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521Y1 - 리어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리어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521Y1
KR200314521Y1 KR20-2003-0007390U KR20030007390U KR200314521Y1 KR 200314521 Y1 KR200314521 Y1 KR 200314521Y1 KR 20030007390 U KR20030007390 U KR 20030007390U KR 200314521 Y1 KR200314521 Y1 KR 200314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tical system
rear projector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다하루요시
아라이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2Soundproof 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스크린상으로의 화상의 표시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 공차에 의한 화상 프레임의 스크린상으로의 투사 격차를 상기 표시 위치 조정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는 리어 프로젝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지 부재(200)는 상기 내부 유닛의 지지판상에 대향 배치하여 장착되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와, 이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로부터 수직설치하는 경사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경사 조정 부재(203)와, 이 경사 조정 부재(203)에 후방측으로 하향 구배가 되도록 장착되는 회전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리어 프로젝터{REAR PROJECTOR}
본 고안은 투과형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하는 리어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형 화면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스크린상에 화상을 확대 투사하여 표시하는 리어 프로젝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어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투과형 액정 패널에 조사하고, 이 투과형 액정 패널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속을 투사 렌즈에 의해 확대하며, 반사 미러에 의해 광로를 변환시켜, 스크린의 배면으로 유도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이들 부재는 모두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이동 가능해지며,또한 밝은 실내에서도 스크린상의 화상을 관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어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위치 조정 기구가 필요하고, 통상 투사 렌즈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94905 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7663 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의 위치 조정을 실행할 때에, 위치 조정 구조를 간소화하여, 투사 렌즈를 좌우 또는 상하로 위치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이용한 경우에는, 화상의 표시 위치 조정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스크린에는 투사 렌즈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더라도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표시 불가능 범위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배면 투사 표시 장치의 하우징 형상의 공차 및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부품 공차에 차이가 있고, 이 부품 공차에 따라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화상의 애스펙트비)이 다르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투사 격차를 조정에 의해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미소한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표시 위치 조정 기구로는, 표시 불가능 범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없고, 또한 이 표시 불가능 범위가 큰 경우에는, 표시되는 화상이 스크린으로부터 밀려 나와, 관찰자는 스크린 범위내에 표시되는 화상밖에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린상으로의 화상의 표시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 공차에 의한 화상 프레임의 스크린상으로의 투사 격차를 상기 표시 위치 조정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는 리어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변조하고,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박스 형상 측면중 어느 한쪽에 노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형성된 광학상을 투영하는 스크린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는 지지면이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경사진 지지대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판에 대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경사 위치를 조정하는 경사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판으로는 하우징과는 별개로 한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고, 하우징의 상면, 측면, 저면중 하나를 지지판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에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화상 형성부는 지지면이 이 지지판에 대하여 경사진 지지대상에 설치되며, 이 지지대에는 경사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형성된 화상광을 투사하는 화상 형성부를 자세 조정한다. 이로써, 스크린상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변형을 자세 조정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부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의스크린상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를 조정할 때에, 스크린에 대하여 투사 화상의 표시 불가능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배면 투사 표시 장치의 하우징 형상의 공차 및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부품 공차의 차이에 의해,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이 변화되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경사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한 화상 형성부의 자세 조정에 의해 최적화하여,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는 지지면이 지지판에 대하여 경사진 지지대상에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방향, 즉 리어 프로젝터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상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화상 형성부의 자중을 지지대 및 지지판으로 확실히 지지할 수 있어, 화상 형성부의 자세 조정에 대응하여 확실히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부는 지지판 및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우징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지지대에 의해 스크린 등의 다른 구성 부재와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로써, 예컨대 화상 형성부에 열이 발생한 경우에도, 지지판 및 지지대를 따라 냉각 공기를 유통시키면, 스크린 등의 다른 구성 부재에 열이전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스크린면에 대한 상기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를 조정하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지지대에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면에 대한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초점 또는 표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투사 표시 장치의 하우징 형상의 공차 및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부품 공차의 차이에 의해,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이 변화되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이 스크린 프레임으로부터 밀려 나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평면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표시 불가능 범위를 좁혀,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평면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스크린에 따른 방향 및 스크린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부를 위치 조정하는 슬라이드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가 슬라이드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조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할 수 있고,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스크린면에 대한 회전 위치를 조정하는 회전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지지대가 회전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형성된 화상광을 투사하는 화상 형성부를 회전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상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비뚤어짐이나 회전에 의한 스크린상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회전 조정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회전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되는 광축의 평면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화상 형성부를 회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이, 스크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 화상의 회전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회전 조정에 있어서, 표시 화상의 회전 중심이 표시 화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회전 조정을 실행하면, 표시 화상은 스크린면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평면 이동도 야기한다.
여기서, 회전 위치 조정 기구는,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되는 광축의 평면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화상 형성부를 회전 조정함으로써, 화상 형성부를 회전 조정한 때는, 화상 형성부는 사출되는 주 광축상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은 표시 화상내의 조명 광축상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평면 이동을 억제하여, 용이하게 표시 화상의 회전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부의 회전 조정을 실행한 후에,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는, 대향하는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위치 조정 기구는, 한쪽 끝에 상기 지지판의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고, 다른쪽 끝에 상기 지지대의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지지판 및 지지대는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경사 위치 조정 기구는 이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지지판에 대한 지지대의 경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용이하게 화상 형성부의 경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중 어느 한쪽은, 대향하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위치 조정 기구는, 한쪽 끝에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중 한쪽이 구비하는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와, 상기 나사 결합 부재의 다른쪽 끝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중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지지판 및 지지대중 어느 한쪽은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지지판 및 지지대중 어느 다른쪽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경사 위치 조정 기구가 나사 결합 부재와 볼록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나사 결합 부재의 진퇴 이동으로 지지판에 대하여 지지대를 나사 결합 상태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화상 형성부의 경사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위치 조정 기구가,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나사 결합 부재의 다른쪽 끝에 지지판 및 지지대중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 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소의 경사 위치 조정 기구중 1개소의 경사 위치 조정 기구의 나사 결합 부재를 진퇴 이동시킨 경우에는, 나사 결합 부재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볼록 형상 부재와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화상 형성부의 비틀림 방향에도 대응하여 화상 형성부의 경사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경사 위치 조정 기구, 평면 위치 조정 기구 및 회전 위치 조정 기구는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부의 경사 위치 조정, 평면 위치 조정 및 회전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부의 위치 조정시에, 화상 형성부에 걸리는 외력의 영향을 완화하고, 화상 형성부내의 각 광학계의 상호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화상 프레임의 변화가 없는 안정된 화상을 투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변조하고,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박스 형상 측면중 어느 한쪽에 노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형성된 광학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과,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로중에 배치되고, 상기 광속을 반사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유도하는 반사 광학계를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로서, 상기 반사 광학계는 그 상단 및 하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단측의 파지부에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된 광속에 대하여 상기 반사 광학계의 광축 초점맞춤부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자세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통상, 화상 형성부, 반사 광학계 및 스크린을 수납하는 하우징은 사출 성형 등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하우징에는 미소한 치수 공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에 미러와 같은 반사 광학계를 고정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미소한 치수 공차 때문에, 미러가 휘어지고, 투사 화상의 화상 프레임의 변화로부터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생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반사 광학계는 파지부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단측의 파지부에는 자세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 조정부로 반사 광학계를 자세 조정함으로써, 반사 광학계의 광축 초점맞춤부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투사 표시 장치의 하우징 형상의 공차 및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부품 공차의 차이에 의해,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이 변화되고,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자세 조정부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에 의해, 최적화하여,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반사 광학계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형상으로는, 화상 형성부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의 화상 프레임에 맞추어 최저한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반사 광학계의 기능을 충분히 다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즉 리어 프로젝터의 소형, 경량화를 촉진할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상단측의 파지부는 상기 반사 광학계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 광학계가 장착되면, 상기 반사 광학계의 단부와 상기 홈의 바닥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단측의 파지부는 홈을 구비하고, 반사 광학계가 장착되면 상기 반사 광학계의 단부와 상기 홈의 바닥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자세 조정부에 의해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을 실행했을 때에, 반사 광학계의 단부와 파지부의 홈의 바닥부가 충돌하지 않으며, 반사 광학계의 단부에 국소적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 조정부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광학계의 단부에 외력을 부여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휨을 방지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의 투사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합하는 상기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합하는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 조정부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에 수반하는, 파지부와 반사 광학계의 마찰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단부의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이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은 파지부의 단면에 접합하여, 이 접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 조정부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에 의해, 반사 광학계에 비틀림 등이 일어나지 않고, 반사 광학계의 경사 상태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서는, 또한 상기 반사 광학계는 그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에 접합하는 측단 부분의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반사 광학계는 그 측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에 의해 하우징에 장착되고,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에 접합하는 측단 부분의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광학계의 자중을 파지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반사 광학계의 자중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상기 변형에 의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의 화상 프레임의 변화를 회피하며, 투사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 광학계와 접합하는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 조정부에 의한 반사 광학계의 자세 조정시에,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으로 반사 광학계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광학계의 경사에 대응하여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반사 광학계의 단부를 지지하여, 고정 상태에 있는 파지부에 의해, 반사 광학계의 경사가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 백 커버가 제거된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하부 캐비넷 및 레그부를 전방에서 본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내부 유닛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을 제거한 정면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유닛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유닛 본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에서의 종단면도,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세 조정 기구로서의 지지 부재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경사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경사 조정 부재의 단면도,
도 15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경사 조정 부재의 조정부에서의 회전 조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미러 자세 조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미러 자세 조정부의 단면도,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미러 받침부에 의한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미러 지지부에 의한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 지지 부재 및 광학 유닛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프로젝터 30 : 반사 미러
31 : 미러 유지부 32 : 미러 자세 조정부
32B4 : 간극 32C : 탄성 부재
33 : 미러 받침부 33A : 탄성 부재
46 : 투사 렌즈 50 : 스크린
200 : 지지 부재 202 : 좌우 위치 조정 부재
203 : 경사 조정 부재 203A1 : 오목부
203B : 칼럼 형상 부재 203B2 : 구상체
204 : 회전 위치 조정 부재 210 : 제 1 나사 결합 구조
220 : 제 2 나사 결합 구조 401A : 광학 유닛 본체
[제 1 실시 형태]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1. 리어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프로젝터(1)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리어 프로젝터(1)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어 프로젝터(1)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 백 커버(14)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4는 리어 프로젝터(1)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어 프로젝터(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리어 프로젝터(1)의 주요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리어 프로젝터(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이 광학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것으로, 하우징을 구성하는 캐비넷(10)과, 이 캐비넷(10)의 하면측에 설치되는 레그부(20)와, 캐비넷(10)내에 배치되는 내부 유닛(40)과, 동일하게 캐비넷(10)내에 배치되는 반사광학계로서의 반사 미러(30)(도 5)와, 캐비넷(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스크린(5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캐비넷(10), 내부 유닛(40), 반사 미러(30) 및 스크린(50)에 의해 장치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의상 전방에서 보아 좌측을 좌로 하고, 전방에서 보아 우측을 우로 한다.
