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913A -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및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및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913A
KR20040012913A KR10-2003-7016128A KR20037016128A KR20040012913A KR 20040012913 A KR20040012913 A KR 20040012913A KR 20037016128 A KR20037016128 A KR 20037016128A KR 20040012913 A KR20040012913 A KR 2004001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xtures
onion extract
fat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렌티나 파스팔레바-쿤
롤프디. 부트레르
시몬 스차취네이더
마티나 헤베레르
Original Assignee
메르츠 파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츠 파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아 filed Critical 메르츠 파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아
Publication of KR2004001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 및 예로써 수술, 생검, 절단, 화상 또는 다른 사고후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 튼살(stretch mark), 피부와 다른 조직에서 퇴행성 변화를 관리,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다. 상기 약품은 오일 기부(oil base)를 보유하고, 이런 측면에서 예로써 크림, 로션, 유체, 마사지 오일 또는 발삼(baslsam)에 기초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지방(오일)로 구성된다. 놀랍게도, 효능에 부정적인 영향 또는 상 분리 없이, 특히 수분, 알코올 또는 수분-알코올을 포함하는 양파 추출물을 오일-함유 기부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의학적 용도 관찰에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 및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AGENT CONTAINING FAT(OIL), WHICH CONTAINS ONION EXTRACT, THE PRODUCTION AND USE THEROF FOR CARING, PREVENTING OR TREATING DAMAGED SKIN TISSUE, ESPECIALLY SCARRED TISSUE}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치료하는 약품은 공지되어 있다. 특히, 겔-유사 산물이 이런 목적에 사용된다. US-A-5,885,581에서는 20-30wt%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0.005-0.03wt% 방부제, 0.05-0.2wt% 소르빈산, 0.5-2wt% 알란토인, 1-3wt% 잔탄, 원하는 경우 방향제를 포함하고 55-65wt% 함량의 수성 담체에 기초하여 5-15wt%의 액체 양파(Allium cepa) 추출물로 특성화되는 겔-유사 산물을 기술한다. 따라서, 상기 산물은 지방(오일)-없는 겔을 대표하고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의 외부에 도포된다. 상기 산물은 4.5-5.5의 pH 및 50 ㎛ 미만의 입자 크기로 더욱 특성화된다.
이에 더하여, "Hansaplast® scar reduction"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상처치료 연고는 활성 성분없이 손상된 피부의 치료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적합한 연고 패드는 대략 8-10주동안 피부에 부착되는데, 온도 수준 증가의 결과로 재생 과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lofibrase® 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흉터 크림은 통상적인 오일/유화제 요소뿐만 아니라 요소, 헤파린 나트륨(60,000 I.U.), 장뇌(camphor)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산물은 흉터 치료, 흉터 경축, 켈로이드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헤파린-나트륨은 알려진 바와 같이 혈액-희석제로 작용한다.
Hirudoid® forte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겔은 무코폴리사카라이드 폴리황산 에스테르(445 ㎎, 100 g 연고에서 40,000 unit에 상응)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프로필렌 글리콜, 물은 겔 제조에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무코폴리사카라이드 폴리황산 에스테르는 헤파리노이드(heparinoid) 효과를 보이고, 따라서 상기 명시된 Kelofibrase® 산물과 일치한다. 겔뿐만 아니라, Hirudoid® forte 연고 역시 전술한 활성성분이외에 높은 지방산 및 중급 트리글리세리드와 함께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의 혼합물, 이소프로필 알코올, 이미드 요소, 페녹시에탄올, 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유형의 산물은 정맥병리, 표면 정맥염, 혈종의 치료 및 물렁하고 거친 흉터를 부드럽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물은 손상된 피부에 도포해서는 안된다.
Hyalform® 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겔 이식물은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수성 염화나트륨-함유 주사 용액으로 존재한다. 이 약품은 피부 변형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해당되는 교정 부위에 급성이나 만성 피부 질환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Linoladiol® 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친수성 O/W 크림은 크림 기부에 에스트라디올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이런 호르몬-함유 제형는 부인과적 용도뿐만 아니라 피부학적 용도, 예를 들면 급성이나 아급성 단계의 화상, 흉터 치료, 피부 위축, 구주위염, 습진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호르몬-함유 산물에서 공지된 사용 제한, 예를 들면 부작용 및/또는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PC 30 V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리퀴덤(liquidum)은 1,3-부탄디올, 덱사판텐올, 알란토인, 방향제에 마로니에씨 건조 추출물 및 캐모마일 블러섬(camomole blossom) 건조 추출물을 함유한다. 이 약품은 피부 손상, 예를 들면 민감한 압점의 상처 압통과 정형외과 장치에 의한 흉터 및 욕창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수술 또는 다른 피부 손상에 의한 흉터에는 처방되지 않는다.
Striatridin® 연고는 연고 기부뿐만 아니라 옥타데실 알코올의 알킬-분지된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노산 솔, 에틸 니코티네이트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이 산물은 흉터 치료, 튼살, 무르고 기능적으로 손상된 피부에 효과적이다.
DE-A 196 28 284에서는 건선 치료에 곰파(bear's garlic)의 사용을 기술한다.
DE-A 37 23 248에서는 염증의 치료에 티오설핀산 유도체의 사용을 기술한다. 이들은 양파로부터 추출 및 후속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양파 추출물 자체는 여기에 사용되지 않는다.
EP-B 429 080은 S-알릴시스테인-함유 산물의 제조 공정에 관하는데, 여기서 S-알릴시스테인은 예로써 수성 마늘 추출물을 시스테인과 혼합하여 얻는다.
EP-B 364 442는 대극과 식물, 현삼과 식물, 서양톱풀, 서양 현호색과 식물, 마늘, 쐐기풀, 금잔화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3가지 상이한 초본의 오일 추출물에 관한다. 이 혼합물은 예로써 파라핀을 함유하는 오일의 형태로 건선에 사용된다.
EP-B EP 201 956은 예로써 담배, 조류, 마늘의 추출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별에 관하는데, 여기서 수득되는 특정 물질은 화장품에 항산화 물질로 사용된다.
US-A 6,200,570은 마늘 추출물, 적어도 한가지 다른 식물 추출물(예, 알로에 베라), 항염증제(예, 항알레르기 효과와 진통 효과를 갖는 디클로페낙)로 구성되는 조성물에 관한다.
JP-A 2000327535는 예로써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 토닉(hair tonic)을 기술한다.
JP-A 09194334는 탈모에 효과적인 헤어 토닉(hair tonic)에 관하는데, 이는예로써 마늘(Allium satium) 및/또는 다른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다.
JP-A 08012570과 JP-A 0317413은 마늘(Allium satium) 또는 산마늘(Allium victorialis)과 같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 또는 비듬방지 약품에 관한다.
전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흉터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산물이 겔 형태이거나, 또는 겔 형태가 아니면 상당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가령, 에스트라디올을 함유하는 산물은 호르몬 함량과 관련하여 사용이 제한된다. 헤파리노이드 효과를 보이는 무코폴리사카라이드 폴리황산 에스테르는 과민성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손상된 피부에 절대로 절대로 도포해서는 안된다. Hyalform®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전술한 산물은 피부 변형의 기계적 교정에만 적합하고, 따라서 피부 조직 자체에 영구적인 효과를 수반하지 않는 이식물이다. 리퀴덤 PC 30 V는 예로써 정형외과 장치에 의해 유발된 작은 크기의 압점 상처에만 사용되고 수술, 상해, 화상 등에 의한 손상 피부 조직의 영구적인 변화에는 처방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전술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 약품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겔 형태가 아니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공지된 바와 같이 지방(오일)-없는 겔이 피부에 상당한 건조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본원 발명은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 및 예로써 수술, 생검, 절단, 화상 또는 다른 사고후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 튼살(stretch mark), 피부와 다른 조직에서 퇴행성 변화를 관리,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다. 상기 약품은 오일 기부(oil base)를 보유하고, 이런 측면에서 예로써 크림, 로션, 유체, 마사지 오일 또는 발삼(baslsam)에 기초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지방(오일)로 구성된다. 놀랍게도, 효능에 부정적인 영향 또는 상 분리 없이, 특히 수분, 알코올 또는 수분-알코올을 포함하는 양파 추출물을 오일-함유 기부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의학적 용도 관찰에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고도적합성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약품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성분은 에멀젼 기부로 통합되고, 이의 결과로 피부가 건조되지 않으며 긍정적인 관리 효과, 특히 피부 탄력성-촉진 관리 효과도 유도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은 활성 성분이 양파 추출물; 경도-전달제, 염료, 항산화제, 방향제, 습윤제, 방부제, 안정제, 추가 활성 성분에서 선택되는 통상적인 첨가제; 지방(오일) 상을 함유하는 본원 발명에 따른 약품으로 달성된다.
적절하게는, 수상 및 O/W 유화제, W/O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적절한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상응하는 유화제가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약품은 5-99% 지방(오일) 상; 0.1-35% 첨가제; 1-20% 양파 추출물 및 하기에 제시된 함량의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약품은 70-99%, 특히 80-98% 지방(오일) 상; 0.1-20%, 특히 0.1-10% 첨가제; 1-20%, 바람직하게는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양파 추출물; 예로써 최대 20% 함량의 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잔여 용매로 구성되는 약품이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약품은 5-70% 지방(오일) 상; 0.1-15% 유화제(W/O; O/W),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1-35% 첨가제; 1-20% 양파 추출물; 최대 20%의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예,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혼합물로 구성된다.
지방(오일) 상은 5-60%, 바람직하게는 5-4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양파 추출물은 특히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을 함유하는 양파 추출물이다.
