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466A -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466A
KR20020068466A KR1020020009012A KR20020009012A KR20020068466A KR 20020068466 A KR20020068466 A KR 20020068466A KR 1020020009012 A KR1020020009012 A KR 1020020009012A KR 20020009012 A KR20020009012 A KR 20020009012A KR 20020068466 A KR20020068466 A KR 20020068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ase
flexible cable
lead block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724B1 (ko
Inventor
마츠자키노부오
사이소겐이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5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461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5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231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회전커넥터(100)에서는 복수개의 도체부(123)가 부착된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만이 설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도체부에 큰 전류를 흘리는 데에는 그 전류에 한도가 있고, 큰 전류를 1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거쳐 전기장치에 공급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으므로,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측 하우징(1)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하우징(2)과,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16) 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3, 4)과,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 각각의 끝부의 적어도 한쪽이 접속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32)를 가지는 1개의 리드블록〔6(7)〕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ROTARY CONNECTOR USING PLURAL SHEETS OF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스티어링장치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히터장치 및 차체에 구비된 에어백 시스템 등의 전기장치 사이의 각각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티어링 히터 등의 스티어링장치에 구비된 전기장치와, 차체에 구비된 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 회전커넥터는 회전체인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전기장치와, 고정체인 차체에 구비된 전기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에 의해 회전구동(회동)되는 로터부(가동측 하우징)와 스테이터부(고정측 하우징)를 구성하는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두루 감겨진 가요성의 전기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가요성 케이블」이라 함 )을 수납하고, 그 한쪽 끝을 상기 로터부에, 다른 끝을 상기 스테이터부에 고정하고, 가요성 케이블의 감기 및 되감기를 이용하여 각 전기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있다.
종래의 회전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종래의 회전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9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을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30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31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3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34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회전커넥터(120)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101)과 고정측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102)과, 고정측·가동측 하우징(101, 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14) 내에 수납된 플랫 케이블인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과, 고정측·가동측 하우징(101, 102) 사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이동체(104)와,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 양쪽 끝부에 접속된 각각 1개의 리드블록(105, 106)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101)에는 원통형상의 외통부(107)와, 외통부(107)의 끝부에 설치된 원형상의 바닥벽(도시 생략)과, 바닥벽의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의 구멍(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가동측 하우징(102)에는 원통형상의 내통부 (108)와, 내통부(108) 한쪽의 끝부에 설치된 대략 둥근 고리 형상의 상벽(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이들 외통부(107)와 내통부(108)는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양 외·내통부(107, 108) 사이에 공간(114)으로서의 고리형상의 수납부(109)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09) 내에는 이동체(104)가 배치되어 있고, 이 이동체(104)는 링형상의 회전판(110)과, 회전판(110) 상에 축 지지된 복수개의 롤러(111)군 및 원형의 중공구멍을 가지고, 통형상의 한 쌍의 고정기둥(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한 쌍의 고정기둥(112)은 회전판(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고정기둥(112)과 롤러(111) 사이에는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이 삽입되는 개구부 (113)가 형성되어 있다.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은 띠형상의 베이스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절연필름의 한쪽 면에 띠형상의 매우 얇은 치수의 구리박(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도체부(123)가 부착되어 있고, 편의상 가요성 케이블(103)을 희게 나타내고 있다.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의 바깥쪽 끝은 외통부(107)에 고정된 고정측 조인트부로서의 리드블록(105)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리드블록(105)을 거쳐 고정측 하우징(101)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 가요성 케이블(103)의 안쪽 끝은 내통부(108)에 고정된 가동측 조인트부로서의 리드블록(106)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리드블록(106)을 거쳐 가동측 하우징(102)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의 가요성 케이블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로서의 띠형상의 가요성 케이블(103)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져 박막형상으로 형성되고, 2매가 적층되어 길이가 긴 베이스필름으로서의 제 1, 제 2 절연필름(121, 122)과, 제 1, 제 2 절연필름(121, 122) 사이에 거의 전체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각각 동일한 폭치수로 형성되어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구리박(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도체부 (123)를 가지고 있다.
또 각각의 도체부(123)는 제 1, 제 2 절연필름(121, 122) 사이에 전체부분이 끼워진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23a)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23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제 1, 제 2 절연필름(121, 12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1 노출 도체부(123b)를 가지고 있다.
또 각각의 제 1 노출 도체부(123b)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124)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123b)의 자유단쪽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가요성 케이블(103)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리드블록(105)은 도 31,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기체부(基體部)(131)와, 기체부(131)에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해 설치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132)를 가지고 있다.
