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058A -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058A
KR20030018058A KR10-2003-7000920A KR20037000920A KR20030018058A KR 20030018058 A KR20030018058 A KR 20030018058A KR 20037000920 A KR20037000920 A KR 20037000920A KR 20030018058 A KR20030018058 A KR 2003001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movable member
switch
arm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476B1 (ko
Inventor
니시다다카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34Safe lift clips; Kep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고정부재가 승강로내에 고정되고 고정부재에 계합하는 가동부재가 카에 탑재되어 있다. 스위치장치는 제 1 및 제 2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는 가동부재가 수납부재가 수납위치에 있을때 폐쇄되고, 가동부재가 도중위치 및 계합위치에 있을때 개방된다.
제 2의 스위치는 가동부재가 수납위치 및 도중위치에 있을때 개방되고, 가동부재가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된다. 구동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카상 보수운전모드일때, 가동부재가 도중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카의 운전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ELEVATOR DEVICE AND CAR MOVEMENT LIMITING DEVICE THEREOF}
도 7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203774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카이동 규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3)에는 계합공(4a)을 갖는 고정판(4)이 고정되어 있다.
카(2)의 상량(5)에는 브래킷(6)이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6)에는 록봉(7)이 지지되어 있다. 록봉(7)을 수동조작에 의해, 그 선단부가 계합공(4a)에 삽통된 계합위치(도 2의 점쇄선)와 카(2)상에 후퇴한 수납위치(그림의 실선)와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왕복동된다.
록봉(7)에는, 록봉(7)을 수동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8)가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6)에는, 록봉(7)을 계합위치 및 수납위치에 보존하기 위한 보존판(9)이 부착되어 있다. 보존판(9)에는 록봉(7)이 계합위치 및 수납위치에 있을때에 조작레버(8)가 각각 삽입되는 제 1 및 제 2의 홈(9a),(9b)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6)에는, 록봉(7)이 수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되는 리미트 스위치(10)가 부착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0)의 조작부(10a)는, 록봉(7)의 후단부에 이해 조작된다.
카(2)를 승강시키는 권양기(11)는, 제어장치(1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12)에는, 권양기(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13)가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0)는, 전원회로(13)에 접속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0)가 폐쇄되어 있을때는, 전원회로(13)는 온상태, 리미트 스위치(10)가 개방되어 있을때는 전원회로(13)는 오프상태가 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2)상에서의 보수작업시에는, 조작레버(8)를 조작함으로서 록봉(7)이 수납위치에서 계합위치로 슬라이드되고, 록봉(7)의 선단부가 계합공(4a)에 삽통된다. 이로써 카(2)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규제된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10)는, 개방되어 있고 전원회로(13)는 오프상태가 되어 있다. 이때문에, 권양기(11)가 착으로 구동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이동 규제장치에서는, 록봉(7)이 수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만을 리미트 스위치(10)에 의해 검출하고 있으므로, 록봉(7)이 적절하게 계합위치로 이동되어 있는지, 즉 록봉(7)의 선단부가 계합공(4a)에 확실하게삽통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검출할 수가 없었다. 또 수납위치와 계합위치 사이에 도중위치에 록봉(7)이 있는 것도 검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록봉(7)이 수납위치에 없을때는 권양기(11)의 구동을 저지한다는 단순한 제어밖에는 할 수가 없었다.