캐비넷(10)은 내부 유닛(40) 및 반사 미러(30)를 수납하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이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유닛(40)을 수납하는 동시에, 전면측, 상하면측 및 좌우 측면측의 대부분을 피복하는 종단면 U자 형상의 하부 캐비넷(13)과, 배면측 및 좌우 측면측의 일부를 피복하는 백 커버(14)와, 이 하부 캐비넷(13)의 상측에 배치되는 종단면 삼각형상의 상부 캐비넷(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부 캐비넷(13)에 있어서의 스크린(50)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상부 캐비넷(12)에 있어서의 스크린(50)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백 커버(14)는 하부 캐비넷(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캐비넷(1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부(131)와 좌우의 측면부(132)와, 상면부(133)와, 하면부(134)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캐비넷(13)에 있어서, 전면부(131)의 대략 중앙에는, 내부 유닛(40)을 구성하는 투사 렌즈가 돌출된 만큼에 따라 전면측으로 연장된 센터부(131A)가 설치되고, 이 센터부(131A)의 좌우측에는 대략 동일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31R, 131L)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131R, 131L)에는 저음 영역을 재생하는 스피커로서의 우퍼 박스(60)(60R, 60L)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우퍼 박스(60R, 60L)는 개구부(131R, 131L)에 대하여 전면측으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명확하지 않지만, 좌측 개구부(131L)의 하측에는 컴퓨터 접속용 접속부나, 비디오 입력 단자, 오디오 기기 접속 단자 등의 각종 기기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캐비넷(13)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측면부(132)에는 각각 슬릿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개구부는 내부로 냉각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용 개구(132L)이고, 우측 개구부는 내부로 도입되어 내부를 냉각한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용 개구(132R)이다.
상면부(133)는 상부 캐비넷(12)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하면부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부(134)는 레그부(20)의 후술하는 받침면에 접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백 커버(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부(141)와 좌우 측면부(14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백 커버(14)에 있어서, 배면부(141)의 우측(후방에서 보아 좌측)에는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 2 흡기용 개구(141A)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흡기용 개구(141A)에는 에어 필터(143)가 장착된다. 이 에어 필터(143)가 설치된 제 2 흡기용 개구(141A)에는, 이 개구(141A)를 밀폐하는 커버(14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141)에 있어서의 제 2 흡기용 개구(141A)의 좌측(후방에서 보아 우측)에는 입구 커넥터(145)용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141)의 좌측(후방에서 보아 우측)에는 컴퓨터 접속용의 접속부나, 비디오 입력 단자, 오디오 기기 접속 단자 등의 각종 기기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면부(141)의 내측에는 인터페이스 기판(80)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캐비넷(12)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반사 미러(30)를 수납하는 종단면 삼각형상의 하우징이며, 대략 직방형 판 형상의 하면부(15)와, 이 하면부(15)의 양 끝부로부터 설치된 삼각형 판 형상의 좌우 측면부(16)와, 이들의 좌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되어,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진 배면부(17)와, 대략 직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부(18)를 구비한다. 이 평면 형상의 전면부(18)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18)에는 이 개구부(18A)를 피복하는 스크린(50)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은 리어 프로젝터(1)의 하부 캐비넷(13)측 및 레그부(20)를 전방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레그부(20)는,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 본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하부 캐비넷(13)의 전면부(131)의 일부를 피복하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하부 캐비넷(13)의 하면부(134) 전체에 접합하는 받침면(21)과, 이 받침면(21)의 내측을 에워싸서 소정의 높이 치수를 갖는 리브 형상의 지지부(22)를 구비한다.
받침면(21)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의 위치에는, 지지부(22)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만큼 움푹 패인 오목 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프로젝터(1)가 마루나 책상 등의 상면에 설치된 경우에, 그 이면이 마루 등의 상면에 접합되는 것이다. 이 지지부(22)의 내측에는, 합성 수지제로 소정 높이 치수의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리브(22A)에 의해 레그부(20)의 강성이 높여지는 동시에, 마루 등의 상면으로부터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지지부(22)의 내측 일부에는 보강 리브(22A)가 형성되지 않고, 지지부(22)의 이면측에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에 걸쳐 연장되는 평면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22B)는 받침면(21)에 형성된 상기 오목 형상 홈의 하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 형상 홈이 형성된 받침면(21)에 상기 장치 본체가 설치되면, 하부 캐비넷(13)의 좌측 측면부(132)로부터 중앙 부분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서의 제 3 덕트(93)가 구성된다. 단, 제 3 덕트(93)의 양 에지에는 장치 본체의 하면이 접합되지 않고, 좌측의 측면부(132) 근방의 에지 부분과 대략 중앙 부분의 에지 부분이 개구된다.
이 좌측 측면부(132) 근방의 개구에는 제 2 덕트(92)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덕트(92)의 다른쪽 끝은 좌측 측면부(132)에 형성된 흡기용 개구(132L)에 에어 필터(135)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중앙 부분의 에지 부분에 있어서의 개구에는 제 4 덕트(94)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제 4 덕트(94)의 다른쪽 끝은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광학 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내부 유닛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내부 유닛(40)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설치되고,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소정의 광학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화상 정보에 부가되는 음성 신호의 증폭 등도 실행하여, 음성 및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8은 리어 프로젝터(1)로부터 스크린(50)을 제거한 정면도이다.
반사 미러(3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반사 미러로서,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의 내측에, 사다리꼴의 긴 변이 상측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의 내측에는, 반사 미러(30)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파지부로서의 미러 유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러 유지부(31)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긴 변 부분, 짧은 변 부분, 빗변 부분이 지지되어, 반사 미러(30)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5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유닛 본체(400)로 확대 투사되고, 반사 미러(30)로 반사된 광학상을 이면으로부터 투영하는 투과형 스크린이다. 이 스크린(50)은 스크린 본체(51)와 이 스크린 본체(51)의 전면측이 노출된 상태로 스크린 본체(51)를 수납하는 스크린 커버(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캐비넷(12)의 좌우측 측면부(16)에는, 각각 스피커 박스(70)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 캐비넷(12)과는 별개의 개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피커 박스(70)는 소정의 스피커로서 기능하는 박스 형상의 것이다. 이들 스피커 박스(70)의 전면과 스크린(50)의 전면은 대략 한면에 형성되고, 이들 면은 연직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스크린 커버(5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본체(51)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부 캐비넷(12)의 전면부(18)와 스피커 박스(70)의전면을 피복하도록, 상부 캐비넷(12)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1-2. 내부 유닛의 구성]
내부 유닛(4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유닛 본체(400)와, 상기 내부 유닛 본체(400) 또는 후술하는 음성 신호 증폭부(307)(앰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블록(300)과, 이들 내부 유닛 본체(400) 및 전원 블록(300)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201)를 구비한다.