또 기체부(13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대략 직사각형으로, 기체부(131)의 대략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3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체부(131)의 전단부측(도 31의 위쪽)에는 기체부(131)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경사대부(131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부(132)는 예를 들면, 구리 등의 도전성의 금속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의 폭치수를 가지고,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제 1 접속부(132a)와, 제 1 접속부(132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바깥쪽 단자부(132b)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 접속단자부(132)는 기체부(131)의 경사대부(131b)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기체부(131)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제 1 접속 단자부(132)의 폭치수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103)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23a) 및 제 1 노출 도체부(123b)의 폭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1 접속 단자부(132)의 제 1 접속부(132a)의 대략 중앙부는 기체부(131)의 관통구멍(131a) 위를 건너지르도록 설치되고, 또 제 1 접속부(132a)의 후단측(도 31 아래쪽)의 표면과 기체부(131)의 표면과는 동일 평면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33,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블록(105)의 기체부(131)의 상면에는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의 제 1 노출 도체부(123b)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진다.
또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105) 각각의 제 1 접속부(132a)와 가요성 케이블 (103) 각각의 제 1 노출 도체부(123b)는 대향·적층되어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노출 도체부(123b)는 리드블록(105)의 관통구멍(131a)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접속부(132a)와 각각의 적층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 (123b)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각각의 도체부(123)와 각각의 제 1 접속 단자부(132)는 각각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회전커넥터(120)는 고정측 하우징(101)을 차체(도시 생략)에, 또 가동측 하우징(102)을 핸들부재(도시 생략)에 고정하는 동시에,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의 양쪽 끝을 고정측 및 가동측의 각 리드블록(105, 106)을 거쳐 차체나 핸들측 각각의 전기장치에 접속함으로써, 스티어링 히터장치, 차량탑재용 에어백 시스템이나 혼회로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즉, 가요성 케이블(103)의 복수개의 각 도체부(123) 내를 각각 소정의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커넥터(120)에서는 고정측 하우징(101)과 가동측 하우징 (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14) 내에는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이 수납되어 있으나, 이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은 띠형상의 매우 얇은 치수의 구리박(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도체부(123)가 절연필름의 한쪽 면에 부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히터장치용의 각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는 그다지 큰 전류치라 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스티어링용 히터장치에는 히터장치를 발열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전류치를 히터장치에 공급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요성 케이블(103)의 도체부에 큰 전류치를 흘리는 것이 요구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회전커넥터(120)에서는 가요성 케이블(103)의 도체부에 큰 전류치를 흘리면 도체부의 배선저항에 의한 발열에 의해 과잉으로 발열되기 때문에 그 전류치에 한도가 있고, 따라서 히터장치를 발열시키는 데 충분한 전류치를 1매의 가요성 케이블(103)를 거쳐 히터장치에 공급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여도 리드블록을 늘리는 일 없이 도체부에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주요부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 설치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 설치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28은 종래의 회전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9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을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30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을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31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3은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34는 종래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 하우징
2 : 가동측 하우징
3, 4, 40, 60, 70, 103, 140, 146, 220, 226 : 가요성 케이블
6, 7, 50, 80, 105 : 리드블록
21, 22 : 절연필름
23, 43, 63, 73, 123, 223 : 도체부
23a, 43a, 63a, 73a, 123a, 223a :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23b, 43b, 63b, 73b, 123b, 223b : 제 1 노출 도체부
24, 44, 64, 74 : 관통구멍(걸어맞춤부)
32, 52, 82, 132 : 제 1 접속 단자부
32a : 접속부
100, 120 : 회전커넥터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과,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하우징과,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접속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1개의 리드블록을 구비하고,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 사이에 끼워 부착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노출된 제 1 노출 도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는 각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된 것 끼리가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의 각각에 적층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리드블록을 늘리는 일 없이 복수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리드블록의 제 1 접속 단자부로부터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히터장치용의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특히 전류가 큰 전력공급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병설되어 적어도 1개의 신호전류 공급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설치되고, 리드블록에는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고,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와 제 2 접속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케이블에 복수의 용도의 제 1, 제 2 베이스부 도체부를 병설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드블록을 늘리는 일 없이, 히터장치 등에 대한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신호용 전류도 공급할 수 있는 다기능의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전력공급용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와, 신호용의 복수개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는 절연필름의 이분된 영역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력공급용과 신호용의 각 베이스부 도체부를 분리하였기 때문에, 외부접속이 간단·용이한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히터장치용의 전력공급용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치수는 신호용의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큰 폭치수로 설치되고,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의 전류용량을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의 전류용량과 비교하여 크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류가 비교적 작은 신호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을 작게 하고, 전력공급용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을 크게 하여 충분히 큰 전류용량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리드블록 1개의 제 1 접속 단자부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접속부에는 제 1 노출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개의 노출 도체부를 각각 접속부에 