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25Y1 -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25Y1
KR200333425Y1 KR20-2003-0025585U KR20030025585U KR200333425Y1 KR 200333425 Y1 KR200333425 Y1 KR 200333425Y1 KR 20030025585 U KR20030025585 U KR 20030025585U KR 200333425 Y1 KR200333425 Y1 KR 200333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heat
plat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나기사와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광학 장치(44)가 광변조 장치(440), 색합성 광학 장치(444) 및 광학 변환 소자(443)를 구비하며, 광변조 장치(440)가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449)를 통해 색합성 광학 장치(444)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광변조 장치(440) 및 광학 변환 소자(443)에 발생하는 서로의 열이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49)에 의해 차단되고, 광변조 장치(440) 및 광학 변환 소자(443) 사이에서 고온측에서 저온측으로 역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광학 장치(44)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학 장치(44) 및 프로젝터의 소형화, 고휘도화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OPTICAL DEVICE, OPTICAL UNIT AND PROJECTOR}
본 고안은 색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는 광변조 장치와, 광변조 장치로 변조된 색광을 합성하는 색합성 광학 장치가 일체화된 광학 장치, 이 광학 장치를 구비한 광학 유닛 및 이 광학 유닛을 구비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삼원색인 적, 녹, 청의 색광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3장의 액정 패널에 의해 각 색광마다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고, 화상 변조후의 각 색광을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으로 합성하여, 투사 렌즈를 통해 컬러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소위 3판식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에서는 각 액정 패널은 투사 렌즈의 백 포커스 위치에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이 때문에 종래에는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에 액정 패널을 위치 조정하면서 직접 고정하여 일체화된 광학 장치가 채용되었다.
이 일체화된 광학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부착 구조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0-221588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각 액정 패널이 수납되는 유지 프레임의 네 귀퉁이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에 접착 고정하는 구조나, 또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1998-10994 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 사이에 쐐기형 스페이서를 개재시켜서,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에 접착 고정하는 구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장치는 액정 패널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 사이에, 액정 패널로 변조된 각 색광의 편광 방향을 갖춘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고, 이 편광판은 통상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에 접착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패널,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 및 편광판 등이 일체화된 광학 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열하는 액정 패널 및 편광판의 냉각은, 핀 또는 스페이서에 의해 액정 패널과 편광판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에 공냉 팬 등을 이용하여 냉각 공기를 도입함에 따른 강제 냉각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프로젝터의 소형화, 고휘도화에 따라, 상기 광학 장치 자체도 소형화되어 있고, 액정 패널과 편광판 사이의 간극도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그 간극에 냉각 공기가 들어가기 어렵고, 냉각 효율이 나빠져 액정 패널이나 편광판이 열화되기 쉽다.
또한, 상기 간극을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을 많게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냉각 팬에 의한 소음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냉각 공기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냉각 팬의 대형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프로젝터 자체의 대형화로 이어져, 프로젝터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이 때문에,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의 광속 입사 단면과 교차하는 단면에 금속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부착하고, 이 받침대에 편광판을 접합시키고, 그 위에 액정 패널을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통해 열전도성이 양호한 접착제로 고정한 광학 장치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광학 장치는 편광판이나 액정 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받침대를 향해 방열하고, 이 받침대를 팬 등으로 강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이나 액정 패널이 쉽게 과열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받침대를 향해 방열하는 구조를 구비한 광학 장치에서는 편광판 및 액정 패널에 발생하는 모든 열을 받침대에 방열할 수 없고,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온도에 따라서는 고온이 된 편광판으로부터 비교적 저온측의 액정 패널로 열이 역류할 가능성이 있어, 모든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고 하기는 어려워, 냉각 효율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각 효율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터의 소형화, 고휘도화를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화, 고휘도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냉각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는 복수의 색광을 각 색광마다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는 복수의 광변조 장치와, 각 광변조 장치와 대향하는 복수의 광속 입사 단면을 가지며, 각 광변조 장치에서 변조된 각 색광을 합성하는 색합성 광학 장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 및 상기 광속 입사 단면 사이에는 상기 광변조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환하는 광학 변환막이 형성된 기판을 갖는 광학 변환 소자가 개재되어 배치되고, 상기 광변조 장치는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색합성 광학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광변조 장치로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 기판과 대향 기판이 밀봉재를 통해 소정 간격을 두고 접착되고, 양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구성을 갖는 액정 패널 등의 광변조 소자를 구비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변환막으로는 편광막, 시야각 보정막, 위상차막 등의 광학 기능을 변환하는 막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으로는 사파이어나 석영 유리, 수정, 또는 형석 등으로 구성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학 변환 소자로는 편광판이나, 시야각 보정판, 위상차판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변환 소자는 1개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복수개를 포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로는 아크릴이나 우레탄 등의 단열성을 갖은 수지류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로서 쐬기형 스페이서 또는 핀 스페이서를 채용하여, 쐬기형 스페이서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핀 스페이서에 대한광변조 장치의 출입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색합성 광학 장치의 광속 입사 단면에 대한 광변조 장치의 위치 조정을 할 수 있고, 투사되는 화상의 화소 또는 투사 렌즈로부터의 백 포커스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광학 장치가 광변조 장치, 색합성 광학 장치 및 광학 변환 소자를 구비하며, 광변조 장치가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를 통해 색합성 광학 장치에 설치됨에 따라,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광변조 장치 및 광학 변환 소자에 발생하는 서로의 열이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에 의해 차단되어, 광변조 장치 및 광학 변환 소자 사이에서 고온측에서 저온측으로 역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광학 장치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장치의 냉각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병용하는 냉각 팬의 수를 줄이고, 또한 상기 냉각 팬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미약한 냉각 공기에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의 저소음화 및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속 입사 단면과 교차하는 상기 색 합성 광학 장치의 한 쌍의 단면 중 어느 한쪽 이상의 단면에 설치된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받침대에 상기 광학 변환 소자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되고,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변조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상기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받침대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구리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재료, 혹은 사파이어, 수정, 형석, 열전도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에 상기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학 변환 소자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색합성 광학 장치의 받침대와 접속되고,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됨에 따라,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로 서로의 열 유로가 분할된 광학 변환 소자 및 광변조 장치 각각이 받침대 및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의 열이 역류하지 않고, 광학 변환 소자 및 광변조 장치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실시하는 광변조 소자와, 광변조 소자의 화상 형성 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은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유지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광변조 장치의 광변조 소자에 발생하는 열을 유지 프레임에 방열함으로써 광변조 소자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고, 광변조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광변조소자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지 프레임의 접착제 저장부에 모은 접착제로 광변조 소자를 유지 프레임에 접착함으로써, 광변조 소자를 유지 프레임에 밀착하여 접착할 수 있어, 광변조 소자의 열을 확실히 유지 프레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보통 유지 프레임과 함께 광변조 소자를 협지하여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판 등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접착제 저장부는 연속된 홈형의 홈부 또는 점재하는 크레이터형의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접착제 저장부를 홈부나 오목부로 함으로써 광변조 소자를 접착하는 접착제중에 기포가 들어가기 어려워, 광변조 소자와 유지 프레임간의 열전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상기 광변조 소자의 광속 입사측 및/또는 광속 사출측의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광변조 소자의 표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광 투과성의 방진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진판은 그 외주 가장자리에 부착된 열전도성 접착 재료를 통해 상기 유지 프레임과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변조 소자의 광속 입사측이나 광속 사출측에 접착된 방진판의 외주 가장자리와 유지 프레임이 열전도성 접착 재료에 의해 접속됨으로써,광변조 소자로부터 방진판에 전달된 열을 열전도성 접착 재료를 통해 유지 프레임에 전달할 수 있어, 광변조 소자의 열을 더욱 확실히 유지 프레임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진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마련한 열전도성 접착 재료에 의해, 방진판을 투과하는 광속의 일부가 반사나 굴절에 의해 방진판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학 장치의 광학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는 열전도성 접착 재료는 실리콘계 접착제, 땜납, 경납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실리콘계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납땜, 경납땜에 의해 방진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유지 프레임에 고착함으로써, 방진판과 유지 프레임간의 열전도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방진판의 고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방진판과 상기 유지 프레임은 프레임형의 실리콘 고무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프레임형의 실리콘 고무로는 방진판 및 유지 프레임과는 별개로 준비한 실리콘 고무 시트 등으로 형성된 것을, 방진판 및 유지 프레임의 한쪽 이상에 접착할 수 있고, 또한 방진판 및 유지 프레임의 한쪽 이상에 2색 성형이나 베이킹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방진판과 유지 프레임 사이에 실리콘 고무가 개재됨으로써,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고, 열전도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광변조 장치를 지지가능한 소정 면적을 갖는 접촉면이 광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상기 광속 입사 단면 또는 상기 광변조 장치의 기판면에 접착되어, 상기 색 합성 광학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색합성 광학 장치에 광변조 장치를 부착하는 스페이서의 색합성 광학 장치측의 접촉면을 광변조 장치를 지지 가능한 최소 면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광변조 장치와 색합성 광학 장치 및 광학 변환 소자 사이의 열전도를 더욱 적게 함으로써 광변조 장치 및 광학 변환 소자의 상호 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광학 장치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광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스페이서에 의해 광변조 장치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고, 스페이서를 고착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장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장치에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실시하는 광변조 소자와, 이 광변조 소자의 