또 용착불량등의 고장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0)가 폐쇄한대로 이면, 록봉 (7)이 도중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권양기(11)를 구동할 수가 있으므로, 록봉(7)이 승강로(1)내의 기기와 간섭해서 기기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카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가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보다 섬세한 제어를 할 수가 있고, 카상에서의 보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카이동 규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카,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에 사용되고, 카상에서의 보수작업시에 카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로내 및 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고정측 계합부를 소유하는 고정부재,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가동측 계합부를 소유하고 승강로내 및 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납위치와 가동측 계합부가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및 제한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가동부재가 수납위치, 계합위치 및 수납위치와 계합위치와의 사이의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하는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승강로내 및 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고정측 계합부를 갖는 고정부재,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가동측 계합부를 소유하고, 승강로내 및 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납위치 및 가동측 계합부가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가동부재가 수납위치, 계합위치 및 수납위치와의 사이의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하는 스위치 장치 및 통상모드와 카상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운전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서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동시에 스위치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제어장치는 운전모드와 카상 보수운전모드일때 가동부재가 수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카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가동부재가 도중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카의 운전을 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상에서의 보수작업시에 운전모드가 카상 보수운전모드로 전환되는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엘리베이터장치에 사용되고 카상의 보수작업시에 카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카이동 규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암이 도중위치에 회동된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암이 계합위치에 회동된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카가 상승된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제어장치의 통상모드에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오 6은 도 1의 제어장치의 카상 보수운전 모드에서으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의 한 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카이동 규제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등의 승강로내의 고정부에는 고정부재로서으 계합판(21)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판(21)에는, 고정측 계합부로서의 계합공(21a)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22)에는, 가동부재로서의 암(23)이 탑재되어 있다. 암(23)은, 축(24)을 중심으로 해서, 수납위치(도 1)와 계합위치(도 3 및 도 4)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23)의 선단부에는, 계합공(21a)의 주연부에 계합하는 가동측 계합부로서의 훅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암(23)에는, 캠(25)이 고정되어 있다.
카(22)에는 캠(25)에 의해 조작되는 제 1의 스위치(26)가 탑재되어 있다. 제 1의 스위치(26)는 상폐접점(26a)을 소유하고 암(23)이 수납위치에 있을때 폐쇄되고, 암(23)이 수납위치와 계합위치와의 사이의 도중위치(도 2) 및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캠(25)에 의해 조작되어서 개방된다.
또, 암(23)이 수납위치로 되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상폐접점(26a)이 자기 복귀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 1의 스위치(26)는, 암(23)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작되어 강제적으로 폐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암(23)에는 계합판(21)에 의해 조작되는 제 2의 스위치(27)가 탑재되어 있다. 제 2의 스위치(27)는 상개접점(27a)을 소유하고, 암(23)이 수납위치 및 도중위치에 있을때 개방되고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된다.
스위치장치(28)는 제 1 및 제 2의 스위치(26),(27)를 소유하고, 암(23)이 수납위치, 계합위치 및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한다. 카 (22)는 구동장치(29)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구동장치(29)는, 제어장치(3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30)는, 통상모드와 카상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운전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서 구동장치(29)를 제어한다.
또, 제 1의 스위치(26)는, 안전회로(도시않음)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폐접점(26a)이 개방되면, 구동장치(29)에의 통전은 차단된다.
따라서,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는, 구동장치(29)에 의한 카(22)의 운전이 가능하나 암(23)이 도중위치 또는 계합위치에 있을때는 카(22)의 운전은 저지된다.
단 카(22)상에는 카(22)를 운전하기 위한 카상 운전스위치와 함께 제 1의 스위치(26)를 단락(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회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스위치(도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도, 바이패스 스위치를 조작해서 바이패스 회로를 잠그면서, 카상 운전스위치를 조작하면 저속으로 카(22)를 승강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23)이 도 1에 표시하는 수압위치에 있을때는 제 1의 스위치(26)가 폐쇄되고, 제 2의 스위치(27)는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암(23)이 회동되면, 캠(25)에 의해 제 1의 스위치 (26)가 조작되고, 제 1의 스위치(26)는 개방된다. 또 제 2의 스위치(27)는 계합판 (21)에 당접하고 있지 않으므로 개방되어 있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암(23)이 계합위치에 달하면, 제 1의 스위치(26)는 개방되어 있으나, 제 2의 스위치(27)가 계합판(21)에 의해 조작되어 폐쇄된다.
또,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는 구동장치(29)의 브레이크장치(도시않음)가 개방되어도 카(220의 이동이 계합공(21a)의 범위에서 기계적으로 규제된다. 예를 들면, 카(22)보다도 균형추(도시않음)가 무거운 상태에서 브레이크장치를 개방하면, 카(22)가 상승되나,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훅부(23a)가 계합공(21a)의 상연부에 계합함으로서, 카(22)의 상승은 규제된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 있어서, 카(22)상에서의 보수작업을 하는 경우, 우선 운전모드가 카상 보수 운전모드로 전환되고, 카(22)가 저속으로 소정으로 보수위치로 이동된다.