접속할 뿐으로 노출 도체부를 병렬 접속할 수 있고, 노출 도체부의 전류용량을 증가할 수 있어 범용성이 있는 가요성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리드블록과 접속되는 외부단자(외부 커넥터)의 단자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전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리드블록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가요성 케이블에는 위치 결정부가 끼워 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가요성 케이블의 걸어맞춤부가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져 가요성 케이블이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케이블이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리드블록에의 가요성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걸어맞춤부는 복수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중, 인접하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접하는 베이스부 도체부 사이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의해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을 작게 하지 않고, 가요성 케이블이 리드블록에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하우징과,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 각각의 끝부의 적어도 한쪽이 접속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1개의 리드블록을 구비하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 사이에 끼워 부착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절연필름으로부터 노출되고,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제 1 노출 도체부를 가지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절연필름의 각각으로부터 절연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연장 돌출한 제 1 노출 도체부는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적층된 상태에서 각 제 1 접속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리드블록을 증설하지 않고, 복수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의 폭치수보다 약간 좁은 폭치수로 1개만이 상기 절연필름에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를 절연필름의 폭치수보다약간 좁은 폭치수로 1개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절연필름 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를 폭넓게 할 수 있고,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1개만 형성된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4매 이상의 짝수매 적층됨과 동시에, 그 중 반수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노출 도체부는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를 한층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1개만 형성된 가요성 케이블이 4매 이상의 짝수매 적층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를 더 한층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절연필름에 복수매 병설되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케이블은 히터장치, 혼장치, 에어백 시스템 등의 다기능의 것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에 복수개 병설되어 설치되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3매 이상 적층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를 한층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적어도 2매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에는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한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어도 2매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흘릴 수 있는 전류치를 한층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 커넥터에서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히터장치용의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특히 전류가 큰 전력공급용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병설하여 신호전류 공급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설치되고, 리드블록에는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고,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와 제 2 접속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케이블에 복수 용도의 제 1, 제 2 베이스부 도체부를 병설시킴으로써, 리드블록을 증설하지 않고 히터장치 등으로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신호전류도 공급할 수 있어 다기능의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리드블록의 제 1 접속 단자부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접속부에는 제 1 노출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개의 노출 도체부를 각각 접속부에 접속할 뿐으로 노출 도체부를 병렬접속할 수 있고, 노출 도체부의 전류용량을 증가할 수 있고, 범용성이 있는 가요성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리드블록과 접속되는 외부단자(외부 커넥터)의 단자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전체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리드블록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 설치되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에는 위치 결정부가 끼워 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걸어맞춤부가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져 가요성 케이블이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 케이블이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리드블록에의 가요성 케이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 상태에서 수납된 복수매의 이분된 수의 가요성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서 U자 형상으로 반전되고, 이분된 수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분리된 반전위치에서 구동되도록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감기, 되감기 시의 작용이 원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회전커넥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1)과, 고정측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2)과, 고정측·가동측 하우징(1, 2) 사이에 형성된 공간(16) 내에 수납된 플랫 케이블인 2매(복수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과, 고정측·가동측 하우징(1, 2) 사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이동체(5)와, 2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의 각 양 끝부쪽에 각각 1개씩 접속된 합계 2개의 제 1 및 제 2 리드블록(6, 7)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1)에는 원통형상의 외통부(8)와, 외통부(8)의 끝부에 설치된 원형상의 바닥벽(도시 생략)과, 바닥벽의 중앙부에 설치된 원형의 구멍(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가동측 하우징(2)에는 원통형상의 내통부(9)와, 내통부 (9)의 한쪽 끝부에 설치된 대략 둥근 고리형상의 상벽(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이들 외통부(8)와 내통부(9)는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양쪽 외·내통부(8, 9) 사이에 공간(16)으로서의 고리형상의 수납부(10)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0) 내에는 이동체(5)가 배치되어 있고, 이 이동체(5)는 링형상의 회전판(11)과, 회전판(11) 상에 축 지지된 복수개의 롤러(12)군 및 원형의 중공구멍을 가지고, 통형상의 한 쌍의 고정기둥(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고정기둥(13)은 회전판(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고정기둥(13)과 롤러(12) 사이에는 제 1 가요성 케이블(3)이 삽입되는 제 1 개구부(14)가 형성되고, 다른쪽 고정기둥(13)과 롤러(12) 사이에는 제 2 가요성 케이블(4)이 삽입되는 제 2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2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띠형상의 절연성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2매의 절연필름 사이에 띠형상의 매우 얇은 치수의 구리(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도체부(23)가 부착되어 있다. 2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의 바깥쪽 끝은 외통부 (8)에 고정된 고정측 조인트부로서의 리드블록(6)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되고, 리드블록(6)을 거쳐 고정측 하우징(1)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의 안쪽 끝은 내통부(9)에 고정된 가동측 조인트부로서의 리드블록(7)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리드블록(7)을 거쳐 가동측 