내부 유닛 본체(40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부분에 배치된 광원 장치(411)를 포함하고, 이 광원 장치(411)로부터 우측으로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광학 유닛(401)과, 베이스 부재(201)와 접속되며, 상기 광학 유닛(401)을 지지하는 동시에, 자세 조정을 실행하는 지지대로서의 지지 부재(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광학 유닛(401)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1)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로서의 광학 유닛 본체(401A)와, 이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우측 부분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걸쳐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좌측(후방에서 보아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어 기판(402)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판(402)은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 유닛 본체(401A)를 구성하는 광학 장치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고 있으며,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우측 부분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걸쳐 배치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402)의 주위에는, 금속제의 실드 부재(403)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제어 기판(402)은 칼럼 형상의 부재를 거쳐 광학 유닛 본체(401A)를 넘도록, 지지 부재(200)에 장착되어 있다.
전원 블록(30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광원 장치(411)의 전방측에 설치된 제 1 전원 장치(301)와, 칸막이판(205)의 좌측 공간에 설치된 제 2 전원 장치(30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 1 전원 장치(301)는 제 1 전원(303)과, 이 제 1 전원(303)에 인접 배치된 램프 구동 회로(밸러스트)(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전원(303)은 입구 커넥터(14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램프 구동 회로(304)나 제어 기판(402) 등에 공급하는 것이다.
램프 구동 회로(304)는 광학 유닛 본체(401A)를 구성하는 광원 램프에 제 1 전원(30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고, 이 광원 램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램프 구동 회로(304)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배선되어 있다.
이들 제 1 전원(303) 및 램프 구동 회로(304)로 구성되는 제 1 전원 장치(301)는, 좌우측이 개구된 금속제의 실드 부재(305)에 의해 주위가 피복되어, 제 1 전원(303) 및 램프 구동 회로(304)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 실드 부재(305)의 개구에 있어서, 후방에서 보아 우측 개구에는,축류팬(521)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전원 장치(301)가 연장되는 방향, 즉 후방에서 보아 제 1 전원 장치(301)의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냉각 공기를 송풍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이 실드 부재(305)는 냉각 공기를 유도하는 덕트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제 2 전원 장치(302)는 제 2 전원(306)과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 신호 증폭부(앰프)(30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 2 전원(306)은 입구 커넥터(14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음성 신호 증폭부(307)에 공급하는 것이다.
음성 신호 증폭부(307)는 제 2 전원(306)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박스 및 우퍼 박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성 신호 증폭부(307)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배선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1)는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대향 배치되어, 내부 유닛(40)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며, 금속제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에서 보아 좌측에는, 좌우 공간에 열을 차단하는 칸막이판(205)이 베이스 부재(201) 상면으로부터 수직설치하고 있다. 이 칸막이판(205)에 의해, 제 1 전원 장치(301) 및 광학 유닛(401)의 광원 장치(411)와 제 2 전원 장치(302)를 격리하여, 좌우 공간에서 열을 차단할 수 있어, 제 1 전원 장치(301) 및 광원 장치(411)와 제 2 전원 장치(302)와의 사이에서의 열 전달을방지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1) 하면은,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 홈을 구비하고,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베이스 부재(201)가 진퇴함으로써, 하부 캐비넷(13)으로부터 내부 유닛(40)을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취출 가능해지고 있다.
[1-3. 광학계의 상세한 구성]
도 9는 광학 유닛 본체(401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학 유닛 본체(40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광학 유닛 본체(401A)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 램프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고, 이 광학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유닛이며, 적분기 조명 광학계(41)와, 색 분리 광학계(42)와, 릴레이 광학계(43)와, 광학 장치(44)와, 직각 프리즘(48)과, 투사 광학계로서의 투사 렌즈(46)를 구비한다.
적분기 조명 광학계(41)는 광학 장치(44)를 구성하는 3장의 액정 패널(441)[적색, 녹색, 청색의 색광마다 각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 함]의 화상 형성 영역을 거의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광학계이며, 광원 장치(411)와,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편광 변환 소자(414)와, 중첩 렌즈(415)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 장치(411)는 방사 광원으로서의 광원 램프(416)와, 반사재(417)를 구비하고,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방사상의 광선을 반사재(417)로 반사하여 평행광선으로 하며, 이 평행 광선을 외부로 사출한다.
광원 램프(416)로는 할로겐 램프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할로겐 램프 이외에, 메탈 할로겐 램프나 고압 수은 램프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반사재(417)로는 포물면 거울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포물면 거울 대신에, 평행화 오목 렌즈 및 타원면 거울을 조합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412)는 광축 방향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갖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있다. 각 소형 렌즈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고 있다. 각 소형 렌즈의 윤곽 형상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형상과 거의 비슷한 형상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애스펙트비(가로와 세로 치수의 비율)가 4:3이면, 각 소형 렌즈의 애스펙트비도 4:3으로 설정한다.
제 2 렌즈 어레이(413)는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13)는 중첩 렌즈(415)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12)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441)상으로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중첩 렌즈(415)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일체로 유닛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의 광을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로써 광학 장치(44)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이 높여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414)에 의해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된 각 부분광은, 중첩 렌즈(415)에 의해 최종적으로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광을 변조하는 형태의 액정 패널(441)을 사용한 리어 프로젝터(1)로는, 1종류의 편광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랜덤한 편광광을 발하는 광원 램프(416)로부터의 광의 거의 절반이 이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편광 변환 소자(414)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모두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여, 광학 장치(44)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편광 변환 소자(414)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304739 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색 분리 광학계(42)는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와 반사 미러(423)를 구비하고,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에 의해 적분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속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릴레이 광학계(43)는 입사측 렌즈(431)와, 릴레이 렌즈(433)와, 반사 미러(432, 434)를 구비하고, 색 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색광인 적색광을 액정 패널(441R)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 색 분리 광학계(42)의 다이크로익 미러(421)에는, 적분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적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이 투과하는 동시에, 청색광 성분이 반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421)에 의해 반사된 청색광은 반사미러(423)로 반사되고, 필드 렌즈(418)를 통해 청색용 액정 패널(441B)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18)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 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액정 패널(441G, 441B)의 광 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18)도 동일하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421)를 투과한 적색광과 녹색광중에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에 의해 반사되고, 필드 렌즈(418)를 통해 녹색용 액정 패널(441G)에 도달한다. 한편, 적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를 투과하여 릴레이 광학계(43)를 통과하고, 또한 필드 렌즈(418)를 통해 적색광용 액정 패널(441R)에 도달한다.
또한, 적색광에 릴레이 광학계(43)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적색광의 광로의 길이가 다른 색광의 광로 길이보다도 길어, 광의 발산 등에 의한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입사측 렌즈(431)에 입사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18)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광학 장치(44)는 입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고, 색 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각 색광이 입사되는 3개의 입사측 편광판(442)과, 각 입사측 편광판(442)의 후단에 배치되는 광 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후단에 배치되는 사출측 편광판(443)과, 색 합성 광학계로서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예컨대 폴리실리콘(TFT)을 스위칭 소자로서사용한 것이다.
광학 장치(44)에 있어서, 색 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각 색광은, 이들 3장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 입사측 편광판(442) 및 사출측 편광판(443)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학상을 형성한다.
입사측 편광판(442)은 색 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각 색광중 일정 방향의 편광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으로, 사파이어 유리등의 기판에 편광막이 첨부된 것이다.
사출측 편광판(443)도 입사측 편광판(442)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고, 액정 패널(441)(441R, 441G, 441B)로부터 사출된 광속중, 소정 방향의 편광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들 입사측 편광판(442) 및 사출측 편광판(443)은 상호 편광축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사출측 편광판(443)으로부터 사출되고, 각 색광마다 변조된 광학상을 합성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는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4개의 직각 프리즘의 계면을 따라 대략 X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이들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개의 색광이 합성된다.
이상 설명한 액정 패널(441), 사출측 편광판(443)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일체적으로 유닛화된 광학 장치 본체(45)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사측 편광판(442)은 라이트 가이드(47)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홈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광학 장치 본체(45)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지만,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과, 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금속제의 스탠드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광속 입사 단면에 장착되어, 사출측 편광판(443)을 유지하는 금속제의 유지판과, 이 유지판의 광속 입사측에 장착된 4개의 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액정 패널(441)(441R, 441G, 441B)을 구비한다. 유지판과 액정 패널(441)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극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공극 부분을 냉각 공기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직각 프리즘(48)은 광학 장치(44)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 있어서의 광속 사출측에 배치되고, 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4)으로 합성된 컬러 화상을 투사 렌즈(46)의 방향, 즉 전방 방향으로 사출된 컬러 화상을 상측 방향으로 굴절하여 반사하는 것이다.