이런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파 추출물을 지방(오일)-함유 상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통하여 추출물의 분포가 균일하고 안정되며, 치료된 피부의 건조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피부 탄력성-촉진 효과가 달성되고, 이를 통하여 반흔(scarring)과 위축(slackening)의 측면 및 피부의 연성 측면에서 피부의 손상된 부위의 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약품에서 양파 추출물은 총량에 기초하여 1-15%, 2-15%, 특히 5-15%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5-10%, 좀더 바람직하게는 8-10%, 가장 바람직하게는 2-4% 또는 10%이다.
첨가제는 사용 용도에 따라 0.1-30%, 특히 0.1-25% 함량으로 존재한다.
유화제는 0.1-10%, 바람직하게는 1-10%, 좀더 바람직하게는 1-8%,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양파 추출물은 특히 수성-에탄올성 추출물이다. 적절하게는, 양파 추출물은 물과 10-15% 에탄올을 함유한다.
알코올성 양파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알코올 이외에,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10-80%, 특히 20-60%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지방(오일) 상은 탄화수소, 지방 알코올, 에테르와 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천연 오일, 천연 지방, 왁스,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액체 파라핀, 락트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에테르, 달맞이꽃 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선호된다.
W/O 유화제는 1-9, 바람직하게는 1-8, 좀더 바람직하게는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3-6의 HLB 값을 보유하고, O/W 유화제는 9-18, 바람직하게는 9-15, 특히 바람직하게는 9-13의 HLB 값을 보유하거나 이온성 O/W 유화제이다.
W/O 유화제로는 솔비탄 유도체,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트리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릴 유도체, 폴리올 에스테르, 글루코오스 유도체, 펜타에리트리톨 유도체, 알킬페놀, (블록)중합체, 실록산, 지방산 염, 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선호되고, 이들 중에서 Abil® EM 90, Arlacel® 582,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선호된다.
보조 유화제, 예를 들면 Arlatone® T(V) 역시 여기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O/W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화된 산물, 비이온성과 이온성 인산염, 이온성 일가염,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스테롤 유도체, 피마자 오일 유도체, 실록산,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 이들의 혼합물이다. Tego Care® 450, Eumulgin® B1,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보조유화제와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O/W 유화제가 존재하는 경우에, 안정제로는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사카라이드가 특히 선호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약품이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면, 첨가제는 비타민, 전해질(예, 황산마그네슘 또는 염화나트륨), 알란토인, D-판텐올, 히알루론산, 무코폴리사카라이드, 염료, 방향제, 방부제, 습윤제에서 선택된다.
특히, 왁스 산물이 추가로 존재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레시틴, 특히 Phosal®50 SA가 첨가제로서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약품은 다양한 함량의 물, 지방 상, 유화제, 첨가제, 활성 성분(양파 추출물)을 함유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로션, 액체, 크림 또는 발삼/연고 등이 수득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약품은 중량당 5-70%, 특히 5-55% 지방(오일) 상; 0.1-15%, 특히 0.5-10% 한가지이상의 W/O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1-25%, 특히 0.1-22% 첨가제; 1-15%, 특히 1-10% 양파 추출물; 최대 20%의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예,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혼합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약품은 중량당 5-40%, 특히 5-30% 지방(오일) 상; 0.1-15%, 특히 1-10% 한가지이상의 O/W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1-32%, 특히 0.1-20% 첨가제; 1-10% 양파 추출물; 최대 20%의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예,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흉터 또는 손상되거나 위축된 피부 조직의 치료를 위한 약품은 예로써 마사지 오일이나 발삼, 로션, 액체 또는 크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W/O 유화제를 사용하면 특히 로션과 발삼이 만들어지고, O/W나 W/O 유화제를 사용하면 특히 크림-유사 산물이나 액체가 만들어진다. 사용 분야에 따라, 이들 산물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여드름 흉터의 치료에는 전술한 유형의 O/W 크림이 특히 적합하다. 치료 부위가 넓으면 로션이 적합한데, 이는 튼살 또는 전반적으로 위축된 피부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더 넓은 부위에는 발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수술 흉터, 화상 흉터, 베인 상처의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마사지 오일은 상대적으로 넓은 부위의 피부, 예를 들면 튼살의 예방 또는 관리와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개별 성분은 하기에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 양파 추출물
적합한 양파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을 함유하는 건조된 양파의 추출물이다. 추출은 물 자체로, 선택적으로 하기에 명시된 용매와 함께 알코올로, 또는 물과 하기에 명시된 한가지이상 알코올의 혼합물을 실시할 수 있다. 모주(stock plant) 양파로부터 수득되는 건조된 양파 칩으로 알려진 건조된 양파는 먼저 상승된 온도, 예를 들면 40-90℃에서 상기 약품을 배타적으로 침출시킴으로써 추출용 용제로 추출한다. 이후, 침출액은 감압하에 30℃ 이상의 상승된 온도에서 증발시켜 양파 추출물(농축된 추출물)을 얻고, 후속으로 소요 용매에 용해시켜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액체 추출물을 수득한다. 대안으로, 액체 추출물은 소요 용매와의 직접 반응으로 사전 증발없이 수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향기를 갖는 적갈색 내지 갈색 액체가 만들어진다. 건조 약품 대 액체 추출물의 비율은 0.1:1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5:1,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1 내지 4:1이다. 가장 바람직한 비율은 0.16:1 또는 4:1이다.
물/알코올 혼합물 또는 알코올 단독을 용매로 하는 상기 유형의 액체 추출물이 특히 선호된다. 혼합물에서, 5-60%, 바람직하게는 10-50%, 특히 바람직하게는10-40% 또는 10-15%, 특히 13%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존재한다.
적절하게는,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이나 프로판올, 또는 이가알코올(예,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에탄올이 특히 선호된다.
알코올성 액체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 또는 다른 알코올성 용매, 예를 들면 상기 명시된 용매로 추출된 양파 추출물을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이런 측면에서, 알코올의 10-80%, 바람직하게는 20-60%는 하기 포인트 Ⅱ에서 명시된 물질, 특히 탄화수소, 중급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대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파 추출물은 예로써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양파 칩이라고 하는 건조된 양파는 예로써 1:16의 약품 대 추출용 용제(물)의 비율로 정제수로 추출될 수 있다. 건조 약품 대 천연 추출물의 비율은 1.8:1 또는 1.5-2.2:1에 대응한다. 건조 약품 대 액체 추출물의 비율은 0.16:1이다. 약품(예, 16㎏ 칩)은 열수(80-90℃)로 배타적으로 침출시킨다. 이후, 침출액은 감압하에 55℃ 이상에서 증발시켜 양파 추출물(농축된 추출물)을 얻는다. 여기서 가열은짧게 실시한다(141℃에서 3초). 생성된 양파 추출물은 농축-액체인데, 이는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에 용해시켜 전술한 비율의 액체 추출물을 수득한다. 여기서 특징적인 향기를 갖는 적갈색 내지 갈색 액체가 만들어진다. 이 추출물은 임의 비율로 물과 혼합가능하고 20℃에서 1.00-1.03 g/㎖의 상대 밀도를 갖는다.물/알코올(특히, 에탄올)이 가공에 사용되면, 대략 13-20%(v/v)의 알코올(예, 에탄올)이 존재할 수 있다. 건조 잔류물(105℃에서 2시간후)은 적어도 7.0%(m/m)이다. 미생물학적 순도와 관련하여, 산물은 German Pharmacopeia 10의 카테고리 3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
양파의 특징적인 성분은 황-함유 아미노산의 유도체이다.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역시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산물은 예로써 Finzelberg Extrakte로부터 입수가능하며 앞서 언급된 US-A-5885581에서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득된 이런 추출물은 미국 특허 출원 5885581에 따른 흉터 겔에 사용된다. 하지만, 겔 조성물과는 대조적으로, 이런 추출물이 오일-함유 또는 오일-물-함유 기부에 통합되면서 동시에 활성 성분의 완전하고 상동한 분포가 지속적으로 담보되고, 특히 수성, 알코올성, 수성/알코올성 형태에서 추출물 상(phase)의 비율이 매우 가변적일 때 이들이 원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은 격별한 발전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약품에 물, 알코올 양파 추출물,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10-40%, 바람직하게는 13-20%, 좀더 바람직하게는 10-15% 에탄올을 함유하는 물-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파 추출물은 에탄올 대신에, 다른 용매, 특히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할 수도 있다.
포인트 Ⅱ에 명시된 바와 같이 예로써 10-80%, 바람직하게는 20-60%의 추가용매를 함유하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함유 추출물 역시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트리글리세리드(특히, 중급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에스테르가 선호된다.
예로써 10-40% 에탄올을 함유하는 물/알코올(특히, 에탄올)-양파 추출물 및 10-80%, 특히 20-60% 용매, 예를 들면 포인트 Ⅱ에서 명시된 탄화수소, 중급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알코올성(특히, 에탄올성) 양파 추출물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물/알코올 및 알코올/용매 양파 추출물의 비율은 3:1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1이다.