하우징(2)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그 때,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은 제 1 가요성 케이블(3)을 안쪽으로 한 상태에서 리드블록(6)으로부터 외통부(8)의 내벽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감겨진 후 분기하고, 제 1 가요성 케이블(3)은 제 1 개구부(14)를 통과하여 롤러(12)군의 하나에 U 자 형상으로 반전되고, 제 2 가요성 케이블(4)은 제 2 개구부(15)를 통과하여 롤러(12)군의 다른 하나에 U 자 형상으로 반전되고, 또한 제 2 가요성 케이블(4)을 안쪽으로 한 상태에서 내통부(9)의 둘레면에 시계방향으로 감겨진 후 리드블록(7)에 이르도록 수납부(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100)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로서의 띠형상의 가요성 케이블〔3(4)〕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져 박막형상으로 형성되고, 2매가 적층되어 길이가 긴 베이스필름으로서의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과,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 사이에 거의 전체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각각 동일한 폭치수로 형성되어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구리박(Cu) 등으로 이루어지는 길이가 긴 도체부(23)와, 각 도체부(23) 사이에 있어서 각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걸어맞춤부로서의 관통구멍(24)을 가지고 있다.
또 각각의 도체부(23)는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 사이에 전체 부분이 끼워진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3a)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3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1 노출 도체부(23b)를 가지고 있다.
또 각각의 제 1 노출 도체부(23b)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25)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23b)의 자유단측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가요성 케이블〔3(4)〕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가요성 케이블〔3(4)〕은 동일 구성의 것이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리드블록〔6(7)〕은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부(31)와, 기체부(31)에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해 설치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32)를 가지고 있다.
또 기체부(3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성형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기체부(31)의 대략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3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체부(31)의 전단부측(도 4 윗쪽)에는 기체부(31)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경사대부(31b)가 설치되고, 기체부(31)의 후단부측(도 4 아래쪽)의 소정의 위치에는 기체부(31)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대략 원주형상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결정부(31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부(32)는 예를 들면, 구리 등의 도전성의 금속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의 폭치수를 가지고,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제 1 접속부(32a)와, 인접하는 2개(복수개)의 제 1 접속부(32a)를 연결하는 연결부(32b)와, 연결부(32b)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된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제 1 바깥쪽 단자부(32c)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 접속 단자부(32)는 기체부(31)의 경사대부(31b)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기체부(31)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1 접속 단자부(32)의 제 1 접속부(32a)의 대략 중앙부는 기체부(31)의 관통구멍(31a) 위를 건너지르도록 설치되고, 또 제 1 접속부(32a)의 후단측(도 4 아래쪽)의 표면과 기체부(31)의 표면은 동일 평면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 1 접속부(32a) 사이에 위치 결정부(31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블록〔6(7)〕의 기체부(31)의 상면에는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 〔3(4)〕의 제 1 노출 도체부(23b)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진다.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6(7)〕의 위치결정부(31c)가 각 가요성 케이블〔3(4)〕의 각 관통구멍(24)에 삽입되어 리드블록〔6(7)〕의 각 가요성 케이블〔3(4)〕은 상호 위치 결정된다.
또 상호 위치 결정된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6(7)〕의 각 접속부(32a)와, 가요성 케이블〔3(4)〕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23b)는 대향·적층되어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노출 도체부(23b)는 리드블록〔6(7)〕의 관통구멍(31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접속부(32a)와 각각의 적층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23b)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3(4)〕과 1개의 리드블록(3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화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100)는 고정측 하우징(1)을 차체(도시 생략)에, 또 가동측 하우징(2)을 핸들부재(도시 생략)에 고정하는 동시에, 2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의 양쪽 끝을 고정측, 및 가동측 조인트부로서의 리드블록〔6(7)〕을 거쳐 차체나 핸들측 각각의 전기장치에 접속함으로써 스티어링 히터장치 등의 대전류의 공급이 필요한 장치용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즉, 2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3, 4)의 복수개(예를 들면, 2개, 모두 4개)의 각 도체부(23) 내를 각각 소정의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각각의 도체부(23) 내를 흐르는 전체 전류의 양은 커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100)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다른 실시형태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가요성 케이블과 제 2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먼저, 띠형상의 제 2 가요성 케이블(4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띠형상의 베이스필름으로서의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과, 복수개(예를 들면, 6개)의 구리박(Cu)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제 2 도체부(43)와, 각 제 2 도체부(43) 사이에 있어서 각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걸어맞춤부로서의 관통구멍(44)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20)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3(4)〕과의 상이점은 띠형상의 복수개(예를 들면, 6개)의 제 2 도체부(43)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것은 상기 제 2 도체부(43)가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 사이에 거의 전체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나, 제 2 도체부(43)는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이분된 영역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된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폭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43a)와, 신호용으로서 사용하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폭이 좁은 제 2 베이스부 도체부(43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력공급용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43a)의 폭치수는 신호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43c)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굵은(큰) 폭치수로 설치되고, 이 폭치수의 상이점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43a)에 흘릴 수 있는 전류용량이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43c)에 흘릴 수 있는 전류용량과 비교하여 크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각 제 1 베이스부 도체부(43a)와 각 제 2 베이스부 도체부(43c) 사이의 각각의 간격 치수는 동일 간격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각의 제 2 도체부(43)는 각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43a)와 제 2 베이스부 도체부(43c)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한 각 제 1 노출 도체부(43b)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43d)를 가지고 있다.
