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585B1 -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585B1
KR100685585B1 KR1020050003287A KR20050003287A KR100685585B1 KR 100685585 B1 KR100685585 B1 KR 100685585B1 KR 1020050003287 A KR1020050003287 A KR 1020050003287A KR 20050003287 A KR20050003287 A KR 20050003287A KR 100685585 B1 KR100685585 B1 KR 10068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optical
reflection mirror
reflection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294A (ko
Inventor
기타바야시마사시
이이누마가즈유키
고바야시히로시
하시즈메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갯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의 설치 및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광학 장치는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고, 반사 미러(424)의 면외 방향으로 팽출하여 구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팽출부(404A)와,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어, 반사 미러(424)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고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반사 미러(424)의 단부 에지로부터 돌출되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구비한다. 반사 미러(424)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의 측벽(401G)을 따라 배치된다. 이 측벽(401G)은 반사 미러(424)의 설치 위치에 팽출부(404A)의 구면(404A1)에 대응하는 구형상 오목부(401M)를 갖고, 반사 미러(424)가 설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구형상 오목부(401M)로 팽출부(404A)를 지지한다.

Description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OPTICAL DEVICE AND PROJECTOR}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장치를 구비한 프로젝터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를 하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의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광학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냉각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젝터 3 : 투사 렌즈(투사 광학 장치)
4 : 광학 유닛(광학 장치) 40 : 광학 부품용 하우징
401 : 부품 수납 부재 401G : 측벽
401J : 홈부 401K : 오목부
401M : 구형상 오목부(오목한 곡면) 402 : 커버 형상 부재
402A : 개구 404A, 504A : 팽출부
404A1, 504A1 : 구면 404A2, 504A2 : 장착면
404B, 504B : 미러 자세 조정 레버 405 : 가압 부재
411 : 광원 장치 424 : 반사 미러
441R, 441G, 441B : 액정 패널(광변조 장치)
A : 조명 광축
본 발명은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로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과, 내부에 광속의 조명 광축이 설정되고, 복수의 광학 부품을 수납하여 소정 위치 에 배치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갖는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젝터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광학 부품으로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경하는 복수의 광학 소자, 및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반사 및/또는 투과하고, 상기 광속을 소정의 조명 광축상에 도광하는 복수의 미러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에서는, 보다 선명한 투영 화상을 얻기 위해서, 광학 부품으로서의 광학 소자의 상대 위치나, 미러의 반사면의 경사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것들중 미러의 자세를 조정 가능한 유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421661 호 공보).
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421661 호 공보에 기재된 미러 유지 구조에서는 미러의 하단측의 중앙부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형성된 1개의 돌기부와,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고정 나사로 장착된 대략 U자형 판스프링으로 협지한다. 또한, 미러의 상단측의 2개소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편심원판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고정 나사로 장착된 대략 U자형 판스프링으로 협지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각 편심원판을 독립해서 회동시킴으로써, 미러의 연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경사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421661 호 공보에 기재된 미러 유지 구조에서는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2개의 판스프링 및 2개의 편심원판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설치할 때에, 2개의 판스프링 및 2개의 편심원판을 각각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미러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2개의 편심원판을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러의 설치 및 자세 조정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번잡한 작업을 실시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갯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의 설치 및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로상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 부품과, 내부에 상기 광속의 조명 광축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학 부품을 상기 조명 광축에 대한 소정 위치에 수납 유지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구비한 광학 장치로서,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면외 방향으로 팽출하여 구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팽출부와,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하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반사 미러의 설치 위치에 상기 팽출부 의 구면에 대응하는 오목한 곡면을 갖고, 상기 오목한 곡면은 상기 반사 미러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팽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출부 및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별개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이면에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장착해 두고, 이 상태의 반사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있어서의 측벽의 소정 설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팽출부가 광학 부품용 하우징의 오목한 곡면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적어도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면 무방하고, 종래의 미러 유지 구조와 비교하여,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이면에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장착해 두면, 반사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팽출부가 구면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오목한 곡면이 팽출부의 구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며, 미러 자세 조정 레버가 반사 미러의 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의 소정의 설치 위치에 설치한 후,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예컨대 손으로 쥐고,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팽출부가 구면의 가상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오목한 곡면상을 회전 슬라이딩하고,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갯수를 삭감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의 설치 및 자세 조정을 작업자에게 번잡한 작업을 강제로 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팽출부 및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성형품이므로, 부품 갯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로의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즉 반사 미러의 설치 작업을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상기 팽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미러의 이면으로의 장착면에 대하여 단락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가 팽출부의 장착면에 대하여 단락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한 경우에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와 이면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이 간극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함으로써, 반사 미러에 대하여 팽출부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리워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팽출부는 그 구면 중심이 상기 조명 광축과 상기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교점과 대략 일치하도록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출부는, 팽출부의 구면 중심이 조명 광축과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교점과 대략 일치하도록 반사 미러에 장착되기 때문에,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작동하여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실시했을 때에, 반사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광속의 광축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고,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측벽에는 상기 반사 미러의 평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가 삽발 가능하게 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벽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를 따라 반사 미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반사 미러를 소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반사 미러의 설치 작업을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상기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측벽을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압 부재로는, 예컨대 판스프링 혹은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부의 내측면과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가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를 측벽을 향해서 가압하고, 반사 미러에 장착된 팽출부와 측벽의 오목한 곡면을 적절한 가압력에 의해 접촉할 수 있기 때문 에, 오목한 곡면상에서의 팽출부의 회전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측벽에는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벽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목부를, 예컨대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작동할 때, 미러 자세 조정 레버와 측벽이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즉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실시한 후, 이 오목부에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 레버 및/또는 팽출부와 측벽이 접착 고정되고, 반사 미러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광학 부품을 수납하는 용기 형상의 부품 수납 부재와, 상기 부품 수납 부재의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커버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형상 부재에는, 상기 반사 미러의 상기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상기 반사 미러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그 선단이 상기 커버 형상 부재의 개구를 거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 자세 조정 레버의 선단은, 부품 수납 부재와 커버 형상 부재를 접속했을 때, 커버 형상 부재의 개구를 거쳐서 돌출하기 때문에, 부품 수납 부재내에 모든 광학 부품을 설치하고, 부품 수납 부재의 개구 부분을 커버 형상 부재로 폐쇄한 후에도, 커버 형상 부재의 개구를 거쳐서 돌출된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고, 즉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을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미러의 자세 조정 후에 광학 장치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고, 광학 장치의 제조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와, 상기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젝터로서, 상술한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터는 상술한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광학 장치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프로젝터(1)의 외관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젝터(1)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은 상방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방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프로젝터(1)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고, 스크린 등의 투사면상에 확대 투사하는 광학 기기이며, 후술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 하는 장치 본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2) 및 외장 케이스(2)로부터 노출하는 투사 렌즈(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로젝터(1)는 대형 점포내나 공공 장소 등에 배치되어, 투사 화상을 대화면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관찰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투사 렌즈(3)는 후술하는 광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 형성된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며, 통형상의 경통내에 복수의 렌즈가 수납된 세트 렌즈로서 구성된다.
