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928A -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928A
KR20020077928A KR1020027011391A KR20027011391A KR20020077928A KR 20020077928 A KR20020077928 A KR 20020077928A KR 1020027011391 A KR1020027011391 A KR 1020027011391A KR 20027011391 A KR20027011391 A KR 20027011391A KR 20020077928 A KR20020077928 A KR 2002007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ivot point
link
arm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8670B1 (ko
Inventor
윌름센래리지.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에스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 G05G1/405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infinite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 암을 갖는 서포트 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제1 피벗점에서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된 페달 패드를 갖는 페달 암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페달 링크 및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를 또한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페달 링크의 제1 말단은 제3 피벗점에서 페달 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제1 말단은 제4 피벗점에서 페달 링크의 제2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제2 말단은 제2 피벗점에서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제5 피벗점에서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된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로써 제5 피벗점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5 피벗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4 피벗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된다.

Description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BRAKE PEDAL ASSEMBLY WITH VARIABLE RATIO}
차량, 특히 자동차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종래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조작자로부터 차량의 휠(wheel)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페달은 푸시 로드(push rod)를 거쳐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마스터 실린더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 라인을 거쳐 브레이크 장치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휠에 결합되고 휠에 힘을 가하여 휠의 회전 움직임을 감속시킨다.
각종 요인이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요인중 몇 가지 예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치수, 마스터 실린더의 직경과 타이어의 반경, 브레이크 페달의 재질과 페달 레버 감속비를 포함한다. 동시에,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 거리 및 차량을 감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양에 관한 규정을 따라야 한다.
페달 레버 감속비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레버 간의 기하학적관계이다. 일반적인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페달 암(pedal arm)을 포함하고, 이 페달 암의 상측 말단은 서포트 브래킷(support bracket)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서포트 브래킷은 차량에 고정하여 장착된다. 브레이크 페달은 운전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된다. 브레이크 부스터 푸시 로드는 페달 패드(pdeal pad)와 페달 암 상측 말단의 피벗점 사이 위치에서 페달 암에 부착된다. 조작자가 경험하는 제동 작용의 느낌 및 효과는 "페달 감속비"를 변경시킴으로써 변할 수 있다. "페달 감속비"는 비율 a/b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는 페달 암의 피벗점과 페달 패드 상의 작동점 사이의 거리이고, "b"는 피벗점과 부스터 로드 부착점 사이의 거리이다. 대체로, 페달 감속비의 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페달 패드가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 브레이크 로드 피벗점 및 부스터 푸시 로드가 이동하는 거리가 더 커진다. 페달 감속비가 높으면 효과적일 수 있지만, 페달 이동이 길어짐으로써 브레이크가 "스폰지"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페달 감속비가 낮으면 페달 이동은 짧아지지만, 페달의 짧은 이동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제동될 수 있다.
각종 유형의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86년 10월 7일 호바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15,235호에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아치형으로 움직일 수 있는 페달 암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레버를 포함한다. 제1 레버의 일단은 브레이크 부스터 푸시 로드에 부착된다. 제1 레버의 타단은 피벗 컨트롤 레버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피벗 컨트롤 레버는 타단에 고정하여 부착된다.페달 암의 상측 말단은 차량의 일부분에 고정하여 부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함으로써 페달 감속비가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에 대하여 약 2의 함수로 증가한다. 이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와 제1 레버 사이에서, 제2 피벗점에서 커다란 각변위로 인하여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상에 과다한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가변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다른 예는 2000년 6월 6일 야부사키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6,080,4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메인 브래킷 및 서브-브래킷을 갖는 페달 브래킷에 부착된 서스펜디드 페달(suspended pedal)을 포함한다. V자 형상의 스윙 링크(swing link)가 브레이크 페달과 푸시 로드를 연결한다. 소정의 외부 힘이 차량의 전방에 가해지는 경우, 서브-브래킷의 연장부가 메인 브래킷에 의하여 압착되어 차량의 후방으로 선회하고, 푸시 로드 말단의 클레비스(clevis)가 서브-브래킷의 연장부 전면에 의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은 스윙 링크를 거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장착 볼트 둘레를 선회하고, 링크 및 페달 패드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페달 패드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움직임으로써 운전자의 다리가 차량의 일부분, 즉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과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 시스템은 페달에 대하여 차량의 전방에 가해진 외부 힘의 영향에 반작용으로 작동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운전 조건 하에서는 페달 감속비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SUV와 같은 대형 차량에 있어서는,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보다 큰 힘이 필요하고, 특히 제동 작용 개시 시에는 보다 높은 페달 감속비가 필요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초기의 정지 위치로부터 완전히 압착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페달 스트로크라고 한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페달 암의 피벗 위치에 대하여 브레이크 로드 부착점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도중에 증가하는 페달 감속비 승수 또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제공하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브레이크 페달,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감속비 링크장치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페달 감속비를 기하학적으로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페달 레버와 브레이크 부스터 레버 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페달 레버와 브레이크 부스터 레버 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페달 감속비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 암을 갖는 서포트 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제1 피벗점에서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페달 암을 포함하고, 이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된 페달 패드를 갖는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페달 링크, 및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제1 말단은 제3 피벗점에서 페달 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제1 말단은 제4 피벗점에서 페달 링크의 제2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제2 말단은 제2 피벗점에서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를 제5 피벗점에 위치된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에 부착하는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로써 제2 피벗점과 제5 피벗점 사이의 거리는 제2 피벗점과 제4 피벗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다.