투사 렌즈(46)는 직각 프리즘(48)으로 반사된 컬러 화상을 확대하여, 반사 미러(30)에 투사하는 것이다. 이 투사 렌즈(46)는 상술한 지지 부재(200)에 나사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헤드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사 렌즈(46)의 투사측 주위에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커버 부재(49A)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캐비넷(12)의 하면부(15)에는 투사되는 광학상의 광로를 확보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9A)는 이 개구부의 주위에 대하여 탄성 부재를 거쳐 접합되어 이 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각 광학계(41 ~ 44, 48)는, 도 9에 나타내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서의 합성 수지제의 라이트 가이드(47)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라이트 가이드(47)는, 내부측의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각 광학 부품(412 ~ 415, 418, 421 ~ 423, 431 ~ 434, 442)(도 10)을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는 홈부가 형성된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와,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의 상부의 개구측을 밀폐하는 커버 형상의 상부 라이트 가이드(47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광학 유닛 본체(401A)는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 외면에 설치된 고정용 구멍(471A)(도 9)을 거쳐 지지 부재(200)에 지지되고, 스크린(50)에 투사되는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자세 조정이 실행된다.
[1-4. 내부 냉각부의 구성(냉각 구조)]
도 11은 리어 프로젝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에서의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리어 프로젝터(1)에는,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유닛(40)을 구성하는 이들 각 부품(400, 200, 301, 302)과, 캐비넷(10)의 내부를 냉각하는 내부 냉각부(5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부 냉각부(500)는 내부 유닛(40)을 포함하는 하부 캐비넷(13) 내부 전체를 냉각하고 있다.
내부 냉각부(5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용 개구(132L)로부터 하부 캐비넷(13)내로 외부 냉각 공기를 도입하고, 하부캐비넷(13)내의 각 부품(400, 200, 301, 302)을 냉각하며, 우측 배기용 개구(132R)로부터 냉각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하부 캐비넷(13)내에는 스크린(50)의 전면을 따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냉각 공기를 흘리는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냉각부(500)는 제어 기판 냉각 유로(511)와, 광학 장치 냉각 유로(512)와, 광원 냉각 유로(513)와, 전원 냉각 유로(514)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냉각부(500)에 있어서,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522, 523)에 의해 흡기용 개구(132L)로부터 도입된 외부의 냉각 공기는, 그 일부가 제어 기판용 축류팬(522)에 의해 흡인되고, 제어 기판 냉각 유로(511)를 흘러 유량 제어 기판(402)을 냉각한다. 또한, 냉각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광학 장치용 축류팬(523) 및 시로코팬(524)(sirocco fan)에 의해 흡인되고, 제 2 내지 제 4 덕트(92 ~ 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학 장치 냉각 유로(512)를 흘러 광학 장치(44)를 냉각한다. 이들 냉각 공기는 광학 장치(44) 상측 근방으로 합류한다.
여기서, 광원 냉각 유로(513)에는 칸막이판(205)의 우측 공간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덕트(91)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류된 공기의 일부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부품 냉각용의 2개의 시로코팬(525, 526)에 의해 흡인되고, 라이트 가이드(47)내의 광원 냉각 유로(513)를 흘러 상기 편광 변환 소자 및 광원 장치를 냉각하며, 그 후 제 1 덕트(91)를 통과하여, 배기용 개구(132R)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합류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전원용 축류팬(521)에 의해 흡인되어,전원 냉각 유로(514)를 흘러 제 1 전원 장치(301) 및 제 2 전원 장치(302)를 냉각하고, 배기용 개구(132R)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냉각 후의 공기의 배출 유로로서 2개의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 장치(411) 냉각 후의 공기는,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고 전용 제 1 덕트(91)로부터 외부로 직접 배출되며, 제 2 전원 장치(302)에는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1-5. 광학 유닛 본체의 자세 조정 구조]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자세 조정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은 지지대로서의 지지 부재(200)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지지 부재(200)는 광학 유닛 본체(401A)로부터 투사되는 광학상을 반사 미러(30)를 거쳐, 스크린(50) 이면으로 투사하기 위해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투사 방향을 조정한다. 이 지지 부재(200)는 내부 유닛(40)의 베이스 부재(201)상에 대향 배치하여 장착되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와, 이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로부터 수직설치하는 경사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경사 조정 부재(203)와, 이 경사 조정 부재(203)에 후방측으로 하향 구배가 되도록 장착되는 회전 위치 조정 기구로서의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는,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경사 조정 부재(203)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기초로 되어, 지지 부재(200) 전체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한다. 이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형상을 따라, 평면으로 볼 때 대략 F자 형상의 판 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 형상체에는 복수 위치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루즈 구멍(202A)과, 상기 판 형상체의 외주 부분에 굴절된 입상편(20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루즈 구멍(202A)에 나사를 관통시키고, 하부 캐비넷의 하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과 고정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가 고정된다.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작업자는 루즈 구멍(202A)에 관통한 나사를 헐겁게 맞춘 상태로 하고, 입상편(202B)을 파지하여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를 루즈 구멍(202A)의 형상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즈 구멍(202A)이 좌우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광학 유닛 본체(401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루즈 구멍(202A)을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하며, 혹은 루즈 구멍(202A)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경사 조정 부재(203)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스크린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를 조정한다. 이 경사 조정 부재(203)는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경사 조정 부재(203)를 지지하는 레그부(203A)와, 상기 레그부(203A)에 지지되어,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설치하는 칼럼 형상 부재(203B)와, 상기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선단부와 접속하여,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에 고정되는 이동 금구(203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는, 경사 조정 부재(20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칼럼 형상 부재(203B)에 있어서, 기단부에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 구상체(203B2)를 구비하고, 상기 구상체(203B2)가 레그부(203A)와 결합하고 있다. 또한, 선단부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고, 이동 금구(203C)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중앙 부분에는 상기 칼럼 형상 부재(203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손잡이(203B1)가 형성되어 있다.
레그부(203A)에는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구상체(203B2)의 형상에 따른 오목부(203A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그부(203A)는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동 금구(203C)는 대략 각 기둥 형상 부재이고, 상하로 관통한 구멍(203C1)과, 상기 이동 금구(203C)의 측면으로부터 구멍(203C1)으로 관통한 고정용 구멍(203C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03C1)에는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선단부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칼럼 형상 부재(203B)와의 나사 결합 상태에 따라 이동 금구(203C)가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용 구멍(203C2)에는 나사가 관통되고, 이동 금구(203C)와 칼럼 형상 부재(203B)와의 나사 결합 상태를 고정하여,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스크린(50)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경사 조정 부재(203)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지만, 평면으로 볼 때 대략 F자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의 각 단부 및 굴곡진 코너 부분의 4개소에 설치된다.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작업자는 경사 조정 부재(203)의 회전 손잡이(203B1)를 회전시키고,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선단과 이동 금구(203C)와의 나사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동 금구(203C)를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킨다. 즉, 이동 금구(203C)와 고정된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진퇴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설치된 4개소의 경사 조정 부재(203)로 실행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가 탑재 고정된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경사 위치 조정을 실행할 수 있고,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스크린(50)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 조정이 실행된다.
상술한 경사 위치 조정에 있어서, 4개소에 설치된 경사 조정 부재(203)중 1개소마다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다른 3개소에 있어서의 미조정 경사 조정 부재(203)에 대하여 1개소만의 이동 금구(203C)가 진퇴 이동하게 되므로,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대한 각 경사 조정 부재(203)의 각도가 가변적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기단은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 구상체(203B2)를 구비하고, 상기 구상체(203B2)가 레그부(203A)의 구상체(203B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203A1)와 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는 스크린(50)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 위치의 비틀림 방향의 조정도 실행할 수 있다.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내에서의 회전 방향의 위치 조정을 실행한다. 이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는 광학 유닛 본체(401A)가 탑재 고정되는 회전 부재(204A)와, 상기 회전 부재(204A)와 결합하는 동시에 경사 조정 부재(203)와 접속하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이들 회전 부재(204A) 및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접속하는 조정부(204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204A)는 광학 유닛 본체(401A)를 탑재하고, 평면으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을 갖는 광학 유닛 본체(401A)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 판 형상 부재이다. 이 회전 부재(204A)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결합하고, 상기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중심부(204A1)와, 상기 회전 중심부(204A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결합하는 회전 안내부(204A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 부재(204A)는 광학 유닛 본체(401A)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절결부(204A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04A3)에는 제 4 덕트(94)가 배치되어, 광학 장치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 유로로 된다.
여기서, 광학 유닛 본체(401A)는 하부 라이트 가이드(471) 외면에 형성된 고정용 구멍(471A)(도 9)에 나사를 관통시키고, 회전 부재(204A)에 형성된 구멍(도시 생략)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와 회전 부재(204A)가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04A)의 상면에는 보스부가 나사 고정되고,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투사 렌즈(46)가 지지되어 있다.