외장 케이스(2)는 투사 방향에 따른 깊이 치수가 이것에 직교하는 축방향 치수보다도 큰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장치 본체를 피복하는 면형상체(10)와, 케이스 강도를 부담하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면형상체(10)는 장치 본체의 상부를 피복하는 상측 케이스(11)와, 장치 본체의 하부를 피복하는 하측 케이스(12)와, 장치 본체의 전면 부분을 피복하는 프론트 케이스(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 케이스(11 내지 13)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다.
상측 케이스(11)는 장치 본체의 상부를 피복하는 하우징 상면부(11A)와, 이 하우징 상면부(11A)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대략 늘어트린 하우징 측면부(11B, 11C)와, 하우징 상면부(11A)의 후단부로부터 대략 늘어트린 하우징 배면부(11D)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상면부(11A)와, 하우징 측면부(11B, 11C)가 교 차하는 능선 부분에는 프로젝터(1)의 투사 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모떼기 가공이 실시되고, 능선을 따라 오목형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1)는 프로젝터(1)를 2대 적층했을 경우, 2대의 프로젝터(1)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측면부(11B)에는 냉각 공기 도입용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상면부(11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프로젝터(1)의 기동·조정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4)은 기동 스위치, 화상·음성 등의 조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프로젝터(1)에 의한 투사시에는 조작 패널(14) 중의 조정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화질·음량 등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상면부(11A)의 투사 방향 전방에는 복수의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에는 음성 출력용의 스피커가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패널(14) 및 스피커는 후술하는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조작 패널(14)에 의한 조작 신호는 이 제어 기판으로 처리된다.
하우징 배면부(11D)는 거의 전면이 개구된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개구 부분에는 화상 신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커넥터 그룹(15)이 노출되는 동시에, 그 부근은 광원 장치를 수납하는 개구부로 되고, 통상은 광원 장치 수납용의 커버 부재(1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그룹(15)은 후술하는 제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커넥터 그룹(15)을 통해 입력한 화상 신호는 제어 기판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하우징 상면부(11A)의 후단부 및 하우징 배면부(11D)의 상단 부분은 상측 케이스(11)로부터 탈착 가능한 커버 부재(113)가 장착되어 있고, 이 커버 부재(113) 내부에는 LAN 보드 등의 확장 기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측 케이스(12)는 상측 케이스(11)와의 결합면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케이스(11)와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고, 하우징 저면부(12A), 하우징 측면부(12B, 12C) 및 하우징 배면부(12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측면부(12B, 12C) 및 하우징 배면부(12D)는 그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측면부(11B, 11C) 및 하우징 배면부(11D)의 하단 부분과 결합한다. 또한, 하우징 배면부(12D)는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배면부(11D)와 마찬가지로, 거의 전면이 개구되고, 결합후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전술한 커넥터 그룹(15)이 노출되는 동시에, 양쪽 개구 부분에 걸쳐서 커버 부재(16)가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 배면부(12D)의 각 코너부에는 또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인렛 커넥터(17)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측면부(12B)에는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측면부(11B)에 형성된 개구부(112)에 따른 위치에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저면부(12A)에는 프로젝터(1)의 후단측 대략 중앙에 고정 다리부(18)가 설치되는 동시에, 선단측 폭방향 양단에 조정 다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다리부(19)는 하우징 저면부(12A)로부터 면외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는 축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축형상 부재 자체는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조정 다리부(19)는 프로젝터(1)의 측면 부분에 설치되는 조정 버튼(191)을 조작함으로써, 하우징 저면부(12A)로부터의 진퇴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1)로부터 사출된 투사 화상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고, 적절한 위치에 투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저면부(12A)에는 하우징 저면부(12A)의 대략 중앙에 투사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볼록한 리브 형상부(20)와, 이 리브 형상부(20)와 직교하도록 프로젝터(1)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형상부(21, 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부분의 2개의 리브 형상부(21)의 사이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흡기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2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 필터(23)로 폐쇄된 흡기용 개구부의 후단측에는 역시 냉각 공기 취입용의 흡기용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지만, 필터로 덮이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프로젝터(1)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 형상부(21, 22)의 단부에는 나사 구멍(21A)이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21A)에는 프로젝터(1)를 천정에 현수시킨 경우의 천정 현수용의 지그가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 저면부(12A)의 장치 후단측 단부 에지에는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26)에는 전술한 커넥터 그룹(15)을 덮어 티끌 및 먼지 등이 이것들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3)는 전면부(13A) 및 상면부(13B)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전면부(13A)의 외주 부분에는 면외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케이스(11), 하측 케이스(12)의 투사 방향 선단측과, 이 리브(13C)가 결합된다.