본 발명의 장점 중 한 가지는 브레이크 효율성을 개선시킨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페달 스트로크 도중에 페달 감속비를 변화시켜 페달 스트로크 동안 브레이크 느낌을 개선시킨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마스터 실린더 및 브레이크 부스터 치수가 페달 감속비에 대하여 최적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페달 스트로크와 페달 감속비 간의 관계가 볼록한 커브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조작자 또는 운전자(도시되지 않음)와 브레이크 작동 기구(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가 예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차량을 감속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분이다. 고정식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서는, 바닥에 대한 페달 패드(후술함)의 높이는 소정의 높이로 되어 있다.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서는, 차량의 일부분, 예를 들면 바닥에 대한 페달 패드의 초기 위치는 운전자가 조정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예에서는 높이가 고정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높이를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의 예는 공동으로 양수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9/882,98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결합시켰다.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하측의 종래 위치에 있는 차량의 대시 패널부(dash panel portion)에 고정하여 장착된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이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를 대시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서포트 브래킷(12)을 포함한다. 서포트 브래킷(12)은 볼트로 조이기 등에 의하여 서포트 브래킷(12)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aperture)(16)을 갖는 대체로 편평한 장착면(14)을 포함한다. 또한, 서포트브래킷은 장착면(14)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18)을 포함한다. 이 측면(18) 각각은 상측 암(18a) 및 하측 암(18b)을 형성한다.
가변 페달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상측 암(18a) 사이에 연장되는 피벗 핀(20)을 포함한다. 피벗 핀(20)은 피벗 축 P1(24)을 중심으로 페달 암(22), 특히 페달 암(22)의 상측 말단(22a)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가 정지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도록 피벗 핀(20) 상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가변 페달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피벗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링크, 페달 링크(26) 및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를 각각 더 포함한다. 페달 링크(26)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이다. 페달 링크(26)의 제1 말단(26a)은 페달 암(2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페달 링크(26)의 제2 말단(26b)은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의 제1 말단(28a)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예에서는, 두 개의 페달 링크(26)가 페달 암(22)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두 개의 페달 링크(26)를 사용하여 페달 암(22)으로부터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에 전달된 부하를 잘 분배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이다. 이 예에서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는 제1 말단(28a) 및 제2 말단(28b)을 갖는 대체로 "V"자 형상이다. 부스터 링크(28)의 제2 말단(28b)은 부스터 링크 피벗 핀(30)을 사용하여 서포트 브래킷(12)의 하측 암(18b)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가 고정된 제2 피벗 축 P2(32)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의 제1 말단(28a)은 페달 링크(26)를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36)을 수용하는 구멍(3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는 부스터 로드 링크(28) 상에 장착된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38)을 더 포함한다. 부착 수단(38)은 볼 조인트와 같은 다른 유형의 부착 수단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예에서는 핀이다. 당해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39)의 일단은 부착 수단(38)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타단은 브레이크 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되어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힘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로부터 브레이크 시스템에 전달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부착 수단(38)은 제5 피벗점 P5(68)의 부스터 로드 링크(28) 상에 위치된다. 제2 피벗점 P2(32)와 제5 피벗점 P5사이의 거리는 rb(40)로 나타낸다. 페달 링크(26)의 제1 말단(26a)은 피벗점 P3(42)의 페달 암(2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페달 링크(26)의 제2 말단(26b)은 피벗점 P4(44)의 부스터 로드 링크(28)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피벗점 P2(32)와 제4 피벗점 P4(44) 사이의 거리는 rd(60)로 나타낸다. 