이 각 제 1 노출 도체부(43b)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43d)와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45)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123b)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43d)의 자유단측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은 동일 구성의 것이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리드블록(50)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리드블록(30)과의 상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제 2 리드블록(5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부(51)와, 제 1 접속 단자부(52)와, 제 1 접속 단자부(52)에 병설된 제 2 접속 단자부(53)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기체부(51)에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결정부(51c)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리드블록(50)의 제 1 접속 단자부(52)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접속부(32a)를 가지는 제 1 접속 단자부(32)(도 4참조)와 동일한 구성이고, 제 1 접속부(52a)와 연결부(52b)와 제 1 바깥쪽 단자부(52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제 2 접속 단자부(53)는, 예를 들면 구리 등의 도전성의 금속평판재료로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소정의 폭치수를 가지는 제 2 접속부(53a)와, 제 2 접속부(53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된 제 2 바깥쪽 단자부(53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접속 단자부(53)의 제 2 접속부(53a)의 폭치수는 상기 제 1 접속 단자부(52)의 제 1 접속부(52a)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가는 폭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속부(52a)의 폭치수와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43b)의 폭치수는 거의 동일한 폭치수로 설치되고, 또 상기 제 2 접속부(53a)의 폭치수와 상기 제 2 노출 도체부(43d)의 폭치수는 거의 동일한 폭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접속부(52a)와 제 2 접속부(53a)는 기체부(51)의 이분된 영역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리드블록(50)의 기체부(51)의 상면에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예를 들면, 2매)의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의 제 1 노출 도체부(43b) 및 제 2 노출 도체부(43d)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진다. 이 상태일 때, 제 2 리드블록(50)의 위치 결정부(51c)가 각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의 각 관통구멍(44)에 삽입되어 제 2 리드블록(50)과 각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은 상호 위치 결정된다.
또 상호 위치 결정된 이 상태일 때, 제 2 리드블록(50)의 각 제 1, 제 2 접속부(52a, 53a)와, 제 2 가요성 케이블(40)의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43b,43d)는 각각 대향·적층되어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43b, 43d)는 제 2 리드블록(50)의 관통구멍(51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제 2 접속부(52a, 53a)와 각각의 적층된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43b, 43d)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복수매의 제 2 가요성 케이블(40)과 1개의 제 2 리드블록(50)은 일체화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의해 제 1 접속 단자부(52)에는, 예를 들면 히터장치 등의 큰 전류를 흘릴 수 있고, 또 제 2 접속 단자부(53)에는 예를 들면, 에어백 장치 등의 작은 전류를 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로서의 각 가요성 케이블의 구성을 2매의 절연필름 사이에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끼워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으나, 가요성 케이블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매의 절연필름의 한면(한쪽 면)에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부착된 구성이어도 좋다.
여기서,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100)의 제 3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리드블록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먼저, 띠형상의 제 1 가요성 케이블(60)은 도 12,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베이스필름으로서의 제 1, 제 2 절연필름(61, 62)과, 1개의 구리박 (Cu) 등으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띠형상의 제 1 도체부(63)와, 상기 제 3 도체부(63)의 영역 내에 있어서, 각 제 1, 제 2 절연필름(61, 6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걸어맞춤부로서의 관통구멍(64)을 가지고 있다.
