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680A -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680A
KR20040009680A KR1020020043697A KR20020043697A KR20040009680A KR 20040009680 A KR20040009680 A KR 20040009680A KR 1020020043697 A KR1020020043697 A KR 1020020043697A KR 20020043697 A KR20020043697 A KR 20020043697A KR 20040009680 A KR20040009680 A KR 2004000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rain
trench
conductivity type
doped poly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881B1 (ko
Inventor
신화숙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881B1/ko
Priority to US10/377,806 priority patent/US6773995B2/en
Priority to JP2003162647A priority patent/JP4204389B2/ja
Publication of KR200400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680A/ko
Priority to US10/888,913 priority patent/US69245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09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having both source and drain contacts on the same surface, i.e. Up-Drain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8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transistor structures, i.e. with channel vertical to the substrat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6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with at least part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having contact below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groove or with inclusions of conductor inside the semi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고전압 동작 트랜지스터로서 대표적인 종형 디모스를 효과적으로 소자분리함과 동시에 드레인-소스 온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모스 제조방법에서는 반도체 기판에 매몰층 형성 후 소자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하고 절연막으로 필링한다. 이어서, 그 상부에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고 매몰층에 이르는 깊이까지 식각하여 드레인용 트렌치를 형성한다.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트렌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다음, 트렌치를 도전물질로 매립하여 플러그형 드레인을 형성하고, 에피택셜층 위에 게이트와 소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소스 온 저항 감소로 전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소자분리막을 적용하는 것보다 소자분리막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High voltage vertical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디바이스(power device)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VDMOS : vertical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압구동이 가능한 MOS형 소자이면서 더욱 대전류 용도에 견딜 수 있는 이중확산(double-diffused) 구조의 MOS(이하, DMOS)가 주목을 받고 있다. DMOS를 바이폴라형 집적회로에 일체화한 경우, 그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향의 차이에 의하여, 횡형 DMOS(lateral DMOS), 종형 DMOS(VDMOS)로 분류한다. 특히,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DMOS의 경우 면적 측면에서 VDMOS가 유리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N 채널 VDMOS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N 채널 VDMOS는 N+ 매몰층(buried layer)을 연결하여 드레인으로 사용하며 고농도 도핑을 진행하므로 DMOS와 DMOS간의 소자분리를 위하여 상당한 면적의 소자분리막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 드레인-소스 온 저항(이하, Rdson) 감소를 위하여 도핑 농도를 올리고 드라이브-인(drive-in)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소자의 브레이크다운 전압 확보를 위해 더 큰 소자 사이즈와 소자분리막 면적이 요구된다. Rdson 감소를 위하여 높은 도즈를 적용하는 경우 하부로 불순물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열공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 면적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 Rdson 감소를 위하여 높은 에너지 이온주입을 적용하는 경우 높은 도즈 도핑이 어려워 저항 감소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에너지 적용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의 확산도 피할 수 없어 역시 면적 측면에서 불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처럼, Rdson 감소와 소자분리막 면적 감소는 트레이드-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들을 축소시켜 고속이며 전력 소비가 적은 소자들을 반도체 칩 상에 고밀도로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으며, 따라서, Rdson을 감소시켜 적절한 소자 능력을 달성하면서도 수평 및 수직 디멘젼으로 소자를 스케일링(scaling)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Rdson과 칩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모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dson이 작고 집적화에 유리한 디모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15 : 매몰층
25 : 소자분리막30 : 에피택셜층
41, 42 : 드레인용 트렌치45a : 스페이서
60 : 플러그형 드레인70 : POCl3도핑된 저저항층
100 : LOCOS막110 : 바디 영역
120 : 채널 영역130 : 게이트