그후 암(23)이 계합위치로 회동되고, 훅부(23a)가 고정판(21)의 계합공(21a)에 계합된다. 이로써, 카(22)의 이동이 규제되고 카(22)상에서 보수작업이 진행된다.
또 보수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암(23)이 수납위치로 되돌려지고 운전모드가 통상 운전모드로 되돌려진다. 이때,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훅(23a)이 계합공 (21a)의 주연부에 당접해 있는 경우 상기한 바이패스 스위치와 카상 운전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해서 카(22)를 약간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계합공(21a)에 대한 훅부(23a)의 위치를 도 3의 위치로 되돌린 후, 암(23)이 수납위치로 회동된다.
다음 도 5는 도 1의 제어장치(30)의 통상모드에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통상 운전모드에서는 우선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지가 확인된다(스텝 S1). 그리고 암(23)이 수납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카(22)의 운전은 저지된다(스텝 S2). 이로써, 암(23)의 승강로기기와 간섭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면, 암(23)이 계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3). 통상은 암(23)이 수납위치에 있으면, 제 2의 스위치(27)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암(23)은 계합위치에는 없는 것이 확인되고, 카(22)의 운전이 가능해진다(스텝 S4).
그러나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암(23)이 계합위치에 있는 것도 검출된 경우, 스위치장치(28)에 고장이 생겼다고 판단되고,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5).
예를 들면 제 2의 스위치(27)의 상개접점(27a)이 용착등에 의해 폐쇄된 채로 있을 경우 암(23)이 수납위치에 있어도, 제 1 및 제 2의 스위치(26),(27)의 양방이폐쇄된다.
이런 경우에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작업원에 의해 스위치장치(28)의 수리 또는 교환이 실시된다.
따라서 통상운전모드에서는,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 스위치장치(28)가 고장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되고, 보다 안전하게 카(22)가 운전된다.
다음 도 6은 도 의 제어장치(30)의 카상 보수운전모드에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카상 보수운전모드에서는, 우선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1).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지의 확인되면 암(23)이 계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3).
암(23)이 계합위치에 없는 것이 확인되면, 암(23)은 수납위치에 있고, 스위치장치(28)의 이상도 없다고 판단되고 카(22)의 운전이 가능해진다(스텝 S4). 따라서, 카상 보수의 운전이 가능하고, 카(22)를 소정의 보수위치까지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암(23)이 수납위치와 계합위치와의 양쪽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 스위치장치(28)의 고장이라고 판단되고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5).
또, 카상 보수운전모드에서는, 암(23)이 수납위치에 없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도, 암(23)이 계합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S6). 암(23)이 수납위치에도 계합위치에도 없는 것이 검출된 경우, 암(23)은 도중위치에 있다고 판단되고, 카(22)의 운전이 저지된다(스텝 S7).
따라서 카(22)를 소정의 보수위치에서 이동시킨 후, 암(23)을 조작하고 있는동안, 및 암(23)이 적정하게 계합판(21)에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22)의 운전을 저지된다. 이때문에, 카(22)상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 있을때 암 (23)이 계합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카(22)는 승강되지 않는다.
또, 암(23)이 수납위치에 없고 계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됩면 카(220의 운전이 저지되는 동시에 구동장치(29)의 브레이크장치의 개방지령신호가 가능해진다(스텝 S8).
이로써 브레이크장치의 개방이 가능해지고, 브레이크장치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보수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 동시에 조작하면, 카(22)의 저속운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장치(28)에 의해 암(23)이 수납위치, 계합위치 및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암(23)의 위치에 따라 보다 섬세한 제어를 할 수가 있고 카상에서의 보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암(23)이 수납위치에 있을때 폐쇄되고, 암(23)이 도중위치 및 계합우치에 있을때에 개방되는 제 1의 스위치(26)와 암(23)이 수납위치 및 도중위치에 있을때 개방되고,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되는 제 2의 스위치(27)를 갖는 스위치장치(28)를 사용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납위치, 계합위치 및 도중위치를 구별해서 검출할 수가 있다.