Ⅱ. 지방(오일) 상
지방(오일) 상의 경우에, 여기에 통상적인 오일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바람직하게는 액체 지질,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다음의 그룹과 실례가 여기에 적합하다:
1. 스쿠알렌, 스쿠알란, 액체 파라핀(Paraffinum perliquidum), 이소파라핀, 디옥틸사이클로헥산(Cetiol® S), 이소헥사데칸(Arlamol® HD)과 같은탄화수소;
2. 올레일 알코올, 옥틸도데칸올(Eutanol® G)과 같은지방 알코올;
3. 이소프로필 지방산 에스테르(팔미테이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이트), 데실 올레이트(Cetiol® V), 헥실 라우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Finsolv® TN), 디카프릴릴 탄산염(Cetiol® CC), 디에스테르(예, 디부틸아디페이트(Cetiol® B)), 프로필렌 글리콜 디펠라르고네이트, 분지된 지방산 에스테르(예, PCL-액체®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또는 혼합물(예, Cetiol® PGL(헥실데칸올과 헥실데실 라우레이트))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4. 디카프릴릴 에테르(Cetiol® OE)와 같은지방 알코올 에테르;또는 락트산 에스테르(예, C12-13 알킬 락테이트(Cosmacol® ELI))와 같은지방 알코올 에스테르;
5. Cetiol® HE(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와 같은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6. 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Miglyol® 810, 812)와 이의 폴리올 에스테르(예,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Miglyol® 840))와 같은트리글리세리드,특히 중급 트리글리세리드;
7. 해바라기 오일, 대두 오일, 디너초 오일, 아프리코트 커넬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땅콩 오일, 알몬드 오일, 밍크 오일, 맥아 오일, 아보카도 오일, 달맞이꽃 오일과 같은천연 지방과 오일;
8. 천연 액체 왁스(예, 호호바 오일)나 이의 치환된 올레일 에루케이트(Cetiol® J 600); 또는 합성 왁스(예, 아래의"경도-전달제"에 기술된 왁스)와 같은왁스;
9. 폴리디메틸실록산(예, Dow Corning Fluid® 200(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틸실록산(예, Dow Corning Fluid® 345(사이클로메티콘)), 페닐메틸폴리실록산(예, 페닐 디메티콘(Abil® AV 8853)), 알킬폴리메틸실록산 공중합체(예, 세틸 디메티콘(Abil® Wax 9801)), 스테아릴 디메티콘(Abil® Wax 9800), 디알콕시디메틸폴리실록산(예, 스테아록시 디메티콘((Abil® Wax 2434)), 베헤녹시 디메티콘(Abil® Wax 2440)과 같은실리콘 오일과 왁스;
특히 선호되는 오일 성분은 액체 파라핀;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또는 미리스테이트; 지방 알코올 에테르, 예를 들면 디카프릴릴 에테르(Cetiol® OE); 천연 지방과 오일,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오일, 대두 오일, 디너초 오일, 아프리코트 커넬 오일, 좀더 바람직하게는 달맞이꽃 오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혼합물; 전술한 유형의 실리콘 오일; 락트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Cosmacol® ELI 및 전술한 성분과 이의 혼합물이다.
오일의 총량에 기초하여 개별 성분의 1-50%가 존재하는 혼합물 형태의 액체 파라핀, 락트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에테르, 달맞이꽃 오일, 실리콘 오일이 특히 선호된다.
실리콘 왁스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전술한 파라핀, 락트산 에스테르, 달맞이꽃 오일과의 혼합물로 특히 적합하다.
Ⅲ. 유화제
A). W/O 유화제
적합한 W/O 유화제는 1-9, 특히 1-8의 HLB 값을 갖는 유화제이다. 다음의 산물이 특히 선호된다.
1. 솔비탄 유도체
솔비탄 올레이트(Span® 80, HLB = 4.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HLB = 5.0),솔비탄 세스퀴놀레이트(Crill® 43, HLB = 3.7), 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Crill® 6, HLB = 4.7),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Crill® 35, HLB = 2.1)와 같은 솔비탄 에스테르;
Arlacel® 582(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PEG-2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 오조케리트,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 HLB = 5).
2. 폴리에톡실화된 산물
PEG-2 올레이트(HLB = 5.0), PEG-4 디스테아레이트(HLB = 3.0), PEG-2 스테아레이트(HLB = 4.4), 세테아레트-3(Volpo® CS3, HLB = 5.0), 세테트-2(Volpo® C2, HLB = 5.3)와 같은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
Arlatone® T(V)(PEG-40 솔비탄 페롤레이트, HLB = 9)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PEG-5 피마자 오일(HLB = 3.9), PEG-6 디리시놀레이트(HLB = 5.0), PEG-7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Cremophor® WO 7, HLB = 5.0)과 같은 에톡실화된 트리글리세리드.
3. (폴리)글리세릴 유도체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Lameform® TGI, HLB = 3.5),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Dehymuls® PGPH, HLB = 3.5),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 PDI, HLB5), 폴리글리세릴-3 올레이트(Isolan® GO 33, HLB5), 폴리글리세릴-3 디올레이트(Cremophor® 32, HLB5),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 GI 34, HLB5)와 같은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Cithrol® GMR N/E, HLB = 2.7), 글리세릴 라우레이트(Cithrol® GML N/E, HLB = 4.9), 글리세릴 디올레이트 S/E(Cithrol® GDO S/E, HLB = 2.9)와 같은 글리세롤 에스테르.
4. 폴리올 에스테르
글리콜 올레이트 S/E(Cithrol® EGMO S/E, HLB = 2.7), 글리콜 리시놀레이트 S/E(Cithrol® EGMO S/E, HLB = 2.0),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S/E(Cithrol® EGDL S/E, HLB = 2.0),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레이트(Cithrol® PGMR S/E, HLB = 3.6),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레이트(Cithrol® PGML N/E, HLB = 2.7)와 같은 폴리올 에스테르.
5. 글루코오스 유도체
메틸 글루코오스 디올레이트(Isolan® DO, HLB5), 메틸 글루코오스 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 IS, HLB5)와 같은 글루코오스 에스테르.
6. 펜타에리트리톨 유도체
펜타에리트리틸 모노라우레이트(HLB = 4.8), 펜타에리트리틸 모노탈레이트(HLB = 4.0) 또는 예로써 구연산과 혼합된 에스테르; Dehymuls® E(디코코일 펜타에리트리틸 디스테아릴 시트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Cera alba,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HLB = 4.0), Dehymuls® F(디코코일 펜타에리트리틸 디스테아릴 시트레이트, Cera microcristallina, 글리세릴 올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HLB = 4.0)와 같은 지방산 알코올 에스테르.
7. 알킬페놀
노녹시놀-2(HLB4.5).
8. 중합체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중합체(INCI 명칭: 폴록사머), 예를 들면 Pluronic® PE 3100(HLB = 4.5), Pluronic® PE 6100(HLB = 3.0) 또는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Arlacel® P 135, HLB5.5)와 같은 중합체.
9. 실록산 유도체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실록산-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특히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예를 들면 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Abil® EM 90, HLB = 5), 라우릴메티콘 코폴리올(Dow Corning® Q2-5200, HLB4),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Abil® WE 09(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HLB5).
10. 지방산 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다가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특히 선호.
특히 바람직한 유화제는 Abil® EM 90(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Arlacel® 582(솔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PEG-2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 오조케리트, 수소첨가도니 피마자 오일, HLB = 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특히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화제는 원하는 HLB 값을 얻기 위하여 적합한 보조유화제와 혼합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예로써바람직한 W/O 유화제와 혼합된 Arlatone® T(V)가 포함된다.
B) O/W 유화제
적합한 O/W 유화제는 9-18, 바람직하게는 9-15, 특히 바람직하게는 9-13의 HLB 값을 갖는 유화제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폴리옥시에틸화된 산물이 포함된다(오른쪽: HLB 값):
G-2111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올레이트9.0
G-2125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9.4
Brij® 30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9.5
Tween® 61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9.6
Tween® 81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10.0
G-3806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10.3
Tween® 65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10.5
Tween® 85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트리올레이트11.0
G-3910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12.2
G-2127폴리옥시에틸렌 모노라우레이트12.8
Renex® 690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13.0
폴리에틸렌 글리콜-400 모노라우레이트13.1
Cremophor® EL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 오일13.3
G-1284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 오일13.3
Tween® 21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13.3
Renex® 20혼합된 지방산과 수지 산의 13.5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G-1441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라놀린 유도체14.0
G-7569J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14.9
Tween® 60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14.9
Tween® 80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15.0
Myrj® 49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15.0
G-3720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15.3
G-3920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15.3
Tween® 40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15.6
G-2162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모노스테아레이트 15.7
Cremophor® 0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코올 에테르16.0
G-1471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라놀린 유도체16.0
Myrj® 51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16.0
Cetomacrogol 1000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1000 모노세틸 에테르 16.1
Tween® 20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16.7
Brij® 35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16.9
Myrj® 52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16.9
Myrj® 53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17.9
이에 더하여, 다음의 산물이 선호된다:
Myrj® 45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11.2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400 모노올레이트11.4
Cremophor®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400 모노스테아레이트 11.6
AP-solid
G-2161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400 모노스테아레이트 11.6
Brij® 721 P스테아레트-2115.5
Emulgin® B1세테아레트-1213
지방 알코올이나 글리세릴 에스테르(예, 유화제 E 2149(스테아레트-7, 스테아릴 글리콜, HLB = 11) 또는 Arlacel® 165 FL(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HLB = 11))와 같은 보조유화제와의 표준 상업적 혼합물 및
Atlox® 3300알킬아릴설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미올레이트11.7
역시 선호된다.
세틸이나 스테아릴 인산염(HLB = 8 또는 10), 트릴라우레트-4 인산염(Hostaphat® KL 340, HLB13), 트리세테아레트-4 인산염(Hostaphat® KW 340, HLB = 10),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예, Dermofeel® Q 182 S(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PEG-4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Hostacerin® DGSB, HLB8)), 폴리글리세릴-2 PEG-10 라우레이트(Hostacerin® DGL, HLB14), 폴리글리세릴-3 메틸 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Tego Care® 450, HLB = 12), 또는 혼합물(예, Eumulgin® VL 75(라우릴 글루코시드,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HLB13))과 같은 비이온성과 이온성 인산염 역시 선호된다.