광변조 제어용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케이블에는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광변조 소자와 접속된 열전도 피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변조 장치의 제어용 케이블에 광변조 소자와 접속된 열전도 피복을 실시함으로써, 광변조 소자에 발생하는 열을 열전도 피복을 통해 방열할 수 있어, 광변조 장치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광학 유닛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광학 장치 중 어느 하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열전도판을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판을 통해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됨에 따라, 광변조 장치에 발생하는 열을 보다 큰 열용량을 갖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까지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광변조 장치를 더욱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실시하는 광변조 소자와, 광변조 소자의 화상 형성 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열전도성의 탄성 재료를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열전도판이 탄성 재료를 통해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접속됨에 따라, 광변조 장치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전도판의 열 팽창을 탄성 재료가 변형하여 흡수함으로써, 열전도판에 불균등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광변조 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복수의 광변조 장치간에 있어서의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장치의 광속 입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된 열전도성의 벽체가 설치되고, 상기 광변조 장치에 광속이 조사되지 않는 상온 설정시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과 상기 벽체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광변조 장치로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상기 열전도판이 열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이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열전도판과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접속된 벽체가 상온 설정시에는 접속되지 않고, 열전도판이 열팽창한 상태로 접속하는, 즉 상온 설정시에는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단부와 벽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에 따라, 열전도판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변조 장치의 열에 의해 열전도판이 열팽창한 상태에서 직접 또는 탄성 재료를 통해 벽체와 접속됨으로써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방열하여 광변조 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는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장치의 광속 입사면에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에 따라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열전도성의 벽체를 가지며,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선단측은 상기 연장 방향에 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선단측이 연장 방향에 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벽체와 접속됨으로써, 광변조 장치의 열에 의한 열전도판의 열팽창을 선단측의 이동으로 흡수할 수 있어, 열전도판에 압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접 또는 탄성 재료를 통해 벽체와 접속됨으로써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방열하여 광변조 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는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소자의 광속입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상에는 이 연장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된 열전도성의 벽체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구부려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이 절곡부는 가압된 상태로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가 가압된 상태로 벽체와 접속됨으로써, 열전도판의 절곡부가 벽면 또는 탄성 재료에 밀착되기 때문에,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방열하는 열유로가 확보되어, 광변조 장치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는 상기 열전도판은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열전도 프레임을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고, 상기 열전도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에 관해서 진퇴 가능하게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에 관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열전도 프레임을 통해 열전도판이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광변조 장치의 열에 의한 열전도판의 열팽창을 열전도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열전도판에 압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광변조 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학 유닛에서는 상기 열전도판은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으로 열전도판을 구성함으로써, 열전도판의 열전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열전도판의 스프링성이 작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해 열전도판에 발생하는 불균등한 응력을 감소시켜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프로젝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로써, 상술한 광학 장치 중 어느 하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여,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갖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광학 장치의 작용, 효과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광학 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프로젝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프로젝터 내부의 광학 장치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어 프로젝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로써, 상술한 광학 유닛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광학 유닛의 작용, 효과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광학 유닛을 사용하면, 상기 프로젝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프로젝터 내부의 광학 장치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어 프로젝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상술한 열전도 피복이 실시된 제어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광학 장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배치하여,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갖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용 케이블에 실시된 열전도 피복은 선단측이 상기 제어용 케이블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광학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 및/또는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열전도 피복이 실시된 제어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광학 장치의 작용, 효과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용 케이블의 열전도 피복이 광학 부품용 하우징이나 외장 케이스에 접속되어 있음에 따라, 광학 장치에 발생하는 열을 보다 큰 열용량을 갖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이나 외장 케이스에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장치를 더욱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프로젝터는 상기 광학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유닛을 구성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상기 외장 케이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외장 케이스와의 간극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 팬을 병용함으로써, 광변조 장치나 광학 변환 소자에 발생하는 열의 냉각을 냉각 팬에 의한 강제 냉각, 자연 공냉 및 상술한 전도 방열에 의해 실시할 수 있어, 광학 장치의 냉각 효율을 한층 향상시키고, 프로젝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프로젝터 내부의 광학 장치를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상부 케이스를 떼어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을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가이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부 광 가이드를 하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전도 프레임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 및 프리즘을 일체화한 광학 장치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 및 프리즘을 일체화한 광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을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널 냉각계 A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 냉각계 B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널 냉각계 A 및 광원 냉각계 B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 장치 및 열전도 프레임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5와는 다른 광학 장치 및 열전도 프레임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5 및 도 16과는 다른 광학 장치 및 열전도 프레임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전도 프레임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광학 장치 440 : 광변조 장치
443 : 광학 변환 소자(편광판)
444 : 색합성 광학 장치(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
449 : 스페이서
1. 제 1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1. 프로젝터의 주요한 구성]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1)를 떼어낸 분해 사시도이다.
프로젝터(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외장 케이스(2)와, 프로젝터(1)내에 체류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3)과,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는 광학 유닛(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지만, 외장 케이스(2)내의 광학 유닛(4) 이외의 공간에는 전원 블럭이나 램프 구동 회로 등이 수납된다.
외장 케이스(2)는 각각 금속으로 구성되며, 프로젝터(1)의 상면, 전면 및 측면을 각각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21)와, 프로젝터(1)의 저면, 측면 및 배면을 각각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케이스(21, 22)는 서로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1)는 상면부(211)와, 그 주위에 설치된 측면부(212)와, 배면부(213)와, 정면부(214)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211)에는 후술하는 광학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 유닛(3)에 의해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기구(211A)가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212)(정면에서 보아 우측면)에는 상기 냉각 유닛(3)에 의해 프로젝터(1) 내부에서 데워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12A)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부(213)에는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컴퓨터 접속용의 접속부나, 비디오 입력 단자, 오디오 기기 접속 단자 등의 각종 기기 접속용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면부(213)의 내측에는 영상 신호 등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가 장착된 인터페이스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정면부(214)에는 절결부(2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22)와 조합된 상태에서, 원형의 개구부(2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A)로부터 외장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된 광학 유닛(4)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개구부(2A)를 통해 광학 유닛(4)에서 형성된 광학상이 사출되어, 스크린상에 화상이 표시된다.
하부 케이스(22)는 저면부(221)와, 그 주위에 설치된 측면부(222)와, 배면부(223)와, 정면부(224)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221)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 광학 유닛(4)의 하방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광원 장치를 착탈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는 램프 커버가 삽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면부(224)에는 절결부(22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1)와 조합된 상태에서 상술한 절결부(214A)와 연속하여 원형의 개구부(2A)를 형성한다.
냉각 유닛(3)은 프로젝터(1)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 유로에 냉각 공기를 보내고, 프로젝터(1)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것으로, 상기 광학 유닛(4)의 광학 장치(44)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 형성된 흡기구(211A)로부터 냉각 공기를 흡인하는 축류 흡기팬(31)과, 상기 광학 유닛(4)의 광원 장치(411)의 근방에 위치하여, 광학 유닛(4)내 및 프로젝터(1)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부 케이스(21)의 측면부(212)에 형성된 배기구(212A)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시로코 팬(3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학 유닛(4)은 광원 장치(411)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는 유닛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2)의 우측 측면부(222)로부터 배면부(223)를 따라, 또한 좌측의 측면부(222)를 따라 정면부(214)로 연장되는 평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광학 유닛(4)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력을 상기 광학 유닛(4)의 광원 장치(411)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광학 유닛(4)의 상방에는 화상 정보에 따른 광학상을 투사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를 받아들여 제어 및 연산 처리 등을 하여, 후술하는 광변조 장치가 되는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이 배치된다.