또, 제 1의 스위치(26)는 암(23)이 수납위치로 되돌려짐으로서 암(23)에 의해 조작되어 강제적으로 폐쇄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의 스위치(26)가 자기복귀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 1의 스위치(26)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다.
또, 암(23)에는 도중위치 및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제 1의 스위치(26)를 조작하는 캠(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의 스위치(26)를 보다 확실하게 조작할 수가 있다.
또, 제어장치(30)는 운전모드가 카상 보상운전모드일때 암(23)이 수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카(22)의 운전을 가능하게 되고, 암(23)이 도중위치 또는 계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카(22)의 운전을 저지하므로, 카(22)상에서의 보수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어장치(30)는 운전모드가 통상운전모드일때 암(23)이 수납위치에 없는 것이 검출되면, 카(22)의 운전을 저지하므로, 암(23)의 승강로기기와의 간섭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 1 및 제 2의 스위치(26),(27)가 모드 폐쇄되어 있을때, 스위치장치 (28)의 이상검출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2의 스위치(27)의 상개접점 (27a)의 용착등의 고장을 쉽게 검출할 수가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암(23)의 계합위치에 있다는 것이 검출되었을때만 브레이크장치의 개방지령신호를 출력하므로, 브레이크장치의 개방을 보다 안전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암(23)이 계합위치에 있을때, 바이패스 스위치를 조작해서 바이패스회로를 닫으면, 카상 운전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카(22)의 운전이 가능해지므로, 암(230이 계합위치에 있을때도 카(22)를 승강시킬 수가 있고, 암(23)의 계합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계합판(21)을 승강로내에 고정되고 암(23)을 카(22)에 탑재하였으나 고정부재를 카에 고정하고, 암(23)을 카(22)에 탑재하였으나 고정부재를 카에 고정하고 가동부재를 승강로내에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가동부재로서 회동가능한 암(23)을 표시하였으나 도 7 및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Claims (3)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상기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카상에서의 보수작업시에 상기 카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로서, 상기 승강로내 및 상기 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고정측 계합부를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가동측 계합부를 갖고, 상기 승강로내 및 상기 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납위치와 상기 가동측 계합부가 상기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및 상기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납위치, 상기 계합위치 및 상기 수납위치와 상기 계합위치와의 사이의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하는 스위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장치의 카이동 규제장치.
  2. 상기 스위치장치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도중위치 및 상기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개방되는 제 1의 스위치와,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납위치 및 상기 도중위치에 있을때 개방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도중위치에 있을때 개방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계합위치에 있을때에 폐쇄되는 제 2의 스위치를 소유하고 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의카이동 규제장치.