전면부(13A)는 하측 케이스(12)의 하우징 저면부(12A)로부터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상면부(11A)를 향해서 장치 후단측으로 경사져 있고, 그 방향은 투사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한 것은, 프로젝터(1)를 천정에 현수시켰을 때에, 프론트 케이스(13)의 전면부(13A)가 하면을 향하므로, 프론트 케이스(13)에 티끌 및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며, 통상의 설치 상태보다도 유지 보수하기 어려운 천정 현수의 경우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전면부(13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7)로부터는 투사 렌즈(3)가 노출된다.
이 개구부(27)에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28)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프로젝터(1)의 장치 본체 내부를 냉각한 공기는 이 개구부(28)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전면부(13A)의 각 코너부 근방에는 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9)으로부터는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30)가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프로젝터(1)의 배면측에도 수광부(30)가 설치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배면부(11D)의 각 코 너부에 수광부(30)가 있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 전면측, 장치 배면측중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면부(13B)는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상면부(11A)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고, 구체적으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투사 렌즈(3)의 기단부 근방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것은, 투사 렌즈(3)를 변경할 때에, 프론트 케이스(13)를 분리하기만 함으로써, 투사 렌즈(3)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상측 케이스(11) 및 하측 케이스(12)로부터 프론트 케이스(13)를 분리하면, 상면부(13B)가 분리되어 개구되고, 투사 렌즈(3)의 기단부 장착 부분이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2) 프로젝터(1)의 내부 구성
이러한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의 장치 본체가 수납되어 있고, 이 장치 본체는 광학 장치로서의 광학 유닛(4), 제어 기판(5) 및 전원 블록(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2-1) 광학 유닛(4)의 구조
광학 유닛(4)은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투사 렌즈(3)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 화상을 형성한다. 이 광학 유닛(4)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와, 색분리 광학계(42)와, 릴레이 광학계(43)와, 광변조 광학계 및 색합성 광학계를 일체화한 전기 광학 장치(44)와, 이러한 광학 부품(41 내지 44)을 수납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서의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으로 기능적으로 크게 나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4)은 3판식의 프로젝터에 채용되는 것이고, 광학 부품용 하우징(40)내에서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백색광을 삼색의 색광으로 분리하는 공간 색분리형의 광학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조명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조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광학계이고, 광원 장치(411), 평행화 오목 렌즈(412), 제 1 렌즈 어레이(413), 제 2 렌즈 어레이(414), 편광 변환 소자(415) 및 중첩 렌즈(4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광원 장치(411)는 방사 광원으로서의 광원 램프(417), 리플렉터(418) 및 리플렉터(418)의 광속 사출면을 피복하는 프론트 유리(419)를 구비하고, 광원 램프(417)로부터 사출된 방사상의 광선을 평행화 오목 렌즈(412) 및 리플렉터(418)로 반사하여 대략 평행 광선으로 하고, 외부로 사출한다. 본 예에서는, 광원 램프(417)로서 고압 수은 램프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 이외에 메탈 할라이드 램프나 할로겐 램프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타원면 미러로 이루어지는 리플렉터(418)의 사출면에 평행화 오목 렌즈(412)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리플렉터(418)로서 포물면 미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413)는 조명광 축방향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갖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소형 렌즈는 광원 램프(417)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고, 조명광 축방향으로 사출한다.
제 2 렌즈 어레이(414)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구 비한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14)는 중첩 렌즈(416)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13)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441R, 441G, 441B)상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415)는 제 2 렌즈 어레이(414)로부터의 광을 일정 방향의 편광광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44)로의 광의 이용율이 높여져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415)에 의해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된 각 부분 광속은 중첩 렌즈(416)에 의해 최종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광을 변조하는 타입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채용한 프로젝터에서는 1종류의 편광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덤한 편광광을 발하는 광원 램프(417)로부터의 광속의 절반이 이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편광 변환 소자(415)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램프(417)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모두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고, 전기 광학 장치(44)에 있어서의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편광 변환 소자(415)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304739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색분리 광학계(42)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휘게 하는 반사 미러(421)와, 2개의 다이크로익 미러(422, 423)와, 반사 미러(424)를 구비하고, 다이크로익 미러(422, 423)에 의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속을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반사 미러(424)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부품 수납 부재 (401)에 대하여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릴레이 광학계(43)는 입사측 렌즈(431)와, 릴레이 렌즈(433)와, 반사 미러(432, 434)를 구비하고, 색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색광인 적색광을 액정 패널(441R)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색분리 광학계(42)의 다이크로익 미러(422)에서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광속중, 적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은 반사하고 청색광 성분은 투과한다. 다이크로익 미러(422)에 의해 투과한 청색광은 반사 미러(424)로 반사하고, 필드 렌즈(425)를 통과하여, 청색용의 액정 패널(441B)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25)는 제 2 렌즈 어레이(414)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 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액정 패널(441G, 441R)의 광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25)도 동일하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422)를 반사한 적색광과 녹색광중에,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3)에 의해 반사하고, 필드 렌즈(425)를 통과하여, 녹색용의 액정 패널(441G)에 도달한다. 한편, 적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3)를 투과하여 릴레이 광학계(43)를 통과하고, 또한 필드 렌즈(425)를 통과하여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441R)에 도달한다.