본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그의 다른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모스 제조방법에서는,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에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 고농도 매몰층을 형성한다. 매몰층과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소자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한 다음, 절연막으로 필링하여 소자분리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한 매몰층과 소자분리막 위로 제2 도전형 저농도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고, 소정 영역 식각하여 드레인용 트렌치를 형성한다. 여기서, 드레인용 트렌치는 매몰층과 만나는 깊이까지, 소자분리막 옆으로 형성된다. 드레인용 트렌치 측벽 중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다음에, 드레인용 트렌치 내부를 도전물질로 채워 제2 도전형 플러그형드레인을 형성한다. 플러그형 드레인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게이트와 소스를 형성하여 트랜지스터 공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VDMOS 제조방법에서는, 이와 같이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프트 폴리실리콘과 같은 도전물질을 채워 플러그형 드레인을 만드는 공정을 접목시킨다. 이로써, VDMOS에서 추구하는 Rdson 감소 효과를 확보함과 동시에 소자분리막 면적을 감소시킨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모스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그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층을 포함한다. 소자분리막이 매몰층과 반도체 기판 안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자분리막과 매몰층 상부에는 제2 도전형의 저농도 에피택셜층이 형성된다. 에피택셜층 내에는 매몰층과 만나는 깊이까지 소자분리막 옆으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드레인이 형성된다. 플러그형 드레인 외벽 중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외벽에는 절연막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그리고, 에피택셜층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형의 바디 영역, 그 안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소스 영역, 및 이러한 소스 영역 위로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과 게이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DMOS는 플러그형 드레인과 절연막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저항이 낮은 도전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플러그형 드레인의 저항을 원하는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절연막 스페이서는 소자분리막과 더불어 효과적인 소자분리에 기여한다. 따라서, Rdson과 소자분리막 면적이 동시에 감소되므로 집적화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VDMOS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과 같은 반도체 기판(10, P-sub)을 준비하여, N형 불순물을 1019/cm3정도로 고농도 이온주입한다. 이어, 드라이브-인 확산 작업을 진행하여 주입된 이온을 확산시킨다. 이러한 확산 작업이 완료되면 N+ 매몰층(15, N+ BL)이 형성된다. 이어서, 매몰층(15)과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하여 소자분리용 트렌치(20)를 형성한다. 이러한 트렌치(20)를 절연막으로 필링하여 소자분리막(25)을 형성한다. 트렌치(20)를 필링하는 절연막으로는 산화막 또는 언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다.
이렇게 소자분리막(25)을 형성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몰층(15)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패터닝하여 트렌치(20)를 형성할 부위에 개구부를 만든다. 다음에 패터닝된 패드 산화막과 패드 질화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매몰층(15)과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함으로써 수천Å-수㎛ 정도 깊이의 트렌치(20)를 형성한다. 이어서, 트렌치(20) 안을 산화막 또는 언도프트 폴리실리콘으로 채운다. 산화막의 경우는 중온산화막(Middle Temperature Oxide : MTO) 또는 HDP-CVD(High Density Plasma-CVD)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산화막으로 매립한다. 그리고, 언도프트 폴리실리콘의 경우는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5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증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산화막 또는 언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하기 전에 트렌치(20) 식각 계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트렌치(20) 내벽에 열산화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물의 상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또는 에치백의 방법으로 평탄화한다. 이 때에, 패터닝된 패드 질화막이 CMP 공정의 스토퍼 또는 에치백의 스토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매몰층(15) 위에 남아 있는 패드 질화막과 패드 산화막까지 제거하면, 매몰층(15)의 표면보다 약간 높거나 거의 단차가 없이 나란한 소자분리막(25)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 매몰층(15)과 소자분리막(25) 위에 N- 에피택셜층(30, N-epi)을 성장시키고, 매몰층(15)과 만나는 깊이까지 이를 식각하여 소자분리막(25) 양측으로 드레인용 트렌치(41, 42)를 형성한다. 에피택셜층(30)은 1015/cm3정도의 불순물 농도를 가진 것이다.
이어서, 도 3에서와 같이, 도 2의 결과물 상에 절연막(45)을 증착한다. 절연막(45)은 드레인용 트렌치(41, 42) 측벽 중 소자분리막(25)과 인접한 측벽(41a, 42a)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고자 증착하는 막이다. 따라서, 드레인용트렌치(41, 42)를 완전히 매립하지 않는 정도 두께로 증착하며,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절연막을 이용한다. 실리콘 질화막의 경우에는 PECVD(Plasma Enhanced CVD)로 증착하는데, SiH4와 NH3를 소스 가스로, Ar 또는 He을 캐리어 가스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측벽(41a, 42a)에 형성된 절연막(45) 부분을 보호하는 마스크(5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절연막(45)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노광 및 현상하여 측벽(41a, 42a)에 형성된 절연막(45) 부분 위에만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남긴다.