글루코오스 에스테르(예, 세테아릴 글루코시드(Tego Care® CG 90, HLB = 11)),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Tego Care® PS, HLB = 12), PEG-20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Glucamate® SSE, HLB = 15), 또는 지방 알코올과의 혼합물(예, Montanov® 82(세테아릴 알코올, 코코글루코시드, HLB = 11), Montano® 14(미리스틸 알코올, 미리스틸 글루코시드, HLB = 10), Montanov® 202(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 글루코시드, HLB = 8))과 같은 당 에스테르; 또는 수크오로스 스테아레이트(Crodesta® F 160, HLB = 14.5), 수크로오스 코코에이트(Crodesta® SL 40, HLB = 15)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 Crodesta® F 110(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HLB = 12)과 같은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역시 선호된다.
이에 더하여, 라놀린 유도체, 예를 들면 라네트-20(Polychol® 20, HLB = 14) 또는 Generol® RE 10(PEG-10 포도씨 스테롤, HLB = 12); 피마자 오일 유도체, 예를 들면 PEG-40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Emulgin® HRE 40, HLB = 15) 또는 PEG-36 피마자 오일(Arlatone® 650, HLB = 12.5);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 Arlatone® 980(PEG-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PEG-25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 HLB = 12.8))과 같은 스테롤 유도체가 유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실록산 유도체, 특히 특정 폴리실록산-폴리에테르 공중합체, 예를 들면 Abil® Care 85(디메티콘 코폴리올, 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 HLB = 10)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할 수 있는 이온성 유화제는 지방산이나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 예를 들면,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리에탄올아미노스테아레이트, Lanette® E(소디움 세테아릴 설페이트); 다른 인산염, 예를 들면 Amphisol® K(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 글루타메이트, 예를 들면 Hostapon® CCG(소디움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또는 락틸레이트, 예를 들면 Crolactil® SSL(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의 일가염이다.
전술한 모든 유화제는 경도-전달제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조유화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스테아릴 알코올(Lanette® 18), 세틸 알코올(Lanette® 16), 미리스틸 알코올(Lanette® 14) 또는 세테아릴 알코올(Lanette® O)에서 선택된다. 지방산(예,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에스테르(예,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특히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Regin® M 역시 적합하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경도-전달제는 왁스, 예를 들면 밀랍(Lunacera® alba), Kester® 왁스 K82H(C20-C40-알킬 스테아레이트) 또는 Lunacera® M(마이크로왁스); 탄화수소 왁스, 예를 들면 Lunacera® P(미네랄 왁스); 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Cutina® HR); 합성 왁스, 예를 들면 세틸 팔미테이트(Cutina® CP) 또는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Crodamol® MM), 또는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Crodamol® SS)이다.
특히 바람직한 O/W 유화제는 다음과 같다:
Tego Care® 450(폴리글리세릴-3 메틸 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HLB = 12), Eumulgin® B1(Ceteareth, HLB = 13), 또는 이들의 혼합물.
전술된 Hostaphat® 산물 또는 Abil® Care 85 역시 바람직하다.
Ⅳ. 첨가제
1) 추가 활성 성분
선택될 수 있는 추가 활성 성분은 특히,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비타민 E) 또는 비타민 A(예, 레티놀 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이다. 전해질, 예를 들면 황산마그네슘 또는 염화나트륨 역시 적합하다(0.2-2% 함량의 전해질).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글루코사민 글리칸, 특히 무코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에는 특히, 비-헤파리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데르마탄 설페이트 또는 케라탄 설페이트; 또는 헤파리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면 헤파린, 특히 이의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이 포함된다.
알란토인, D-판테놀, 히알우론산 및/또는 아연 유도체(예, Zincidone® (아연 PCA), 아연 글루코네이트 또는 아연 옥사이드) 역시 적합하다.
개별 활성 성분의 함량은 변하는데, 각 경우에 예로써 0.01-20% 또는 0.1-6%, 특히 1-5% 또는 3-5%이다.
게다가, 소포 형성제, 특히 레시틴과 이의 유사체가 추가 활성 성분으로 적합하다. 이들에는 공지된 물질(DE 42 05 548 C2), 특히 인지질, 예를 들면 레시틴(난이나 대두 레시틴)(Phosal® 50 SA(대략 50%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세린-이나 디에탄올-아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레시틴-유사한 보조성분은 스핑고지질(예, 세라미드, 세레브로시드, 스핑고신, 스핑고미엘린), 피토스테롤(β-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 특히 에톡실레이트(예, Gererol® 122 E 5(PEG-5 대두 스테롤), R E5(PEG-5 포도씨 스테롤))이다.
다른 적합한 소포 형성제는 폴리에톡실화된 지방 알코올 및 2 내지 6 HLB 값의 1-4개 EO를 보유하는 지방산인데, 여기서 지질친화성 라디칼은 C16내지 C18-알킬 사슬, 폴리글리세롤 알킬 에테르, 글루코실 디알킬 에테르, 수크로오스 디에스테르, 콜라겐 가수분해물 에스테르, 4가 암모늄 화합물, 폴록사머로 구성된다. 난 및/또는 대두 레시틴(Phosal® 50SA), 포스파티딜콜린, 세라미드, 피토스테롤과 5 내지 16의 에톡실화 등급을 갖는 이의 에톡실화된 유도체, 2-6 HLB 값의 폴리에톡실화된 지방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특히 전술한 유형의 피토스테롤과 에톡실화 산물의 혼합물이다. Phosal® 50 SA가 특히 선호된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 활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비타민 E(예, 0.1-5%, 특히 0.1-1%);
b) 황산마그네슘 및/또는 염화나트륨(예, 0.1-5%, 특히 0.1-1%);
c) 무코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예, 0.1-2%, 특히
0.1-1%); 헤파린이나 헤파리노이드, 예를 들면 헤파린-Na(예, 0.1-2%, 특히
0.1-1%);
d) 알란토인; 전술된 함량, 예를 들면 0.1-10%, 특히 0.1-1%;
e) D-판테노일; 전술된 함량, 예를 들면 0.1-10%, 특히 1-5%; 
f) 히알루론산(예, 0.001-1%, 특히 0.01-0.1%);
g) 레시틴, 예를 들면 Phosal® 50 SA(예, 0.5-5%, 특히 1-2%);
h) 아연 유도체, 예를 들면 0.1-3%, 특히 0.5-1%의 아연 글루코네이트 또는
아연 PCA(Zincidone®);
i) 전분 유도체, 예를 들면 Natrasorb® HFB(전분 알루미늄, 옥테닐 숙시네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탄산마그네슘);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Micropearl® M 100(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icropearl® M 305(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Biopol® OE(소디움 C8-16 이소알킬숙시닐 락토글로불린 설포네이트)와 같은 오일-흡수제.
수렴제(astringent)와 피지-조절제, 예를 들면 Acnacidol® 101(프로필렌 글리콜, 하이드록시데카논산), Asebiol® BT(가수분해된 효모 단백질, 페리독신, 니아신아마이드, 글리세롤, 판테놀, 프로필렌 글리콜, 알란토인, 비오틴), Lipacide® C8C0(카프로일 콜라겐 아미노산), Sebosoft®(글리세롤, 아쿠아, PEG-8, 카프릴릴 글리콜, 세바식산,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 Sepi Control® A5(카프릴로일글리신, 메틸글리신, 신나모눔 제일라니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추가 활성 성분은 식물 추출물, 예를 들면 자작나무 잎 추출물, 알로에 베라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히비스키스 추출물, 우엉 추출물, 하마멜리스 추출물, 고투 콜라 추출물, 조류 추출물, 마르멜로 추출물, 수련 추출물, 계피 추출물이다.
냉각/진정 활성 성분, 예를 들면 Fresolat® ML(멘틸 락테이트) 또는 Eashave®(소디움 히알루로네이트, 맥아 추출물,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추출물)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 활성 성분은 니코틴산 유도체(예, 메틸이나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알파-와 베타-하이드록시산과 이의 유도체(예, 글리콜산, 말산, 구연산, 주석산, 락트산, 살리실산, 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C12-13 알킬 락테이트(Cosmacol® ELI))와 같은 순환-촉진제; 트리테르펜[예, 어솔릭산(ursolic acid), 글리시르히신산(glycyrrhicinic acid) 또는 글리시르헤틴산]과 이의 유도체(예, 스테아릴 글리시르헤티네이트, 포타슘 글리시르히네이트), 판토텐산 유도체(예, D-판텐올, 판테닐 트리아세테이트), 알란토인, 비사볼롤, 아줄렌(예, 카마주엘렌 또는 구아이아줄렌), 피토스핑고신, 트리클로산, 클로르헥시딘 유도체와 같은 항염증과 항균제; 또는 비듬방지제(예, 클림바졸 또는 피록톤 올라민)이다.
이에 더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항산화와 세포-보효 효과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플라보노이드(예, 루틴, 페룰산, 이의 에스테르), 이소플라본(예, 대두 이소플라본) 또는 보조효소 Q10을 효과적인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f), a)-i) 또는 a)+c)-i)의 추가 활성 성분 혼합물이 특히 선호된다. 이들은 후술된 통상적인 첨가제와 적절한 방식으로 혼합될 수 있다.
2) 통상적 첨가제
이들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항산화제, 방향제, 염료, UV 필터, 방부제나 습윤제, 안정제, 경도-전달제.