회전 중심부(204A1)는 회전 부재(204A)의 표리면에 관통한 구멍으로, 상기 구멍과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나사를 관통시킴으로써, 회전 부재(204A)와 회전 베이스 부재(204B)가 나사 결합하고, 회전 부재(204A)는 상기 회전 중심부(204A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베이스 부재(204B)상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회전 중심부(204A1)는 회전 부재(204A)상에 탑재 가능하게 되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투사 렌즈(46)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주 광축상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 안내부(204A2)는 회전 부재(204A)의 표리면에 관통하여 회전 중심부(204A1)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에 형성된 트랙 구멍으로,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나사 고정된 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 부재(204A)의 회전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204A)와 회전 베이스 부재(204B)를 회전 중심부(204A1)만의 접속이 아니고, 회전 안내부(204A2)를 포함하여 접속함으로써, 회전 부재(204A)에 있어서의 회전 베이스 부재(204B)로의 지지를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 부재(204A)에 있어서의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대한 회전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회전 베이스 부재(204B)는 회전 부재(204A)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회전 부재(204A)의 형상보다도 약간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있어서,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중심부(204A1) 및 회전 안내부(204A2)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회전 부재(204A)의 절결부(204A3)에 대응하여 냉각 공기의 냉각 유로로 되는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정부(204C) 위치에 대응하여,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하면에는, 상술한 경사 조정 부재(203)의 이동 금구(203C)가 고정되어 있고, 이동 금구(203C)의 진퇴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경사 위치가 변화되게 된다.
조정부(204C)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대하여 회전 부재(204A)를 회전시킨다. 이 조정부(204C)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 및 회전 부재(204A)의 하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투사 렌즈(46)의 설치 위치로부터 격리하여, 광원 장치(411)의 설치 위치로 연장되는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는 조정부(204C)에 있어서의 회전 조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정부(204C)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부(204C1)와, 회전 부재(204A)의 하면에 고정된 가동부(204C2)와, 이들 고정부(204C1) 및 가동부(204C2)를 접속하는 회전 조정용 나사(204C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204C1)와 가동부(204C2)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 부재(204B)상에 회전 부재(204A)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가동부(204C2)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형성된 구멍(204B1)에 관통된 상태로 된다.
고정부(204C1)는 대략 각 기둥 형상이고,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전후 방향으로 양단면을 관통하여 단 부착 형상의 구멍(204C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04C4)에는 회전 조정용 나사(204C3)가 관통되고, 상기 구멍의 나사 받침면(204C5)과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의 회전단이 접합한다.
가동부(204C2)는 고정부(204C1)와 같이 대략 각 기둥 형상을 갖고,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전후 방향으로 양단면을 관통하여 구멍(204C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04C6)은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의 나사 홈에 대응한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조정용 나사(204C3)가 결합한다.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정용 나사(204C3)를 고정부(204C1)의 구멍(204C4)에 관통했을 때에, 상기 고정부(204C1)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에는, 상기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나사 홈의 종단 부분에는 너트(204C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 조정용 나사(204C3)를 고정부(204C1)에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압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 조정용 나사(204C3)는 고정부(204C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작업자는 회전 위치조정 부재(204)의 고정부(204C1)에 관통된 회전 조정용 나사(204C3)를 드라이버 등에 의해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와 가동부(204C2)의 나사 결합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가동부(204C2)는 회전 조정용 나사(204C3)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즉, 회전 부재(204A)가 회전 중심부(204A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베이스 부재(204B)상을 회전한다. 따라서, 광학 유닛 본체(401A)는 회전 부재(204A)와 함께, 회전 베이스 부재(204B)상을 회전하게 되어,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은 지지 부재(200)의 구조에 의해, 광학 유닛 본체(401A)는 내부 유닛(40)의 베이스 부재(201)의 상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 경사 방향 및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자세 조정이 가능해진다.
[1-6.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
다음에, 본 고안에 있어서의 반사 미러(30)의 유지 구조를 설명한다.
반사 미러(30)는 광학 유닛 본체(401A)로부터 투사된 광학상을 스크린(5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 반사 미러(30)는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에 형성된 미러 유지부(31)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 상태에서는, 반사 미러(30)는 반사면이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미러 유지부(3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투사 렌즈(46)(도 7)로부터 소정 거리 격리하여 반사 미러(30)를 유지하는 동시에 스크린(50)에 투사되는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을 조정한다. 이 미러 유지부(31)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인 반사 미러(30)의 긴변 부분을 지지하는 미러 자세조정부(32)와, 상기 반사 미러(30)의 빗변 부분을 지지하는 미러 받침부(33)와, 상기 반사 미러(30)의 짧은 변 부분을 지지하는 미러 지지부(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6에는 미러 자세 조정부(32)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미러 자세 조정부(3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미러 자세 조정부(32)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미러(30)의 긴 변 부분을 반사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미러 자세 조정부(32)는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에 접속된 고정부(32A)와, 상기 고정부(32A)에 헐겁게 맞추고, 또한 반사 미러(30)의 긴변 부분을 파지하는 파지부(3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고정부(32A)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단면에는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과 접속하기 위한 구멍(32A1)이 형성되고, 다른쪽 단면에는 파지부(32B)와 접속하기 위한 구멍(32A2)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에서, 파지부(32B)와 접속하기 위한 구멍(32A2)은, 상부 캐비넷과 격리하는 방향으로 편평한 루즈 구멍으로, 상기 구멍(32A2)과 후술하는 파지부(32B)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관통시켜, 고정부(32A)와 파지부(32B)가 고정된다.
파지부(32B)는 판 형상체(32B1)와 상기 판 형상체(32B1)로부터 수직설치한 2개의 지지편(32B2)으로 구성되며, 단면 대략 F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 형상체(32B1)에는 고정부(32A)에 형성된 구멍(32A2)과 접속하기 위한구멍(32B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홈으로서의 2개의 지지편(32B2)의 사이에는 반사 미러(30)의 단부가 파지되고, 반사 미러(30)의 단부와 판 형상체(32B1)의 사이에는 간극(32B4)이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지지편(32B2)중 상부 캐비넷측에 위치하는 지지편(32B2)에는 탄성 부재(32C)가 장착되고, 반사 미러(30)의 단부가 상기 지지편(32B2)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 탄성 부재(32C)는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는 반대측 단면에 접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은, 고정부(32A)의 구멍(32A2)과 파지부(32B)의 구멍(32B3)과 접속되는 나사를 이동 가능한 맞춤 상태로 하고, 고정부(32A)의 구멍(32A2)의 편평 방향, 즉 반사 미러(30)의 반사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부(32A)에 대하여 파지부(32B)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있어서, 고정부(32A)에 대하여 파지부(32B)를 이동할 때에, 반사 미러(30)의 단부가 지지편(32B2)의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30)의 비틀림을 억제하여, 상기 반사면의 초점맞춤부 방향의 조정만이 실행된다.
또한,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는 반대측의 단면이 탄성 부재(32C)에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30)의 경사 각도와 지지편(32 B2)의 판 형상체(32B1)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각도가 다른 경우라도, 탄성 부재(32C)의 물리적 변형에 따라 대응하여, 탄성 부재(32C)의 가압력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단부가 지지편(32B2)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미러 자세 조정부(3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미러(30)의 긴변 부분의 3개소에 형성되어,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미러 자세 조정부(32)가 반사 미러(30)의 긴변 부분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1개소 또는 2개소에서도 조정 가능하다.
도 18에는 미러 받침부(33)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유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미러 받침부(33)는 반사 미러(30)의 자중을 유지하는 것으로, 반사 미러(30)의 빗변 부분에 위치하며,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보스부(17A)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18중, 상하 방향이 반사 미러의 경사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반사 미러의 하면이 반사면에 대응한다.
미러 받침부(33)는 단면 대략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단면이 보스부(17A)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면에 반사 미러(30)가 접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미러 받침부(33)의 반사 미러(30)와 접합하는 단면에는 탄성 부재(33A)가 장착되고, 상기 미러 받침부(33)와 반사 미러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33A)가 개재하고 있다.
이 탄성 부재(33A)가 개재함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미러(30)의 자세 조정에 대응하여, 탄성 부재(33A)는 탄성 변형을 일으켜, 반사 미러(30)의 경사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미러 받침부(33)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미러의 빗변 부분의 각 2개소에 형성되어, 반사 미러(30)의 자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미러 받침부(33)는 반사 미러의 빗변 부분의 각 2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각 1개소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9에는 미러 지지부(34)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유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미러 지지부(34)는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대응하는 동시에, 반사 미러(30)의 자중을 유지한다. 이 미러 지지부(34)는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반사 미러(3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 1 보스부(17B)와, 상기 보스부(17B)와 접속하여 반사 미러(30)의 반사면을 가압하는 미러 가압 부재(34A)와, 상부 캐비넷(12)의 배면부(17)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 반대측 단면과 접합하는 제 2 보스부(17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 1 보스부(17B)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빗변 부분에 반사 미러(30)의 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미러 가압 부재(34A)는 반사 미러의 자중 또는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에 의해, 상기 반사 미러의 단부와 제 1 보스부(17B)의 빗변의 접합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미러 가압 부재(34A)는 단면 대략 Z자 형상을 갖고, 한쪽 굴곡부가 제 1 보스부(17B)의 굴곡부에 대응하여, 다른쪽 굴곡부가 제 1 보스부(17B)의 빗변과 반사 미러가 이루는 각 부분에 대응한다.