또한, 적색광에 릴레이 광학계(43)가 채용되어 있는 것은, 적색광의 광로의 길이가 다른 색광의 광로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광의 발산 등에 의한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입사측 렌즈(431)에 입사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25)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릴레이 광학계(43)에는, 3 개의 색광중 적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청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전기 광학 장치(44)는 입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고, 색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각 색광이 입사되는 3개의 입사측 편광판(442)과, 각 입사측 편광판(442)의 후단에 배치되는 광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후단에 배치되는 시야각 보정판(443) 및 사출측 편광판(444)과, 색합성 광학계로서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예컨대 폴리 실리콘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것이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441G)을 예컨대 패널 본체(4411)와, 이 패널 본체(4411)를 수납하는 유지 프레임(44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정 패널(441R, 441B)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액정 패널(441G)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패널 본체(4411)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투명 기판내에 액정이 밀봉 봉입된 것이고, 한쌍의 투명 기판의 입사측 및 사출측에는 방진 유리가 장착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4412)은 패널 본체(4411)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갖는 부재이고, 그 4개 코너 부분에는 구멍(44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전단에 배치되는 입사측 편광판(442)(도 7 참조)은 색분리 광학계(42)로 분리된 각 색광중, 일정 방향의 편광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며, 사파이어 유리 등의 기판에 편광막이 부착된 것이다. 또한,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편광막을 필드 렌즈(425)에 장착할 수도 있다.
시야각 보정판(443)은 기판상에 액정 패널(441G)로 형성된 광학상의 시야각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광학 변환막이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시야각 보정판(443)을 배치함으로써, 흑화면시의 광누출을 저감하여 투사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대폭 향상된다.
사출측 편광판(444)은 액정 패널(441G)로 광변조된 광속중 소정 방향의 편광광만 투과시키고, 그 밖의 광속을 흡수하는 것이며, 본 예에서는 2개의 제 1 편광판(프리 폴라라이저(free polarizer))(444P) 및 제 2 편광판(애널라이저(analyzer))(44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출측 편광판(444)을 2개 구성으로 한 것은, 입사하는 편광광을 제 1 편광판(444P), 제 2 편광판(444A)의 각각으로 고르게 분산시켜서 흡수함으로써, 편광광에서 발생하는 열을 양쪽 편광판(444P, 444A)으로 고르게 분산시켜서, 각각의 과열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은 사출측 편광판(444)으로부터 사출되고, 각 색광마다 변조된 광학상을 합성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에는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4개의 직각 프리즘의 계면을 따라 대략 X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개의 색광이 합성된다.
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하면에는 프리즘 고정판(4451)이 자외 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프리즘 고정판(4451)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대각선을 따라 신장되는 다리부(4452)를 구비하고, 각 다리부(4452)의 선단 부분에는 구멍(44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광학 장치(44)는 이 구멍(4453) 부분에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전술한 헤드체(403)의 L자 수평분에 접합 고정된다.
전술한 액정 패널(441G), 시야각 보정판(443), 제 1 편광판(444P) 및 제 2 편광판(444A)은 패널 고정판(446)을 통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광속 입사 단면에 고정된다.
패널 고정판(446)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형 형상의 고정부 본체(4461)와, 이 고정부 본체(4461)의 선단측에 아암부(4462)를 거쳐 돌출설치되는 핀(4463)을 구비한다. 이중, 고정부 본체(4461)의 C자 선단에는 시야각 보정판(443)이 고정되는 스탠드(4464)와, C자 선단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시야각 보정판(443)의 외형 위치 기준이 되는 위치 결정부(446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441G), 시야각 보정판(443), 제 1 편광판(444P) 및 제 2 편광판(444A)을 패널 고정판(446)에 의해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광속 입사 단면에 고정하는 경우, 우선 고정부 본체(4461)의 C자 내측 공간에 제 1 편광판(444P), 제 2 편광판(444A)을 삽입하고, 스프링 부재(4465)에 의해 상기 공간내에 이러한 편광판(444P, 444A)이 일정 거리 이격 배치하도록 가압하면서 고정한다.
다음에, 시야각 보정판(443)의 외형 위치를 위치 결정부(4464A)로 맞추면서, 시야각 보정판(443)의 단면을 스탠드(4464)에 열전도성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으로 부착한 후,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광속 입사 단면에 패널 고정판(446)을 고정한다.
그리고, 패널 고정판(446)의 핀(4463)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미경화 상태에서 액정 패널(441G)의 구멍(4413)을 삽입 통과시킨다.
동일한 순서로 액정 패널(441R, 441B)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미경화 상태에서 패널 고정판(446)에 임시 고정해 두고,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광을 도입하고,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445)의 광속 사출 단면으로부터 사출된 각 색광을 관찰하면서, 액정 패널(441R, 441G, 441B) 상호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고, 위치 조정이 종료하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며,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위치 결정 고정을 실행한다.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로서의 부품 수납 부재(401)와, 이 부품 수납 부재(401)의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커버 형상 부재(40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품 수납 부재(401) 및 커버 형상 부재(402)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한 합성 수지 제품이다.
부품 수납 부재(401)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광원 장치가 수납되는 광원 수납부(401A) 및 광학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부(401B)를 구비하고, 이 부품 수납부(401B)는 저면부(401C) 및 측벽부(401D)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401D)에는 복수의 홈부(401E)와, 반사 미러(424)를 설치하는 반사 미러 설치부(401F)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401E)에는 반사 미러(424)를 제외한 각종 광학 부품이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다. 또한, 반사 미러 설치부(401F)는 반사 미러(424)가 설치되는 부분이고,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를 설명할 때에, 동시에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홈부(401E) 및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의해 각 광학 부품은 광학 부품용 하우징(40)내에 규정된 조명 광축(A)(도 7)상에 정밀도 양호하게 배치된다.