또 1개의 제 1 도체부(63)는 제 1, 제 2 절연필름(61, 62) 사이에 전체 부분이 끼워진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제 1, 제 2 절연필름(61, 6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하고, 바깥쪽에 돌출 설치한 제 1 노출 도체부(63b)를 가지고 있다. 이 상태일 때, 1개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의 폭치수는 제 1, 제 2 절연필름(61, 62)의 폭치수보다 약간 좁은 폭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노출 도체부(63b)의 폭치수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좁은 폭치수로 설치되고, 또한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63b)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의 선단부의 한쪽 끝부측(도 12의 왼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제 1 노출 도체부(63b)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65)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63b)의 자유단쪽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1 가요성 케이블(6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1 가요성 케이블(60)은 동일 구성의 것이 복수매(예를 들면, 2매)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띠형상의 제 2 가요성 케이블(70)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6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나, 그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가요성 케이블(70)은 제 1, 제 2 절연필름(71, 72)과, 1개의 제 2 도체부(73)와,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관통구멍(74)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2 도체부(73)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73a)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73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제 1, 제 2 절연필름(71, 7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3 노출 도체부(73b)를 가지고 있다. 이 상태일 때, 1개의 제 2 도체부(73)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73a)의 폭치수는 제 1, 제 2 절연필름(71, 72)의 폭치수보다 약간 좁은 폭치수로, 상기의 제 1 도체부(63)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63a)의 폭치수와 대략 동일한 폭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도체부(73)의 제 1 노출 도체부(73b)의 폭치수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73a)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좁은 폭치수로 설치되고, 또한 폭이 좁은 제 3 노출 도체부 (73b)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73a)의 선단부의 다른쪽 끝부측(도 13의 오른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제 3 노출 도체부(73b)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75)이 부착되어 각 제 3 노출 도체부(73b)의 자유단쪽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2 가요성 케이블(7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70)은 동일 구성의 것이 복수매(예를 들면, 2매)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의 리드블록(80)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리드블록 (30)과의 상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리드블록(80)은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부(81)와,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제 1 접속 단자부(82)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기체부(81)에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볼록부로서의 위치 결정부(81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드블록(80)의 제 1 접속 단자부(82)는 제 1 접속부(82a)와 제 1 바깥쪽 단자부(82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2개의 제 1 접속부(82a)와 제 1 바깥쪽 단자부(82c)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기체부(81)에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 제 1 접속 단자부(82)의 제 1 접속부(82a)의 폭치수와 상기 제 1, 제2 도체부(63, 73)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63b, 73b)의 폭치수는 거의 동일한 폭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드블록(80)의 기체부(81)의 상면에는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짝수매(예를 들면, 2매, 또는 4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63b), 및 제 1 노출 도체부(73d)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진다.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80)의 위치 결정부(81c)가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의 각 관통구멍(64, 74)에 각각 삽입되고, 리드블록 (80)과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은 상호 위치 결정된다.
또 상호 위치 결정된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80)의 각 제 1 접속부(82a)와,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63b, 73b)는 각각 대향되어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노출 도체부(63b, 73b)는 리드블록(80)의 관통구멍(81a)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각 제 1 접속부(82a)와, 각각의 대향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 (63b, 73b)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2매(짝수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과 1개의 리드블록(80)은 일체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일 때,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의 제 1 도체부(63) 및 제 2 도체부(73)는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된다.
이 상태일 때,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매(각 2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60, 70)은 교대로 겹쳐 맞춰져 있다. 또 이 겹쳐 맞춤은 교대가 아니어도 좋다.
또한 이 상태일 때, 각 제 1 접속 단자부(82)에는 동일한 히터장치용의 전력공급용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제 1 접속 단자부(82)에 다른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로서 4매(각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6매 이상의 짝수매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짝수 도체부의 배치가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 단자부가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된 제 1 바깥쪽 단자부를 가지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를 가지지 않고, 제 1 접속부와 제 1 바깥쪽 단자부가 직접 접속된 구성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의 걸어맞춤부는 서로 인접하는 베이스부 도체부 사이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맞춤부를 절연필름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나 베이스부 도체부 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된 가요성 케이블의 매수는, 예를 들면 3매(홀수매)이어도, 4매(짝수매) 이상이어도 좋은 것을 물론, 또 이들 가요성 케이블 외에 신호전류 공급용의 도체부가 형성된 가요성 케이블을 배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100)의 제 4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4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 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플랫 케이블로서의 띠형상의 제 1 가요성 케이블(120)은 도 19,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구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2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3, 4)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그 상이점을 설명한다.