피벗점 P3및 P4(42, 44)는 L(46)로 나타낸 페달 링크 축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품을 포함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피벗 핀(20)에 걸쳐 서포트 브래킷(12)의 측면 암(18) 사이에 연장되는 스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페달 암(22)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 링크(26, 28)를 배치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10)는 페달 암(22)의 하측 말단(22b)에 장착된 페달 패드(50)를 더 포함한다. 페달 패드(50)는 운전자의 발이 페달 패드(50)와 접촉되는 페달 작동 포인트(54)를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페달 감속비는 제1 피벗점 P1(24)과 패드(54) 상의 작동점 사이의 암 길이 "a"(52)와 제1 피벗점 P1(24)과 제5 피벗점 P5(68) 사이의 암 길이 "b"(76)의 비율로 정의된다. 레버 사이가 고정된 관계인 페달 감속비는 R = (a/b)로 나타낸다. 그러나, 가변 관계에서는 가변 감속비는 R = (a/b) * (r1/r2)로 나타내며, 여기서 (r1/r2)는 감속비 승수이다. 감속비 승수는 일정한 상수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2는 제1 피벗점 P1(24)으로부터 페달 링크 축 L(46)까지의 수직 길이(56)를 나타내며 r1은 피벗점 P2(32)로부터 페달 링크 축 L(46)까지의 수직 길이(58)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달 링크 축 L(46)은 페달 링크(26)의 피벗점 P3및 P4(42, 44)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다.
감속비 승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거리 rb(40)는 거리 rd(60)보다 작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제2 피벗점 P2(32)로부터 제5 피벗점 P5(68) 까지의 거리는 제2 피벗점 P2(32)와 제4 피벗점 P4(44)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벗점 P1(24)과 제2 피벗점 P2(32) 사이의 수평 거리는 PIVX(62)이며 P2(32)와 P1(24) 사이의 수평 축 상의 거리는 PIVY(64)이다. 암이 압착되지 않았을 때 수직 축과 rp 사이의 각도는 θST(66)이며, 여기서 rp는 제1 피벗점 P1(24)과 제3 피벗점 P3(42) 사이의 거리(78)이다. 마찬가지로, 제5 피벗점 P5(68)와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수평 거리(80)는 브레이크 부스터 축 또는 PRL(82)이다. 제2 피벗점(32)과 브레이크 부스터(80) 사이의 수직 거리 또는 PRH는 (84)로 나타낸다. 제2 피벗점 P2(32)의 각변위는 θB(86)로 나타낸다. 이들 치수는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의 원하는 동작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동작 시, 운전자가 페달 패드(50)를 밟을 때, 페달 링크(26)의 제2 말단(26b)은 제4 피벗점 P4(4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의 제2 말단(28b)은 고정된 제2 피벗 포인트 P2(32)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페달 링크(26)가 브레이크 로드 부스터 링크(28) 내로 접힌다. 부스터 로드 피벗점 P5의 상대 위치는 페달 암(22)의 제1 피벗점 P1(24)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변하게 되어, "브레이크 감속비"가 변하게 된다. 도 6에 도면 부호(70)로 예시된 바와 같이, 페달 느낌에 대한 페달 감속비(74)의 변화 효과를 도표로 나타낸다. 페달 스트로크로 나타내고 각도로 측정된 페달 패드 위치는 x-축(72)이고, 페달 감속비는 y-축(74)이다. 따라서, 볼록한 곡선(7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스트로크가 초기 위치와 완전히 압착된 위치 사이로 이동할 때 페달 감속비는 초기에는 소정의 속도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 다음, 다른 소정의 속도로 감소된다. 브레이크 감속비는 rb가 rd보다 작을 때 증가한다. 예를 들면, 페달 감속비는 스트로크 시작부터 약 15°까지는 고속으로 증가하고, 페달 감속비는 약 2.2 내지 4.6까지 증가하다가, 일정한 속도에 도달한 다음, 페달 감속비는 다른 느린 속도로 감소된다. 페달 감속비 곡선(76)을 볼록한 형상으로 하여 페달 느낌 및 페달 스크로크 내내 브레이크 효율을 양호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여기 개시된 기술은 한정하기 보다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 기술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하여 개시된 바와 달리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9)

  1.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 암을 갖는 서포트 브래킷,
    페달 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페달 링크,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및
    제5 피벗점에서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된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의 상측 말단은 제1 피벗점에서 상기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페달 패드가 상기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 링크의 제1 말단은 제3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1 말단은 제4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은 제2 피벗점에서 상기 서포트 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5 피벗점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5 피벗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4 피벗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링크 상에 위치되는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암은 상측 암 및 하측 암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제1 피벗점에서 상기 측면 암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는 상기 제2 피벗점에서 상기 하측 암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두 개의 페달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두 개의 페달 링크의 상기 제1 말단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감속비는 소정의 페달 스트로크 동안 소정의 제1 속도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속도로 지속된 다음, 소정의 제3 속도로 감속되는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스트로크는 초기의 정지 위치와 완전히 압착된 위치 사이에서 페달 패드가 이동한 거리인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V"자 형상인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인 가변 감속비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9.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 암을 갖는 서포트 브래킷,