항산화제는 상승작용제(예, Controx® VP(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수소첨가된 야자 글리세리드 시트레이트), 갈릭 알킬 에스테르(예, 옥틸, 도데실, 세틸 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되는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토코페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방향제는 특히, 필수 오일에서 선택된다. 그 외에, 표준의 상업적인 방향 조성물, 예를 들면 Deliana 방향 오일 역시 사용가능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약품에 적합한 필수 오일은 특히, 로즈메리 오일, 오렌지 오일, 라벤더 오일, 석회 오일, 계피 오일, 제라늄 오일, 시더우드 오일, 자단 오일, 쥐오줌풀 오일, 일랑일랑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차나무 오일, 마누카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박하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사이프리스 오일, 니아올리 오일, 스프루스 니들 오일, 파인 니들 오일, 장뇌, 멘톨에서 선택되는 필수 오일이다.
이들 첨가제는 추가 활성 성분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이들에는 필수 불포화 지방산과 이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리놀산이나 리놀렌산, 글리세롤 리놀레이트, 글리세릴 리놀레네이트가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이나 추가 활성 성분은 필수 오일, 식물 추출물과 식물 오일, 피지-조절제, 습윤제, 함염증과 항균제, 비타민, 불포화 필수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염료는 예로써 Patent Blue, 아미도 블루, 오렌지 RGL, 코치닐 레드, 염료 FD+C Blue NO.1, 티타늄 디옥사이드 또는 퀴놀린 옐로우이다.
적합한 UV 필터는 다음 유형의 UVB, UVA, 광역 필터이다:
UV-B 필터: 신남산 에스테르(예,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Eusolex® 2292, Neo Heliopan® AV, Parsol® MCX),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Neo Heliopan® Galanga), 4-메틸벤질리덴캄포르(Eusolex® 6300)), 파라아미노벤조산과 에스테르(예, 2-에틸헥실 N,N-디메틸-4-아미노벤조에이트(Eusolex® 6007, 옥틸디메틸 PABA)),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Homosalate, Eusolex® HMS), 옥틸살리실레이트(Neo Heliopan® OS), 옥토크릴렌(Neo Heliopan® 303),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Neo Heliopan® Hydro, Eusolex® 232);
광역 흡수용 UVA + UVB 필터: 벤조페논-3(Neo Heliopan® BB, Eusolex® 4360);
UV-A 필터: 메틸 안트라닐레이트(Neo Heliopan® MA),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Parasol® 1789, Eusolex® 9020),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Tinosorb® M),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Tinosorb® S), 디소디움 페닐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Neo Heliopan® AP).
옥틸이나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4-메틸벤질리덴-캄포르, 호모살레이트,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또는 벤조페논-3이 특히 선호된다.
무기 UV 필터, 예를 들면 아연 옥사이드와 티타늄 옥사이드, 특히 미분화되거나 코팅된 Z-cote®, Tioveil® 역시 적합하다.
적합한 방부제는 요오드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DMDM 하이단토인, 페녹시에탄올, 다른 통상적인 방부제(예, 소르빈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과 이의 염, 메틸디브로모글루타노니트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다른 산(벤조산 또는 살릴실산), 벤질 알코올이나 에스테르(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파라벤, 바람직하게는 메틸- 이나 프로필파라벤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p-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또는 클림바졸), 또는 상기 물질의 적절한 혼합물(예, 메틸-, 프로필파라벤과 소르빈산의 혼합물)이다. 특히, DMDM 하이단토인과 요오드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의 혼합물, 예를 들면 Glydant® plus이다.
폴리알코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글리세롤);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쿠아테르눔(예, 폴리쿠아테르눔-39(Merquat® plus 3330); 단백질, 예를 들면 콜라겐이나 이의 가수분해물; 아미노산; 요소; D-판텐올; 식물 단백질, 예를 들면 밀, 대두, 아몬드 또는 이들의 가수분해물(예, Tritisol®(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Fucogel® 1000(바이오사카라이드 검-1); 글루코사미노글리칸,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이나 황산화된 글루코사미노글리칸(예,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데르마탄 설페이트, 케라탄 설페이트, 헤파란 설페이트, 특히 이들의 Na염과 헤파린-Na); 글루칸, 예를 들면 β-글루칸(예, 귀리 β-글루칸(Drago-β-Glucan®)); 만난스, 예를 들면 곤약(konjac) 만난스; 조류 추출물, 예를 들면 Seamannin® SU; 또는 표준의 상업적인 습윤제, 예를 들면 Hydractin®(글리세롤, 아쿠아, 디소디움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알긴, 카리카 파파야), Aquaderm®(소디움 PCA, 소디움 락테이트, 프럭토오스, 글리신, 니아신아마이드, 요소, 이노시톨) 또는 염(예, 소디움 락테이트,DL-피롤리돈-5-카르복실산, Na염)과 같은 습윤제 역시 적합하다.
0.5-10%, 특히 2-5% 함량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이나 글리세롤 및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예를 들면 Fucogel® 1000이 선호된다.
적합한 첫 번째 안정제는 왁스 산물, 예를 들면 Lunacera® alba(Cera alba), Lunacera® M(Cera microcristallina), Cutina® HR(수소첨가된 피마자 오일); 또는 실리콘 왁스, 예를 들면 Abil® 왁스 9800(스테아릴 디메티콘)이다. 지용성 젤리(petroleum jelly)와 라놀린으로 구성되는 Amerchol® CAB를 안정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될 수 있는 두 번째 안정제는 NaOH(예, 5% 강도, 0.1-4%, 특히 1-3%의 함량); 산, 예를 들면 구연산, 락트산 또는 말산; 또는 착화제로서 적절한 함량의 EDTA Na와 같은 pH를 조절하는 성분이다. pH 조절물질의 함량과 유형은 다른 첨가제에 좌우되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특히 적합한 안정제는 한가지이상 아크릴아마이드, 한가지이상 아크릴레이트, 한가지이상 폴리사카라이드(특히, 전분이나 전분 유도체)의 혼합물인데, 각 성분은 0.05-8%, 바람직하게는 0.1-5%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아크릴아마이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예를 들면 Flocare® T 920 GC;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함유 혼합물, 예를 들면 Sepigel® 305(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파라핀, 라우레트-7), Sepigel® 501(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미네랄 오일, C13-14 이소파라핀, 폴리소르베이트 85), Sepigel® 502(C13-14 이소파라핀,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소르베이트 20), Creagel® EZ DC(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데센, 디메티콘 코폴리올), Creagel® EZ 5(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데센, 라우레트-5)이다.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는 고분자량(1-3백만)의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특히 알칼리에 의한 중화이후의 이의 공중합체이다. INCI 명칭 카보머(carbomer)로 공지된 Carbopol® 등급, 예를 들면 Carbopol® 910, 934, 940, 941, 954, 980, 981, 2984, 5984 또는 Carbopol® ETD 2001, 2050; Synthalen® K, L, M; 또는 이미 중화된 카보머, 예를 들면 PNC® 400, 410, 430(INCI: 소디움 카보머)이 선호된다. Carbopol® 1342, 1382, ETD 2020, Pemulen® TR-1, TR-2로 알려진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의 물질이 전분이나 전분 유도체로 특히 적합하다:
쌀 전분, 밀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소수성으로 변형된 전분, 예를 들면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시네이트(Dry Flo® PC, FLuidamid® DF 12); 또는 이의 혼합물, 예를 들면 Natrasorb® HFB(알루미늄 전분 옥네틸숙시네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탄산마그네슘), ASO/MM3®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시네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Dry Flo® Elite LL(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시네이트, 라우로일 리신), Facemat®(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시네이트), 운모, Zea may(옥수수) 전분, 실리카, 티타늄 디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가 선호된다.
Dry Flo® PC와 Natrasorb® HFB가 특히 선호된다.
안정제의 전술된 혼합물은 특히 O/W 유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Sepigel® 305 또는 501; PNC® 410/400 또는 Carbopol® ETD2020; Dry Flo® PC 또는 Natrasorb® HFB, 특히 이들의 혼합물이 선호된다.
선택적으로 pH 조절물질 및 추가 물질과 결합된 안정제, 습윤제, 추가 활성 성분과 함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추가 활성 성분과 혼합물로 방부제, 항산화제, 염료,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첨가제 또는 활성 성분의 함량은 일정한 범위내에서 변한다.
비타민, 전해질(예, 마그네슘 설페이트, 염화나트륨), 알란토인, D-판텐올, 히알루론산, 무코폴리사카라이드(예, 헤파리노이드, 비헤파리노이드),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추가 활성 성분, 방향제, 방부제, 습윤제에서 선택되는 첨가제가 선호된다.
적절하게는, 이들은 왁스 및/또는 레시틴, 특히 Phosal® 50 SA와 혼합할 수 있다.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원 발명의 약품은
양파 추출물에 혼합될 수 있는 첨가제 및 양파 추출물을 혼합하여 지방 상을 만들고, 가용성 첨가제, 특히 전술한 유형과 함량의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는 수상을 준비하고, 이후 수상과 지방 상은 한가지이상의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과 함께 60 내지 90℃ 온도에서 유화시키고, 냉각후 첨가제를 첨가하고 적절한 방식(예, 균질화)으로 혼합물을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대안으로, 양파 추출물은 첨가제와 함께 지방(오일) 상으로 통합하고, 여기에 특히 전술한 유형과 함량의 알코올이 용매로 첨가될 수 있다.
각각으로 또는 예로써 최종적으로 언급된 2가지의 3:1 내지 1:3 비율의 혼합물로 적합한 수성, 알코올성, 알코올성-용매-함유 또는 수성-알코올성 양파 추출물이 일정한 함량으로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약품은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 물러진 조직, 예를 들면 튼살; 또는 베인 상처, 수술 상처, 화상 또는 노화-관련된 퇴행의 결과로 손상된 피부 조직의 관리,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피부학적 조성물로 적합하다. 짧은 시간이후에, 손상된 피부 조직은 상처나거나 손상된 부분에서 개선을 보이고, 신규한 오일 상-함유 제제의 결과로서 이런 피부 관리-재생 첨가제가 없을 때보다 훨씬 보드랍고 유연하며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품은 성형 수술이후의 흉터 및 여드름 흉터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6에서는 특히 13-20% 에탄올 함량의 수성-에탄올성 양파 추출물이 사용되었고, 실시예 7과 8에서는 알코올-함유, 다시 말하면 에탄올과 중급 트리글리세리드(대략 60%)를 함유하는 양파 추출물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9와 10에서는 의학적 용도 관찰을 참고로 하여 효능을 입증한다.