[1-2. 광학계의 상세한 구성]
도 3은 광학 유닛(4)을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광학 유닛(4)내의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광학 유닛(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 색분리 광학계(42), 릴레이 광학계(43), 광학 장치(44) 및 투사 렌즈(4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광학 부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서의 광 가이드(47)내에 탑재되어 고정된다.
도 4에 있어서,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는 광학 장치(44)를 구성하는 3장의 액정 패널(441)[적, 녹, 청의 색광마다 각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 나타냄]의 화상 형성 영역을 거의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광학계로써, 광원 장치(411)와,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와, 중첩 렌즈(41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광원 장치(411)는 방사상의 광선을 사출하는 광원 램프(416)와, 이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방사광을 반사하는 타원면 거울(417)과,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되어 타원면 거울(417)에 의해 반사된 빛을 평행광으로 하는 평행화 오목 렌즈(411A)를 구비한다. 또한, 평행화 오목 렌즈(411A)의 평면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UV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 램프(416)로는 할로겐 램프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 램프가 많이 이용된다. 또한, 타원면 거울(417) 및 평행화 오목 렌즈(411A) 대신에, 포물면 거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렌즈 어레이(412), 제 2 렌즈 어레이(413) 및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는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하우징내에 설치 고정된다.
제 1 렌즈 어레이(412)는 광축 방향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윤곽을 갖는 소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각 소렌즈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고 있다. 각 소렌즈의 윤곽 형상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형상과 거의 상사형(相似形)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종횡비(가로와 세로 치수의 비율)가 4:3이면, 각 소렌즈의 애스펙트비도 4:3으로 설정한다.
제 2 렌즈 어레이(413)는 제 1 렌즈 어레이(412)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소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12)는 중첩 렌즈(415)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12)의 각 소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441)상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중첩 렌즈(415)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렌즈 어레이(413)와 일체로 유닛화되어 있다. 이러한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의 빛을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광학 장치(44)에서의 빛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에 의해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된 각 부분광은 중첩 렌즈(415)에 의해 최종적으로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 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광을 변조하는 타입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에서는 1종류의 편광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덤한 편광광을 발하는 광원 램프(416)로부터의 빛의 거의 반을 이용할 수 없다.
여기에서,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램프(416)로부터의 사출광을 거의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여, 광학 장치(44)에서의 빛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1996-304739 호에 소개되어 있다.
색분리 광학계(42)는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와 반사 미러(423)를 구비하고,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에 의해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속을 적, 녹, 청의 3색의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릴레이 광학계(43)는 입사측 렌즈(431), 릴레이 렌즈(433) 및 반사 미러(432, 434)를 구비하고, 색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색광, 적색광을 액정 패널(441R)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색분리 광학계(42)의 다이크로익 미러(421)에서는 인티그레이터 조명 광학계(41)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청색광 성분이 반사되는 동시에, 적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이 투과된다. 다이크로익 미러(421)에 의해 반사한 청색광은 반사 미러(423)에서 반사하고, 필드 렌즈(418)를 통과하여 청색용의 액정 패널(441B)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18)는 제 2 렌즈 어레이(413)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액정 패널(441G, 441R)의 광 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18)도 마찬가지이다.
다이크로익 미러(421)를 투과한 적색광과 녹색광 중에서,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에 의해 반사되고, 필드 렌즈(418)를 통과하여 녹색용의 액정 패널(441G)에 도달한다. 한편, 적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를 투과하여 릴레이 광학계(43)를 통과하고, 또한 필드 렌즈(418)를 통과하여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441R)에 도달한다. 또한, 적색광에 릴레이 광학계(43)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적색광의 광로의 길이가 다른 색광의 광로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빛의 발산 등에 의한 빛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입사측 렌즈(431)에 입사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18)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또한, 릴레이 광학계(43)에는 3개의 색광중, 적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청색광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광학 장치(44)는 3장의 광변조 장치(440)(도 8 및 도 9)를 구성하는 광변조 소자로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색합성 광학 장치로서의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예컨대 폴리실리콘(TFT)을 스위칭 소자로 사용한 것으로, 색 분리 광학계(42)에서 분리된 각 색광은 이들 3장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이들 광속 입사측에 있는 편광판(442) 및 사출측에 있는 편광판(443)에 의해서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되어 광학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지만,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TFT의 스위칭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이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 전극을 구비한 구동 기판과,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대향 전극을 구비한 대향 기판으로 구성된다.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3장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서 사출된 각 색광마다 변조된 화상을 합성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는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4개의 직각 프리즘의 계면을 따라 대략 X자형으로 형성되고, 이들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개의 색광이 합성된다. 그리고, 프리즘(444)에서 합성된 칼라 화상은 투사 렌즈(46)로부터 사출되어, 스크린상에 확대 투사된다.
[1-3. 광학 부품용 하우징의 구조]
상술한 각 광학계(41 내지 4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서의 금속제의 광 가이드(47)내에 수용되어 있다.
광 가이드(47)는 저면, 전면 및 측면을 각각 구성하는 하부 광 가이드(48)와, 이 하부 광 가이드(48)의 상부의 개구측을 폐쇄하는 커버형의 상부 광 가이드(49)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광 가이드(47)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하부 광 가이드(48)를 하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하부 광 가이드(48)는 광원 장치(411)를 수납하는광원 장치 수납부(481)와, 상기 각 광학 부품(411A, 412 내지 415, 42 내지 44)을 수납하는 광학 부품 수납부(482)와, 상기 투사 렌즈(46)를 설치하는 투사 광학계 설치부(48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원 장치 수납부(48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이 개방되고, 또한 내측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481A)를 갖는 박스 형상을 하고 있고, 이 광원 장치 수납부(481)에 광원 장치(411)가 수납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1)는 고정판(411B)에 탑재 고정되고, 상기 광원 장치 수납부(481)의 하방에서 고정판(411B)과 함께 이 광원 장치 수납부(481)에 수납된다.
이 고정판(411B)은 광원 장치(411)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을 따라 높이 치수가 다르고, 광원 장치(411)의 타원면 거울(417)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에 걸친 높이 치수가 광원 장치(411)의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고, 타원면 거울(417)의 후방부분은 광원 장치(411)의 높이 치수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광원 장치(411)를 고정판(411B)과 함께 하부 광 가이드(48)의 광원 장치 수납부(481)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 장치 수납부(481)에 형성된 개구부(481A)와 고정판(411B)에 의해 광원 장치(411)의 전방 부분이 폐쇄 상태가 되고, 후방 부분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광원 장치(411)의 전방 부분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에 의해, 광원 장치(411)로부터 사출되는 광속을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 부분에서의 개방 상태에 의해, 광원 장치 수납부(481) 내부에 광원 장치(411)에 발생하는 열이 체류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광학 부품 수납부(48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482A)와 저면부(48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482A)의 내측면에는 평행화 오목 렌즈(411A)와, 제 1 렌즈 어레이(412), 제 2 렌즈 어레이(413) 및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로 구성되는 유닛과, 중첩 렌즈(415)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기 위한 제 1 홈부(482A1)와, 입사측 렌즈(431), 반사 미러(432), 릴레이 렌즈(433)를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기 위한 제 2 홈부(482A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482A)의 정면 부분에는 광학 장치(44)로부터의 광속 사출 위치에 대응하여 원형의 구멍(482A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482A3)을 통해 투사 렌즈(46)에서 확대 투사된 화상광이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저면부(482B)에는 다이크로익 미러(421)를 지지하는 제 1 보스부(482B1)와, 상기 제 2 홈부(482A2)에 대응한 홈을 갖는 제 2 보스부(482B2)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의 광속 입사측에 있는 편광판(442)을 지지하는 편광판 홀더(482B3)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482B)에는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를 포함하는 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흡기구(482B4)와,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배기구(482B5)와, 이 배기구(482B5)로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 광학 장치(44) 설치용의 구멍(482B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482B)의 이면에는 하부 광 가이드(48)와 하부 케이스(22)의 저면부(221)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482B5)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간극으로서의 덕트(482B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광 가이드(4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44)의 상방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하부 광 가이드(48)의 상부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하부 라이트 가이드(48)의 제 1 홈부(482A1) 및 제 2 홈부(482A2)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는 광학 부품, 반사 미러(423), 다이크로익 미러(422), 반사 미러(434)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 상부 광 가이드(49)의 상기 광학 부품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는 조정부(49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정부(49A)에 의해 상기 광학 부품의 자세를 조정하여, 각 색광의 조명광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저면부(482B)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에 대응하여 열전도 프레임(484, 485)이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열전도 프레임(484)은 액정 패널(441R, 441G)의 측방 및 액정 패널(441G, 441B)의 측방의 2개소에 설치되고, 열전도 프레임(485)은 액정 패널(441R, 441B)의 측방으로서, 광학 장치(44)의 광속 사출측에 설치되어 있다.