도 4에서와 같이, 마스크(50)로 보호되지 않은 절연막은 에치백으로 제거한다. 식각 가스는 CFx, CHxFy또는 Hx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50)로 보호된 절연막은 드레인용 트렌치(41, 42) 측벽(41a, 42a) 위에 스페이서(45a)로 잔류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한 스페이서(45a)는 드레인용 트렌치(41, 42) 사이의 에피택셜층(30) 상면도 덮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50)를 제거하여 스페이서(45a)를 드러낸 다음, 에피택셜층(30)을 덮으면서 드레인용 트렌치(41, 42)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한다.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LPCVD법으로 5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증착할 수 있다.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상태로 증착한 후, 비소(As) 또는 인(P)을 이온주입으로 도핑시킬 수도 있고, 증착시 인-시츄(in-situ)로 불순물을 도핑하여 증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불순물을 1014/㎠ 이상포함하도록 증착한다. 사용되는 불순물은 As, P, B, In 또는 Sb 등인데, 제조하려는 VDMOS 도전형에 따라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N 채널 VDMOS를 제조하려면, N형 불순물인 As, P, Sb 등을 이용한다. 이어서, 증착한 도프트 폴리실리콘이 드레인용 트렌치(41, 42)에만 남도록 에피택셜층(30)을 덮고 있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에치백하여 제거한다. 이로써, 에피택셜층(30) 내에 드레인용 트렌치(41, 42)를 채우는 플러그형 드레인(60)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결과물 상에 게이트와 소스를 형성한 결과를 도시한다. 에피택셜층(30)의 표면에 LOCOS막(100)을 형성한 다음, 에피택셜층(30) 내부의 소정 부분에 1018/cm3정도의 농도를 갖는 P형 바디 영역(110)을 형성한다. LOCOS막(100)과 그 주변에 형성되는 열산화막(미도시)은 게이트 산화막으로 사용된다. 그 위로 게이트(130)를 형성한다. 바디 영역(110)에 1019/cm2정도의 농도를 갖는 N+ 소스 영역(115) 및 1019/cm2정도의 농도를 갖는 P+ 채널 영역(120)을 형성한다. 게이트(130)는 게이트 전극(Gate)에 연결되고, 소스 영역(115) 및 채널 영역(120)은 소스 전극(Source)과 연결되고, 드레인(60)은 드레인 전극(Drain)과 연결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온주입을 이용하는 대신 도전물질을 매립하여 드레인(60)을 형성한다. 후속 열 공정에 의한 접합 확산을 최소화시키면서 원하는 고농도 도핑이 가능하게 되므로 드레인 저항 감소가 용이하다. 드레인(60)을 구성하는 도전물질을 저저항으로 선택하면 원하는 수준까지 Rdson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자분리막(25) 방향 쪽으로 절연막 스페이서(45a)를 형성하므로소자분리막(25)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소자분리가 잘 된다. 따라서, 소자분리막(25) 면적을 작게 하여도 우수한 절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소자분리막(25) 면적을 최소화시켜 고집적화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DMOS는 제1 도전형(즉, P형)의 반도체 기판(10)과 그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즉, N형)의 고농도 매몰층(15)을 포함한다. 매몰층(15)과 반도체 기판(10) 안으로는 소자분리막(25)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분리막(25)과 매몰층(15) 상부에는 제2 도전형의 저농도 에피택셜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에피택셜층(30) 내에는 소자분리막(25) 옆으로 매몰층(15)과 만나는 깊이까지 도전물질(본 실시예에서는 도프트 폴리실리콘)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드레인(60)이 구비된다. 드레인(60) 외벽 중 소자분리막(25)과 인접한 외벽에는 절연막 스페이서(45a)가 형성되어 있어 소자간 절연을 돕는다. 에피택셜층(30) 내부에는 제1 도전형의 바디 영역(110)이 형성되는데, 그 안에는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소스 영역(115)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채널 영역(120)이 포함된다. 소스 영역(115) 위로는 게이트 산화막으로 쓰이는 LOCOS 산화막(100)과 게이트(130)가 구비된다.
게이트(130)는 게이트 전극(Gate)에 연결되고, 소스 영역(115) 및 채널 영역(120)은 소스 전극(Source)과 연결되고, 드레인(60)은 드레인 전극(Drain)과 연결된다. 게이트(130)에 인가한 전압에 의하여 채널 영역(120) 표면에 채널이 형성되고, 그것으로써 드레인(60)으로부터 매몰층(15)을 경유하여 게이트 전극(130) 하부의 에피택셜층(30), 채널, 소스 영역(115)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Rdson과 소자분리막 면적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어, 필요로 하는 소자의 성능은 유지/향상하면서도 소자의 팩킹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격리된 단위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VDMOS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까지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도 5의 에피택셜층(30)을 덮으면서 드레인용 트렌치(41, 42)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한다.