실시예 1
Aqua purificata34.7879
황산마그네슘0.7000
Arlacel 582 Nena8.0000
Arlatone TV1.5000
Lunacera alba2.0000
Lunacera M2.00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000
Aerchol CAB5.0000
Cetiol OE5.0000
파라피눔 페를리퀴둠10.0000
Cosmacol ELI3.0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Glydant plus0.20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D-판텐올5.5000
알란토인1.0000
히알루론산0.0100
콘드로이틴 설페이트0.2000
양파 추출물10.0000
염료 색소 파스트2.0000
염료 FD+C Blue No.10.0003
Deliana 방향 오일 0.5000
실시예 2
Auqa purificata51.7879
염화나트륨0.5000
Abil EM 902.5000
Abil Wax 98001.0000
호호바 오일1.0000
Arlamol HD5.0000
Cetiol OE4.0000
Lunacera M0.6000
Cutina HR 분말0.4000
Cosmacol ELI3.0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Dow Corning 345 Fluid4.0000
Glydant plus0.20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D-판텐올5.5000
알란토인1.0000
Phosal SA 50 New2.0000
히알루론산0.0100
콘드로이틴 설페이트0.4000
양파 추출물10.0000
염료 FD+C Blue No.10.0002
DEliana 방향 오일0.5000
실시예 3
Aqua purificata38.7900
Carbopol ETD 20200.2500
Tego Care 4503.0000
Eumulgin B12.0000
Lunacera alba2.0000
Kester wax K82H3.0000
Arlamol HD1.5000
Cetiol SB 452.0000
Finsolv TN3.0000
Dow Corning Fluid 3452.0000
Cosmacol ELI3.0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Glydant plus0.2000
NaOH 5% 강도2.8000
Trilon BD0.1000
판텐올5.5000
히알루론산 Na염0.0100
Phosal SA 502.0000
알란토인1.0000
Zincidone0.5000
Fucogel 10005.0000
Natrasorb HFB3.0000
양파액 추출물10.0000
염료 색소 파스트 화이트2.0000
Sepigel 3050.5000
Deliana 방향 오일0.5000
실시예 4
Aqua purificata33.5900
Tego Care 4503.0000
Eumulgin B12.0000
Lunacera alba1.0000
Kester wax K82H3.0000
Arlamol HD2.5000
Cetiol SB 452.0000
Finsolv TN3.0000
Dow Corning Fluid 3452.0000
Cosmacol ELI3.0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PNC4100.20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Glydant plus0.2000
NaOH 5% 강도0.9000
판텐올5.5000
히알루론산 Na염0.0100
Phosal SA 502.0000
알란토인1.0000
Zincidone0.5000
Fucogel 10005.0000
Sepigel 3050.5000
양파액 추출물10.0000
염료 색소 파스트 화이트2.0000
염료 Flow PC5.0000
Deliana 방향 오일0.5000
실시예 5
Aqua purificate41.0900
Carbopol ETD20200.2000
Dermofeel Q182S3.0000
Eumulgin B12.0000
Lunacera alba2.0000
Kester wax K82H3.0000
Arlamol HD5.0000
Cetiol SB452.0000
Finslov TN3.0000
Dow Corning Fluid 3452.0000
Cosmacol ELI3.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Glydant plus0.2000
NaOH 5% 강도1.6000
판텐올5.5000
히알루론산 Na염0.0100
Phosal SA 502.0000
알란토인1.0000
Zincidone0.5000
Fucogel 10005.0000
Sepigel 3051.0000
양파액 추출물5.0000
염료 색소 파스트 화이트1.0000
Deliana 방향 오일0.5000
Natrasorb HFB3.0000
실시예 6
Aqua purificata46.1900
Carbopol ETD20200.2000
Dermofeel Q182S3.0000
Eumulgin B12.0000
Lunacera alba2.0000
Kester wax K82H1.0000
Arlamol HD5.0000
Cetiol SB 452.0000
Finsolv TN3.0000
Dow Corning Fluid 3452.0000
Cosmacol ELI3.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0.5500
Oxynex 20040.0500
PNC 4100.6000
프로필렌 글리콜4.0000
Glydant plus0.2000
NaOH 5% 강도1.6000
판텐올5.5000
히알루론산 Na염0.0100
Phosal SA 502.0000
알란토인1.0000
Zincidone0.5000
Fucogel 10005.0000
Sepigel 3050.3000
양파액 추출물5.0000
염료 색소 파스트 화이트1.0000
Deliana 방향 오일0.5000
Natrasorb HFB3.0000
실시예 7
Miglyol 81273.9000
양파 추출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1.1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호호바 오일5.0000
Cosmacol ELI5.0000
Cetiol PGL10.0000
Deliana 방향 오일1.0000
실시예 8
MIglyol 81286.9000
양파 추출물2.000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1.1000
달맞이꽃 오일2.0000
호호바 오일3.0000
Cosmacol ELT5.0000
Deliana 방향 오일0.7000
실시예 9
평균 연령 41세의 338명 환자(62% 여성)의 두경부(65), 팔(135), 다리(84), 상체/흉부(27), 상체/허리(14) 또는 다른 부위(54)에서 베인 상처(45), 찰과상(14), 수술 자국(240), 화상 흉터(18), 여드름 흉터 또는 다른 흉터(15)는 <1개월(106) 내지 3개월(117) 또는 >3개월의 기간동안 존재하였다. 이들 환자는 실시예 1에 따른 산물을 병든 피부에 도포하여 최대 6개월동안 평균 일일 2회 치료하였다. 치료에 앞서, 대략 15%의 환자에서 공지된 산물, 예를 들면 양파 추출물 겔(콘트라투벡스) 또는 케토피브라제의 사용은 무효하였다. 본원 발명에 따른 치료동안, 평가는 피부 스무딩(smoothing)(다른 피부와 유사하거나 또는 다소간 단련된 흉터 외형; 흉터 깊이, 길이의 감소) 및 피부 적합성(피부에서 전연성, 흡수, 냄새, 느낌)의 측면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하는데, 이는 본원 발명에 따른 산물이 90% 이상의 환자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흉터 스무딩(smoothing) 의사의 평가 환자의 평가
a) 매우 좋음 45.0% 46.7%
b) 좋음 47.6% 44.7%
c) 평균 5.6% 8.0%
전반적인 평가 a) + b) 91.4% 92.6%
피부 적합성
a) 매우 좋음 75.9% 70.3%
b) 좋음 23.2% 28.5%
c) 평균 0.9% 1.2%
전반적인 평가 a) + b) 99.1% 98.8%
실시예 10: 튼살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의학적 용도 관찰
임신 16주부터 출생후 8주 때까지 5-7개월동안 튼살의 형성과 예방의 측면에서 741명의 피험자를 관찰하고 배, 흉부, 대퇴를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산물로 일일 1-2회 치료하였다. 연구 시작 시점에 62.5%는 튼살이 없었고 37.3%는 튼살을 보였다(19.2%는 경등도 튼살, 14.7%는 중등도 튼살, 3.4%는 중증도 튼살). 피험자중에서, 65.8%는 초산이었고(이들 중에서 7%는 튼살을 보였다) 34.1%는 경산이었다(이들 중에서 29.1%가 튼살을 보였다). 관찰 기간후, 대략 12 ㎏의 평균 체중 증가에도 불구하고 35.9%의 피험자에서 튼살이 발생하지 않았고 37.1%의 피험자에서 약간의 경등도 튼살이 발생하고 21.3%에서 중등도 튼살이 발생하고 5.7%에서 중증도 튼살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산물은 튼살의 효과적인 예방이나 감소에 특히 적합한데, 이는 표 2에 제시된 평가 값(실시예 9와 유사한 기준)으로부터 분명하다.
흉터의 발달 의사의 평가 환자의 평가
a) 매우 좋음 53.0% 51.1%
b) 좋음 39.0% 40.1%
c) 평균 7.0% 6.0%
d) 불량 1.0% 2.3%
전반적인 평가 a) + b) 92.0% 91.1%
피부 적합성
a) 매우 좋음 69.6% 75.7%
b) 좋음 28.1% 22.9%
c) 평균 0.9% 0.9%
전반적인 평가 a) + b) 97.7% 98.6%

Claims (29)

  1. 국소 도포를 위한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품에 있어서, 지방(오일) 상; 경도-전달제, 염료, 방향제, 습윤제, 항산화제, 방부제, 안정제, 추가 활성 성분에서 선택되는 첨가제; 양파 추출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 제 1 항에 있어서, 70-99% 지방(오일) 상, 0.1-20% 첨가제, 1-20% 양파 추출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오일) 상; 경도-전달제, 염료, 항산화제, 방향제, 습윤제, 방부제, 안정제, 추가 활성 성분에서 선택되는 첨가제; 양파 추출물; 수상; 한가지이상의 W/O나 O/W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파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을 함유하는 양파 추출물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약품.
