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644A -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644A
KR20030027644A KR1020020030524A KR20020030524A KR20030027644A KR 20030027644 A KR20030027644 A KR 20030027644A KR 1020020030524 A KR1020020030524 A KR 1020020030524A KR 20020030524 A KR20020030524 A KR 20020030524A KR 20030027644 A KR20030027644 A KR 20030027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lkylene oxide
oxide derivative
external prepara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026B1 (ko
Inventor
오모리다카시
오카모토도루
가코키히로유키
미야하라레이지
난바도미유키
나카네도시히코
하마노요헤이
다케오카에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89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77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3002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에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m 및 n은 각각 1≤m≤70, 1≤n≤70이고, AO와 EO의 합계에 대한 EO의 비율은 20~80중량%이다. R1, R2는 각각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다.)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 이외에 끈적임 개선효과, 경피(經皮)흡수 촉진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청량제를 병용하면, 청량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고, 또 피부자극성이 없어 사용감촉도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외용제{SKIN TREATMENT COMPOSITION}
본 출원은 2001년 9월 28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2001-304029호, 2002년 3월 27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2002-89259호 및 2002년 3월 29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2002-9509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여기에 기재한다.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특히 유효성분으로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포함하고,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 양호한 사용감, 경피흡수 촉진효과, 청량효과 지속성을 갖고, 피부자극성이 없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의 유지가 불가결하여 보습을 목적으로 한 피부외용제가 수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 피부외용제의 사용감으로서는 매끈함이 있고 끈적임이 없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보습제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예를 들면 화장수나 유액 등, 각종 용도에 이용되고 있는 보습제로서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이 글리세린은 보습효과 이외에 피부 거칠음을 개선하는 효과도 갖는다.
그러나 글리세린은 보습효과·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배합량을 늘리지 않으면 안 되고, 그 결과 계가 불안정하게 되거나, 사용성이 나빠지거나, 또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지에 의해 겉돌아 피부로의 친화감이 나빠지는 등의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또 글리세린 이외의 보습제로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크실리톨 등의 폴리올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올류는 글리세린에 비하면 사용감촉, 예를 들면 끈적임은 적지만, 보습효과나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는 낮고, 또 글리세린과 같이,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지에 의해 겉돌아 피부로의 친화감이 나빠지는 등의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멘톨이나 캄퍼로 대표되는 청량제는 피부에 상쾌한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해 범용되는 것 이외에, 부종이나 혈행불량, 점막종창 등의 개선, 국소소염, 진양, 진통 등을 목적으로 해서도 배합되고 있다.
멘톨이나 캄퍼는 외용제 기재로부터 휘산되어 그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들 농도가 낮으면 효과가 지속되지 않고,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 청량제의 농도를 높이면 피부자극이 너무 강해서 따끔거림이나 발적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근래에는 목원의 눈언저리 부종이나 처짐의 개선·예방, 졸음방지, 코막힘 개선 등의 목적으로 눈언저리나 입언저리 등에 도포하는 제품도 많다. 이와 같이 점막에 가깝고 비교적 민감한 부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청량제의 배합량은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에, 청량효과의 지속성이 높은 제제(製劑)를 얻는 것은 보다 곤란했다.
물론, 이와 같은 피부외용제에 있어서도 그 사용감촉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매끈함이나 축축함, 끈적임 없음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의 하나는 보습,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와 사용감의 양립을 꾀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그 목적의 하나는 청량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고, 또 따끔거림 등의 피부자극성이 없고 사용감촉이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글리세린에 대한 경피흡수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크실리톨에 대한 경피흡수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무에 따른 멘톨방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계(a) 및 배합계(b)에 있어서 멘톨방출의 모델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피부외용제에 특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면, 사용감촉, 특히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고, 또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는것을 발견했다. 또, 더욱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와 함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병용하면, 보습제의 경피흡수가 촉진되어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상승적으로 현저하게 향상하고, 또 보습제에 기인하는 끈적임도 개선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알부틴 등의 미백제에 대해서도 경피흡수 촉진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피부외용제 중에 청량제와 함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면, 청량효과의 지속성이 향상되고, 또 피부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촉에도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m 및 n은 각각 상기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몰수이고, 1≤m≤70, 1≤n≤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80중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블록형상으로 부가되어도 랜덤형상으로 부가되어도 좋다. R1, R2는 동일 또는 달라도 좋은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R1및 R2의 탄화수소기 수에 대한 수소원자수의 비율이 0.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가 랜덤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를 0.01~70중량%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보습제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거칠음 개선제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끈적임 개선제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경피흡수 촉진제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친수성약제를 함유하고, 또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친수성약제의 경피흡수 촉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친수성 약제가 보습제인 것이 적합하고, 또한 보습제가 글리세린 또는 크실리톨인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친수성 약제가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및 아스콜빈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경피흡수 조절제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외용제는 청량제와, 상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0.1~80중량%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청량제가 멘톨 또는 캄퍼인 것이 적합하다.
또, 청량제를 0.001~20중량% 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사람 피부의 보습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한 피부외용제를 사람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사람피부의 피부 거칠음 개선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한 피부외용제를 사람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외용제의 끈적임 개선방법은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효량을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친수성약제의 경피흡수 촉진방법은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효량을 친수성약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에 배합하고 이것을 사람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화학식 1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있어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구체적으로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옥시이소부틸렌기, 옥시트리메틸렌기, 옥시테트라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m은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몰수이고, 1≤m≤70, 바람직하게는 2≤m≤20이다. n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몰수이고, 1≤n≤70, 바람직하게는 2≤n≤2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에틸렌기가 0이면 촉촉한 감이 떨어지거나,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70을 넘으면 끈적임이 생겨서 맨질맨질한 감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20~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20중량% 미만이면 촉촉한 감이 떨어지거나,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80중량%를 넘으면 맨질맨질한 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가 부가되는 순서는 특별히 지정은 없다. 또 옥시에틸렌기와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는 블록형상으로 부가해도 랜덤형상으로 부가해도 좋다. 블록형상에는 2단블록 뿐만아니라, 3단 이상의 블록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랜덤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R1및 R2는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로서,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이다. 탄소수 5 이상의 탄화수소기는 친수성이 저하되고, 촉촉한 감이 저하되거나,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R1, R2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R1및 R2는 각각 1종만을 이용해도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와 수소원자가혼재되어도, 이종의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가 혼재되어도 좋다. 단, R1및 R2의 탄화수소기 중, 탄화수소기와 수소원자의 존재비율은 탄화수소기의 수(X)에 대한 수소원자의 수(Y)의 비율 Y/X가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Y/X의 비율이 0.15를 넘으면 끈적임이 생긴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공지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에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후, 할로겐화알킬을 알칼리촉매의 존재하에 에테르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면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발휘한다. 또, 더욱 글리세린 등의 다른 보습제를 배합한 경우에는 그 끈적임을 억제하는 효과를 인식할 수 있다. 공존할 수 있는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크실리톨, 솔비톨, 멀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젖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단쇄(短鎖)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PO부가물, 장미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전등싸리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또, 다른 보습제의 각질 침투성을 촉진하는 작용도 갖는다. 따라서, 피부외용제 중에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와 다른 보습제를 병용하면, 그 상승효과에 의해 매우 높은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습제로서는 상기 기재한 것을 들 수 있는데, 특히 글리세린, 크실리톨이 바람직하다.