커버 형상 부재(402)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품 수납 부재(401)에 따른 평면 형상을 갖고, 부품 수납 부재(401)의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 형상 부재로서 구성된다. 또한, 커버 형상 부재(402)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예컨대 반사 미러(424)의 자세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후술하는 미러 조정 부재의 일부를 광학 유닛(4)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부(40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품 수납 부재(401)의 광속 사출측 단부에는 금속제의 측면 대략 L자 형상의 헤드체(403)가 배치되고, 이 헤드체(403)의 L자 수평 부분에는 전기 광학 장치(44)가 장착되는 동시에, L자 수직 부분에는 투사 렌즈(3)의 기단 부분이 접합 고정된다.
(2-2) 제어 기판(5)의 구조
제어 기판(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학 유닛(4)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고, 2단으로 적층 배치되는 메인 기판(51)을 구비하며, 상단측 기판(51A)에는 연산 처리 장치 등의 제어부 본체가 실장되고, 하측 기판(51B)에는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구동용 IC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기판 (5)은 도시를 생략했지만, 이 메인 기판(51)의 후단측에서 접속되고, 외장 케이스(2)의 하우징 배면부(11D, 12D)에 기립하는 인터페이스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의 배면측에는 전술한 커넥터 그룹(15)이 실장되어 있어, 커넥터 그룹(15)으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정보는 이 인터페이스 기판을 거쳐서 메인 기판(51)에 출력할 수 있다.
메인 기판(51)상의 연산 처리 장치는 입력한 화상 정보를 연산 처리한 후, 액정 패널 구동용 IC에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구동용 IC는 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 출력하여 액정 패널(441)을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광변조를 실행하여 광학상이 형성된다.
(2-3) 전원 블록(6)의 구조
전원 블록(6)은 광학 유닛(4)에 인접하여 프로젝터(1)의 외장 케이스(2)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설치되고, 도시를 생략했지만 전원 유닛 및 램프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전원 유닛은 전술한 인렛 커넥터(17)에 접속된 전원 케이블을 통과시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램프 구동 유닛이나 제어 기판(5) 등에 공급하는 것이다.
램프 구동 유닛은 전술한 광원 장치(411)에 안정된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환 회로이고, 전원 유닛으로부터 입력한 상용 교류 전류는 이 램프 구동 유닛에 의해 정류, 변환되어서, 직류 전류나 교류 직사각형파 전류로 되어 광원 장치(411)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전원 블록(6)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기 팬(61)이 설치되어 있고, 프로젝터(1) 내부의 각 구성 부재를 냉각한 공기는 이 배기 팬(61)에 의해 집적되고, 외장 케이스(2)의 개구부(28)로부터 장치 외부에 배출된다.
(2-4) 냉각 구조
이러한 프로젝터(1) 내부는 광원 장치(411)나 전원 블록(6)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내부에 냉각 공기를 순환시켜서, 광원 장치(411), 전기 광학 장치(44), 전원 블록(6)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냉각 유로(C1, C2, C3)가 설정되어 있다.
냉각 유로(C1)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를 구성하는 광원 장치(411) 및 편광 변환 소자(415)를 냉각하는 유로이고, 도 2에 있어서의 흡기용 개구부(24)의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시로코 팬(71)으로 흡인한 냉각 공기를, 덕트(72)에 의해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의 광원 수납부(401A)의 측방으로부터 광원 장치(411), 편광 변환 소자(415)에 공급하고, 이것들을 냉각한다. 냉각후의 공기는 배기 팬(61)에 의해 흡인되고, 프로젝터(1)의 외부에 배출된다.
냉각 유로(C2)는 광변조 및 색합성을 실행하는 전기 광학 장치(44)를 냉각하는 유로이고, 도 2에 있어서의 필터(23)가 설치된 위치에 형성되는 흡기용 개구부의 장치 내측에 설치되는 시로코 팬(후술함)으로 흡인한 냉각 공기를, 전기 광학 장치(44)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공급하여, 상기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이나, 입사측 편광판(442), 시야각 보정판(443), 사출측 편광판(444)을 냉각한다. 냉각후의 공기는 메인 기판(51)의 하면 및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상면부(11A)를 따라 흘러, 메인 기판(51)에 설치된 회로 소자를 냉각하면서, 배기 팬(61)에 의해 외부에 배출된다.
냉각 유로(C3)는 전원 블록(6)을 냉각하는 유로이고, 전원 블록(6)의 후단측 에 설치되는 흡기 팬(62)에 의해, 상측 케이스(11)의 하우징 측면부(11B)에 형성된 개구부(112)와, 하측 케이스(12)의 하우징 측면부(12B)에 형성된 개구부(122)로부터 냉각 공기를 취입하고, 취입된 냉각 공기의 일부는 전원 유닛 및 램프 구동 유닛에 공급되고, 이것들을 냉각한 후, 배기 팬(61)에 의해 외부에 배출된다.
(3)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
다음에, 상술한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를 상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반사 미러(424)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 및 가압 부재(405)를 거쳐 부품 수납 부재(401)에 있어서의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자세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는 부품 수납 부재(401)내의 조명 광축(A)(도 7)에 대한 반사 미러(424)의 자세를 조정하는 것이고,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출부(404A)와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구비한다.