    페달 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페달 링크,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및
    제5 피벗점에서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된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암 각각은 상측 암 및 하측 암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 암의 상측 말단은 제1 피벗점에서 상기 상측 측면 암 사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페달 패드가 상기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제1 말단은 제3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1 말단은 제4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은 제2 피벗점에서 상기 하측 측면 암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5 피벗점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5 피벗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4 피벗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되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두 개의 페달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두 개의 페달 링크의 상기 제1 말단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V"자 형상을 갖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인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감속비는 소정의 페달 스트로크 동안 소정의 제1 속도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속도로 지속된 다음, 소정의 제3 속도로 감속되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스트로크는 초기의 정지 위치와 완전히 압착된 위치 사이에서 페달 패드가 이동한 거리인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5.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의 대향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측면 암을 갖는 서포트 브래킷,
    페달 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페달 링크,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및
    제5 피벗점에서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된 브레이크 부스터 로드 부착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암 각각은 상측 암 및 하측 암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 암의 상측 말단은 제1 피벗점에서 상기 상측 측면 암 사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페달 패드가 상기 페달 암의 하측 말단에 장착되고,
    상기 페달 링크의 제1 말단은 제3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1 말단은 제4 피벗점에서 상기 페달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의 상기 제2 말단은 제2 피벗점에서 상기 하측 측면 암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5 피벗점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5 피벗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피벗점과 상기 제4 피벗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도록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 상에 위치되며, 상기 페달 감속비는 소정의 페달 스트로크 동안 소정의 제1 속도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속도로 지속된 다음, 소정의 제3 속도로 감소되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는 두 개의 페달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두 개의 페달 링크의 상기 제1 말단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V"자 형상인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링크는 대체로 편평한 부재인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스트로크는 초기의 정지 위치와 완전히 압착된 위치 사이에서 페달 패드가 이동한 거리인 가변 페달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KR1020027011391A 2001-01-10 2002-01-10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KR100838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071601P 2001-01-10 2001-01-10
US60/260,716 2001-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28A true KR20020077928A (ko) 2002-10-14
KR100838670B1 KR100838670B1 (ko) 2008-06-16

Family

ID=2299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391A KR100838670B1 (ko) 2001-01-10 2002-01-10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18318B2 (ko)