보습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제 전량중 0.001~20.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보습제 이외의 친수성 약제, 예를 들면 알부틴 등의 미백제에 대해서도 각질침투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외용제 중 통상 0.01~70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40중량% 정도 배합된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배합에 의한 효과의 발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 70중량%를 넘으면 사용후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청량제로서는 피부에 도포한 때에 기제로부터 휘산되어 피부에 상쾌한 청량감을 주고, 부종이나 처짐 등의 개선효과, 소염효과, 진통효과, 진양(鎭痒)효과 등(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것을 종합하여 청량효과라 한다)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외용제에 배합가능한 약제(주로 텔펜계 또는 그것에 유사한 성분)를 의미한다. 또,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이나, 휘발성 유분 등의 휘발성 용매도 청량감을 부여하는데, 이러한 것은 통상 청량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물론 청량제와 병용하는 것에 문제는 없다).
바람직한 청량제로서는 멘톨, 캄퍼이다. 멘톨, 캄퍼는 천연품 및 합성품 모두 사용가능하다. 멘톨에는 l-멘톨, dl-멘톨, 박하유 등이, 캄퍼에는 d-캄퍼, dl-캄퍼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종 이상의 청량제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로의 청량제의 배합량은 외용제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0.001~2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이다. 청량제의 피부외용제로의 배합은 상법(常法)에 따라 실행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가용화, 분산, 유화(乳化) 등 어느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청량제는 외용제 중 용해상태에서 존재하고 있는 편이 사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외용제 기제는 청량제가 용해되도록 적당한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이나 유분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청량제의 효과의 지속성을 높이고, 따끔거림 등의 피부자극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 작용기작은 분명하지 않지만,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의 존재에 따라 피부외용제 기제로부터 청량제가 조금씩 휘산되어 마일드한 청량감이 장시간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청량제와 병용할 때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제 전량중 0.1~8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40.0중량%이다. 너무 적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사용후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상기 필수성분을 기존의 피부외용제 기제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상기한 필수구성성분 외에 통상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분말성분, 액체유지, 고체유지, 납,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알콜, 다가알콜, 당(糖), 아미노산, 유기아민, 고분자 에멀젼, pH조제제, 피부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고, 목적으로 하는 제형(劑形)에 따라 상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배합가능성분을 열거하는데, 상기 필수배합성분과, 하기 성분의 임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를 조정할 수 있다.
분말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분말(예를 들면, 타르크, 카오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큐라이트,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 바륨,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규산 스토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오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 칼슘(석고), 인산 칼슘, 불소 인회석, 히드록시 인회석, 세라믹 파우더, 금속비누(예를 들면, 밀스틴산 아연, 팔미틴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분말(나일론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분말, 폴리스틸렌 분말, 스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벤조 구아나민 수지분말, 폴리사불화 에틸렌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백색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적색계 안료(예를 들면,산화철(벤가라), 티탄산철 등); 무기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산화 티탄 등); 무기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코티드 마이카, 산화티탄코티드 옥시염화비스마스, 산화티탄코티드 타르크, 착색산화 티탄코티드 마이카, 옥시염화 비스마스, 생선비늘(魚鱗箔) 등); 금속분말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카퍼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주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액체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바다거북)유, 마카데미아넛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평지유, 난황유, 참깨유, 살구유, 소맥배아유, 산단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잇꽃유, 면실유, 들깨유, 콩유, 땅콩유, 차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 일본오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유,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牛脚脂),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납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납, 칸델리라 왁스, 면랍,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경랍, 몬탄 왁스, 당랍, 라노린, 카폭 왁스, 초산라노린, 액상 라노린, 사탕수수 왁스, 라노린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노린, 질경이 왁스, 경질 라노린, 셸락 왁스, POE라노린알콜에테르, POE라노린 알콜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노린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 라노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밀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直鎖)알콜(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밀리스틸알콜, 올레일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 분기쇄 알콜(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노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카놀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밀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밀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 헥실, 밀리스틴산 밀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젖산세틸, 젖산밀리스틸, 초산라노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밀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밀리스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구연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사슬형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망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변성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폴리실록산, 알킬변성폴리실록산,불소변성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밀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숙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 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리니아도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리니아도데실벤젠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아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밀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필설폰산염; 고급지방산에스테르설폰산염; 이급알콜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사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노리늄염, 디알킬몰리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미니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티록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라울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솔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사과산 등);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솔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솔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솔비탄테트라올레이트 등); POE솔비트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솔비트모노라울레이트, POE-솔비트모노올레이트, POE-솔비트펜타올레이트, POE-솔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타놀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水添)라노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 말레인산 등); POE-밀랍·라노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솔비트밀랍 등); 알카놀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 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갈락탄, 구아 고무, 캐롭 고무, 카라야 고무, 카라기난, 펙틴, 칸텐, 퀸스시드(말메로), 알게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글리틸리틴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키산탄 고무,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제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 셀룰로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셀룰로스, 셀룰로스말(末)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카티온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카라야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캐롭 고무, 퀸스시드(말메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토빈 고무, 구아 고무, 타마린트 고무,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스, 키산탄 고무,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AlMg(비고무), 라포나이트,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 PABA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 안토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톤라닐레이트 등); 살리틸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놀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굴로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콜빈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초산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콜, t-부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2가의 알콜(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 알콜(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알콜(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등); 5가 알콜(예를 들면, 크실리톨 등); 6가 알콜(예를 들면, 솔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콜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 알콜 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콜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알콜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실알콜, 세라킬알콜, 바틸알콜 등); 당알콜(예를 들면, 솔비톨, 멀티톨, 말트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오스, 에리스리톨, 글루코스, 과당, 전분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분해 당환원 알콜 등); 글리소리드; 테트라하이드로프루프릴알콜; POE-테트라하이드로프루프릴알콜;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스, D-에리톨로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크실로스, L-리키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스, D-리브로스, D-크실로스, L-크실로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스, D-타로스, D-부시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스, D-타가토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알도헵토스, 헤프로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옥투로스 등); 데옥시당(예를 들면,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듀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군티아노스, 움베리페로스, 락토스, 플란테오스, 이소릭노스류, α, 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리크노스류, 운비리신, 스타키오스베르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퀸스시드, 콘드로이틴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 고무, 헤파란황산, 히알론산, 트래거캔스 고무,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키산탄 고무, 무코이틴황산, 구아 고무,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 고무, 서크시아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스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진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루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루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아라닌나트륨, 글루타치온,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몰포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에멀젼, 폴리아크릴산에틸에멀전, 아크릴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전, 폴리초산비닐수지에멀전, 천연고무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젖산-젖산나트륨, 구연산-구연산나트륨, 숙신산-숙신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콜빈산, 말레인산, 말론산, 숙신산, 푸말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사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이외의 배합가능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실리진산 유도체, 글리실리진산 유도체, 살리틸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아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트라넥삼산, 아스콜빈산글루코시드, 아스콜빌산인산마그네슘, 에틸비타민 C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백, 황련, 자근, 작약, 당약, 버치, 샐비어,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튜울립, 사프란, 천궁, 쇼큐,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얄제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와레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디스 팅크제,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딜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코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유황, 치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제형은 임의이고,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수-유이층계, 수-유-분말삼층계, 젤, 미스트, 스프레이, 무스, 롤온 등과 같은 제형이어도 상관없다. 부직포 등의 시트에 함침 또는 도포한 제제 등도 가능하다. 또, 그 제품형태도 임의이고,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립크림 등의 페이셜화장료;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섀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보디화장료; 향방화장료; 클렌징, 보디샴프 등의 피부세정료; 헤어 리퀴드, 헤어 토닉, 헤어콘디셔너, 샴프, 린스, 육모료 등의 두발화장료; 연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데, 그에 앞서 평가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콘덕턴스측정에 의한 시험법」
10명의 패널의 전완부(前腕部)를 이용하여 도포전과 도포후 30분, 60분후, 120분 후의 피부콘덕턴스를 측정하고, 이 변화율에서 보습효과를 평가했다. 또, 피부콘덕턴스의 변화율은 이하의 화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고, 각층(角層)의 흡수성, 수분유지능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변화율이 작으면 각층 수분의 증가가 있어 보습효과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콘덕턴스 측정에 의한 시험」의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10명의 콘덕턴스 변화율의 평균: 0 이상 0.1 미만
○…패널 10명의 콘덕턴스 변화율의 평균: 0.1 이상 0.2 미만
△…패널 10명의 콘덕턴스 변화율의 평균: 0.2 이상 0.5 미만
×…패널 10명의 콘덕턴스 변화율의 평균: 0.5 이상
「평가(1): 피부의 매끈함」
사용중 및 사용후의 피부의 매끈함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패널 8명 이상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가 매끈하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가 매끈하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가 매끈하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가 매끈하다고 인정했다.