팽출부(404A)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면(404A1)과 반대측의 평면이 장착면(404A2)으로 되며, 상기 장착면(404A2)이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가 반사 미러(424)에 고정된다.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팽출부(404A)의 장착면(404A2)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또한 장착면(404A2)으로부터 단락하도록 팽출부(404A)와 일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가 반사 미러(424)에 고정된 때에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 미러(424)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팽출부(404A)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그 선단이 반사 미러(424)의 상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합성 수지 등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성형품이다.
가압 부재(405)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고,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후술하는 홈부와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좌우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개장되고,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후술하는 측벽을 향해서 가압하는 것이다.
반사 미러 설치부(401F)는 반사 미러(424)를 내부의 조명 광축(A)(도 7)에 대한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 반사 미러 설치부(401F)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수납 부재(401)의 측면이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측벽(401G)과, 측벽(401G)의 좌우 양 단부 에지에 위치하는 한쌍의 기립 리브(401H)와, 측벽(401G)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미러 수용부(401I)로 구성된다.
이중, 한쌍의 기립 리브(401H)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L자 형상 개구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기립 리브(401H)와 측벽(401G)에 홈부(401J)가 형성되고, 이 홈부 (401J)에 반사 미러(424) 및 가압 부재(405)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반사 미러(424) 및 가압 부재(405)가 설치된다.
미러 수용부(401I)는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이 미러 수용부(401I)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401K)와, 한쌍의 돌출부(401L)와, 오목한 곡면으로서의 구형상 오목부(401M)로 구성된다.
오목부(401K)는 측벽(401G)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방측 단부 에지에 걸쳐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고, 내부가 외측을 향해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01K)에 의해,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할 때, 측벽(401G)과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쌍의 돌출부(401L)는 오목부(401K)의 개구 단부 에지를 따라, 측벽(401G)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에 걸쳐서 형성되고, 측벽(401G)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돌출부(401L)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은 모떼기 되어서 사면(401L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사면(401L1)에 의해, 반사 미러(424) 및 가압 부재(405)를 홈부(401J)에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킬 때에,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가 측벽(401G)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구형상 오목부(401M)는 오목부(401K)의 하방측 단면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에 있어서의 팽출부(404A)의 구면(404A1)에 대응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설치했을 때에,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된 팽출부(404A)의 일부와 접촉하고, 반사 미러(424)를 지지한다.
다음에, 반사 미러 설치부(401F)로의 반사 미러(424)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이면에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접착 고정한다. 이때, 반사 미러(424)에 광속이 조사되는 대략 중심 위치[조명 광축(A)(도 7)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의 구면 중심이 위치하도록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접착 고정한다.
그 후에, 가압 부재(405)를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좌우측 단부에 접촉시키면서, 가압 부재(405) 및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가 장착된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상방으로부터 홈부(401J)에 슬라이딩시켜서 설치한다. 이때, 반사 미러(424)에 장착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는 미러 수용부(401I)에 있어서의 한쌍의 돌출부(401L)의 사면(401L1)으로 안내되고, 팽출부(404A)가 구형상 오목부(401M)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405)가 홈부(401J)와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가압 부재(405)에 의해 반사 미러(424)가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측벽(401G)을 향해서 가압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424)에 장착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에 있어서의 팽출부(404A)의 구면(404A1)이 미러 수용부(401I)의 구형상 오목부(401M)의 오목한 곡면 을 따라, 반사 미러(424)가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임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부품 수납 부재(401)의 개구 부분에 커버 형상 부재(402)를 설치하고, 부품 수납 부재(401)의 개구 부분을 폐쇄한다. 또한, 이때, 부품 수납 부재(401)에는 다른 광학 부품(41, 421 내지 423, 425, 43, 44)[헤드체(403) 및 헤드체(403)에 고정된 투사 렌즈(3)도 포함함]도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 형상 부재(402)의 개구부(402A)(도 5)를 거쳐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다.
그 후에, 광원 장치(411)를 점등시켜서, 광학 부품용 하우징(40)내에 광속을 도입시킨다. 그리고, 광학 부품(41 내지 44)을 거쳐 투사 렌즈(3)로 확대 투사되고, 예컨대 스크린상에 투영된 투영 화면을 확인하면서,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형상 부재(402)의 개구부(402A)로부터 돌출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의 선단을 손으로 쥐고, 커버 형상 부재(402)의 평면 방향으로, 예컨대 전후 좌우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이동시킴으로써,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가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구형상 오목부(401M)상을 회전 슬라이딩하고,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자세 조정이 실시된다. 이때, 팽출부(404A)의 구면 중심이 반사 미러(424)의 조명 광축(A)(도 7)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도록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반사 미러(424)에 접착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방법으로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하면,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은 조명 광축(A)(도 7)을 중심으로 회전 조정되게 된다.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한 후, 커버 형상 부재(402)의 개구부(402A)를 거쳐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와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오목부(401K)의 사이에 순간 접착제를 주입하고,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와 구형상 오목부(401M)를 접착 고정함으로써,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대하여 위치 결정 고정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갖는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해 두면, 팽출부(404A)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구형상 오목부(401M)에 지지시킴으로써,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설치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2개의 판스프링 및 2개의 편심원판 등의 부품 갯수가 많은 미러 유지 구조와 비교하여, 부품 갯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사전에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이면에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접착 고정해 둠으로써,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구성하는 팽출부(404A)가 구면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구형상 오목부(401M)가 팽출부(404A)의 구면(404A1)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가 반사 미러(424)의 상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설치한 후,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손으로 쥐고,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작 동시킴으로써, 팽출부(404A)가 구면(404A1)의 가상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구형상 오목부(401M)상을 회전 슬라이딩하며,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의 선단은, 부품 수납 부재(401)에 대하여 커버 형상 부재(402)를 접속했을 때, 커버 