 상기 모터롤러 전부와 모터축 일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모터, 모터축 또는 모터롤러가 내려앉는 경우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모터 안전판;
    상기 모터 안전판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모터 커버의 하면까지 관통되고, 상기 모터롤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모터 안전판의 상면 중 모터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모터, 모터축 또는 모터롤러가 내려앉는 경우 센서값을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로프의 형태를 감지하는 로프 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로프 감지센서는 상기 로프의 형태를 감지한 센서값을 제어반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그의 하면에서부터, 덤웨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에 마련된 층 구분 돌출벽까지 연결된 칸막이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지지수단은 기둥, 일자(-)벽 또는 기억자(ㄱ)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12. 삭제
  13.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접촉센서, 로프 감지센서, 칸막이 감지센서, 무게센서 및 장력측정센서의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 수신부;
    상기 무게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카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가 초과되었음을 판단하는 무게초과 판단부;
    상기 로프 감지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로프의 파손을 감지하는 로프파손 감지부;
    상기 접촉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모터, 모터축 또는 모터롤러가 내려앉은 것을 판단하는 모터이상 판단부;
    로프의 형태 이미지정보 및 칸막이 지지수단의 형태 이미지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
    상기 칸막이 감지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칸막이의 처짐을 감지하는 처짐 감지부; 및
    상기 장력측정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고정수단의 이상을 감지하는 고정수단이상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파손 감지부는,
    상기 로프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로프의 파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를 더 저장하되,
    상기 로프파손 감지부는,
    상기 로프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따른 로프의 형태와 상기 '위험 상태의 로프 형태 이미지정보'에 따른 로프의 형태를 비교하여 파손된 위치의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설치된 로프의 파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웨이터 구조물.
KR1020160028089A 2016-03-09 2016-03-09 덤웨이터 구조물 KR10165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89A KR101651804B1 (ko) 2016-03-09 2016-03-09 덤웨이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89A KR101651804B1 (ko) 2016-03-09 2016-03-09 덤웨이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804B1 true KR101651804B1 (ko) 2016-08-26

Family

ID=5688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089A KR101651804B1 (ko) 2016-03-09 2016-03-09 덤웨이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29B1 (ko) 2023-04-04 2023-06-13 (주)세연이엔지 청정도가 유지되는 클린 덤웨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정 유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110A (ja) 1989-12-06 1991-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040022181A (ko) * 2002-09-05 2004-03-11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KR20060059915A (ko) * 2005-12-28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290597A (ja) * 2005-04-14 2006-10-26 Hitachi Ltd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
JP2009057126A (ja) * 2007-08-30 2009-03-19 Graphin Co Ltd エレベータ用ロープの変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110A (ja) 1989-12-06 1991-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040022181A (ko) * 2002-09-05 2004-03-11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 시설 및 이 승강기 시설의 구동 엔진의 배치 방법
JP2006290597A (ja) * 2005-04-14 2006-10-26 Hitachi Ltd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
KR20060059915A (ko) * 2005-12-28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057126A (ja) * 2007-08-30 2009-03-19 Graphin Co Ltd エレベータ用ロープの変形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29B1 (ko) 2023-04-04 2023-06-13 (주)세연이엔지 청정도가 유지되는 클린 덤웨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정 유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645B2 (en) Control system for a platform lift apparatus
US11014781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101651804B1 (ko) 덤웨이터 구조물
JP6702518B1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システム
KR100976781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KR20200071311A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JP531873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449127B2 (ja) エレベータ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JP6897698B2 (ja) エレベータ
JP6480840B2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方法
JP4503027B2 (ja) 小荷物昇降機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2079221B (zh) 电梯的载荷检测装置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CN113767059B (zh) 电梯的打滑检测系统
EP3301054B1 (en) Optimized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utilizing remaining capacity for multi-copartment elevators
JP6806418B1 (ja) 昇降機用ロープ計測システム
JP201314734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604488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装置
EP40746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levator loads
JP6973574B1 (ja) エレベータ
JP5840244B2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システム
JP2014088242A (ja) エレベータ用長周期振動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長周期振動検出方法
JP5446581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