다음에 도 7에서와 같이, 도프트 폴리실리콘에 POCl3를 도핑한다. 이에 따라, 도프트 폴리실리콘 상부는 면저항이 5Ω/cm2내지 50Ω/cm2까지 감소된 저저항층(70)이 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처럼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불순물이 1014/㎠ 이상으로 도핑된 저저항의 물질이지만, 디바이스에 따라 추가적인 저항 감소를 원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POCl3공정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에피택셜층(30) 위에 남아 있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에치백으로 제거한다. 이로써, POCl3도핑된 저저항층(70)을 구비하는 플러그형 드레인(60)이 드레인용 트렌치(41, 42) 내에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결과물 상에 게이트와 소스를 형성한 결과를 도시한다.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반복을 피하여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다음에 추가적으로 POCl3도핑을 실시하여 드레인(60)을 형성하므로, Rdson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 변형 및 등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피택셜층에 도전물질을 매립하여 플러그형으로 드레인을 형성한다. 도전물질로는 충분한 농도로 도핑된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이용하거나 그 상부에 POCl3를 도핑하여 사용한다. 종래와 같이 이온주입과 확산을 이용하여 드레인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후속 열에 의한 접합 확산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고농도 도핑이 가능하게 되므로 Rdson 감소가 용이하다. Rdson 감소 결과 전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자분리막 방향 쪽으로 절연막 스페이서를 추가로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소자분리막보다 작게 형성하여도 우수한 소자분리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따라서, 소자분리막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칩 면적을 스케일 다운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에 상기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층과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소자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하고, 절연막으로 필링하여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층과 소자분리막 위로 제2 도전형 저농도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소자분리막 옆으로 상기 매몰층과 만나는 깊이까지 식각하여 드레인용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 측벽 중 상기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 내부를 도전물질로 채워 제2 도전형 플러그형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그형 드레인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게이트와 소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용 트렌치를 필링하는 절연막으로는 산화막 또는 언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가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드레인용 트렌치 측벽에 형성된 절연막 부분을 보호하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로 보호되지 않은 절연막은 에치백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으로는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 내부를 채우는 도전물질로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피택셜층을 덮으면서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도프트 폴리실리콘이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에만 남도록 상기 에피택셜층 위의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에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피택셜층을 덮으면서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도프트 폴리실리콘에 POCl3를 도핑하는 단계; 및
    상기 POCl3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이 상기 드레인용 트렌치에만 남도록 상기 에피택셜층 위의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에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불순물이 1×1014/㎠ 이상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제조방법.
  9.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층;
    상기 매몰층과 반도체 기판 안으로 형성된 소자분리막;
    상기 소자분리막과 매몰층 상부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저농도 에피택셜층;
    상기 매몰층과 만나는 깊이까지 상기 소자분리막 옆으로 상기 에피택셜층 내에 형성되고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제2 도전형 플러그형 드레인;
    상기 플러그형 드레인 외벽 중 상기 소자분리막과 인접한 외벽에 형성된 절연막 스페이서;
    상기 에피택셜층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형의 바디 영역;
    상기 제1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소스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 위로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과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은 그 내부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채널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막은 산화막 또는 언도프트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는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 스페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드레인을 이루는 도전물질은 도프트 폴리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프트 폴리실리콘의 상부는 POCl3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프트 폴리실리콘은 불순물이 1×1014/㎠ 이상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모스.
KR10-2002-0043697A 2002-07-24 2002-07-24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4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697A KR100442881B1 (ko) 2002-07-24 2002-07-24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10/377,806 US6773995B2 (en) 2002-07-24 2003-03-04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3162647A JP4204389B2 (ja) 2002-07-24 2003-06-06 高電圧縦型dmos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88,913 US6924530B2 (en) 2002-07-24 2004-07-12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697A KR100442881B1 (ko) 2002-07-24 2002-07-24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680A true KR20040009680A (ko) 2004-01-31
KR100442881B1 KR100442881B1 (ko) 2004-08-02

Family

ID=3076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697A KR100442881B1 (ko) 2002-07-24 2002-07-24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773995B2 (ko)
JP (1) JP4204389B2 (ko)
KR (1) KR100442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97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키파운드리 수직 dmo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6225B2 (en) * 2003-08-26 2007-08-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of preparing a polymeric material
CN1591800A (zh) * 2003-09-01 2005-03-09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改善高压元件结构的制造方法
JP4794141B2 (ja) * 2004-06-03 2011-10-19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153932B2 (ja) 2004-09-24 2008-09-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802542B2 (ja) * 2005-04-19 2011-10-26 株式会社デンソー 炭化珪素半導体装置