  5.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5-70% 지방(오일) 상; 0.1-15% W/O나 O/W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1-20% 양파 추출물; 0.1-35% 첨가제;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6. 제 3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70% 지방(오일) 상; 0.5-15% 한가지이상의 W/O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5-25% 첨가제; 1-15% 양파 추출물;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7. 제 6 항에 있어서, 5-55% 오일 상; 0.5-10% 한가지이상의 W/O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1-25% 첨가제; 1-10% 양파 추출물; 잔여 물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8. 제 3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40% 지방(오일) 상; 0.5-15% 한가지이상의 O/W 유화제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 0.1-32% 첨가제; 1-10% 양파 추출물; 잔여 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9. 제 1 항 내지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에탄올성 추출물을 양파 추출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양파 추출물은 물과 10-40%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1. 제 1 항 내지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10-80% 함유하는 알코올성 추출물이 양파 추출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2. 제 1 항 내지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파 추출물은 에탄올을 10-40% 함유하는 물/에탄올 양파 추출물 및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10-80% 함유하는 알코올성 양파 추출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3. 제 1 항 내지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지방) 상은 탄화수소, 지방 알코올, 지방 알코올 에테르와 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천연 오일, 천연 지방, 왁스,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4. 제 1 항 내지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상으로 액체 파라핀, 락트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에테르, 달맞이꽃 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5. 제 3 항 내지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O 유화제는 1-8의 HLB 값을 보유하고 O/W 유화제는 9-18의 HLB 값을 보유하거나 이온성 O/W 유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6. 제 3 항 내지 7 항 또는 9 항 내지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로 솔비탄 유도체, 폴리에톡실화된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트리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릴 유도체, 폴리올 에스테르, 글루코오스 유도체, 펜타에리트리톨 유도체, 알킬페놀, (블록)중합체, 실록산, 지방산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7. 제 3 항 내지 7 항 또는 9 항 내지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로 Abil® EM 90, Arlacel® 582,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8. 제 3 항 내지 5 항 또는 8 항 내지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화된 산물, 비이온성과 이온성 인산염, 이온성 일가염,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스테롤 유도체, 피마자 오일 유도체, 실록산,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유화제로 Tego Care® 450, Eumulgin® B1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0. 제 3 항 내지 5 항, 8 항 내지 16 항 또는 18 항,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사카라이드의 혼합물이 안정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1. 제 1 항 내지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로 비타민, 전해질, 알란토인, D-판텐올, 히알루론산, 무코폴리사카라이드, 염료, 방향제, 방부제 또는 습윤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2. 제 1 항 내지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왁스 산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3. 제 1 항 내지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로 레시틴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24. 제 1 항 내지 2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품의 생산 공정에 있어서, 양파 추출물에 혼합될 수 있는 첨가제 및 양파 추출물을 혼합하여 지방 상을 만들고, 가용성 첨가제, 특히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는 수상을 준비하고, 이후 수상과 지방 상은 한가지이상의 유화제,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보조유화제와의 혼합물과 함께 60 내지 90℃ 온도에서 유화시키고, 냉각후 첨가제를 첨가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가공하거나, 또는 양파 추출물을 첨가제와 함께 지방(오일) 상으로 통합하고, 여기에알코올이 용매로 첨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5. 손상된 피부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2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품의 용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손상된 피부 조직은 흉터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7. 제 26 항에 있어서, 흉터 조직은 여드름 또는 성형 수술의 결과로 손상된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8. 제 25 항에 있어서, 손상된 피부 조직은 튼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9. 제 25 항에 있어서, 손상된 피부 조직은 베인 상처, 수술 상처, 화상 또는 노화-관련된 퇴행의 결과로 손상된 피부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03-7016128A 2001-07-03 2002-07-01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및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KR20040012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2003.5 2001-07-03
DE10132003A DE10132003A1 (de) 2001-07-03 2001-07-03 Fett(öl)haltiges Mittel, enthaltend Zwiebelextrakt,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zur Pflege, Vorbeugung oder Behandlung von geschädigtem Hautgewebe, insbesondere von Narben
PCT/EP2002/007216 WO2003004043A1 (de) 2001-07-03 2002-07-01 Fett(öl)haltiges mittel, enthaltend zwiebelextrakt,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zur pflege, vorbeugung oder behandlung von geschädigtem hautgewebe, insbesondere von narb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913A true KR20040012913A (ko) 2004-02-11

Family

ID=76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28A KR20040012913A (ko) 2001-07-03 2002-07-01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오일) 함유 약품, 이의 생산및 손상된 피부 조직, 특히 흉터 조직을 관리, 예방 또는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20040151793A1 (ko)
EP (2) EP1566179B1 (ko)
KR (1) KR20040012913A (ko)
CN (1) CN1522150A (ko)
AT (3) AT503467B1 (ko)
AU (1) AU2002325856B2 (ko)
BG (1) BG108461A (ko)
BR (1) BR0210479A (ko)
DE (3) DE10132003A1 (ko)
DK (1) DK1401466T3 (ko)
EA (1) EA006440B1 (ko)
ES (3) ES2315756T3 (ko)
HU (1) HU230156B1 (ko)
IL (2) IL159193A0 (ko)
MX (1) MXPA04000002A (ko)
PL (1) PL205598B1 (ko)
PT (1) PT1401466E (ko)
UA (1) UA74891C2 (ko)
WO (1) WO200300404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14B1 (ko) * 2012-06-21 2014-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흉터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134586A (ko)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예방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4396A (ko) * 2021-02-08 2022-08-1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달맞이꽃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6257C1 (de) * 2002-02-15 2003-06-26 Beiersdorf Ag Massagegerät und dessen Verwendung
FR2845287B1 (fr) * 2002-10-02 2007-08-17 Lucas Meyer Cosmetics Nouvelles formulations cosmetiques a base d'un agent epaississant et leurs applications
DE10347487A1 (de) * 2003-09-30 2005-04-21 Kneipp Werke Kneipp Mittel Zen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Verwendung
DE102004008440A1 (de) * 2004-02-19 2005-09-22 Stockhausen Gmbh Kosmetisches und/oder dermatologisches Mittel zur Steigerung des endogenen Lipidgehaltes der Haut
ITRM20040177A1 (it) * 2004-04-07 2004-07-07 Atika Soulimani Miscela cosmetica per capelli.
FR2876031A1 (fr) * 2004-10-01 2006-04-07 Ammar Taleb Composition phytotherapique pour le traitement des brulures
FR2877219B1 (fr) * 2004-10-28 2007-03-09 Fatima Basri Composition utilisee en cosmetique ou en pharmacologie pour stimuler la synthese du collagene
US7399783B2 (en) * 2005-06-22 2008-07-15 The Quigley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car tissue
US20090022826A1 (en) * 2007-07-20 2009-01-22 Shrier David L Multi-step method of pain and/or inflammation treatment
AU2007242342B2 (en) * 2007-07-27 2013-01-10 Shiseido Company, Ltd. Oil-in-water emulsion type sunscreen preparation
FR2921263B1 (fr) * 2007-09-20 2014-05-1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et/ou de soin comprenant au moins une cire ester particuliere et exemple de cire de polyethylene
FR2921266B1 (fr) * 2007-09-20 2012-06-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et/ou de soin comprenant au moins une cire ester et exempte d'huile apolaire
ES2525526T3 (es) * 2008-10-31 2014-12-26 Shiseido Company, Ltd. Composición de emulsión aceite/agua
CN101411499B (zh) * 2008-11-20 2012-05-23 南京农业大学 大蒜、洋葱复合精油与抗氧化剂维生素类复配软胶囊
WO2010096868A1 (en) * 2009-02-25 2010-09-02 Stiefel Research Australia Pty Ltd Topical foam composition
KR20110023367A (ko) * 2009-08-31 2011-03-08 (주)아모레퍼시픽 넥 케어방법 및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넥 케어키트
JP5227991B2 (ja) * 2010-03-30 2013-07-03 株式会社 資生堂 O/w乳化組成物
JP2013527862A (ja) 2010-04-01 2013-07-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オルガノシリコーンを含む組成物
DE102011006982A1 (de) * 2011-04-07 2012-10-11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einem langanhaltenden floralen Duft ohne 4-(4-Hydroxy-4-methylpentyl)-3-cyclohexencarboxaldehyd
RU2665946C2 (ru) * 2011-06-24 2018-09-05 Мерц Фарма Гмбх Унд Ко. Кгаа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луковый экстракт и липосомы
JP5891651B2 (ja) * 2011-08-19 2016-03-23 株式会社池田模範堂 角層細胞分化正常化用皮膚外用剤
DE202012000250U1 (de) 2011-11-24 2012-12-05 Maria Clementine Martin Klosterfrau Vertriebsgesellschaft Mbh Zusammensetzung für die topische Anwendung I
WO2013126697A1 (en) * 2012-02-23 2013-08-29 Toth Rita Transderm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tretch marks
BR112015013807A2 (pt) * 2012-12-14 2017-07-11 Merz Pharma Gmbh & Co Kgaa emplastr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 emplastro
JP2014118399A (ja) * 2012-12-19 2014-06-30 L'oreal Sa 無水化粧料組成物
JP2014162756A (ja) * 2013-02-26 2014-09-08 Kowa Company Ltd パンテノール類を含有する含水組成物
TWI610687B (zh) * 2013-11-13 2018-01-1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使用天然乳化劑的低黏度化妝品組成物
US9226890B1 (en) 2013-12-10 2016-01-05 Englewood Lab, Llc Polysilicone base for scar treatment
US20150238403A1 (en) 2014-02-21 2015-08-27 Amorepacific Corporation Low viscous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natural emulsifying agent
WO2016049397A1 (en) 2014-09-26 2016-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shening compositions and devices comprising same
DE202014105057U1 (de) * 2014-10-22 2014-11-12 Tissma UG (haftungsbeschränkt) Handhygiene-Kosmetikum