열전도 프레임(484, 485)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나 열전도성 수지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며,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따른 설치부(484A, 485A)와, 벽체로서의 벽부(484B, 485B)를 구비하고 있다.
열전도 프레임(484, 485)의 벽부(484B, 485B)간에는 액정 패널(441)을 협지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들 벽부(484B, 485B)에는 후술하는 열전도판(447)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열전도 프레임(485)의 벽부(485B)에는 광학 장치(44)로부터의 광속 사출 위치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구멍(485B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열전도 프레임(48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열전도 프레임(484)은 그 부착부(484A)에 설치된 삽입 구멍(484A1)을 통해서, 나사(484C1), 와셔(484C2), 탄성 링(484C3) 및 너트(484C4)에 의해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링(484C3)은 고무나 합성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삽입 구멍(484A1)과 대략 동일한 외경 및 나사(484C1)의 축에 밀착하는 내경을 갖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와셔(484C2)는 삽입 구멍(484A1)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며, 나사(484C1) 및 너트(484C4)를 조인 상태에서, 부착부(484A)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열전도 프레임(484)은 저면부(482B)를 따라 탄성 링(484C3)의 변형량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또한 탄성 링(484C3)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설치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1-4. 광학 장치의 구조]
도 8은 광학 장치(44)를 위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9는 광학 장치(4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변조 장치(4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광변조 장치(440)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광학 장치(44)의 분해는 액정 패널(441B)측에서 실시하고 있다. 액정 패널(441R, 441G)측은 액정 패널(441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광학 장치(44)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고, 이 변조된 각 색광을 합성하여 광학상으로 투사하는 것으로, 광변조를 실시하는 광변조 장치(440)와, 이 광변조 장치(440)로부터 사출되는 각 색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는 광학 변환 소자로서의 편광판(443)과, 이 편광판(443)을 투과한 각 색광을 합성하는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면(광속 입사 단면과 대략 직교하는 한쌍의 단면)에는 각각 받침대(44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443)과 광변조 장치(440) 사이에는 쐬기형 스페이서(449)가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다.
광변조 장치(440)는 광원 램프(416)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는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수납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44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441B)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판(예컨대, TFT 기판)(441D)과 그 대향 기판(441E)인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것으로, 이들 유리 기판의 사이로부터 제어용 케이블(441C)이 연장되어 있다.
제어용 케이블(441C)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면에 열 전도 피복(441C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열 전도 피복(441C1)은 열전도성 수지 등으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단측이 구동 기판(441D) 및 대향 기판(441E)에 접촉하도록 제어용 케이블(441C)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열 전도 피복(441C1)의 선단측은 소정의 위치에서 제어용 케이블(44LC)에서 분기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판(441D) 및 대향 기판(441E)의 표면에는 광투과성의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이 고착되어 있다.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은 사파이어나 석영 등의 열전도성이 좋은 판체로 구성되며, 액정 패널(441)의 광속 사출측 및 광속 입사측에 있어서, 투사 렌즈(46)의 백 포커스 위치로부터 액정 패널(441)의 패널면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광학적으로 패널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유지 프레임(446)은 액정 패널(441)을 수납하는 수납부(446A)를 구비하며, 구동 기판(441D), 사출측 방진판(441F)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표면이나 외주가 수납부(446A)에 접착되어, 액정 패널(441)을 수납 고정하고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446)은 수납된 액정 패널(441)의 패널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446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유지 프레임(446)의 개구부(446C)에서 노출되어, 이 부분이 화상 형성 영역이 된다. 즉, 각 액정패널(441R, 441G, 441B)의 이 부분에 각 색광(R, G, B)이 도입되고, 화상 정보에 따라서 광학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지 프레임(446)은 카본, 티타늄, 알루미늄, 플루오르화 규소 등을 첨가한 열전도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사출측 단면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는 경사면(446D)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446D)에 상기 스페이서(449)가 대향 배치한다.
또한, 이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사출측 단면에는 차광막(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으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빛을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측으로 추가로 반사하는 것을 방지하며, 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46)의 수납부(446A)에는 접착제 저장부로서의 점재하는 크레이터형의 오목부(446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46E)에는 접착제가 적하되고, 이 상태에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을 고착한 액정 패널(441)을 수납부(446A)에 끼워 넣어 액정 패널(441)이 유지 프레임(446)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에는 열전도성의 실리콘계 접착제(441S1, 441N1)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446A)의 측면이나 개구부(446C)의 내주와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가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446)의 수납부(446A)에 설치되는 접착제 저장부로는 연속한 홈형의 홈부일 수 있다. 또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에 마련되는 접착제로는 실리콘계 접착제에 한정되지 않고, 땜납이나 경납을 채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입사측에는 열전도판(447)이 부착되어 있다.
열전도판(447)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판재로써, 유지 프레임(446)의 개구부(446C)에 대응한 개구부(447A)를 가지며,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입사측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전도판(447)은 유지 프레임(446)에 수납되는 액정 패널(441)의 광속 입사면을 따라 측방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 방향의 양 단부에는 액정 패널(441) 쪽으로 구부러진 절곡부(44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곡부(447B)는 소정 각도로 90도 미만의 절곡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광학 장치(44)를 하부 광 가이드(48)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열전도 프레임(484, 485)의 벽부(484B, 485B)에 접촉되어, 대략 90도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전도판(447)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리나 마그네슘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편광판(443)은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 사이에 배치되며, 각 액정 패널(441R, 441C, 441B)에서 사출된 각 색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편광판(443)은 기판으로서의 사파이어판(443B)의 대략 중앙부에 광학 변환막으로서의 편광 필름(443A)을 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면에 받침대(445)가 고정된 상태의 외형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445)의 측면에 연결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판으로서 사파이어판을 사용하고 있지만, 수정, 석영 유리, 또는 형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받침대(445)는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 양면에 고정되고, 광학 장치(44)를 광 가이드(47)에 고정하는 것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외주 형상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대(445)의 하면에는 일체화된 광학 장치(44)를 광 가이드(47)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술한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형성된 구멍(482B6)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돌기 및 고정용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받침대(445)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그네슘 합금, 구리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 또는 사파이어, 수정, 형석, 열전도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페이서(449)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46)과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 사이에 개재하여, 유지 프레임(446)의 위치 조정을 하는 것으로,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아크릴이나 우레탄 등의 단열성을 갖는 수지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449)는 각 유지 프레임(446)에 2개씩(합계 6개) 배치되고, 유지 프레임(446)의 경사면(446D)에 접촉하며, 이 스페이서(449)의 이동에 의해 유지 프레임(446)을 이동시켜, 투사 렌즈(46)로부터의 백 포커스 위치에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위치 조정한다. 이 위치 조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5.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이하에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우선, 하기 (a) 및 (b)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프리즘 유닛을 조립한다.
(a)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면에 받침대(445)를 열전도성이 양호한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한다.
(b) 편광판(443)을,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광속 입사 단면에 상하의 받침대(445)와 접촉한 상태에서, 열전도성이 양호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고정한다.
다음으로, 하기 (c)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광변조 장치(440)를 조립하고, 상기 프리즘 유닛에 장착한다.
(c) 유지 프레임(446)의 오목부(446E)에 열전도성의 접착제를 적하한 상태에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을 고착한 액정 패널(441)을 수납부(446A)에 끼워 넣고 접착한다. 이 때,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과, 그 외주에 마련된 실리콘계 접착제(441S1, 441N1)에 의해 수납부(446A)의 측면 및 개구부(446C)의 내주가 동시에 접착된다.
다음으로, 하기 (d)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액정 패널(441)의 위치 조정을 실시한다.