EP (1) EP1349755B1 (ko)
JP (1) JP2004517768A (ko)
KR (1) KR100838670B1 (ko)
AT (1) ATE343501T1 (ko)
AU (1) AU2002239878B2 (ko)
DE (1) DE60215609T2 (ko)
MX (1) MXPA02008613A (ko)
WO (1) WO20020553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362A (ja) * 2000-10-19 2002-05-10 Toyoda Iron Works Co Ltd 前後調節可能な車両用ペダル装置
JP3964618B2 (ja) * 2000-12-22 2007-08-22 豊田鉄工株式会社 前後調節可能な車両用ペダル装置
JP4135406B2 (ja) * 2002-06-13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US20060053948A1 (en) * 2003-05-28 2006-03-16 Akhil Mahendra Variable ratio brake pedal linkage mechanism
US7823480B2 (en) * 2003-07-03 2010-11-02 Ksr Technologies Co. Support bracket with an integrated switch for a pedal assembly
US7219576B2 (en) * 2003-11-26 2007-05-22 Ventra Group Inc. Variable ratio pedal assembly
CZ302239B6 (cs) * 2004-03-16 2011-01-05 Brano A.S. Nastavitelné pedálové ústrojí
US7051643B1 (en) 2004-04-10 2006-05-30 Kelsey-Hayes Company Retainer for mounting a brake booster
GB2423566A (en) * 2005-02-25 2006-08-30 Bamford Excavators Ltd A variable ratio brake pedal assembly
JP4394031B2 (ja) * 2005-04-12 2010-01-06 豊田鉄工株式会社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4486605B2 (ja) * 2006-03-23 2010-06-23 豊田鉄工株式会社 レバー比切替型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4486617B2 (ja) * 2006-06-05 2010-06-23 豊田鉄工株式会社 ブレーキペダル装置
DE102007018469A1 (de) * 2007-04-19 2008-10-23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DE102008044824A1 (de) * 2007-09-04 2009-03-0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Pedal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CN102334080B (zh) * 2008-12-25 2014-02-26 丰田铁工株式会社 车辆用操作踏板装置的连杆连接结构
JP4737469B2 (ja) * 2009-06-16 2011-08-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ペダルストロークセンサの取付構造
FR2948619B1 (fr) * 2009-08-03 2011-11-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mmande de freinage comprenant une pedale de frein pivotante
US8508242B2 (en) * 2010-01-25 2013-08-13 Ksr Technologies Co. Inductive position sensor
JP5443266B2 (ja) * 2010-05-25 2014-03-19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CN102442289A (zh) * 2011-10-29 2012-05-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用制动踏板
WO2014033930A1 (ja) * 2012-08-31 2014-03-06 株式会社ヨロズ ブレーキペダル装置とその取付方法
JP6060057B2 (ja) * 2013-09-19 2017-0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US9889826B2 (en) * 2014-02-19 2018-02-13 Ventra Group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US9358885B2 (en) 2014-07-28 2016-06-07 Honda Motor Co., Ltd. Variable ratio throttle pedal
ES2747257T3 (es) 2014-10-15 2020-03-10 Ventra Group Co Mecanismo de relación variable para pedales ajustables para mantener una relación constante
KR101619659B1 (ko) * 2014-12-08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 장치
FR3063956B1 (fr) * 2017-03-16 2019-06-07 Renault S.A.S. Pedale de frein a double rapport d'amplification
CN113895414A (zh) * 2021-09-23 2022-01-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无底座制动踏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5713A (en) * 1960-02-25 1962-03-20 Koshaba Wilson Brake actuating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US3382676A (en) 1966-08-08 1968-05-14 Ford Motor Co Minimum travel hand-or foot-operated power brake actuator
US3563111A (en) * 1968-07-24 1971-02-16 Gen Motors Corp Adjustable control pedals
US3646831A (en) 1970-07-06 1972-03-07 Ford Motor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US3678779A (en) 1970-11-12 1972-07-25 Ford Motor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US3911760A (en) 1974-10-02 1975-10-14 Gen Motors Corp Variable ratio brake pedal linkage
JPS5140582A (ja) 1974-10-02 1976-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Kimitsuzetsuentanshi no seizoho
US4069722A (en) 1976-03-11 1978-01-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ratio brake pedal lever assembly
DE2918910A1 (de) 1979-05-10 1980-12-04 Teves Gmbh Alfred Bremskraftverstaerker