「평가(2): 피부로의 끈적임 없음」
사용중 및 사용후의 피부로의 끈적임 없음을 전문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시험을 실시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패널 8명 이상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로의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로의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로의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미만이 사용중 및 사용후 피부로의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평가(3): 보습효과감」
사용 120분후의 보습효과감의 유무를 전문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시험을 실시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패널 8명 이상이 보습효과감이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보습효과감이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보습효과감이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미만이 보습효과감이 있다고 인정했다.
「평가(4):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시험」
얼굴(부위: 뺨)에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고 있는 10명의 패널에 의해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시험을 실시했다. 시험법은 좌우의 뺨에 다른 화장수를 1주간 도포하고, 그 기간 종료 후의 익일에 판정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8명 이상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평가(5): 피부자극시험 A」
10명의 패널의 상완(上腕)내측부에 24시간의 폐쇄패치를 실행하고, 그 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균값을 산출했다.
0…전혀 이상이 인식되지 않았다.
1…약간 붉은기가 인식된다.
2…붉은기가 인식된다.
3…붉은기와 구진이 인식된다.
「피부자극시험 A」의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10명의 평균값: 0 이상 0.1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1 이상 0.15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15 이상 0.2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2 이상
「평가(6): 피부로의 친화감의 양호」
사용중의 피부로의 친화감의 양호를 전문패널 10명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패널 8명 이상이 사용중 피부로의 친화감이 좋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중 피부로의 친화감이 좋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중 피부로의 친화감이 좋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미만이 사용중 피부로의 친화감이 좋다고 인정했다.
「평가(7): 피부자극시험 B」
10명의 패널의 상완내측부에 시료를 도포한 때의 따끔거림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서 채점을 실행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0…전혀 따끔거림이 인식되지 않는다.
1…약간 따끔거림 또는 붉은 기가 인식된다.
2…따끔거림 또는 붉은기가 인식된다.
3…따끔거림 및 붉은기가 인식된다.
「피부자극시험 B」의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10명의 평균값: 0 이상 0.1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1 이상 0.15미만
△…페날 10명의 평균값: 0.15 이상 0.2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2 이상
「평가(8): 청량효과의 지속성」
사용후 120분 후의 청량감의 유무를 전문패널 10명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패널 8명 이상이 청량감의 지속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청량감의 지속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청량감의 지속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패널 3명 미만이 청량감의 지속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합성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PO)]는 랜덤형상 결합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시험에서 이용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이하의 합성예에 준하여 제조한 것이다.
합성예 1 랜덤 폴리머의 합성예
폴리옥시에틸렌(10몰)폴리옥시프로필렌(10몰)디메틸에테르(화합물 2)
프로필렌글리콜 76g과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3.1g을 오토크레이브 중에 들여놓고, 오토크레이브 중의 공기를 건조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40℃에서 촉매를 완전히 용해했다. 다음에 적하장치에 의해 에틸렌옥시드 440g과 프로필렌옥시드 522g의 혼합물을 적하시켜 2시간 교반했다. 다음에 수산화칼륨 224g을 들여놓고, 계내를 건조질소로 치환한 후, 염화 메틸 188g을 온도 80~130℃로 압입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오토크레이브에서 반응조성물을 취출하고, 염산으로 중화하여 pH6~7로 하고, 함유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0.095MPa(50mmHg), 100℃에서 1시간 처리했다. 또 처리 후 생성한 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실행하고, 화학식 3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얻었다.
염화메틸을 반응시키기 전에 샘플링하고 정제한 것의 수산기가(水酸基價)가 107, 얻을 수 있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수산기가가 0.4, 말단메틸기수에 대한 수소원자수의 비율은 0.004로, 거의 완전히 수소원자가 메틸기로 변환되었다.
합성예 2 블록폴리머의 합성
폴리옥시에틸렌(10몰)폴리옥시프로필렌(10몰)디메틸에테르(화합물 13)
프로필렌글리콜 76g과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3.1g을 오토크레이브 중에 들여놓고, 오토크레이브 중의 공기를 건조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40℃에서 촉매를 완전히 용해했다. 다음에 적하장치에 의해 프로필렌옥시드 522g을 적하시켜2시간 교반했다. 이어서 적하장치에 의해 에틸렌옥시드 440g을 적하시켜 2시간 교반했다. 다음에, 수산화칼륨 224g을 들여놓고, 계내를 건조질소로 치환한 후, 염화메틸 188g을 온도 80~130℃에서 압입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오토크레이브에서 반응조성물을 취출하고 염산으로 중화하여 pH6~7로 하고,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0.095MPa(50mmHg), 100℃에서 1시간 처리했다. 또 처리후 생성한 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실행하여 화학식 4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얻었다.
염화메틸을 반응시키기 전에 샘플링하고, 정제한 것의 수산기가가 110, 얻을 수 있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수산기가가 0.3, 말단메틸기수에 대한 수소원자수의 비율은 0.003으로, 거의 완전히 수소원자가 메틸기로 변환되었다.
I. 보습·피부 거칠음 개선효과
우선, 본 발명자들은 각종 보습제 각 10% 수용액에 대해 상기 기준에 의해 콘덕턴스의 평가를 실행했다.
화합물 30분후 60분후 120분후
CH3O[(EO)6/(PO)14]CH3
CH3O[(EO)15/(PO)5]CH3
CH3O[(EO)25/(PO)25]CH3
이온교환수 × ×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이 결과, 1,3-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일반적인 보습제에 비교하여 양 말단에 탄화수소기가 결합한 EO/PO 유도체가 보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대해 검토를 진행했다. 우선, 하기 시험용 기본조성 A를 이용하여 그 피부외용제로서의 평가를 실행했다.
시험용 기본조성 A
에탄올 2중량%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니코틴산아미드 0.3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0.5
정제수 잔여
[R1, R2의 결정]
우선, 본 발명자들은 R1, R2와 피부외용제로서의 적성과의 상관에 대해 검토했다.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또, 어느 화합물이나 EO, PO부는
[(EO)10/(PO)10]
를 이용하고 있다. 또, 각 화합물의 배합량은 상기 기본조성 A에 대해 5중량%이다.