(d) 유지 프레임(446)의 경사면(446D)과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스페이서(449)를 삽입하고, 경사면(446D)을 따라 이 스페이서(449)를 이동시키면서 투사 렌즈(46)로부터의 백 포커스 위치에 유지 프레임(446)을 위치 결정한다. 구체적인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e) 그 후, 접착제를 경화시켜 각 부재를 고착시키고,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입사측면에 열전도판(447)을 접착 고정한다.
이상과 같은 공정 순서에 따라 광학 장치는 제조된다.
여기에서, 스페이서(449)의 이동은 스페이서(449)의 표면에 도포한 광경화성 접착제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유지 프레임(446),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 및 스페이서(449)의 고착 방법으로는, 예컨대 우선 광경화성 접착제로 점재적으로 가고정을 하고, 그 후 유지 프레임(446)과 사파이어판(443B) 사이의 간극에 열전도성 접착제를 충전하여 본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위치 조정에는 포커스 조정 및 얼라인먼트 조정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으로의 부착은 반드시 상기 순서로 실시할 필요는 없고, 최종적으로 도 8의 상태가 되면 무방하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일체화된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하방에 위치하는 받침대(445)의 하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를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형성된 양측의 구멍(482B6)(도 6)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을 하고, 중앙의 구멍(482B6)(도 6) 및 받침대(445)의 고정용 구멍에 나사 등으로 고착된다.
[1-6. 액정 패널의 위치 조정 방법]
상기 (d)의 위치 조정 공정에 있어서의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으로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삼차원적인 위치 조정은 유지 프레임(446)의 경사면(446D)과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스페이서(449)를 삽입하고, 접착제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우선, 투사 렌즈(46)와 정면으로 대향하는 액정 패널(441C)을, 사파이어판(443B)과 스페이서(449)와의 접합면을 미끄럼 운동면으로 하여 얼라인먼트 조정을 하고, 유지 프레임(446)과 스페이서(449)와의 접합부, 즉 스페이서(449)를 유지 프레임(446)의 경사면(446D)을 따라 이동시켜서 포커스 조정을 한다. 투사 렌즈(46)로부터의 소정 위치로 액정 패널(441G)을 조정한 뒤, 광경화성 접착제를 자외선 조사하고 경화시켜서 고정한다. 여기에서, 자외선은 스페이서(449)를 투과하여 광경화성 접착제에 조사되어, 광경화성 접착제가 경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 조정후에 경화 고정된 액정 패널(441G)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와 같이 액정 패널(441R, 441B)의 위치 조정 및 고정을 한다.
[1-7. 냉각 유닛에 의한 냉각 구조]
도 12는 패널 냉각계 A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광원 냉각계 B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패널 냉각계 A 및 광원 냉각계 B의 냉각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에서는 광학 장치(44)를 주로 냉각하는 패널 냉각계 A와, 광원 장치(411)를 주로 냉각하는 광원 냉각계 B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 냉각계 A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44)의 상방에 배치된 축류 흡기팬(31)이 사용되고 있다. 축류 흡기팬(31)에 의해, 상부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 형성된 흡기구(211A)에서 흡인된 냉각 공기는 광학 장치(44)의 상방까지 유도된다. 여기에서, 상기 광 가이드(49)는 광학 장치(44)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부 광 가이드(48)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류 흡기팬(31)에 의해, 흡인된 냉각 공기를 광 가이드(47)내에 취입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가이드(47)내에 취입된 냉각 공기는 받침대(445)의 상면을 냉각하면서, 스페이서(449)에 의해 형성된 편광판(443)과 유지 프레임(446) 사이의 간극, 또는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입사측에 유입하여,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광속 사출측 및 광속 입사측, 유지 프레임(446), 편광판(442, 443) 및 편광판(443) 표면의 편광 필름(443A)을 냉각하고,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형성된 배기구(482B5)를 통과하여 광 가이드(47) 외부로 배출된다.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형성된 배기구(482B5)를 통과한 공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광 가이드(48)가 하부 케이스(22)의 저면부(2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덕트(482B7)에 유도되어, 광학 유닛(4)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44)를 냉각시키고 덕트(482B7)를 통해 광학 유닛(4)의 전방측에 송풍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광원 장치(411)의 근방에 배치된 시로코 팬(32)으로 흡인되고, 상부 케이스(21)의 측면부(212)에 형성된 배기구(212A)를 통해서 배출된다.
여기에서,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는 광학 장치(44)를 냉각하는 역할 뿐 아니라,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표면에 분출됨으로써 패널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을 날려버리는 역할도 하고 있다. 패널 냉각계 A에 의해,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표면을 항상 청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터(1)에 있어서, 안정한 화질의 광학 화상을 스크린 등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광원 냉각계 B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장치(411)의 근방에 설치된 시로코 팬(32)이 사용되고 있다.
시로코 팬(32)의 흡기구는 하부 광 가이드(48)의 광원 장치 수납부(48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481A)와, 광원 장치(411)를 탑재 고정하는 고정판(411B)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간극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해 광 가이드(47)내에 유입된 냉각 공기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44)를 냉각하여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형성된 배기구(482B5)를 통과하여 광 가이드(47)의 외부에 배출될 뿐아니라, 시로코 팬(32)에 의해 광 가이드(47)내 및 흡기구(482B4)를 통과하여 광원 장치(411)의 후방측으로 흡인된다.
이 시로코 팬(32)에 의해 흡인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제 1 렌즈 어레이(412), 제 2 렌즈 어레이(413) 및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 사이를 통과하여 이들을 냉각한 후, 광원 장치(411)내에 들어가 광원 램프(416) 및 타원면 거울(417)을 냉각한다.
이 때, 특히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는 광원 램프(416)로부터의 광속이 조사됨으로써 대량의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이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를 냉각하는 것은 광학 유닛(4)의 안정 가동 및 내구성 향상의 면에서 유효하다.
상기 편광 변환 광학 소자(414)나 광원 장치(411)를 냉각한 공기는 하부 광 가이드(48)의 광원 장치 수납부(48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481A)와 광원 장치(411)를 탑재 고정하는 고정판(411B)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간극을 통과하여 시로코 팬(32)에 흡인되고, 상부 케이스(21)의 측면부(212)에 형성된 배기구(212A)를 통해 배출된다.
[1-8. 광학 장치의 방열 구조]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에서는 광학 장치(44)의 냉각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한 강제 냉각 뿐 아니라, 광학 장치(44)의 구조에 의해 방열 경로가 확보되어 있다.
이하에는 도 5, 도 9,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여 광학 장치(44)의 방열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원 장치(411)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광속 사출측의 편광 필름(443A)에는 열이 발생한다.
액정 패널(441)을 수납하는 유지 프레임(446)과, 편광 필름(443A)을 사파이어판(443B)에 부착하여 구성된 편광판(443)이, 단열성을 가진 수지류로 구성된 스페이서(449)에 의해 상호 열의 전달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에 발생한 열의 방열 경로는 분할되어 있으며, 이하, 각각의 방열 경로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방열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패널(441)은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과 열 전도 피복(441C1)이 실시된 제어용 케이블(441C)과 접속되어 있고, 이 액정 패널(441)에 발생한 열은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과 열 전도 피복(441C1)으로 분리되어 방열된다.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또한 액정 패널(441)이 수납 유지되는 유지 프레임(446)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유지 프레임(446)으로 방열된다.
또한, 열 전도 피복(441C1)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광 가이드(49) 및 상부 케이스(21)의 상면부(211)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광 가이드(47) 및 외장 케이스(2)로 방열된다.
또한, 유지 프레임(446)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또한 이 유지 프레임(446)의 광속 입사측면에 고정된 열전도판(447)과 접속되어 있고, 이 유지 프레임(446)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 함께열전도판(447)으로 방열된다.
열전도판(447)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또한 하부 광 가이드(48)에 부착된 열전도 프레임(484, 485)의 벽부(484B, 485B)와 접속되어 있고, 이 열전도판(447)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열전도 프레임(484, 485)으로 방열된다.
이 때, 열전도판(447)은 전달된 열에 의해 열팽창하고, 이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 단부측이 열전도 프레임(484, 485)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열전도 프레임(484)이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이동함으로써, 열전도판(447)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흡수된다. 따라서,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하는 열의 격차에 기인하는 열전도판(447)마다의 열팽창의 차이는 열전도 프레임(484)의 이동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열전도판(447)에 대한 불균일한 응력의 발생이 억제된다.