각각의 도체부(223)는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 사이에 전체 부분이 끼워진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된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223b)를 가지고 있다. 즉 제 1 노출 도체부(223b)의 폭치수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좁은 폭치수로 설치되고, 또한 제 1 노출 도체부(223b)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의 선단부의 한쪽 끝부쪽(도 19의 오른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각각의 제 1 노출 도체부(223b)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25)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223b)의 자유단쪽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1 가요성 케이블(22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1 가요성 케이블(22)은 동일 구성의 것이 1매, 또는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플랫 케이블로서의 띠형상의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은 상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22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나, 그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22)의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223b)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의 선단부의 한쪽 끝부쪽(도 19의 오른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의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 (223c)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의 선단부의 다른쪽 끝부측(도 20의 왼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은 동일 구성의 것이 1매, 또는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1 가요성 케이블(220)과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은 겹쳐 맞춰져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1 가요성 케이블(220)의 폭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 (223b)와 제 2 가요성 케이블(226)의 폭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223c)는 제 1, 제 2 절연필름(21, 22) 끝부의 다른 위치로서, 서로 겹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리드블록과 동일한 리드블록〔6(7)〕의 기체부(31)의상면에는 도 22,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상기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223b, 223c)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져 있다.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30)의 위치결정부(31c)가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각 관통구멍(24)에 삽입되어 리드블록(30)과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은 상호 위치 결정된다.
또 상호 위치 결정된 이 상태일 때, 리드블록(30)의 각 접속부(32a)와,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 각각의 제 1 노출 도체부(223b, 223c)는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노출 도체부(223b, 223c)는 리드블록(30)의 관통구멍 (31a)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접속부(32a)와 각각의 적층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223b, 223c)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2갈래 형상을 이룬 한쪽의 접속부(32a)에는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한쪽 도체부(223)가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쪽의 접속부 (32a)에는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다른쪽 도체부(223)가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복수매·적층된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과 1개의 리드블록(30)은 일체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이 상태일 때,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겹쳐 맞춤 각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223a)는 동일한 제 1 접속 단자부(32)에 접속되어 동일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2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220, 226)의 복수개의 각 도체부(223) 내를 각각 소정의 도체가 흐름으로써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여기서, 다음에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100)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제 5 실시형태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제 2 가요성 케이블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한 이 제 5 실시형태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과 리드블록의 접속상태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4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먼저, 띠형상의 제 1 가요성 케이블(140)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띠형상의 베이스필름으로서의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과, 복수체(예를 들면, 3개)의 구리박(Cu)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제 2 도체부(143)와, 각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걸어맞춤부로서의 관통구멍(44)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가요성 케이블(120)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케이블(120)과의 상이점은 띠형상의복수체(예를 들면, 3개)의 제 2 도체부(143)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것은 상기 제 2 도체부(143)가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 사이에 거의 전체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나 이 상태일 때, 제 2 도체부(143)는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이분된 영역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된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복수체(예를 들면, 2개)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와, 신호용으로서 사용하는 1개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력공급용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의 폭치수는 신호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큰 폭치수로 설치되고, 이 폭치수의 상이점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에 흘릴 수 있는전류용량이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에 흘릴 수 있는 전류용량과 비교하여 크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각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와 각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 사이의 각각의 간격치수는 소정의 간격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각의 제 2 도체부(143)는 각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와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143b)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143d)을 가지고 있다. 이 상태일 때,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143b)의 폭치수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좁은 폭치수로 설치되고, 또한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143b)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143a)의 선단부의 한쪽 끝부쪽(도 24의 오른쪽)으로부터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의 폭치수와 제 2 노출 도체부(143d)의 폭치수는 동일한 폭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가요성 케이블(140)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 (143c)와 제 2 노출 도체부(143d)는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한쪽의 옆 가장자리부에 비교적 근접하게 설치되어 신호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각 제 1 노출 도체부(143d)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143d)와 선단부의 한쪽 면에는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유지필름(45)이 부착되어 각 제 1 노출 도체부(143b)와 각 제 2 노출 도체부(143d)의 자유단쪽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2 가요성 케이블(14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140)은 동일 구성의 것이 1매, 또는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플랫 케이블로서의 띠형상의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은 상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14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나, 그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제 1 가요성 케이블(140)의 제 1 노출 도체부(143b)는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의 선단부의 한쪽 끝부쪽(도 24의 오른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의 폭이 좁은 제 1 노출 도체부(143e)는 폭 넓은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의 선단부의 다른쪽 끝부쪽(도 25의 왼쪽)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와 제 2 노출 도체부 (143d)는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한쪽의 옆 가장자리부로부터 비교적이간하여 설치되어 신호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고, 이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은 동일 구성의 것이 1매, 또는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1 가요성 케이블(140)과 제 2 가요성 케이블(146)은 겹쳐 맞춰져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1 가요성 케이블(140)의 제 1 노출 도체부 (143b)와 제 2 가요성 케이블(46)의 제 1 노출 도체부(143e)는 제 1, 제 2 절연필름(41, 42)의 끝부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의 리드블록은 도 9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리드블록(50)과 동일한 것이다.