형상 부재(402)의 개구부(402A)를 거쳐서 돌출하기 때문에, 부품 수납 부재(401)내에 모든 광학 부품(41 내지 44)을 설치하고, 부품 수납 부재(401)에 대하여 커버 형상 부재(402)를 접속한 후에라도, 커버 형상 부재(402)의 개구부(402A)를 거쳐서 돌출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작동시킬 수 있고, 즉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 후에 광학 유닛(4)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고, 광학 유닛(4)의 제조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는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성형품이기 때문에, 부품 갯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424)에의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즉 반사 미러(424)의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의 설치 작업을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가 팽출부(404A)의 장착면(404A2)에 대하여 단락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반사 미러(424)에 접착 고정할 때에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와 반사 미러(424)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이 간극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함으로 써, 반사 미러(424)에 대하여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리워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는 팽출부(404A)의 구면 중심이 조명 광축(A)과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교점과 대략 일치하도록, 반사 미러(424)에 장착되기 때문에,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작동시켜서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했을 때에, 반사 미러(424)로부터 반사되는 광속의 광축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고,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측벽(401G)의 좌우 양 단부에는 홈부(401J)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401J)를 따라 반사 미러(424)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반사 미러(424)의 설치 작업을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홈부(401J)의 내측면과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의 좌우 양 단부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405)가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424)를 측벽(401G)을 향해서 가압하고, 반사 미러(424)에 접착 고정된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의 팽출부(404A)와 측벽(401G)의 구형상 오목부(401M)를 적절한 가압력에 의해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구형상 오목부(401M)상에서의 팽출부(404A)의 회전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고, 즉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측벽(401G)에는 오목부(401K)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작동시킬 때,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와 측벽(401G)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데, 즉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한 후, 오목부(401K)에 순간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팽출부(404A)와 구형상 오목부(401M)를 접착 고정할 수 있고,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401F)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절한 실시 형태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러 자세 조정 부재(404)는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팽출부(4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를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그 선단이 반사 미러(424)의 상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하면, 어느 위치에 고정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 및 팽출부를 별개로 구성하고, 또한 반사 미러 설치부(401F)의 기립 리브(401H) 및 가압 부재(405)를 생략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팽출부(404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인 팽출부(504A)와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가 접착 고정된다. 이러한 팽출부(5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별개로 구성된다.
팽출부(504A)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팽출부(404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구면(504A1)을 갖고, 상기 구면(504A1)의 구면 중심이 반사 미러(424)의 반사면과 조명 광축(A)의 교점과 대략 일치하도록, 장착면(504A2)이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접착 고정된다.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스프링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고, 기단 부분이 반사 미러(424)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의 상단부에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501F)에 설치할 때에는, 사전에 반사 미러(424)에 상술한 팽출부(504A) 및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를 접착 고정해 두고, 이 상태의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501F)의 상방으로부터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의 선단 부분이 부품 수납 부재(40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부품 수납 부재(401)내에 수납하고, 팽출부(504A)의 구면(504A1)을 반사 미러 설치부(501F)의 구형상 오목부(401M)에 접촉시킨다. 이때,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접촉부(504B1)는 팽출부(504A)의 구면 중심과 평면적으로 대략 일치하고,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에 의해 반사 미러(424)가 반사 미러 설치부(501F)에 대하여 가압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미러 자세 조정 레버(504B)의 상방으로 돌출한 부위를 손으로 쥐고,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반사 미러(424)의 자세 조정후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401K)에 순간 접착제를 주입하여 반사 미러(424)를 반사 미러 설치부(501F)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기립 리브(401H) 및 가압 부재(405)를 생략할 수 있고, 광학 유닛(4)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424)의 반사 미러 설치부(501F)로의 설치를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404B)는 팽출부(404A)에 있어서의 장착면(404A2)에 대하여 단락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팽출부(404A)에 있어서의 장착면(404A2)과 대략 한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부(401J)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미러(424)를 슬라이딩시켜서 삽발 가능하게 하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부재(405)로서 실리콘 고무를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탄성을 갖는 부재라도 무방하고, 혹은 판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사 미러(424) 이외의 반사 미러(421, 432, 434)도 반사 미러(424)와 동일하게, 자세 조정 가능하게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에 유지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이용한 프로젝터(1)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1개의 액정 패널만을 사용한 프로젝터, 2개의 액정 패널을 사용한 프로젝터, 혹은 4개 이상의 액정 패널을 사용한 프로젝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40)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었지만, 그 밖의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입사면과 광사출면이 다른 투과형의 광변조 장치를 사용했지만, 광입사면과 광사출면이 동일하게 되는 반사형의 광변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린을 관찰하는 방향으로부터 투사를 실행하는 프론트 타입의 프로젝터의 예만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을 관찰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투사를 실행하는 리어 타입의 프로젝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424)의 유지 구조를 프로젝터(1)에 채용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광학 기기에 상기 반사 미러의 유지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등은 이상의 기재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특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각종 변형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형상, 재질 등이 한정된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거한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장치는 부품 갯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반사 미러의 설치 및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홈시어터나 프레젠테이션에서 이용되는 프로젝터의 광학 장치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장치를 제조할 때, 광축 조정을 실행하는 특별한 장치,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비용 저감에 효과적이다.