열전도 프레임(484, 485)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또한 이 열전도 프레임(484, 485)의 부착부(484A, 485A)를 통해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와 접속되어 있고, 이 열전도 프레임(484, 485)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광 가이드(47)로 방열된다.
광 가이드(47)는 프로젝터(1)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있고, 광 가이드(47)에 전달된 열은 프로젝터(1)내의 내부 공기와 열 교환이 이루어져, 상기 시로코 팬(3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편광 필름(443A)의 방열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편광 필름(443A)은 액정 패널(441)과 마찬가지로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편광판(443)의 사파이어판(443B)과 접속되어 있으며, 이 편광 필름(443A)에 발생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사파이어판(443B)으로 방열된다.
사파이어판(443B)은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면에 고정된 받침대(445)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사파이어판(443B)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의 열 교환과 동시에 상하의 받침대(445)로 방열된다.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방에 고정된 받침대(445)는 광 가이드(47)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있고, 상방에 고정된 받침대(445)에 전달된 열은 상기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냉각 공기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하방에 고정된 받침대(445)는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와 접속되어 있고, 하방에 고정된 받침대(445)에 전달된 열은 광 가이드(47)로 방열된다.
광 가이드(47)는 프로젝터(1)내의 내부 공기와 접촉하고 있고, 광 가이드(47)에 전달된 열은 프로젝터(1)내의 내부 공기와 열 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시로코 팬(3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광학 장치(44)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접속 및 냉각 유닛(3)에 의해 광학 장치(44)가 냉각되고 있다.
[1-9. 제 1 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광학 장치(44)가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을 구비하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이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449)를 통해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에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에 발생하는 서로의 열이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49)에 의해 차단되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 사이에서 고온측에서 저온측으로 역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광학 장치(44)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편광 필름(443A)이 사파이어판(443B)을 통해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받침대(445)와 접속되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이 열 전도 피복(441C1) 또는 유지 프레임(446), 열전도판(447) 및 열전도 프레임(484, 485)을 통해 광 가이드(47)와 접속됨에 따라,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49)에서 서로의 열유로가 분할된 편광 필름(443A) 및 액정 패널(441R, 441G, 441B) 각각이 독립하여 받침대(445) 및 광 가이드(47)에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의 열이 역류하지 않고, 편광 필름(443A) 및 액정 패널(441R, 441G, 441F)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3) 편광판(443)의 기판으로서 경도가 높은 사파이어판(443B)을 사용함에 따라, 이 사파이어판(443B)의 대략 중앙부에 편광 필름(443A)을 부착한 상태에서 광사출측의 편광판(443)으로 기능시키는 동시에, 상하의 받침대(445)에 접속됨으로써 사파이어판(443B)을 통해 받침대(445)에 방열할 수 있어, 여분의 부재를 생략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4) 광변조 장치(440)는 유지 프레임(446)을 구비하고, 이 유지 프레임(446)이 카본, 티타늄, 알루미늄, 플루오르화 규소 등을 첨가한 열전도성 수지로 구성됨으로써, 이 유지 프레임(446)의 선팽창계수를 유리 재료에 근접시킬 수 있다. 즉,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구성하는 구동 기판(441D) 및 대향 기판(441E)의 선팽창계수에 근접시킬 수 있어, 광원 장치(411)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한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유지 프레임(446)의 열팽창 변형을 대략 동일한 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시키고,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상호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 화상의 화소 어긋남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열응력에 의한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다.
5)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표면에 부착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 가장자리와 유지 프레임이 열전도성의 실리콘계 접착제(441S1, 441N1)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부터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으로 전달된 열을 확실히 유지프레임(44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 가장자리에 마련한 실리콘계 접착제(441S1, 441N1)에 의해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을 투과하는 광속의 일부가 반사나 굴절에 의해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학 장치(44)의 광학적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6)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제어용 케이블(441C)에 열 전도 피복(441C1)을 실시함으로써,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하는 열을 열 전도 피복(441C1)을 통해 방열할 수 있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냉각 효율을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7) 액정 패널(441R, 441C, 441B)의 제어용 케이블(441C)의 열 전도 피복(441C1)이 광 가이드(47) 및 상부 케이스(21)에 접속됨으로써,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하는 열을 보다 큰 열용량을 갖는 광 가이드(47) 및 상부 케이스(21)에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8) 광학 장치(44)가 스페이서(449)를 구비함에 따라, 투사되는 화상의 화소 또는 투사 렌즈로부터의 백 포커스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스페이서(449)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위치 조정을 할 수 있어,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9) 스페이서(449)가 자외선을 투과하는 아크릴이나 우레탄 등의 수지류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광학 장치(44)를 제조할 때에, 사파이어판(443B)과 액정패널(441R, 441G, 441B)을 수납한 유지 프레임(446)과의 접합에 있어서,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스페이서(449)를 사용하면, 이 스페이서(449)내를 빛이 투과하여, 유지 프레임(446)과 사파이어판(443B)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광학 장치(44)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 단부에 90도 미만의 소정 각도로 구부린 절곡부(447B)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447B)가 가압된 상태에서 열전도 프레임(484, 485)의 벽부(484B, 485B)와 접촉됨으로써, 열전도판(447)의 절곡부(447B)가 벽부(484B, 485B)에 밀착되기 때문에, 광 가이드(47)로 방열하는 열유로가 확보되어,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11) 열전도판(447)이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구성됨에 따라,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하는 열을 확실히 방열할 수 있는 동시에, 열전도판(447)의 스프링성을 작게 할 수 있고, 열팽창했을 때에 발생하는 불균등한 응력을 감소시켜서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12) 유지 프레임(446)의 접착제 저장부로서의 오목부(446E)에 저장한 접착제에 의해 액정 패널(441)을 유지 프레임(446)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액정 패널(441)을 유지 프레임에 밀착하여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 저장부를 크레이터형의 오목부(446E)로 함으로써, 접착제중에 기포가 들어가기 어려워져,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열을 확실하게 유지 프레임(44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441)을 직접 유지 프레임(446)에 접착함으로써, 통상 유지 프레임(446)과 함께액정 패널(441)을 협지하여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판 등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13)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에 발생하는 열의 냉각을 패널 냉각계 A에 의한 강제 냉각, 프로젝터(1)내의 내부 공기에 의한 자연 공냉 및 광학 장치(44)를 구성하는 부재 사이나 광 가이드(47)로의 전도 방열에 의해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의 냉각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14) 또한, 상기와 같은 냉각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병용하는 냉각 팬의 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이 냉각 팬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미약한 냉각 공기에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1)의 저소음화 및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2. 제 2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프로젝터(1)와는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수납한 유지 프레임(446)에 고정된 열전도판(447)과, 하부 광 가이드(48)에 부착된 열전도 프레임(484, 485)과의 접속 구조만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구성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한다.
[2-1. 광학 장치의 구조]
도 15 내지 도 17은 광학 장치(44) 및 열전도 프레임(484)의 오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각각 다른 열전도판(447)과 열전도 프레임(484)의 접속 구조를나타내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있어서, 광학 장치(44)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재인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유지 프레임(446)과, 편광판(443)과,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과, 스페이서(449)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부착된 열전도 프레임(484)과 접속되는 열전도판(447)이 유지 프레임(446)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에 각각 도시된 열전도판(447) 및 열전도 프레임(484)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은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광속 입사측면을 따라 측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 단부에는 약 90도로 구부려진 절곡부(44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부(447B)와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는 서로 간극(S)을 가지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이 조사되지 않는 상온 설정시에 있어서, 열전도판(447)과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열전도판(447)이 열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의 절곡부(447B)가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와 접속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의 절곡부(447B)와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484D)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탄성 부재(484D)는 판형 부재를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에 접착한것으로,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전도판(447)이 열팽창하고, 절곡부(447B)가 벽부(484B)를 향해 이동할 때의 이동량에 따라 설정한 두께 치수로 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이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광속 입사측면을 따라 평면적으로 연장되고,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의 일부가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을 따른 벽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 벽면에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 선단측이 접속될 수 있다.