화합물 R1 R2 매끈거림 끈적임 보습 피부 거칠음 자극성 A
평가(1) (2) (3) (4) (5)
1 H H × × ×
2 CH3 CH3
3 C2H5 CH3
4 C4H9 C4H9
5 C6H13 CH3
6 C12H25 CH3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 R2의 양자의 탄소수가 1~4인 경우(화합물 2, 3, 4)에는 모두 우수한 보습효과, 사용감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R1, R2가 수소인 경우(화합물 1)에는 끈적임이 강하고, 또 R1이 C12인 경우(화합물 6)에는 보습성, 사용감 모두 바람직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R1, R2의 탄소수의 합이 7이고, 화합물 4보다도 적은 경우에도 R1,가 C6이 되면(화합물 5) 역시 보습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제에는 R1, R2모두 탄소수가 1~4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필요하다.
또, 실제의 제조에 있어서 R1, R2모두가 탄화수소기에 의해 치환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미치환(H)의 화합물의 허용존재비율에 대해 검토를 실행했다. 또, 미치환의 비율은 탄화수소기의 수(X)에 대한 수소원자의 수(Y)의 비율 Y/X로 나타낸다. 하기 표 3중, 1:2=5:95는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5:95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Y/X를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 R1 R2 Y/X 끈적임(평가2)
1 H H -
2 CH3 CH3 0.004
1:2=5:95 0.053
1:2=20:80 0.202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 R2에 대해 미반응인 것이 존재해도 그 양이 적으면(Y/X=0.053) 큰 영향은 없지만, Y/X가 0.202가 되면 명백하게 끈적임이 생긴다. 또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의 결과, Y/X는 0.15이하인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존재와 피부외용제(상기 기본 조성 A에 대해 5중량% 배합)로서의 적성에 대해 검토를 실행했다.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낸다. 또, 화합물 7~11에 대해서는 R1, R2가 CH3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화합물 EO PO 평가(1) (2) (3) (4) (5)
7 20 0 × ×
8 15 5
2 10 10
9 6 14
10 0 20 조정곤란(저수용성)
11 25 25
12 화학식 5 × ×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양자의 존재가 본 발명의 보습성, 사용성에 불가결하고, 화학식 5에 나타낸 화합물 12도 효과가 낮은 점에서 단순히 친수성, 소수성(疏水性)의 조정효과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의 더 상세한 검토에 의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적합한 비율은 20~80중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동일 알킬렌기수, 옥시에틸렌기수로 블록폴리머, 랜덤폴리머를 제조하고, 그 비교를 실행했다.
화합물 끈적임(평가2)
13 CH3O(EO)5(PO)10(EO)5CH3
2 CH3O[(EO)10/(PO)10]CH3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록폴리머여도 랜덤 폴리머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특히 랜덤 폴리머인 경우에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피부외용제로의 배합량]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피부외용제(상기 기본처방 A)로의 배합량에 대해 더 검토를 실행했다.
평가항목 화합물 8 배합량(%)
0 0.01 0.5 5.0 40.0 70.0
평가 1 ×
평가 2 ×
평가 3 ×
평가 4 ×
평가 5 ×
표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화합물의 첨가효과는 0.01중량% 정도에서 인식되지만, 특별히 현저하게 인식되는 것은 0.5중량% 이상이다. 단, 70중량%가 되면, 약간 끈적임이 생기기 시작하기 때문에, 40중량% 정도까지의 배합이 적합하다.
[끈적임 개선효과]
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관해 각종 배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에 보이는 끈적임 개선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표 6에 있어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 시험구에 있어서도 글리세린 등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인식된다. 이에 대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부가하면, 단순히 끈적임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보습제에 기인하는 끈적기림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경피흡수 촉진효과]
하기 표 7과 같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나 글리세린은 그 자체가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갖지만, 그 병용계에 있어서는 그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상승적으로 현저하게 개선된다.
조성 배합량(%)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5 - 5
글리세린 - 5 5
이온교환수 95 95 90
콘덕턴스 측정평가(120분 후)
*CH3O[(EO)15/(PO)5]CH3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검토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글리세린 등의 다른 보습제의 각질침투 촉진작용이 있는 것도 판명했다. 즉, 도 1과 같이, 글리세린 단독인 경우(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병용한 경우(시료 2)쪽이 글리세린의 침투량이 약 40% 증대했다. 도 1의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피험시료
시료 1(대조군) 시료 2
글리세린 10% 10%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0 5
이온교환수 90 85
*CH3O[(EO)15/(PO)5]CH3
(2)시험방법
시험은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해 실행했다. 테이프 스트리핑법은 약물을 도포 후, 각층을 테이프로 박리하고, 각층 내의 약물농도를 구하는 수법으로, 사람피부의 약물흡수량을 견적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구체적으로는 하기 (1)~(7)의 순서로 조작을 실행하고, 테이프로 박리한 각층에서의 글리세린 회수량에서 글리세린의 침투성을 조사했다. 또, 시험은 4명의 패널에 의해 실행하고, 그 평균값으로 평가했다.
(1) 패널의 양완(兩腕) 전완내측부를 비누세정.
(2) 시료도포(20ml/20㎠). 전완내측부에 있어서, 우완은 손목에 가까운 쪽에 시료 1, 주관절에 가까운 쪽에 시료 2를 도포한다. 좌완은 시료 1, 2가 우완과 반대 위치가 되도록 도포한다.
(3) 4시간 방치.
(4) 양완 전완내측부 비누세정.
(5) 각층 테이프 스트리핑(8층).
(6) 테이프에서 이온교환수로 글리세린을 추출.
(7) 글리세린 정량(HPLC).
또,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대신에 크실리톨을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검토를 실행했다. 또, 시험방법은 (3) 방치시간을 6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글리세린에 있어서 테이프 스트리핑법과 같았다. 이용한 시료는 하기 표 9와 같았다.
시료 3(대조군) 시료 4
에탄올 5 5
글리세린 6 6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크실리톨 3 3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0 5
이온교환수 81 76
*CH3O[(EO)15/(PO)5]CH3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4명의 패널 A~D의 누구에게 있어서도,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의 시료 3(대조군)에 비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시료 4) 쪽이 각층으로의 크실리톨 침투량이 증가했다.
이상의 점에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글리세린이나 크실리톨 등의 보습제 등에 대해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 이외의 친수성약제에 대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알부틴(하이드로퀴논-β-D-글루코피라노시드)을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검토를 실행했다. 또, 시험방법은 상기 글리세린에 있어서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준했다. 이용한 시료와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시료 5(대조군) 시료 6
글리세린 10 10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0 10
알부틴 6 6
페녹시에탄올 0.3 0.3
에탄올 10 10
이온교환수 73.7 63.7
알부틴 회수량(㎍) 0.9 4.6
글리세린 회수량(㎍) 129.7 156.8
*CH3O[(EO)15/(PO)5]CH3
표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의 시료 5(대조군)에 비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시료 6) 쪽이 알부틴, 글리세린 모두 각층으로의 침투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상의 점에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알부틴 등의 미백제 등에 대해서도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경피흡수 촉진효과를 발휘하는 작용기작은 분명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보습제나 미백제 등의 친수성 약제와 기제와의 친화성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경피흡수를 촉진하고 있지는 않은가라고 추찰된다.