  3. 승강로내을 승강하는 카, 상기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승강로내 및 상기 카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고정측 계합부를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하는 가동측 계합부를 소유하고, 상기 승강로내 및 상기 카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납위치와 상기 가동측 계합부가 상기 고정측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는 계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납위치, 상기 계합위치 및 상기 수납위치와 상기 계합위치와의 사이의 도중위치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구별해서 검출하는 스위치장치, 및 통상모드와 카상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운전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서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운전모드가 상기 카상 보수운전모드일때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카의 운전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도중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카의 운전을 저지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10-2003-7000920A 2001-05-30 2001-05-30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 KR100506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4566 WO2002098780A1 (fr) 2001-05-30 2001-05-30 Dispositif elevateur et dispositif de limitation de mouvement de l'automobile de celui-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58A true KR20030018058A (ko) 2003-03-04
KR100506476B1 KR100506476B1 (ko) 2005-08-03

Family

ID=1173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920A KR100506476B1 (ko) 2001-05-30 2001-05-30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37320B1 (ko)
JP (1) JP4896370B2 (ko)
KR (1) KR100506476B1 (ko)
CN (1) CN1184127C (ko)
DE (1) DE60125990T2 (ko)
WO (1) WO20020987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536A (ko) * 2012-06-21 2015-03-26 카릴 마흐무드 에이비유 에이엘-알유비비 승강기 안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0278C2 (sv) 2005-10-21 2008-04-15 Alimak Ab Säkringsanordning för en i en hiss ingående hissvagn
DE102009048489A1 (de) * 2009-09-29 2011-04-07 Aufzugswerke M. Schmitt & Sohn Gmbh & Co. Aufzugsanlage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JP5429808B2 (ja) * 2010-01-29 2014-0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ブレーキ
CN101891091B (zh) * 2010-07-08 2012-01-25 湖南海诺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下机械阻止装置
CN103079980B (zh) * 2010-09-06 2015-06-1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设备
JP5421232B2 (ja) * 2010-12-08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P3012217B8 (en) 2014-10-21 2017-08-02 KONE Corporation Safety system for elevator
JP2016098106A (ja) * 2014-11-26 2016-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CN105236231B (zh) * 2015-11-03 2018-10-26 陈帅 电梯防护机构
DE112016006176T5 (de) 2016-01-08 2018-09-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äfigbewegungs-Beschränkungsvorrichtung und Aufzug
CN105858389B (zh) * 2016-05-24 2018-03-20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称重行程放大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梯
DE112016007111T5 (de) * 2016-08-01 2019-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abinen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JP6251368B1 (ja) * 2016-12-07 2017-12-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保守作業支援システム
WO2019064451A1 (ja) * 2017-09-28 2019-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制限装置
WO2019146058A1 (ja) * 2018-01-26 2019-08-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の位置を作業に適する位置に維持する機能を備えた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521183B1 (ja) * 2018-01-26 2019-05-2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作業者の安全を確保する機能を備えた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1071901A (zh) * 2018-10-19 2020-04-2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以及用于电梯系统的多层轿厢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14A (ja) * 1981-07-02 1983-01-13 鈴木 良典 二つの接点をもつスイツチ
JPS62161153U (ko) * 1986-04-01 1987-10-13
JPH0356378A (ja) * 1989-07-25 1991-03-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JP2596906Y2 (ja) * 1993-01-19 1999-06-28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両の安全装置
JP2000203774A (ja) * 1998-11-12 2000-07-25 Toshiba Corp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JP2001019295A (ja) * 1999-07-08 2001-01-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リミットスイッチ操作装置の作動状態保持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536A (ko) * 2012-06-21 2015-03-26 카릴 마흐무드 에이비유 에이엘-알유비비 승강기 안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8780A1 (fr) 2002-12-12
KR100506476B1 (ko) 2005-08-03
EP1437320A4 (en) 2005-06-22
CN1184127C (zh) 2005-01-12
JP4896370B2 (ja) 2012-03-14
EP1437320B1 (en) 2007-01-10
EP1437320A1 (en) 2004-07-14
CN1444539A (zh) 2003-09-24
DE60125990D1 (de) 2007-02-22
JPWO2002098780A1 (ja) 2004-09-16
DE60125990T2 (de)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476B1 (ko)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의 카이동 규제장치
JP5452726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モード切替システム
JPWO2008062500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58393B1 (en) Retractable stop for low overhead elevators
WO2005102898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WO2010067455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回路装置
JP4284008B2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降下防止装置
KR100528957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제동회로
JP3509393B2 (ja) 自動倉庫
JPWO2008117368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060965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9624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9286575A (ja) エレベーター
KR960004015A (ko) 작업차량운전실의 창문자동개폐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20225B1 (ko) 액츄에이터의 구동 방법, 및 액츄에이터의 구동 회로
JP2016216240A (ja) エレベータ
JP2785600B2 (ja) 多段式多連駐車装置の作動制御装置
RU1794845C (ru) Подъемник
JP3314552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揚高規制装置
KR930007065Y1 (ko) 엘리베이터 구출운전 선택회로
JP2002096981A (ja) エレベータの防水装置
JPH0825714B2 (ja) 吊り下げ式物体昇降機の異常昇降停止装置
JP2004359374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用昇降阻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