Claims (9)

  1.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로상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 부품과, 내부에 상기 광속의 조명 광축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학 부품을 상기 조명 광축에 대한 소정 위치에 수납 유지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구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면외 방향으로 팽출하여 구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팽출부와,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의 단부 에지로부터 평면적으로 돌출하는 미러 자세 조정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반사 미러의 설치 위치에 상기 팽출부의 구면에 대응하는 오목한 곡면을 갖고, 상기 오목한 곡면은 상기 반사 미러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팽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팽출부는 그 구면 중심이 상기 조명 광축과 상기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교점과 대략 일치하도록 상기 반사 미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 및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상기 팽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미러의 이면으로의 장착면에 대하여 단락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반사 미러의 평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가 삽발 가능하게 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상기 반사 미러의 반사면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측벽을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광학 부품을 수납하는 용기 형상의 부품 수납 부재와, 상기 부품 수납 부재의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커버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형상 부재에는, 상기 반사 미러의 상기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자세 조정 레버는, 상기 반사 미러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그 선단이 상기 커버 형상 부재의 개구를 거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9.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광변조 장치와, 상기 광변조 장치로 형성된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50003287A 2004-01-15 2005-01-13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100685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8342 2004-01-15
JP2004008342A JP4103803B2 (ja) 2004-01-15 2004-01-15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294A KR20050075294A (ko) 2005-07-20
KR100685585B1 true KR100685585B1 (ko) 2007-02-22

Family

ID=3474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87A KR100685585B1 (ko) 2004-01-15 2005-01-13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2976B2 (ko)
JP (1) JP4103803B2 (ko)
KR (1) KR100685585B1 (ko)
CN (1) CN100478776C (ko)
TW (1) TWI276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081B2 (ja) * 2004-09-07 2009-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0766075B1 (ko) * 2005-12-05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Dmd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프로젝션 시스템.
JP5134924B2 (ja) * 2007-11-29 2013-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20100013362A1 (en) * 2008-07-18 2010-01-21 Infocus Corporation Cord organizing apparatu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JP5347550B2 (ja) * 2009-02-16 2013-1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2010251036A (ja) * 2009-04-14 2010-11-04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CN101633109B (zh) * 2009-08-12 2012-04-04 江苏大学 一种高温疲劳损伤件的再制造方法
EP2424249A3 (en) * 2010-08-31 2013-01-23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172893B2 (ja) * 2012-04-05 2017-08-02 株式会社nittoh 反射面を支持する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TWI479409B (zh) * 2013-04-29 2015-04-01 Wistron Corp 具有可多方向調整之揚聲器的電子裝置
JP6668635B2 (ja) * 2014-10-27 2020-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
CN108318989B (zh) * 2018-04-08 2024-04-09 浙江水晶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机壳体及光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70A (ja) * 1992-07-03 1994-01-28 Casio Comput Co Ltd ミラー取付方法とその取付用治具
JPH11281876A (ja) 1998-03-27 1999-10-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ミラー調整機構
JP2001033873A (ja) * 1999-07-16 2001-02-09 Chinontec Kk 鏡体の位置調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2090876A (ja) * 2000-09-19 2002-03-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3035931A (ja) * 2001-07-24 2003-02-07 Hitachi Ltd 光学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128U (ko) * 1977-12-28 1979-07-18
DE3342741C2 (de) * 1983-11-25 1986-01-16 Nixdorf Computer Ag, 4790 Paderborn Bildschirmgerät mit einem schwenkbaren Bildschirmgehäuse
JPH0247609U (ko) * 1988-09-29 1990-03-30
US5520361A (en) * 1993-04-20 1996-05-28 Inkel Corporation Monitor tilting device
AU5960296A (en) * 1995-06-01 1996-12-18 Apple Computer, Inc. Monitor housing having replaceable lid with thermal vent
JP3405171B2 (ja) * 1998-01-14 2003-05-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JPH11223785A (ja) * 1998-02-06 1999-08-17 Fuji Xerox Co Ltd 光学部品の取付構造
JP4352284B2 (ja) * 1999-01-22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光学部品保持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0321661A (ja) 1999-05-12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投射型映像装置のミラー保持構造
JP2001013605A (ja) * 1999-07-01 2001-01-19 Canon Inc 立体映像撮影装置
JP4270081B2 (ja) * 2004-09-07 2009-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70A (ja) * 1992-07-03 1994-01-28 Casio Comput Co Ltd ミラー取付方法とその取付用治具
JPH11281876A (ja) 1998-03-27 1999-10-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ミラー調整機構
JP2001033873A (ja) * 1999-07-16 2001-02-09 Chinontec Kk 鏡体の位置調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2090876A (ja) * 2000-09-19 2002-03-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3035931A (ja) * 2001-07-24 2003-02-07 Hitachi Ltd 光学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033873
140908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1474A (zh) 2005-07-20
CN100478776C (zh) 2009-04-15
US7222976B2 (en) 2007-05-29
US20050157276A1 (en) 2005-07-21
TW200527026A (en) 2005-08-16
KR20050075294A (ko) 2005-07-20
JP2005202148A (ja) 2005-07-28
JP4103803B2 (ja) 2008-06-18
TWI276858B (en)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585B1 (ko)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100575915B1 (ko) 리어 프로젝터
JP3603650B2 (ja) 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KR200333425Y1 (ko)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JP3608417B2 (ja) 電気光学装置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それを利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JP4023314B2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6866389B2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3953067B2 (ja) 光変調装置保持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210796B2 (en)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or
KR100694951B1 (ko) 고정판,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US20050007556A1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4127047B2 (ja) プロジェクタ用筐体及びこの筐体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5070504A (ja) 光学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4207400A (ja) 電子機器筐体用カバ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138913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3262917A (ja) 光学装置、およびこの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4240024A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05713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205714A (ja) 電子機器用蓋材、電子機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46052A (ja) 反射ミラー位置調整治具、および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4205715A (ja) レンズ支持構造体、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561289B2 (ja)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4205672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246059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05667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