즉, 이론적으로는 약제의 기제 중에 있어서 활량이 큰만큼 약물의 피부투과속도는 커지기 때문에, 약제의 포화용해도 이하의 영역에서는 약제와 기제와의 친화성을 저하시키는(약제와 기제와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의 차를 넓히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분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의 특징으로서 높은 수용성(물로의 용해도 100% 이상)과 함께, 높은 지용성도 갖는(에스테르유로의 용해도 100% 이상)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용해특성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의 화학구조에 유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용성과 지용성을 겸하여 구비한 수성기제로 수성기제에 배합하여 기제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고, 또 피부외용제의 기제로서 우수한 적성을 갖는 것은 여태까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를 수성기제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기제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크게 변화하여 보습제와 같은 친수성 약제와 기제와 친화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그 결과 각질 침투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찰된다. 따라서, 친수성 약제로서 보습제와 같이 수용성이고 또한 피부에 침투하여 효과를 발휘하는 약제, 예를 들면 수용성 비타민이나 아미노산, 미백제 등을 이용하면, 그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경피흡수촉진을 기대할 수 있는 약제로서는 친수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성, 지용성을 나타내는 물/옥탄올 분배계수(logP값)를 하나의 지표로 하면, 0 이하의 것이 유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logP값 -1.0이하의 수용성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배당체 및 유도체, 아스콜빈산 및 그 유도체, 살리틸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logP값이란 Chemical Reviews vol.71(6), 525(1971) 등에서 정의되어 있는 물과 옥탄올로의 물질의 분배 용이성에 의해 극성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한편, 비교적 각질투과성이 높은 지용성 약제에 대해서는 반대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경피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용성 약제가 수성기제 중에 가용화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경우,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첨가에 의해 기제와 약제와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차가 축소되어 약물과 기제와의 친화성이 높아져 각질 침투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능한한 피부에 침투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 지용성 약제(예를 들면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등)에 대해서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배합에 의해 경피흡수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다. 경피흡수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는 약제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옥탄올 분배계수(logP값)가 0.5 이상의 것이 유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logP값 1.0 이상의 지용성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수성기제 중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 보습제나 미백제와 같은 친수성 약제에 대해서는 경피흡수 촉진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방부제나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지용성 약제에 대해서는 경피흡수 억제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유성기제 중에 있어서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이러한 것과 반대 작용을 발휘한다고 추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경피흡수 조절제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는 EO쇄와 AO쇄의 수나 비율에 의해 그 성질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으로 하는 약제에 맞춰서 적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외용제의 적합한 배합예에 대해 설명한다.
배합예 1 크림
A. 유상
스테아린산 10.0 중량%
스테아릴알콜 4.0
스테아린산부틸 8.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0
비타민E아세테이트 0.5
비타민A팔미테이트 0.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2.0
마카데미아넛츠유 1.0
다실유 1.0
향료 0.4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13 5.0
글리세린 4.0
1,2펜타디올 3.0
히알론산나트륨 1.0
수산화칼륨 2.0
아스콜빈산인산마그네슘 0.1
L-알기닌염산염 0.01
에데트산삼나트륨 0.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의 유상부와 B의 수상부를 각각 70℃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다. A상을 B상에 부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한다. 유화물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을 수 있는 크림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2 크림
A. 유상
세탄올 4.0 중량%
바세린 7.0
이소프로필밀리스테이트 8.0
스쿠알란 15.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2
POE(20)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8
비타민E니코티네이트 2.0
향료 0.3
산화방지제 적량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2 10.0
글리세린 10.0
히알론산나트륨 0.02
디프로필렌글리콜 4.0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1.0
에데트산이나트륨 0.01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을 수 있는 크림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3 유액
A. 유상
스쿠알란 5.0 중량%
올레일올레이트 3.0
바세린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인산에스테르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20E0) 1.2
달맞이꽃유 0.5
향료 0.3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9 8.0
1,3부틸렌글리콜 4.5
에탄올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수산화칼륨 0.1
L-알기닌L-아스파라긴산염 0.01
에데트산염 0.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하여 유액을 얻었다. 얻을 수 있는 유액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4 파운데이션
A. 유상
세탄올 3.5 중량%
탈취라노린 4.0
호호바유 5.0
바세린 2.0
스쿠알란 6.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5
POE(60)경화피마자유 1.5
POE(20)세틸에테르 1.0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향료 0.3
B. 수상
화합물 8 2.0
프로필렌글리콜 10.0
조합분말 12.0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3초산3나트륨 1.0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을 수 있는 파운데이션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5 화장수
A.알콜상
에탄올 5.0 중량%
POE올레일알콜에테르 2.0
화합물 11 3.0
향료 0.05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9.5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0.5
니코틴산아미드 0.3
글리세린 5.0
디몰포리노피리다디논 0.1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의 알콜상을 B의 수상에 첨가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얻을 수 있는 화장수는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6 립스틱
(1) 카르나바 왁스 1.0 중량%
(2) 칸델리라 왁스 2.0
(3) 세레신 10.0
(4) 스쿠알란 잔여
(5)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9.0
(6) 디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13.0
(7) 화합물 9 5.0
(8) 실리콘수지 8.0
(9)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1.0
(10) 마카데미아넛츠유지방산콜레스테릴 3.5
(11) 합성규산나트륨마그네슘 0.5
(12) 소수성 실리카 0.5
(13) 정제수 2.0
(14) 질화붕소 10.0
(15) 색제 적량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제법 및 평가)
60℃로 가열한 (10)에 (11)~(12)를 분산시키고, 이것에 균일 용해한 (9)와 (13)을 부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별도로 가열용해해 둔 (1)~(8)에 이것을 부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더 (14)~(17)을 부가하여 분산교반하고, 그 후 용기에 충전하여 립스틱을 얻었다. 얻은 립스틱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7 유액
POE(20)POP(2)세틸알콜에테르 1.0 중량%
실리콘KF96(20cs) (信越化學社제) 2.0
유동파라핀 3.0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2.0
에틸알콜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0.1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
비타민A산 0.05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2.0
히드록시프로린 0.1
트레할로스 1.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증류수 잔량
(제법 및 평가)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유액을 제조했다. 얻을 수 있는 유액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8 수렴화장수
디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구연산 0.03
구연산소다 0.05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0.1
에틸알콜 15.0
폴리옥시에틸렌(15몰부가)올레일알콜에테르 0.5
히드록시프로린 0.03
트레할로스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증류수 잔량
(제법 및 평가)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화장수를 제조했다. 얻은 화장수는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9 크림
A. 유상
세탄올 2.0 중량%
바세린 2.0
스쿠알란 20.0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 2.0
Tween60(POE(20)모노스테아린산솔비탄) 3.0
이소프로필밀리스테이트 6.0
글리실레진산스테아릴 0.5
글리세린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0.05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0.05
BHT 0.01
방부제 0.3
향료 0.2
B. 수상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5.0
알킬렌옥시드유도체 0.1
히드록시프로린 0.05
트레할로스 5.0
에데트산삼나트륨 0.1
수산화칼륨 1.0
증류수 잔량
(제법 및 평가)
유상부 A 및 수상부 B를 각각 70℃로 가열하고, 완전용해한 후, 유상부 A를 수상부 B에 혼합하고, 유화기로 유화처리한다. 유화물을 열교환기에서 약 온도 30℃까지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을 수 있는 크림은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사용감촉, 특히 매끈함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효과·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 다른 보습제를 병용하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그 보습제의 각질침투성을 촉진하고, 보습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또, 미백제 등에 대해서도 경피흡수를 촉진한다.
II. 청량효과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청량제의 청량효과와 자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했다. 즉, 하기 시험용 기본조성 B로 피부외용제를 조제하고, 그 평가를 실행했다.