CN105012228B (zh) * 2015-08-17 2018-04-20 郑州和济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疤痕形成及早期修复的玻尿酸硅凝胶组合物及制备方法
CN105381007B (zh) * 2015-11-16 2019-10-25 北京工商大学 具有美白功效的外用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432856A1 (en) 2016-03-24 2019-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CN106138521A (zh) * 2016-06-28 2016-11-23 郑州雷曼药业有限公司 一种疤痕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CN105998573A (zh) * 2016-07-07 2016-10-12 无比滴(广东)药业有限公司 一种修复疤痕的外用剂及其制备方法
US20180305638A1 (en) * 2016-09-30 2018-10-25 Reimar C Bruening Non-alcoholic fragrances, composition and manufacture
DE202017101350U1 (de) 2017-02-24 2018-02-27 Farco-Pharma Gmbh Zusammensetzung, insbesondere Gel, zur Anwendung im Urogenitaltrakt
FR3065373B1 (fr) * 2017-04-21 2020-02-07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cognassier pour le traitement du prurit et de la dermatite atopique
EP4104812A1 (en) 2017-10-10 2022-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lear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low inorganic salt
US10792384B2 (en) 2017-12-15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lled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encapsulated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CN110151624A (zh) * 2019-06-13 2019-08-23 广州方媚化妆品有限公司 妊娠纹涂抹修复精华乳
JP7410298B2 (ja) 2019-12-06 2024-01-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頭皮活性物質の付着を強化する硫酸塩を含まない組成物
RU2731527C1 (ru) * 2020-01-28 2020-09-03 Кирил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овиков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рубцов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US11679065B2 (en) 2020-02-27 2023-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with sulfur having enhanced efficacy and aesthetics
WO2021257018A1 (en) * 2020-06-15 2021-12-23 Montero Gid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nti-scar and anti-aging topical compositions
EP4255375A1 (en) 2020-12-04 2023-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reduction materials
US20220378684A1 (en) 2021-05-14 2022-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Containing a Sulfate-Free Surfactant System and Sclerotium Gum Thickener
US11986543B2 (en) 2021-06-01 2024-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compositions with a surfactant system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AU2022316132A1 (en) * 2021-07-20 2024-02-08 Pinnacle Biologics, Inc. Photodynamic therap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in
DE102021122238A1 (de) 2021-08-27 2023-03-02 Nilgün Akgü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äparats, Präparat und Verwendung desselbe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2823A (en) * 1921-09-09 1924-05-06 Woll Anna Ointment
GB493378A (en) * 1937-04-07 1938-10-07 George Megyesy Improvements in preparations for treating the hair
US3582361A (en) * 1963-10-12 1971-06-01 Dragoco Gerberding Co Gmbh Food flavoring compositions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same
GB1130631A (en) * 1965-03-10 1968-10-16 Unilever Ltd Edible products
US3770463A (en) * 1971-09-20 1973-11-06 Gen Foods Corp Flavor enhancing composition for foodstuffs
US4049831A (en) * 1973-10-31 1977-09-20 Kikkoman Shoyu Co., Ltd. Novel composition containing fats or oi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H641646A5 (fr) * 1979-12-07 1984-03-15 Maggi Ag Procede de fabrication d'un agent aromatisant.
EP0153881A2 (en) * 1984-03-02 1985-09-0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allergie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ATE129129T1 (de) * 1985-04-24 1995-11-15 Univ Bar Ilan Oxidationswiderstandsfähige, essbare fettzusammensetzungen, die ein aus pflanzlichem gewebe extrahiertes, aktives oxidation verhinderndes mittel enthalten.
DE3644677A1 (de) * 1986-12-30 1988-07-14 Mohamed Roshdy Dr Ismail Mittel zur verbesserung der bluteigenschaft
DE3723248A1 (de) * 1987-07-14 1989-01-26 Walter Dorsch Verwendung von thiosulfinsaeurederivaten zur behandlung von entzuendungserkrankungen
MC2056A1 (fr) * 1987-12-23 1990-09-04 Psoricur Ltd Composition therapeutique contre le psoriasis,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utilisation de plantes medicinales qu'elle contient
US4956429A (en) * 1989-03-01 1990-09-11 Penic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coca leaf flavor extract
JP2875308B2 (ja) * 1989-11-22 1999-03-31 湧永製薬株式会社 S−アリルシステイン高濃度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FR2681531B1 (fr) * 1991-09-20 1993-12-24 Abdallah Gharib Un nouveau procede de preparation de l'extrait de loignon pharmacologiquement actif.
US5624906A (en) * 1994-12-08 1997-04-2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hygiene compositions comprising heteroatom containing alkyl aldonamide compounds
US5607715A (en) * 1995-03-20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vored cooking oil having reduced room aroma
US5859270A (en) * 1996-03-13 1999-01-12 Cargill, Incorporated Method for preparation of purified monoglycerides; and, products
DE19628284C1 (de) * 1996-07-12 1997-12-18 Georgios Dr Pandalis Verwendung von Bärlauch zur Behandlung oder Prophylaxe von Hyperkeratosen
AU3692097A (en) * 1996-08-02 1998-02-25 Plum Kemi Produktion A/S An oil-in-water emulsion for use on human skin for cleansing, preserving 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skin
IL121320A (en) * 1997-02-23 2000-12-06 Ibr Ltd Extracts from cells or tissue of organisms which are capable of entering dormancy for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target cells or tissue
GB9709082D0 (en) * 1997-05-06 1997-06-25 Ciba Geigy Ag Organic compositions
US5885581A (en) * 1997-09-11 1999-03-23 Merz, Incorporat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scars
US6200570B1 (en) * 1997-12-08 2001-03-13 Counse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erbal formulation useful as a therapeutic and cosmetic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general skin disorders
DE19934943B4 (de) * 1999-07-26 2007-08-0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auf der Grundlage von O/W-Emulsionen
FR2819414A1 (fr) * 2001-01-15 2002-07-19 Cognis France Sa Preparation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comprenant des extraits de plantes dites a resurr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114B1 (ko) * 2012-06-21 2014-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흉터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134586A (ko)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예방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4396A (ko) * 2021-02-08 2022-08-1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달맞이꽃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10479A (pt) 2004-08-10
EP1566179B1 (de) 2008-10-15
EP1401466A1 (de) 2004-03-31
US20040151793A1 (en) 2004-08-05
HUP0400375A3 (en) 2012-09-28
DE10132003A1 (de) 2003-01-30
EA200400137A1 (ru) 2004-06-24
DE50212921D1 (de) 2008-11-27
MXPA04000002A (es) 2005-06-06
AU2002325856B2 (en) 2005-01-06
HUP0400375A2 (hu) 2004-09-28
HU230156B1 (hu) 2015-09-28
IL159193A (en) 2010-11-30
UA74891C2 (en) 2006-02-15
PT1401466E (pt) 2005-06-30
ES2315756T3 (es) 2009-04-01
AT503467B1 (de) 2010-04-15
EP1566179A3 (de) 2005-11-09
PL205598B1 (pl) 2010-05-31
ATE294589T1 (de) 2005-05-15
EA006440B1 (ru) 2005-12-29
US20100247689A1 (en) 2010-09-30
ES2242055T3 (es) 2005-11-01
DK1401466T3 (da) 2005-07-25
EP1566179A2 (de) 2005-08-24
PL364491A1 (en) 2004-12-13
DE50203013D1 (de) 2005-06-09
IL159193A0 (en) 2004-06-01
ES2217983A1 (es) 2004-11-01
ATE411034T1 (de) 2008-10-15
ES2217983B1 (es) 2005-11-16
CN1522150A (zh) 2004-08-18
WO2003004043A1 (de) 2003-01-16
EP1401466B1 (de) 2005-05-04
AT503467A5 (de) 2007-10-15
US20190083559A1 (en) 2019-03-21
BG108461A (en)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6179B1 (de) Fett(öl)haltiges Mittel, enthaltend Zwiebelextrakt,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TW592714B (en) 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EP0801946A2 (de) Verwendung von Salicin als antiirritativer Wirkstoff in kosmetischen und topischen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KR101987903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801108A (zh) 局部皮肤护理组合物
DE202012013021U1 (de) Hautpflegeformulierung
DE10250755B4 (de) Verschäumbare Zusammensetzung auf Basis einer O/W-Emulsion mit einer Kombination aus einem Emulgator auf Silikonbasis und einem anionischen Tensid mit verbesserter Hautwirkung,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RU2442563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белки для переноса/рециркуляции структурно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липид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DE202012013018U1 (de)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CN116472023A (zh) 用于化妆品应用的氘代多不饱和脂肪酸或其酯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08260721A (ja) 皮膚外用剤
WO2001019365A1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compositions
EP0801945A2 (de) Verwendung von Glucosiden von Ferulasäure als antiirritativer Wirkstoff in kosmetischen und topischen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DE10352367A1 (de) Verwendung von Licochalkon A gegen Rosacea
EP1529520A1 (de) Verwendung von Licoochalcon A oder eines Licoochalcon A enthaltenden Extraktes aus Radix Glycyrrhizae inflatae gegen postinflammatorische Hyperpigmentierung
WO2009115216A1 (de) Verwendung eines bestandteils oder extraktes aus der baobab-pflanze bei hauterkrankungen
DE29924371U1 (de) O/W-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Biochinonen und einem erhöhten Gehalt an Glycerin
WO1997039732A1 (de) Verwendung von salix nigra-extrakt als antiirritativer wirkstoff in kosmetischen und topischen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2005179286A (ja) ヒアルロン合成促進剤の皮膚老化防止剤への利用
KR102543029B1 (ko)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0742B1 (ko) 크기가 조절된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1676561A2 (de) Ein biokatalytisches Mehrphasensystem enthaltende Zubereitungen sowie deren Anwendung
KR20190116227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