제 2 보스부(17C)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의해, 상기 반사 미러(30)의 단부와 제 1 보스부(17B)의 빗변의 접합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반사 미러(30)와의 접합면에는 탄성 부재(34B)가 장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34B)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 부재(34B)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34B)에 의해 반사 미러(30)에 대한 가압력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단부와 제 1 보스부(17B)의 빗변의 접합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1-7.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광학 유닛은 지지 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200)가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 경사 조정 부재(203)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화상을 투사하는 광학 유닛을 3축에 의해 자세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광학 유닛으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의 스크린상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를 조정할 때에, 스크린에 대하여 투사 화상의 표시 불가능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리어 프로젝터(1)의 캐비넷(10) 형상의 교차 및 이 캐비넷(10)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공차의 차이에 의해,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이 변화되고,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지지 부재(200)에 의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자세 조정에 의해 최적화하여,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2) 광학 유닛 본체(401A)가 스크린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리어 프로젝터(1)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리어 프로젝터(1)를 박형화할 수 있다.
(3)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가 내부 유닛의 지지판상에 대향 배치되어, 루즈 구멍(202A) 및 입상편(202B)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는 루즈 구멍(202A)에 관통된 나사를 헐겁게 맞춘 상태로 하고, 입상편(202B)을 파지하여,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를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를 지지판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 조정시에, 광학 유닛 본체(401A)에 걸리는 외력의 영향을 완화하고, 광학 유닛 본체(401A)내의 각 광학계의 상호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화상 프레임의 변화가 없는 안정한 화상을 투사시킬 수 있다.
(4)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가 회전 부재(204A), 회전 베이스 부재(204B) 및 조정부(204C)로 구성되고,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중심부(204A1) 및 회전 안내부(204A2)와 회전 베이스 부재(204B)가 결합하여, 회전 중심부(204A1)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베이스 부재(204B)상을 회전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를 용이하게 회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5)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가 회전 부재(204A) 및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2본체 구성이 것에 의해서, 상기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와 같이,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대하여 회전 부재(204A)가 회전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위치 조정시에, 광학 유닛 본체(401A)에 걸리는 외력의 영향을 완화하고, 광학 유닛 본체(401A)내의 각 광학계의 상호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화상 프레임의 변화가 없는 안정된 화상을 투사할 수 있다.
(6)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중심부(204A1)가 광학 유닛 본체(401A)로부터 사출되는 주 광축상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대하여 회전 부재(204A)가 회전한 때에는, 광학 유닛 본체(401A)는 출사되는 주 광축상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즉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은 표시 화상내의 조명 광축상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평면 이동을 억제하여, 용이하게 표시 화상의 회전 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을 실행한 후에,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평면 위치 조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7) 회전 부재(204A)와 회전 베이스 부재(204B)가 조정부(204C)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조정부(204C)의 회전 조정용 비틀림(204C3)을 드라이버 등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대하여 회전 부재(204A)를 이동시킬 수 있다.
(8)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을 조정부(204C)에 의해 실행하고 있음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조정을 미소한 범위에서 정확히 실행할 수 있다.
(9) 경사 조정 부재(203)는 레그부(203A), 칼럼 형상 부재(203B) 및 이동 금구(203C)를 구비하고,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와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회전 베이스 부재(204B)를 접속하여,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선단과 이동 금구(203C)의 나사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동 금구(203C)를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시켜, 즉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대하여 회전 베이스 부재(204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선단과 이동 금구(203C)의 나사 결합 상태의 변화에 따라,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자세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10) 경사 조정 부재(203)의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기단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구 형상체(203B2)를 구비하고, 상기 구 형상체(203B2)가 구 형상체(203B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203A1)를 갖는 레그부(203A)에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4개소에 설치된 경사 조정 부재(203)중 1개소의 경사 조정 부재(203)를 조정한 경우에, 칼럼 형상 부재(203B)의 구 형상체(203B2)와 레그부(203A)의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에 대한 뒤틀림 방향에도 대응하여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11) 지지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201)상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광학 유닛 본체(401A)는 이 지지 부재(200)상에 지지됨으로써,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자세조정에 대응하여 확실히 광학 유닛 본체(401A)를 지지할 수 있다.
(12) 미러 유지부(31)는 미러 자세 조정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미러 자세 조정부(32)의 파지부(32B)를 고정부(32A)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반사 미러(30)의 긴변 부분을 반사면과 직교하는 방향, 즉 반사 미러(30)의 초점맞춤부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어 프로젝터(1)의 캐비넷(10) 형상의 공차 및 이 캐비넷(10)내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부품 공차의 차이에 의해, 표시 화상의 화상 프레임이 변화되어,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에 투사 격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의해 최적화하여, 스크린 전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13) 반사 미러(30)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학 유닛 본체(401A)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의 화상 프레임에 맞춘 최저한의 형상이기 때문에, 반사 미러(30)의 기능을 충분히 다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있고, 즉 리어 프로젝터(1)의 소형,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다.
(14) 미러 자세 조정부(32)의 파지부(32B)는 판 형상체(32B1)와 상기 판 형상체(32B1)로부터 수직설치된 2개의 지지편(32B2)으로 구성되고, 반사 미러(30)가 2개의 지지편(32B2)에 파지된 상태에서는, 반사 미러(30)와 판 형상체(32B1)의 사이에는 간극(32B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파지부(32B)를 고정부(32A)에 대하여 이동시켰을 때에, 반사 미러(30) 단부와 파지부(32B)의 판 형상체(32B1)가 충돌하는 일이 없고, 반사 미러(30)의 단부에 국소적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있다.
따라서,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30) 단부에 외력을 주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휨을 방지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의 투사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15) 미러 자세 조정부(32)의 파지부(32B)에 있어서, 상부 캐비넷측에 위치하는 지지편(32B2)에는 탄성 부재(32C)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부재(32C)가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 반대측 단면과 접합하고 있음으로써,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수반하는, 지지편(32B2)과 반사 미러(30)의 마찰에 의한 반사 미러(30) 단부의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
(16) 상부 캐비넷측에 위치하는 지지편(32B2)에 탄성 부재(32C)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32C)가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는 반대측인 단면을 가압하고, 반사 미러(30)의 반사면은 다른쪽 지지편(32B2)에 접합하여, 이 접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지부(32B)의 이동에 연동하여,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수반하여, 반사 미러(30)에 뒤틀림 등이 일어나지 않고, 반사 미러(30)의 경사 상태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17) 미러 유지부(31)는 반사 미러(30)의 빗변 부분을 지지하는 미러 받침부(33)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받침부(33)가 반사 미러(30)의 반사면을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반사 미러(30)의 자중을 미러 받침부(33)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반사 미러(30)의 자중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변형에 의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화상 프레임의 변화를 회피하여, 투사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18) 미러 받침부(33)는 반사 미러(30)의 반사면과의 접합면에, 탄성 부재(33A)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시에, 탄성 부재(33A)의 탄성 변형으로 반사 미러(3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미러(30)의 경사에 대응하여 탄성 부재(33A)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반사 미러(30)의 단부를 지지하고, 고정 상태에 있는 미러 받침부(33)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경사가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9) 미러 지지부(34)는 제 1 보스부(17B)와 제 2 보스부(17C)와 미러 가압 부재(34A)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부(32)에 의한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 및 반사 미러(30)의 자중에 의한 반사 미러(30) 단부의 제 1 보스부(17B)로부터의 접합 위치 어긋남을 회피하여, 반사 미러(30)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20) 제 2 보스부(17C)의 반사 미러(30)와의 접합면에 탄성 부재(34B)가 장착하고 있음으로써, 반사 미러(30)의 자세 조정에 대응하여, 탄성 부재(34B)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34B)에 따라 반사 미러(30)에 대한 가압력에 의해, 반사 미러(30)의 단부와 제 1 보스부(17B)의 빗변의 접합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고안의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 및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1)는 캐비넷(10)내에 설치되고,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접합하여 배치된다. 지지 부재(200)는 이 베이스 부재(201)상에 설치되고, 광학 유닛 본체(401A)는 이 지지부재(200)상에 지지된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1)는 캐비넷(10)내에서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대하여 격리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 부재(200)는 이 베이스 부재(201)의 하면에 설치되며, 광학 유닛 본체(401A)는 이 지지 부재(200)상에 지지된다.