시험용 기본조성 B
(1) 에탄올 5.0 중량%
(2) 글리세린 3.0
(3) 1,3-부틸렌글리콜 5.0
(4) L-멘톨 0.1
(5) 피험화합물 5.0
(6) 정제수 잔여
피험화합물 자극 B 청량감 지속
평가 (7) (8)
CH3O[(EO)6/(PO)14]CH3
CH3O[(EO)16/(PO)5]CH3
CH3O[(EO)25/(PO)25]CH3
글리세린 ×
이온교환수 × ×
표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 등 일반적인 보습제를 배합하면, 청량제에 의한 피부자극(따끔거림)은 약간 개선되지만 청량감의 지속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또, 보습제의 증량에 의한 끈적임이 생길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양 말단에 탄화수소기가 결합한 EO/PO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에는 마일드한 청량감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하고, 피부자극(따끔거림)이나 끈적임도 인식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무에 의한 멘톨 방출성의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대조군은 에탄올 용액, 샘플은 10%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함유 에탄올 용액이고, 어느 용액도 멘톨의 초기농도는 1%였다.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로서는 (CH3O[(EO)15/(PO)5]CH3)를 이용했다. 양자의 용액을 실온에서 개방계로 방치하고, 경시적으로 샘플링을 실행하여멘톨의 농도를 측정하고 잔존율을 산출했다.
도 3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인 경우에는 당초 1시간 사이에 거의 멘톨이 한번에 방출된다. 이 때문에, 멘톨 효과의 지속성을 얻을 수 없고, 또 따끔거림도 생기기 쉽다. 이에 대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에는 멘톨이 제방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고, 또 따끔거림이 없고 마일드한 청량감이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청량제에 대한 작용기작은 분명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찰할 수 있다. 도 4에 멘톨을 함유하는 O/W 타입 유화조성물을 예로 한 모델도를 나타낸다.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무배합의 계(a)에서는 멘톨이 기세좋게 방출된다. 이에 대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한 계(b)에서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물과도 멘톨과도 친화되기 쉽기 때문에, 기제중에서 멘톨을 유지하고, 그 결과 멘톨이 조금씩 방출되어 마일드한 청량감이 지속되고 따끔거림 등의 자극이 저감된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대해 검토를 진행했다. 또, 각 시험에는 상기 기본조성에서 조제한 조성물 B를 이용했다.
[R1, R2의 결정]
우선,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R1, R2의 피부외용제로서의 적성과의 상관에 대해 검토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또, 어떤 화합물이나EO, PO부는
[(EO)10/(PO)10]
를 이용하고 있다.
피험화합물 친화감 매끈함 끈적임 자극 B 청량감지속
No. R1 R2 (6) (1) (2) (7) (8)
1 H H × × ×
2 CH3 CH3
3 C2H5 CH3
4 C4H9 C4H9
5 C6H9 CH3
6 C12H25 CH3
표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 R2양자의 탄소수가 1~4인 경우(화합물 2, 3, 4)에는 모두 청량감의 지속효과와 양호한 사용감촉이 인식되고, 따끔거림 등의 피부자극은 거의 없었다. 이에 대해 R1, R2가 수소인 경우(화합물 1) 및 R1이 C12인 경우(화합물 6)에는 어떤 평가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되었다. 한편, R1, R2의 탄소수의 합이 7이고, 화합물 4보다도 적은 경우에도 R1이 C6이 된다면(화합물 5) 사용촉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는 R1, R2모두 탄소수가 1~4인 탄화수소기인 것이 필요하다.
또, 실제의 제조에 있어서는 R1, R2모두 탄화수소기에 의해 치환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미치환(H) 화합물의 허용존재비율에 대해 검토를 실행했다.또, 미치환의 비율은 탄화수소기의 수(X)에 대한 수소원자의 수(Y)의 비율 Y/X로 나타낸다. 또, 하기 표 13 중, 1:2=5:95는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5:95의 비율로 혼합하고, 소정의 Y/X로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 친화감 매끈함 끈적임 자극 B 지속성
No. R1 R2 Y/X (6) (1) (2) (7) (8)
1 H H - × × ×
2 CH3 CH3 0.004
1:2=5:95 0.053
1:2=20:80 0.202
상기 표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 R2에 대해 미반응인 것이 존재해도 그 양이 적으면 (Y/X=0.053) 큰 영향은 없지만, Y/X가 0.202가 되면 명백하게 각 평가가 떨어진다. 또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의 결과, Y/X는 0.15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있어서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존재와, 피부외용제로서의 적성에 대해 검토를 실행했다. 결과를 다음 표 14에 나타낸다. 또, 화합물 2 및 화합물 7~11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에 있어서 R1=R2=CH3이다.
화합물 친화감 매끈함 끈적임 자극 B 청량감지속
No. EO PO (6) (1) (2) (7) (8)
7 20 0
8 15 5
2 10 10
9 6 14
10 0 20 조정곤란(저수용성)
11 25 25
12 화학식 5 * ×
(화학식 5)
표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양자의 존재가 본 발명의 효과에 불가결하다. 또, 화학식 5에 나타낸 화합물 12도 효과가 낮은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는 단순히 친수성, 소수성의 조정효과는 아닌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더욱 상세한 검토에 의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적합한 비율은 20~80 중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동일 알킬렌기수, 옥시에틸렌기수의 블록폴리머, 랜덤폴리머의 비교를 실행했다.
화합물 끈적임(평가 2)
13 CH3O(EO)5(PO)10(EO)5CH3
2 CH3O[(EO)10(PO)10]CH3
상기 표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록 폴리머여도 랜덤 폴리머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특히 랜덤 폴리머인 경우에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피부외용제로의 배합량]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피부외용제로의 배합량에 대해 더욱 검토를 실행했다. 상기 기본조성 B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8을 이용하여 배합량을 변화시켜 피부외용제를 조제했다. 증감은 정제수로 조정했다. 각 평가의 결과를 표 16에 나타낸다.
화합물 8 친화감 매끈함 끈적임 자극 B 청량감지속
배합량(%) (6) (1) (2) (7) (8)
0 × × × × ×
0.1
5.0
40.0
80.0
표 1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첨가효과는 0.1 중량% 정도부터 인식할 수 있지만, 특히 현저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은 5.0중량% 이상이다. 단, 80 중량% 이상이 되면, 약간 끈적임이 생기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40중량% 정도까지의 배합이 적합하다.
이하, 청량제를 배합한 피부외용제의 적합한 배합예에 대해 설명한다.
배합예 1 화장수
A. 알콜상
에탄올 5.0 중량%
POE올레일알콜에테르 2.0
화합물 6 3.0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0.18
l-멘톨 0.01
향료 0.05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9.5
피롤리돈카본산나트륨 0.5
니코틴산아미드 0.3
글리세린 5.0
정제수 to 100
(제법 및 평가)
A의 알콜상을 B의 수상에 첨가하여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얻은 화장수는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하였다.
배합예 2 유액(O/W)
A. 유상
스테아린산 3.0 중량%
세탄올 1.0
라노린유도체 3.0
유동 파라핀 5.0
2-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3.0
l-멘톨 0.3
d-캄퍼 0.1
POE세틸에테르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트리에탄올아민 1.0
화합물 2 20.0
정제수 to 100
(제법 및 평가)
수상 B를 혼합용해하여 70℃로 유지한다. 유상 A의 유분을 70~80℃에서 가열용해후, 그 외의 성분을 순차 첨가하여 70℃로 한다. 수상에 유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유화하고, 유액을 얻었다. 얻은 유액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하였다.
배합예 3 카마인로션
A. 에탄올상
에탄올 15 중량%
글리세린 2
1,3-부틸렌글리콜 2
화합물 13 10
향료 적량
B. 분말상
벤가라 0.15
산화아연 0.5
카오린 2.0
C. 수상
캄퍼 0.2
페놀 0.02
정제수 to 100
(제법 및 평가)
에탄올상 A를 혼합하여 용해한다. 수상을 혼합용해하고, 이것에 분말상, 에탄올상을 부가하여 교반하고, 분말을 분산시켜 카마인로션을 얻었다. 얻은 로션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하였다.