즉,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전도판(447)이 열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의 선단측이 연장 방향을 따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벽부(484B)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도 프레임(484, 485)은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했지만, 저면부(482B)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저면부(482B)에 돌출되어 설치된 벽체로서하부 광 가이드(48)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2-2. 제 2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예의 효과 1) 내지 9), 11) 내지 14)와 대략 동일한 효과에 부가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5) 상온 설정시에 있어서,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447B)와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열전도판(447)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각 액정 패널(441R, 441G,441B)의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도판(447)이 열팽창한 상태에서, 절곡부(447B)가 벽부(484B)에 접촉됨으로써,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한 열을 열전도 프레임(484)을 통해 광 가이드(47)로 방열하여,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16) 열전도판(447)의 절곡부(447B)와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 사이에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484D)가 설치됨에 따라, 열전도판(447)에 가해지는 압력을 탄성 부재(484D)가 흡수하여,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 부재(484D)를 통해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발생한 열을 광 가이드(47)로 방열하여,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17) 열전도판(447)의 연장 방향 선단측이 연장 방향에 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와 접속됨으로써,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열에 의해 열팽창한 열전도판(447)의 선단측의 연장 방향에 관한 이동이 규제되지 않고, 열전도판(447)에 압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의 화소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도판(447)과 벽부(484B)의 접속은 유지되기 때문에, 광 가이드(47)로 방열할 수 있어, 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3. 제 3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프로젝터(1)와는 광변조 장치(440)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유지 프레임(446)에 수납, 고정할 때의 접착 방법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구성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히 한다.
[3-1. 광변조 장치의 구조]
도 18은 광변조 장치(4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광변조 장치(44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재인 구동 기판(441D) 및 대향 기판(441E)으로 구성되는 액정 패널(441)과, 이 액정 패널(441)의 표면에 고착되는 사출측 방진판(441S) 및 입사측 방진판(441N)과, 액정 패널(441)을 수납하는 유지 프레임(446)을 구비한다.
유지 프레임(446)의 수납부(446A)에는 개구부(446C)의 주위를 둘러싸고 프레임형으로 성형된 실리콘 고무 시트(446F)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리콘 고무 시트(446F)는 액정 패널(441)이 유지 프레임(446)에 접착 고정될 때에 사출측 방진판(441S) 또는 입사측 방진판(441N)과 밀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형의 실리콘 고무로는, 실리콘 고무 시트에 한정되지 않고, 2색 성형이나 베이킹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유지 프레임(446)측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측 방진판(441S) 또는 입사측 방진판(441N)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유지 프레임(446)과, 사출측 방진판(441S) 또는 입사측 방진판(441N) 양쪽에 설치할 수 있다.
[3-2. 제 3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실시예의 효과 1) 내지 11), 13) 내지 17)과 대략 동일한 효과에 부가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8) 유지 프레임(446)과 사출측 방진판(441S) 또는 입사측 방진판(441N) 사이에 실리콘 고무 시트(446F)가 개재됨으로써, 유지 프레임(446)과 사출측 방진판(441S) 또는 입사측 방진판(441N)의 밀착성을 높여, 액정 패널(441)에 발생하는 열을 유지 프레임(446)으로 전달할 때의 열전도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4. 실시예의 변형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냉각 유닛(3)은 축류 흡기팬(31)을 구비하고, 이 축류 흡기팬(31)은 광학 장치(44)의 상방에 설치되며, 냉각 공기는 광학 장치(44)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류 흡기팬(31)을 광학 장치(44)의 하방에 설치하고, 냉각 공기의 흐름을 광학 장치(44)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흐르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방에 고정된 받침대(445) 및 열전도 프레임(484, 485)과, 상부 광 가이드(49) 또는 상부 케이스(21) 사이에 신축 가능한 스프링 실리콘 고무 등의 열전도성 부재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원 장치(411)로부터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에 발생한 열은 받침대(445) 및 열전도 프레임(484, 485)으로 방열되고, 또한 받침대(445) 및 열전도 프레임(484, 485)으로부터 스프링 실리콘 고무를 통해 상부 광 가이드(49) 또는 상부 케이스(21)에 방열되기 때문에,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에서 방열되는 전도 가능한 전열량을 증가시키는 수 있어, 액정 패널(441R, 441G, 441B) 및 편광 필름(443A)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도 프레임(484, 485)은 그 부착부(484A)의 삽입 구멍(484A1)에 설치한 탄성 링(484C3)의 변형에 의해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또한 탄성 링(484C3)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설치 위치에 복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속 스프링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9는 열전도 프레임(484)의 사시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열전도 프레임(484)은 그 부착부(484A)에 형성된 설치 구멍(484A1)을 통해서, 나사(484C1), 와셔(484C2) 및 너트(484C4)에 의해서 하부 광 가이드(48)의 저면부(482B)에 부착되어 있다. 열전도 프레임(484)의 벽부(484B)와 대향하는 설치부(484A)의 2변 가장자리에는 저면부(482B)에 나사로 고정된 금속 스프링(484C5)이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열전도 프레임(484)은 금속 스프링(484C5)의 변형에 의해 저면부(482B)를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또한 금속 스프링(484C5)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설치 위치에 복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449)는 유지 프레임(446)에 대하여 좌우 2개로 구성되며, 유지 프레임(446)의 좌우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446D)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각각의 스페이서를 유지 프레임(446) 변의 가장자리의 길이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유지 프레임(446)의 좌우변 가장자리 각각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핀 스페이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지 프레임(446)과 사파이어판(443B) 사이의 접촉면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액정 패널(441R, 441G, 441B)과 편광판(443) 사이의 열전도를 더욱 적게 함으로써, 서로의 열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광학 장치(44)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443) 및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하면에 설치된 받침대(445)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44)의 상면측의 받침대(445)에만 접속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하면측의 받침대(445)에만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3개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터만을 예로 들었지만, 본 고안은 하나의 광변조 장치만을 이용한 프로젝터, 2개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터, 또는 4개 이상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광변조 장치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했지만, 마이크로미러를 이용한 디바이스 등, 액정 이외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이 다른 투과형의 광변조 장치를 사용했지만,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이 동일해지는 반사형의 광변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크린을 관찰하는 방향에서 투사를 하는 프론트 타입의 프로젝터의 예만을 들었지만, 본 고안은 스크린을 관찰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투사를 하는 리어 타입의 프로젝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프로젝터의 소형화, 고휘도화에 대응하여, 광학 장치의 냉각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복수의 색광을 각 색광마다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는 복수의 광변조 장치와, 각 광변조 장치와 대향하는 복수의 광속 입사 단면을 가지며, 각 광변조 장치에서 변조된 각 색광을 합성하는 색합성 광학 장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 및 상기 광속 입사 단면 사이에는 상기 광변조 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환하는 광학 변환막이 형성된 기판을 갖는 광학 변환 소자가 개재 배치되며,
    상기 광변조 장치는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위치 조정용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색합성 광학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속 입사 단면과 교차하는 상기 색합성 광학 장치의 한 쌍의 단면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에 설치된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받침대에 상기 광학 변환 소자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되고,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변조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상기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하는 광변조 소자와, 이 광변조 소자의 화상 형성 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 프레임은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광변조 소자를 접착하는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저장부는 연속한 홈형의 홈부 또는 점재하는 크레이터형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상기 광변조 소자의 광속 입사측 및/또는 광속 사출측의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광변조 소자의 표면으로의 먼지 부착을 방지하는 광투과성의 방진판을 구비하고,
    상기 방진판은 그 외주 가장자리에 마련된 열전도성 접착 재료를 통해 상기 유지 프레임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접착 재료는 실리콘계 접착제, 땜납, 경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판과 상기 유지 프레임은 프레임형의 실리콘 고무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광변조 장치를 지지가능한 소정 면적을 갖는 접촉면이 광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상기 광속 입사 단면 또는 상기 광변조 장치의 기판면에 접착되어, 상기 색합성 광학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하는 광변조 소자와, 이 광변조 소자의 광변조제어용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케이블에는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광변조 소자와 접속된 열전도 피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
  11. 제 1 항에 따른 광학 장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여,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광변조 장치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열전도판을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 장치는 광변조를 하는 광변조 소자와, 광변조 소자의 화상 형성 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열전도성의 탄성 재료를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장치의 광속 입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된 열전도성의 벽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광변조 장치에 광속이 조사되지 않는 상온 설정시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과 상기 벽체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광변조 장치로의 광속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열전도판이 열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이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장치의 광속 입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는 열전도성의 벽체를 가지며,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선단측은 상기 연장 방향에 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광변조 소자의 광속 입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이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된 열전도성의 벽체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구부려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이 절곡부는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열전도 프레임을 통해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접속되고,