[2-1. 광학 유닛 본체의 자세 조정 구조]
도 2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201), 지지 부재(200) 및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유닛(401)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0은 리어 프로젝터(1)의 정면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201), 지지 부재(200)를 본 도면이다. 또한, 도 20에서는, 베이스 부재(201) 및 지지 부재(200)와의 배치 관계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서, 광학 유닛(401)을 간략화하고, 상기 광학 유닛(401)을 구성하는 투사 렌즈(46)만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 부재(201)는 금속제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하측에 볼록하게 되는 단면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잇다.
이 베이스 부재(201)에 있어서, 좌우 양끝 부분의 단면은, 도시는 생략했지만, 하부 캐비넷(13)의 측면부(132)의 단면으로부터 대략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지지부에 접합한다. 즉, 이 베이스 부재(201)는 하부 캐비넷(13)의 측면부(132)에 지지된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201)에 있어서,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의 4개의 소정 위치에는, 대향하는 지지 부재(200)를 향해 연장되는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는, 레그부(20)의 받침면(21)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로는,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에 표리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대응 위치에 예컨대 용접 등에 의해 너트(210A)가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201)에 있어서,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에는 대략 원호 형상의 절결부(20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유닛 본체(401A)가 지지 부재(200)에 설치되었을 때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투사 렌즈(46)가 이 절결부(201A)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201)에 있어서,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은 좌우 양끝 부분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하향 구배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지지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201)의 하면에 위치하고, 경사 조정 부재(203)와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회전 부재(204A)와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조정부(204C)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회전 베이스 부재(204B)는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안내부(204A2)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 부재(201)의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와 대략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나사 결합 구조로는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나사 결합 구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그부(20)의 받침면(21)의 대략 법선상에 제 1 나사 결합 구조와 제 2 나사 결합 구조가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소정 위치에 4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에 의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회전 위치 조정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경사 조정 부재(203)는 대략 칼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끝측에는 베이스 부재(201)의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의 너트(210A)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응하는 나사 홈이 형성되고, 다른쪽 끝측에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의 너트(220A)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응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쪽 끝측의 나사 홈과 다른쪽 끝측의 나사 홈은 역나사로 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 끝측이 우나사로 형성되고, 다른쪽 끝측이 좌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나사 홈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한쪽 끝측이 좌나사, 다른쪽 끝측이 우나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사 조정 부재(203)는 한쪽 끝이 베이스 부재(201)의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와 나사 결합하고, 다른쪽 끝이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와 나사 결합한다. 즉, 경사 조정 부재(203)가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와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는, 회전 부재(204A)의 회전 안내부(204A2)에 경사 조정 부재(203)가 관통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1)의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과,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단면은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사 조정 부재(203)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회전 손잡이(203B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200)상에 설치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작업자는 경사 조정 부재(203)의 회전 손잡이(203B1)를 회전시키고, 경사 조정 부재(203)와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의 나사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201)에 대한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손잡이(203B1)를 도 20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에 대하여, 경사 조정 부재(203)의 한쪽 끝 및 다른쪽 끝이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베이스 부재(201)와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상호 위치가 근접한다. 또한, 역으로, 회전 손잡이(203B1)를 도 20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이스 부재(201)와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상호 위치가 격리된다. 이러한 작업을 4개소의 경사 조정 부재(203)로 실행함으로써,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경사 위치 조정을 실시하여,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스크린(50)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 조정이 실시된다.
또한, 4개소에 설치된 경사 조정 부재(203)중 1개소마다 조정을 실시하는 때에는, 다른 3개소에 있어서의 미조정 경사 조정 부재(203)에 대하여 1개소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베이스 부재(204B) 부분의 상대 위치가 근접 격리된다. 즉, 회전 베이스 부재(204B)는 스크린(50)에 대한 상측 방향의 경사 위치가 비틀리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조정 부재(203)의 한쪽 끝측 및 다른쪽 끝측에 형성된 나사 홈과,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에 형성된 나사 홈과의 간극에 의해 회전 베이스 부재(204B)의 비틀림에 수반하는 경사 조정 부재(203)의 부하를 흡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조정 부재(203)에 의한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 조정에서는, 베이스 부재(201)의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에 대하여 회전 베이스 부재(204B)를 0.5 내지 1.0°의 범위로 각도를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베이스 부재(201), 지지 부재(20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냉각 구조에 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2-2. 제 2 실시 형태의 효과]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1), (2), (4) 내지 (8), (12) 내지 (20)과 대략 동일한 효과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21) 광학 유닛(401) 및 전원 블록(300)은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조정 부재(204)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부 캐비넷(13)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로 스크린(50) 등의 다른 구성 부재와 격리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가 내부 냉각부(500)에 있어서의 냉각 공기를 유도하는 덕트로서 기능하고, 광학 유닛(401) 및 전원 블록(300)내의 구성 부재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따라 냉각 공기가 유통하기 때문에, 상부 캐비넷(12)내에 배치되는 스크린(50)등으로의 열을 차단하는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22) 베이스 부재(201)의 볼록 형상 부분의 단면이 좌우 양끝 부분의 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201)에 설치하면 미리 경사진 상태로 된다. 이로써, 경사 조정 부재(203)의 회전 손잡이(203B1)를 조정하면, 지지 부재(200)에 설치되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23)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는 각각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가 설치되고, 경사 조정 부재(203)는 이들 제 1 나사 결합 구조(210) 및 제 2 나사 결합 구조(220)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임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 부재(201)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접속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 부재(201)에 대한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의 경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3. 실시 형태의 변형]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200)는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경사 조정 부재(203)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 조정 부재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경사 조정 부재 및 좌우 위치 조정 부재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조정 부재(203)는 레그부(203A)와, 칼럼 형상 부재(203B)와, 이동 금구(203C)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그부(203A)를 생략하고, 이동 금구(203C)를 2개 설치한다. 또한, 2개의 이동 금구(203C)중, 한쪽을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에 고정하고, 다른쪽을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고정한다. 또한, 칼럼 형상 부재(203B)의 양끝부에 나사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칼럼 형상 부재(203B)와 2개의 이동 금구(203C)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레그부(203A)를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 경사 조정 부재(203)에 의한 경사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그부(203A)와 이동 금구(203C)의 위치를 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레그부(203A)를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설치하고, 이동 금구(203C)를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에 설치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200)의 형상 등에 따라 경사 조정 부재(203)를 설계하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자세 조정으로서,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 경사 조정 부재(203) 및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에 의해 실행하고 있었지만, 경사 조정 부재(203)만을 독립하여 실행하는 자세 조정 기구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200)는 경사 조정 부재(203)와 회전 위치 조정 부재(204)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 위치 조정 부재(202)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 부재(204B)와 경사 조정 부재(20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경사 위치 조정만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이동 금구(203C)와 같이, 경사 조정 부재(203)에 있어서의 나사 결합 상태를 고정하는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광학 유닛 본체(401A)의 경사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조정 부재(203)는 양끝 부분에 나사 홈이 형성된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양끝 부분의 어느 한쪽에 나사 홈이 형성되고, 다른쪽은 베이스 부재(201) 또는 회전 베이스 부재(204B)에 헐겁게 끼워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으로서의 캐비넷(10)[하부 캐비넷(13)]과 지지판으로서의 베이스 부재(201)를 별개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캐비넷(10)[하부 캐비넷(13)]의 하면부(134), 측면부(132) 및 상면부(133)를 지지판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지지 부재(200)는 하면부(134),측면부(132) 및 상면부(133)에 직접 지지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부재의 생략으로부터 리어 프로젝터(1)의 제조 비용의 저감 및 조립 시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한 리어 프로젝터의 예만을 들었지만, 본 고안은 하나의 광 변조 장치만을 사용한 리어 프로젝터, 2개의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한 리어 프로젝터, 혹은 4개 이상의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한 리어 프로젝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 변조 장치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마이크로 미러를 사용한 장치 등, 액정 이외의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입출사측 편광판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 입사면과 광 사출면이 다른 투과형의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광 입사면과 광 사출면이 동일하게 되는 반사형 광 변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리어 프로젝터에 의하면, 스크린상으로의 화상의 표시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 공차에 의한 화상 프레임의 스크린상으로의 투사 격차를 상기 표시 위치 조정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변조하고,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박스 형상 측면중 어느 한쪽에 노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 형성된 광학상을 투영하는 스크린을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는 지지면이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경사진 지지대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판에 대한 상기 화상 형성부의 경사 위치를 조정하는 경사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상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리어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스크린면에 대한 상기 화상 형성부의 평면 위치를 조정하는 평면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스크린에 따른 방향 및 스크린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부를 위치 조정하는 슬라이드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스크린면에 대한 회전 위치를 조정하는 회전 위치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되는 광축의 평면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화상 형성부를 회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는, 대향하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위치 조정 기구는, 한쪽 끝에서 상기 지지판의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고, 다른쪽 끝에서 상기 지지대의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의 어느 한쪽은 대향하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위치 조정 기구는, 한쪽 끝에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중 한쪽이 구비하는 나사 결합 구조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부재와, 상기 나사 결합 부재의 다른쪽 끝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대중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록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10.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변조하고,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상을 형성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박스 형상 측면중 어느 한쪽에 노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광학상을 투영하는 스크린과,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로중에 배치되고, 상기 광속을 반사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유도하는 반사 광학계를 구비한 리어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학계는 그 상단 및 하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단측의 파지부에는 상기 투사 광학계로부터 사출된 광속에 대하여 상기 반사 광학계의 광축 초점맞춤부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자세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의 파지부는 상기 반사 광학계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 광학계가 장착되면, 상기 반사 광학계의 단부와 상기 홈의 바닥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과는 반대측인 면에서 접합하는 상기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광학계는 그 측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더 장착되고,
    상기 반사 광학계의 반사면에서 접합하는 측단 부분의 파지부의 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터.