배합예 4 크림(O/W)
A. 유상
스테아릴알콜 6.0 중량%
스테아린산 2.0
수첨라노린 4.0
스쿠알란 9.0
옥틸도데카놀 10.0
l-멘톨 0.3
d-캄퍼 0.1
POE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PEG1500 4.0
화합물 2 20.0
정제수 to 100
(제법 및 평가)
수상 B를 혼합용해하여 70℃로 유지한다. 유상 A의 유분을 70~80℃에서 가열용해후, 그 이외의 성분을 순차 첨가하여 70℃로 한다. 수상에 유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입자를 균일하게 하여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은 크림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했다.
배합예 5 젤(수성 모이스쳐젤)
A. 보습제상
디프로필렌글리콜 7.0 중량%
POE올레일알콜에테르 2.0
l-멘톨 0.01
향료 0.05
방부제 적량
B. 수상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4
메틸셀룰로스 0.2
PEG 1500 8.0
화합물 2 3.0
수산화칼륨 0.1
갈색방지제 적량
킬레이트제 적량
색제 적량
정제수 to 100
(제법 및 평가)
정제수에 수용성 고분자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PEG 1500, 화합물 2, 갈색방지제, 색제, 킬레이트제를 첨가하여 수상 B를 조정한다. 다음에 디프로필렌글리콜에 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50~55℃에서 가열용해하고, 이것에 방부제, 향료, 멘톨을 부가한 보습제상 A에, 앞에 조정한 수상 B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한다. 최후에 알카리 수용액을 첨가하고, 중화를 위해 충분히 교반한다. 얻은 젤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하였다.
배합예 6 데오도란트 스틱(왁스계 스틱)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23.0 중량%
타르크 15.0
고형 파라핀왁스 2.0
스테아릴알콜 8.0
유동파라핀 14.5
고리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26.5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1.0
화합물 6 10.0
l-멘톨 0.01
향료 적량
(제법 및 평가)
유동파라핀에 고형 파라핀, 스테아릴알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가열융해하여 혼합한다. 또 분말, 화합물 6, l-멘톨, 고리형상 디메틸폴리실록산, 향료를 부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혼합하고, 형에 유입하여 냉각고화시킨다. 얻은 왁스계 스틱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했다.
배합예 7 헤어 토닉
고삼추출물(50%에탄올 추출액) (건조중량:0.04) 1.0 중량%
N,N-비스(2-히드록시에틸)-테트라코실아민옥시드 1.0
N,N-디메틸데실아민옥시드 1.0
화합물 13 5.0
히노키티올 1.0
비타민B6 0.2
비타민E아세테이트 0.02
멘톨 0.2
당약 엑기스 1.0
살리틸산 0.1
해당화 추출물(에탄올 추출액) 0.5
프로필렌글리콜 2.0
히알론산나트륨 0.01
폴리옥시에틸렌(10)모노스테아레이트 2.0
75% 에탄올 잔여
(제법 및 평가)
상기 처방을 이용하여 상법에 의해 헤어토닉을 조제했다. 얻은 헤어토닉은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자극성이 없으며, 사용감이 양호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량제와, 특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청량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고, 또 따끔거림 등의 자극이 없으며, 사용감촉도 양호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에서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m 및 n은 각각 상기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부가몰수이고, 1≤m≤70, 1≤n≤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80중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블록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랜덤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R1, R2는 동일 또는 달라도 좋은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R1및 R2의 탄화수소기수에 대한 수소원자수의 비율이 0.15 이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가 랜덤형상으로 부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를 0.01~70중량%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제.
  5.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제.
  6. 상기 화학시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끈적임 개선제.
  7.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피흡수 촉진제.
  8.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친수성약제를 함유하고, 또한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친수성 약제의 경피흡수 촉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친수성 약제가 보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보습제가 글리세린 또는 크실리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친수성 약제가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및 아스콜빈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2.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피흡수 조절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더욱 청량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시드 유도체(화학식 1)를 0.1~80중량%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청량제가 멘톨 또는 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량제를 0.001~20중량%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피부외용제를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피부의 보습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피부외용제를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피부의 피부 거칠음 개선방법.
  19.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효량을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의 끈적임 개선방법.
  20.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의 유효량을 친수성 약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에 배합하고, 이것을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약제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KR1020020030524A 2001-09-28 2002-05-31 피부외용제 KR100852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4029 2001-09-28
JPJP-P-2001-00304029 2001-09-28
JPJP-P-2002-00089259 2002-03-27
JP2002089259A JP3667707B2 (ja) 2002-03-27 2002-03-27 皮膚外用剤
JPJP-P-2002-00095092 2002-03-29
JP2002095092 200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44A true KR20030027644A (ko) 2003-04-07
KR100852026B1 KR100852026B1 (ko) 2008-08-13

Family

ID=2734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524A KR100852026B1 (ko) 2001-09-28 2002-05-31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25574B2 (ko)
EP (1) EP1283031B1 (ko)
KR (1) KR100852026B1 (ko)
CN (1) CN100408021C (ko)
DE (1) DE60224335T2 (ko)
TW (1) TWI32452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36B1 (ko) * 2008-06-24 2013-07-09 로레알 국부 적용을 위한 미백제, 수용성 미백 활성 성분에 대한 피부 침투 증진제, 및 피부를 미백하기 위한 방법
KR101407750B1 (ko) * 2006-05-23 2014-06-16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제
KR20170069241A (ko) * 2014-10-31 2017-06-2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023A (ja) * 2001-09-28 2003-04-1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用基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品
DE10205190B4 (de) * 2002-02-08 2017-06-08 Beiersdorf Ag 2-Methyl-1,3-propandiol haltige Zubereitungen
EP1590009B1 (en) * 2002-10-22 2012-06-06 Allegiance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skin-contacting surface of elastomeric articl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KR101275605B1 (ko) * 2004-10-06 2013-06-14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용 기제 및 그것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화장료
US8182793B2 (en) * 2004-12-18 2012-05-22 Concept Laboratories Sunless tanning products and processes
FR2882652B1 (fr) * 2005-03-03 2007-06-08 Jacqueline Fellous Composition pharmaceutique et/ou cosmetique, procede de preparation et creme pour les mains
BRPI0504797B1 (pt) * 2005-10-27 2020-02-04 Pele Nova Biotecnologia S A formulação tópica, método de tratamento cosmético para rejuvenescimento da pele, método de tratamento cosmético e uso de uma formulação
JP5395329B2 (ja) * 2006-06-12 2014-01-22 株式会社 資生堂 ゲル状組成物
EP2082729A1 (en) * 2006-09-29 2009-07-29 Shiseido Company, Lt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cleansing agent for skin
JP5230975B2 (ja) * 2007-07-26 2013-07-10 株式会社 資生堂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BRPI0722002A2 (pt) * 2007-10-09 2018-10-30 Du Pont composições de desodorante
BRPI0818476B1 (pt) * 2007-11-02 2016-05-24 Beiersdorf Ag redução da frequência de barbear.