    상기 열전도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열전도판의 연장 방향에 관하여 진퇴 가능하게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8.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광학 장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여,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갖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9.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제 11 항에 따른 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0.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제 10 항에 따른 광학 장치와,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학 장치에 이르는 광로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품을 수납 배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광학 부품용 하우징을 갖는 광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용 케이블에 실시된 열전도 피복은 선단측이 상기 제어용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광학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 및/또는 상기 광학 부품용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유닛을 구성하는 광학 부품용 하우징과 상기 외장 케이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20-2003-0025585U 2002-08-08 2003-08-08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KR2003334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31123 2002-08-08
JP2002231123A JP3758622B2 (ja) 2002-08-08 2002-08-08 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686A Division KR20040014330A (ko) 2002-08-08 2003-08-07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25Y1 true KR200333425Y1 (ko) 2003-11-17

Family

ID=304377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686A KR20040014330A (ko) 2002-08-08 2003-08-07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KR20-2003-0025585U KR200333425Y1 (ko) 2002-08-08 2003-08-08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686A KR20040014330A (ko) 2002-08-08 2003-08-07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82480B2 (ko)
EP (1) EP1389019B1 (ko)
JP (1) JP3758622B2 (ko)
KR (2) KR20040014330A (ko)
CN (2) CN100403159C (ko)
DE (1) DE60317142T2 (ko)
TW (1) TWI243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622B2 (ja) * 2002-08-08 2006-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982551B2 (ja) * 2003-03-10 2007-09-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073911B2 (en) * 2003-03-14 2006-07-11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with improved heat radiation
TWI251712B (en) * 2003-08-15 2006-03-21 Prime View Int Corp Ltd Interference display plate
TW593127B (en) * 2003-08-18 2004-06-21 Prime View Int Co Ltd Interference display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103728B2 (ja) * 2003-08-26 2008-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956887B2 (ja) * 2003-12-19 2012-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151584B2 (ja) 2004-02-16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096904B2 (ja) * 2004-03-26 2008-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変調素子保持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511269B2 (ja) * 2004-07-21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165479B2 (ja) * 2004-09-08 2008-10-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7668415B2 (en) * 2004-09-27 2010-02-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circuitry on a backplate
US7573547B2 (en) * 2004-09-27 2009-08-11 Idc,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icro-structure of display array using spacers in gap within display device
US7405924B2 (en) * 2004-09-27 2008-07-29 Idc,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array using structurally reinforced back-plate
US7701631B2 (en) * 2004-09-27 2010-04-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having patterned spacers for backplat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46926B2 (en) * 2004-09-27 2008-11-04 Idc, Ll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regenerating protective coating in a MEMS device
US8124434B2 (en) 2004-09-27 2012-02-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ackaging a display
US7424198B2 (en) 2004-09-27 2008-09-09 Idc, Llc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a substrate
US7184202B2 (en) * 2004-09-27 2007-02-27 Idc, Llc Method and system for packaging a MEMS device
KR100680172B1 (ko) * 2005-04-12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기기의 광가이드장치
US9128519B1 (en) 2005-04-15 2015-09-08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Method and system for state-based control of objects
JP4229087B2 (ja) * 2005-05-26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4466515B2 (ja) * 2005-05-26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US7330223B2 (en) * 2005-06-01 2008-02-12 United Microdisplay Optronics Corp. Assembly and adjustment of optical kernel for LCD projectors
US7434946B2 (en) * 2005-06-17 2008-10-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llumination system with integrated heat dissipation device for use in display systems employing spatial light modulators
TW200705083A (en) * 2005-07-29 2007-02-01 Coretronic Corp Projector
JP4939779B2 (ja) * 2005-08-09 2012-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映像表示装置
EP1979268A2 (en) * 2006-04-13 2008-10-1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ackaging a mems device using a frame
JP5010311B2 (ja) * 2007-02-28 2012-08-2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KR101141087B1 (ko) 2007-09-14 2012-07-12 인텔렉츄얼 벤처스 홀딩 67 엘엘씨 제스처-기반 사용자 상호작용의 프로세싱
US8159682B2 (en) 2007-11-12 2012-04-17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Lens system
US20100039500A1 (en) * 2008-02-15 2010-02-18 Matthew Bell Self-Contained 3D Vision System Utilizing Stereo Camera and Patterned Illuminator
US8259163B2 (en) 2008-03-07 2012-09-04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Display with built in 3D sensing
US8595218B2 (en) * 2008-06-12 2013-11-26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Interactive displa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90323170A1 (en) * 2008-06-30 2009-12-3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Groove on cover plate or substrate
WO2010067451A1 (ja) * 2008-12-12 2010-06-17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用のユニット
US8368824B2 (en) * 2009-01-22 2013-02-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or
JP5499618B2 (ja) * 2009-04-22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5504683B2 (ja) 2009-04-27 2014-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0147652A1 (en) * 2009-06-19 2010-12-23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3d) projection
CN201568808U (zh) * 2009-07-31 2010-09-01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高效合光的舞台灯光照明装置
JP4939583B2 (ja) * 2009-09-09 2012-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付きサスペンション基板集合体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79392B2 (en) * 2009-10-23 2013-02-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based sealing and device packaging
KR101070988B1 (ko) 2009-11-09 2011-10-06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86351B1 (ko) 2010-01-21 2011-11-23 (주)씰링테크 조명장치
JP5533001B2 (ja) * 2010-02-16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464049B2 (ja) * 2010-05-25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投影装置
JP4940344B2 (ja) * 2010-10-25 2012-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6142501B2 (ja) * 2012-10-30 2017-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光学式センサ
JP6343994B2 (ja) * 2014-03-25 2018-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スキャナ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10281963B2 (en) 2014-12-22 2019-05-0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image display device
JP6451302B2 (ja) * 2014-12-22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6753046B2 (ja) * 2015-09-24 2020-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6596845B2 (ja) * 2015-03-06 2019-10-30 株式会社リコー 温度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車両
ES2902421T3 (es) 2015-05-06 2022-03-2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Compensación térmica en proyección de imagen
JP6604745B2 (ja) * 2015-05-15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変調素子ユニット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6924381B2 (ja) * 2017-09-26 2021-08-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防塵ケース、光源装置及び投影装置
CN111198471B (zh) * 2018-11-20 2021-06-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CN111856855B (zh) * 2019-04-29 2022-02-2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机模块与投影机
JP7429860B2 (ja) 2019-11-19 2024-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548A (en) * 1983-01-10 1996-01-09 Coble; Gary L. Insulated furnace door and wall panel system
JP3976812B2 (ja) 1995-03-09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照明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3767047B2 (ja) 1996-04-26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DE69734026T2 (de) * 1996-10-04 2006-03-30 Seiko Epson Corp. Projektionsanzeigevorrichtung
JP3454152B2 (ja) * 1998-06-22 2003-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2000089364A (ja) * 1998-09-09 2000-03-31 Seiko Epson Corp 光変調装置およびこの光変調装置を利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JP3608417B2 (ja) * 1999-02-02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それを利用した投写型表示装置
JP3596504B2 (ja) * 2000-09-28 2004-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変調装置の冷却構造、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758622B2 (ja) * 2002-08-08 2006-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3159C (zh) 2008-07-16
CN1495513A (zh) 2004-05-12
TW200405117A (en) 2004-04-01
JP3758622B2 (ja) 2006-03-22
US20040046940A1 (en) 2004-03-11
EP1389019B1 (en) 2007-10-31
CN2684234Y (zh) 2005-03-09
EP1389019A3 (en) 2005-04-20
JP2004070116A (ja) 2004-03-04
DE60317142T2 (de) 2008-02-07
EP1389019A2 (en) 2004-02-11
DE60317142D1 (de) 2007-12-13
TWI243272B (en) 2005-11-11
KR20040014330A (ko) 2004-02-14
US6882480B2 (en)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3425Y1 (ko) 광학 장치, 광학 유닛 및 프로젝터
KR100691072B1 (ko)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100536332B1 (ko)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100539865B1 (ko) 광 변조 장치,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100691079B1 (ko) 광원 장치 및 프로젝터
JP2007292924A (ja) 光学装置、および当該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079048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20050007556A1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4019718B2 (ja) 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3262917A (ja) 光学装置、およびこの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3195254A (ja) 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3669365B2 (ja) 光学装置、および、この光学装置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2004170512A (ja) 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40024A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124130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3195253A (ja) 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561289B2 (ja)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4026432B2 (ja) 光学装置、およびこの光学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5114997A (ja) 光学装置、およびリア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