KR20-2003-0007390U 2002-03-13 2003-03-12 리어 프로젝터 KR20031452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9338 2002-03-13
JP2002069338 2002-03-13
JP2002379572A JP2003337379A (ja) 2002-03-13 2002-12-27 リアプロジェクタ
JPJP-P-2002-00379572 2002-1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66A Division KR100576396B1 (ko) 2002-03-13 2003-06-25 리어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521Y1 true KR200314521Y1 (ko) 2003-05-27

Family

ID=280437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90U KR200314521Y1 (ko) 2002-03-13 2003-03-12 리어 프로젝터
KR1020030041366A KR100576396B1 (ko) 2002-03-13 2003-06-25 리어 프로젝터
KR1020050115116A KR100575915B1 (ko) 2002-03-13 2005-11-29 리어 프로젝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66A KR100576396B1 (ko) 2002-03-13 2003-06-25 리어 프로젝터
KR1020050115116A KR100575915B1 (ko) 2002-03-13 2005-11-29 리어 프로젝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814449B2 (ko)
JP (1) JP2003337379A (ko)
KR (3) KR200314521Y1 (ko)
CN (2) CN1289962C (ko)
TW (1) TW595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314A (ja) * 2002-03-13 2003-09-26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572533U (en) * 2002-12-19 2004-01-11 Coretronic Corp Adjusting apparatus
US7072002B2 (en) * 2003-07-03 2006-07-04 Disk King Technology Co., Ltd. Rear-project video assembly with a foldable reflector
JP2006003446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6003445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JP4622332B2 (ja) * 2004-06-18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リアプロジェクタ
US7673995B2 (en) * 2004-07-06 2010-03-0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or alignment
KR100662112B1 (ko) * 2004-10-19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학 어셈블리 지지부
TWI266945B (en) * 2005-01-25 2006-11-2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modulating assembly
KR100699259B1 (ko) * 2005-03-08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349868A (ja) * 2005-06-14 2006-12-28 Sony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39559B1 (ko) * 2005-09-09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
US7413315B2 (en) * 2005-09-21 2008-08-19 N-Lighten Technologies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ethod for projection displays
TWI282903B (en) * 2005-09-22 2007-06-21 Coretronic Corp Position-adjusting mechanism for an optical engine
TWM285712U (en) * 2005-10-21 2006-01-11 Coretronic Corp Rear projection display
JP4667345B2 (ja) * 2006-02-09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JP2007272071A (ja) * 2006-03-31 2007-10-18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273844A1 (en) * 2006-05-25 2007-11-29 Clark Stephan R Support for a cantilevered lens assembly
JP5052042B2 (ja) * 2006-05-25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800199B1 (ko) 2006-06-26 200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US20080219756A1 (en) * 2007-02-28 2008-09-11 Selex Sensors & Airborne Systems Limited, Basildon Kinematic ball screw adjusters
JP2008216643A (ja) * 2007-03-05 2008-09-18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JP2008216867A (ja) * 2007-03-07 2008-09-18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JP5064067B2 (ja) * 2007-03-13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写表示装置
JP2009043139A (ja) * 2007-08-10 200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位置検出装置
JP4428434B2 (ja) * 2007-09-28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5556020B2 (ja) * 2008-03-19 2014-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9294639A (ja) * 2008-05-02 2009-12-17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照明方法
KR101497699B1 (ko) * 2008-05-26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JP2011007940A (ja) * 2009-06-24 2011-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表示装置
CN102193284B (zh) * 2010-03-17 2013-07-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投影仪
JP6070975B2 (ja) * 2011-11-02 2017-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学装置、光学装置の組み立て方法、及び、この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US8840254B2 (en) 2012-04-19 2014-09-23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Dual projector cross-mirror actuator mechanism
JP2013238727A (ja) * 2012-05-15 2013-11-28 Seiko Epson Corp テーブル設置装置
US9429825B2 (en) * 2013-09-23 2016-08-30 Revolution Display, Llc Modular projector cage and stacked frame using same
CN103995417B (zh) * 2014-05-27 2016-02-17 海信集团有限公司 投影系统
JP6202402B2 (ja) * 2015-02-09 2017-09-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
JP2018036411A (ja) * 2016-08-30 2018-03-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設置方法
JP6963390B2 (ja) * 2017-02-10 2021-11-10 マクセル株式会社 動体視力測定装置および動体視力測定方法
CN108020985A (zh) * 2017-03-01 2018-05-11 湖南科技大学 用于并行绘制图像显示的平面大屏幕投影仪拼接装置
US11061304B2 (en) * 2017-04-03 2021-07-13 SmartDeco LLC Rear-projected animated display device
CN107861314A (zh) * 2017-12-10 2018-03-30 罗世兰 具有角度调整功能的投影仪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784A (en) * 1977-08-10 1979-01-23 Larrick Robert B Rear screen optic projection apparatus
US4386372A (en) * 1981-08-31 1983-05-31 Zenith Radio Corporation Optical mirror adjustment means for a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JPH01128210U (ko) * 1988-02-19 1989-09-01
JP3976812B2 (ja) 1995-03-09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H09189969A (ja) * 1996-01-08 1997-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の取り付け構造
US5741057A (en) * 1996-04-22 1998-04-21 Goldberg; Gerald K. Device for displaying a projected image
US5999232A (en) * 1996-09-09 1999-12-07 Technological Systems Sales, Inc. Pivoting mount for a rear projection video display projector
US6469752B1 (en) * 1997-02-24 2002-10-22 Sony Corporation Attachable protective screen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JP2000010188A (ja) 1998-06-25 200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054039A (ja) * 1999-08-06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1159784A (ja) 1999-09-22 2001-06-12 Canon Inc プロジェクタ
US6616283B1 (en) * 1999-09-22 2003-09-09 Canon Kabushiki Kaisha Projector
JP2001094905A (ja) 1999-09-27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マルチ投射表示装置
US6604831B1 (en) * 1999-12-17 2003-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vatable display apparatus
JP2002107663A (ja) 2000-10-03 2002-04-10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KR100403080B1 (ko) 2001-03-2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JP3475940B2 (ja) * 2001-05-14 2003-12-10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TW542495U (en) * 2002-01-18 2003-07-11 Coretronic Corp Fixing device of reflective mirror
TW551768U (en) * 2002-01-18 2003-09-01 Coretronic Corp Multi-axis adjustment device
JP4100012B2 (ja) * 2002-03-13 2008-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3337377A (ja) * 2002-03-13 2003-11-28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3274314A (ja) * 2002-03-13 2003-09-26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0957A1 (en) 2005-05-26
CN1289962C (zh) 2006-12-13
US6814449B2 (en) 2004-11-09
TW595223B (en) 2004-06-21
KR20030074497A (ko) 2003-09-19
KR100575915B1 (ko) 2006-05-02
JP2003337379A (ja) 2003-11-28
US20040021835A1 (en) 2004-02-05
KR20050118145A (ko) 2005-12-15
CN2632722Y (zh) 2004-08-11
CN1444088A (zh) 2003-09-24
KR100576396B1 (ko) 2006-05-03
TW200304328A (en) 2003-09-16
US7066610B2 (en)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4521Y1 (ko) 리어 프로젝터
JP3603650B2 (ja) 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KR200333425Y1 (ko)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KR100530649B1 (ko) 프로젝터
KR100685585B1 (ko)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JP6733378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7292924A (ja) 光学装置、および当該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168899B2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210796B2 (en)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or
JP2004205716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702890B2 (ja) 光学組立体、及びプロジェクタ
US7055970B2 (en)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or
JP4622826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6135600A (en) Projector
JP6012656B2 (ja) 表示装置用ユニット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4127047B2 (ja) プロジェクタ用筐体及びこの筐体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7057598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9210855A (ja)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085726A (ja) プロジェクタ
JP3991745B2 (ja)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46059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05715A (ja) レンズ支持構造体、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8070692A (ja) 調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423998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7121554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リズ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