CN101390820B (zh) * 2008-10-28 2012-07-25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美白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2202640B (zh) * 2008-10-31 2014-02-26 株式会社资生堂 O/w乳化组合物
WO2011065056A1 (ja) * 2009-11-30 2011-06-03 株式会社 資生堂 ポリマーソーム及び製造方法
JP4863411B2 (ja) 2010-01-29 2012-01-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CN101889966B (zh) * 2010-06-21 2011-12-07 金奇集团金奇日化有限公司 一种茶油防裂霜组合物的制备方法及制品
CN103857381B (zh) * 2011-09-29 2016-06-22 株式会社资生堂 时钟基因和透明质酸合成酶基因表达促进剂
EP2941254B1 (en) * 2014-03-12 2017-01-11 Shiseido Company, Ltd. Agent for sedating response to external stimulation in skin and method for sedating that response technical field
JP6540101B2 (ja) * 2014-04-17 2019-07-10 日油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料
KR102535495B1 (ko) * 2014-10-31 2023-05-2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DE102015223829A1 (de) * 2015-12-01 2017-06-01 Henkel Ag & Co. Kgaa Leistungsstarke Haarbehandlungsmittel mit Anti-Auswasch-Effekt
CN111012944A (zh) * 2019-12-30 2020-04-17 山东星之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藻酸盐和透明质酸的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CN111449978A (zh) * 2020-04-10 2020-07-28 刘书莲 一种安肌舒缓靓颜露的配方及其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696A (en) * 1972-01-31 1975-03-25 Allergan Pharma Cleaning and sterilizing soft contact lens
US4301083A (en) * 1977-04-04 1981-11-17 Kuraray Co., Ltd. Preparation of etherified polyoxyalkylene derivatives
US4226889A (en) * 1978-12-19 1980-10-07 Dragoco, Inc. Cosmetic stick composition
EP0055515B1 (en) * 1980-12-18 1985-02-20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Lens sterilising solutions and their use
JPS58172309A (ja) 1982-04-01 1983-10-11 Lion Corp 整髪料基材組成物
US4524062A (en) * 1983-02-22 1985-06-18 Armour Pharmaceutical Company Antiperspirant/deodorant stick compositions
GB8328233D0 (en) * 1983-10-21 1983-11-23 British Petroleum Co Plc Demulsifying process
JPH0696533B2 (ja) * 1987-01-14 1994-11-30 北陸製薬株式会社 キノロンカルボン酸の水性組成物
JPH01102013A (ja) 1987-10-15 1989-04-19 Toshiba Silicone Co Ltd パック化粧料
JP2866114B2 (ja) * 1989-09-20 1999-03-08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GB9109774D0 (en) * 1991-05-04 1991-06-26 Procter & Gamble Cosmetic compositions
JPH06100894A (ja) 1991-12-24 1994-04-12 Kanebo Ltd 洗浄剤組成物
FR2704726B1 (fr) * 1993-05-05 1995-06-16 Chemoxal Sa Composition aqueuse comportant un péroxyacide organique et ses utilisations comme agents désinfections.
JPH0826929A (ja) 1994-07-22 1996-01-30 Pilot Ink Co Ltd 化粧料除去剤組成物
US5696171A (en) * 1994-08-30 1997-12-09 Allergan, Inc. Contact lens disinfec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terpenes
JPH08304536A (ja) 1995-05-12 1996-11-22 Fuji Electric Co Ltd 超音波スイッチ
JP3648797B2 (ja) 1995-09-01 2005-05-18 井関農機株式会社 定置型穀粒調整機の荷造り装置
US5614179A (en) * 1995-09-27 1997-03-25 Church & Dwight Co., Inc. Cosmetic deodorant products containing a polymer/fragrance-encapsulated bicarbonate ingredient
US5821091A (en) * 1996-01-26 1998-10-13 Genelabs Technologies, Inc. Method of identifying activated T-cells
JP3104617B2 (ja) 1996-05-09 2000-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高速移動通信における高速データ伝送システムの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とその装置
JP3735411B2 (ja) 1996-07-03 2006-01-18 ジオスター株式会社 トンネルの覆工方法
US5798437A (en) * 1996-07-29 1998-08-25 Circe Biomedical, Inc. Thermoplastic block copolymers
JPH10167948A (ja) 1996-12-05 1998-06-23 Kao Corp 化粧料
KR100562977B1 (ko) * 1997-03-21 2006-06-2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왁스의 미세분산 조성물 및 모발 화장료, 광택제
US5942214A (en) * 1997-06-09 1999-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on the body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uncomplexed cyclodextrins and perfume
US5858336A (en) * 1997-10-10 1999-01-12 Avon Products, Inc. Clear stick deodorant
WO1999043659A1 (fr) * 1998-02-25 1999-09-02 Sumitomo Pharmaceuticals Co., Ltd. Derives de pyridon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US6284234B1 (en) * 1998-08-04 2001-09-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delivery systems for active agents
JP4034893B2 (ja) * 1998-12-01 2008-01-16 株式会社Adeka 優れた洗浄力を有する洗浄剤の選別方法
JP2001003098A (ja) * 1999-06-24 2001-01-09 Toho Chem Ind Co Ltd リンス性良好な微粒子除去用洗浄剤組成物
CA2382214A1 (en) * 1999-08-20 2001-03-01 Unilever Plc Skin cosmetic compositions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from weak carboxylic acids
JP5106715B2 (ja) 1999-09-24 2012-12-26 アルロン・ジャパン株式会社 L−アスコルビン酸、l−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の皮膚真皮層への放出方法に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
EP1249249A1 (en) * 2000-12-12 2002-10-16 Menicon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DE10017190C2 (de) * 2000-04-07 2002-09-19 Cognis Deutschland Gmbh Feuchttücher (III)
EP1299069B1 (en) * 2000-07-10 2005-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50B1 (ko) * 2006-05-23 2014-06-16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제
KR101284436B1 (ko) * 2008-06-24 2013-07-09 로레알 국부 적용을 위한 미백제, 수용성 미백 활성 성분에 대한 피부 침투 증진제, 및 피부를 미백하기 위한 방법
KR20170069241A (ko) * 2014-10-31 2017-06-2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US11801207B2 (en) 2014-10-31 2023-10-31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sunscreen cosmet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24522B (en) 2010-05-11
US7625574B2 (en) 2009-12-01
CN1408339A (zh) 2003-04-09
EP1283031A3 (en) 2003-11-05
DE60224335D1 (de) 2008-02-14
US20100209370A1 (en) 2010-08-19
EP1283031A2 (en) 2003-02-12
DE60224335T2 (de) 2008-12-11
CN100408021C (zh) 2008-08-06
US20030180335A1 (en) 2003-09-25
KR100852026B1 (ko) 2008-08-13
EP1283031B1 (en) 2008-01-02
US8153142B2 (en) 201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026B1 (ko) 피부외용제
JP3660656B2 (ja) 皮膚外用剤
JP5461010B2 (ja) 皮膚外用剤
JP5305574B2 (ja) 皮膚外用剤
JP2009215283A (ja) 水中油型乳化白濁皮膚化粧料
KR20100050477A (ko)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WO2001045665A1 (fr) Preparations cutanees a usage externe
JP3673924B2 (ja) 皮膚外用剤
US20100075882A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And Skin Cleanser
JP3667707B2 (ja) 皮膚外用剤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JP5530052B2 (ja) 皮膚洗浄料
JP5022618B2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ヒアルロン酸
JP5102004B2 (ja) 皮膚洗浄料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JP2003327505A (ja) 皮膚外用剤
JP2003342145A (ja) 皮膚外用剤
JP4140769B2 (ja) 修飾粉体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2002302469A (ja) ネオペンタン酸アルキルポリグリコール
JP2001240526A (ja) 皮膚外用剤
JP2005162715A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用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