US7868394B2 (en) * 2005-08-09 2011-01-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al-oxide-semiconductor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91161B2 (en) * 2005-08-25 2010-09-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s employing poly-filled trenches
DE102005047169B4 (de) * 2005-09-30 2015-08-20 Infineon Technologies Ag Lateraler DMOS-Transistor mit Trench-Drainzone
US7868422B2 (en) * 2005-11-16 2011-01-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OS device with a high voltage isolation structure
DE102005061263B4 (de) * 2005-12-20 2007-10-1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Halbleiterwafersubstrat für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5164333B2 (ja) * 2005-12-28 2013-03-21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半導体装置
KR100734143B1 (ko) 2006-08-30 2007-06-2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ITTO20060785A1 (it) 2006-11-02 2008-05-03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mos resistente alla radiazione ionizzante
JP2010010408A (ja) * 2008-06-27 2010-01-14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54774B (zh) * 2009-10-28 2012-11-21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Vdmos晶体管兼容ldmos晶体管及其制作方法
US8969958B1 (en) 2009-11-13 2015-03-0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ntegrated MOS power transistor with body extension region for poly field plate depletion assist
US8963241B1 (en) 2009-11-13 2015-02-2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ntegrated MOS power transistor with poly field plate extension for depletion assist
US8987818B1 (en) 2009-11-13 2015-03-2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ntegrated MOS power transistor with thin gate oxide and low gate charge
US20110115018A1 (en) * 2009-11-13 2011-05-1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os power transistor
US8946851B1 (en) 2009-11-13 2015-02-0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Integrated MOS power transistor with thin gate oxide and low gate charge
US20110115019A1 (en) * 2009-11-13 2011-05-1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mos compatible low gate charge lateral mosfet
US8476691B1 (en) * 2010-02-18 2013-07-02 Microsemi Corporation High reliability-high voltage junction termination with charge dissipation layer
JP5925419B2 (ja) * 2010-03-25 2016-05-25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オフトラ型esd保護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72783B (zh) * 2010-05-28 2015-01-07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垂直超结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制造方法
CN102403256B (zh) * 2010-09-08 2014-02-26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赝埋层及制造方法、深孔接触及三极管
US8878295B2 (en) * 2011-04-13 2014-11-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MOS transistor with a slanted super junction drift structure
US8598655B1 (en) * 2012-08-03 2013-12-03 Infineon Technologies Dresden Gmbh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04716128B (zh) 2013-12-16 2019-11-22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功率模块、电源变换器以及功率模块的制造方法
EP3279935B1 (en) * 2016-08-02 2019-01-02 ABB Schweiz AG Power semiconducto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3601B2 (ja) * 1995-05-19 2002-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溝型半導体装置
KR0152640B1 (ko) * 1995-09-30 1998-10-01 김광호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723868B2 (ja) * 1995-11-02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249786B1 (ko) * 1997-11-07 2000-03-15 정선종 트렌치 구조 드레인을 갖는 고압소자
DE69834315T2 (de) * 1998-02-10 2007-01-18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Integrierte Schaltung mit einem VDMOS-Transistor, der gegen Überspannungen zwischen Source und Gate geschützt ist
CN1163973C (zh) * 1999-03-01 2004-08-25 通用半导体公司 沟槽式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3303959A (ja) * 2002-04-09 2003-10-24 Sanyo Electric Co Ltd 縦型mos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97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키파운드리 수직 dmo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532741B2 (en) 2020-08-20 2022-12-20 Key Found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ertical DMO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4530B2 (en) 2005-08-02
US20040248370A1 (en) 2004-12-09
US20040016961A1 (en) 2004-01-29
US6773995B2 (en) 2004-08-10
JP4204389B2 (ja) 2009-01-07
JP2004064063A (ja) 2004-02-26
KR100442881B1 (ko) 2004-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881B1 (ko) 고전압 종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N104157688B (zh) 具有槽屏蔽电极结构的半导体器件
KR100415490B1 (ko) 파워 모스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7452B1 (ko) 자기-정렬 트렌치를 갖는 모스-게이트 디바이스의 성형방법
US73449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rain side gate trench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8399921B2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05503B (zh) 半導體結構和半導體製造方法
US20030168712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ual iso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298565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513523A (ja) クローズドセルトレンチmos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6333234B1 (en) Method for making a HVMOS transistor
CN105321824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070065902A (ko) 서로 다른 결정 방향을 갖는 실리콘층을 구비한실리콘-온-절연막 반도체 소자 및 실리콘-온-절연막 반도체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JP2008529279A (ja) パワーダイオードを包含する集積回路
TW591752B (en) Symmetric trench MOSFET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3545306A (ja) 拡張されたドレインmosトランジスタ
CN108400166A (zh) 在端子降低表面电场区域中具有端子沟槽的功率晶体管
US8357972B2 (en) Semiconductor power device
JP5743246B2 (ja) 半導体装置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CN104425344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10103557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9262B1 (ko) 에스오아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3437148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20240048104A (ko) Ldmos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
CN116072719A (zh) Igbt器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