US4372178A (en) * 1980-02-28 1983-02-08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JPS57109058A (en) 1980-12-26 1982-07-07 Fujitsu Ltd Step system of microcomputer
JPS58153151A (ja) 1982-03-09 1983-09-12 Toshiba Corp 発光物質検出装置
JPS58221757A (ja) 1982-06-16 1983-12-2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負圧式倍力装置
US4615235A (en) * 1985-01-14 1986-10-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ratio brake pedal mechanism
HU195707B (en) 1986-08-06 1988-06-28 Tungsram Reszvenytarsasag Ring for supporting the spiral filament of gas-filled incandescent lamp with tube-like envelope flattened on both end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id ring and for putting the said ring into the envelope
JPS6487069A (en) 1987-09-30 1989-03-31 Nippon Kokan Kk High speed rotating arc welding method interlocking two-electrode
JPH02200579A (ja) 1989-01-31 1990-08-08 Mazda Motor Corp 車両のブレーキの倍力装置取付構造
JPH0435962A (ja) 1990-05-31 1992-02-06 Sanyo Electric Co Ltd 熱転写型プリンタの階調テーブル補償方法
JPH0440319A (ja) 1990-06-06 1992-02-10 Ya Man Ltd 焦点合わせ機構を有する非接触光学式変位測定装置
JP2959585B2 (ja) 1990-12-12 1999-10-06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H0558271A (ja) 1991-08-30 1993-03-09 Jidosha Kiki Co Ltd 倍力装置
JP2848078B2 (ja) 1992-01-09 1999-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操作装置
JPH06211115A (ja) 1993-01-18 1994-08-0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ペダルの退避構造
JP3414023B2 (ja) * 1995-01-27 2003-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操作装置
JP3489277B2 (ja) 1995-07-17 2004-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動装置
FR2739947B1 (fr) 1995-10-17 1997-12-12 Renault Pedalie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glage de la hauteur et de l'orientation des pedales
JP3125677B2 (ja) * 1996-04-30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DE19706692C1 (de) * 1997-02-20 1998-06-18 Daimler Benz Ag Pedalanordnung in einem Fußraum eines Kraftfahrzeugs
JP3125715B2 (ja) 1997-05-23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3449206B2 (ja) 1998-02-04 2003-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6321617B1 (en) * 2000-06-08 2001-11-27 Jeffrey Schwyn Adjustable ped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7768A (ja) 2004-06-17
WO2002055353A2 (en) 2002-07-18
EP1349755A2 (en) 2003-10-08
KR100838670B1 (ko) 2008-06-16
US20030106392A1 (en) 2003-06-12
DE60215609D1 (de) 2006-12-07
DE60215609T2 (de) 2007-08-23
WO2002055353A9 (en) 2004-05-13
EP1349755B1 (en) 2006-10-25
ATE343501T1 (de) 2006-11-15
AU2002239878B2 (en) 2006-11-23
WO2002055353A3 (en) 2003-04-03
AU2002239878A1 (en) 2002-07-25
MXPA02008613A (es) 2004-09-06
EP1349755A4 (en) 2005-02-09
US6918318B2 (en)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670B1 (ko) 가변 감속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US5259264A (en) Adjustable steering wheel
US6070488A (en) Vehicle pedal displacement control structure
US4702338A (en)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wheel support arm and front-rear coupling system for said suspension
US3911760A (en) Variable ratio brake pedal linkage
US6076422A (en) Structure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vehicle pedal
EP1220072A1 (en) Adjustable pedal mechanism with mechanical active lock-up
US3868003A (en) Brake actuated return to neutral mechanism
US4152952A (en) Brake pedal linkage mechanism
JPH1081244A (ja) 自動車の少なくとも縦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CZ2004379A3 (cs) Nastavitelné pedálové ústrojí
JPS5855936B2 (ja) ブレ−キペダル組立体
JP2007001372A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EP4279768A1 (en) Work vehicle
JPH036531Y2 (ko)
US6983671B2 (en) Cantilever-style pedal assembly
JPH032447Y2 (ko)
KR200270068Y1 (ko) 차량용 페달 변위 제어 구조
JPS6243121B2 (ko)
KR100191715B1 (ko) 더블 리어 액슬 차량의 로드 센싱 밸브
JP4331352B2 (ja) 荷重応動型ブレーキ液圧制御弁の取付け方法
GB2229976A (en) Vehicle suspension with variable spring rate
GB2423566A (en) A variable ratio brake pedal assembly
JP4326126B2 (ja) ブレーキペダル
JPH07196067A (ja)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