이 제 5 리드블록(50)의 기체부(51)의 상면에는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의 제 1 노출 도체부 (143b, 143e) 및 제 2 노출 도체부(143d)가 형성된 쪽이 적층되어 얹어 놓여진다. 이 상태일 때, 제 2 리드블록(50)의 위치결정부(51c)가 각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의 각 관통구멍(44)에 삽입되어 제 2 리드블록(50)과 각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은 상호 위치결정된다.
또 상호 위치결정된 이 상태일 때, 제 2 리드블록(50)의 각 제 1, 제 2 접속부(52a, 53a)와 제 1, 및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의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143b, 143e, 143d)는 각각 대향·적층되어 설치되고, 또한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143b, 143e, 143d)는 제 2 리드블록(50)의 관통구멍(51a)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제 2 접속부(52a, 53a)와 각각의 적층된 각 제 1, 제 2 노출 도체부(143b, 143d)는 예를 들면, 초음파 접속수단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2매의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과 1개의 리드블록(50)은 일체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이 상태일 때, 제 1, 제 2 가요성 케이블(140, 146)의 겹쳐 맞추는 각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143a)는 동일한 제 1 접속 단자부(52)에 접속되어 전력공급용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또 각 제 2 베이스부 도체부(143c)는 각각 개별의 제 2 접속 단자부(53)에 접속되어 각각 신호용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이 2매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장(홀수매), 또는 4매(짝수매) 이상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 단자부가 2갈래 형상인 구성의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갈래 이상, 또는 1개(1개)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이 2매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매 이상으로 각각의 도전체가 각각 다른 제 1 접속 단자부의 접속부에 접속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겹쳤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겹치는 매수는 3매 이상이고, 그 중에서 일부에 동일 위치에 도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로서의 각 가요성 케이블의 구성을 2매의 절연필름 사이에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끼워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으나, 가요성 케이블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매의 절연필름의 한면에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부착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상기의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의 걸어맞춤부는 베이스부 도체부내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맞춤부를 절연필름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가요성 케이블에 설치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는 각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하고, 1개의 리드블록의 각 제 1 접속 단자부에는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가 각각 적층된 상태에서 동일한 각 제 1 접속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함으로써 복수매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1개의 리드블록의 제 1 접속 단자부로부터 큰 전류치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에 설치된 각 제 1 노출 도체부는 각 절연필름으로부터 다른 위치에서 연장 돌출하고, 1개의 리드블록의 각 제 1 접속 단자부에는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각 제 1 노출 도체부가 각각 적층된 상태에서 동일한 각 제 1 접속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 가요성 케이블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함으로써 리드블록를 증설하지 않고 복수매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1개의 리드블록의 제 1 접속 단자부로부터 큰 전류치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회전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0)

  1. 고정측 하우징과,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고정측 하우징과 상기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접속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1개의 리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 사이에 끼워 부착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노출된 제 1 노출 도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는 각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된 것 끼리가 상기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 각각에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히터장치용의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병설(竝設)되어 적어도 1개의 신호전류 공급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리드블록에는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와 상기 제 2 접속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히터장치용 전력공급용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와, 신호전류 공급용 복수개의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의 이분된 영역에 각각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히터장치용 전력공급용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치수는 신호전류 공급용의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의 폭치수와 비교하여 큰 폭치수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의 전류용량을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의 전류용량과 비교하여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 1개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부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끼워 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져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상기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중 인접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고정측 하우징과 상기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 각각의 끝부의 적어도 한쪽이 접속된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1개의 리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띠형상의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절연필름사이에 끼워 부착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노출되고,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제 1 노출 도체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절연필름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절연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연장 돌출한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적층된 상태에서 각 상기 제 1 접속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의 폭치수보다 약간 좁은 폭치수로 1개만이 상기 절연필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4매 이상의 짝수매 적층됨과 동시에, 그 중 반수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로부터 연장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가 1개만 형성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4매 이상의 짝수매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에 복수매 병설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상기 절연필름에 복수개 병설하여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이 3매 이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에는 상기 절연필름으로부터 동일 위치에서 연장 돌출한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는 히터장치용 전력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은 상기 제 1 베이스부 도체부에 병설되어 신호전류 공급용의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리드블록에는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 도체부와 상기 제 2 접속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부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접속부에는 다른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각 상기 제 1 노출 도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끼워 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가요성 케이블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끼워 맞춰져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상기 리드블록에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하우징과 상기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상태로 수납된 복수매의 이분된 수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서 U자 형상으로 반전되고, 이분된 수의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분리된 반전위치에서 구동되도록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KR10-2002-0009012A 2001-02-21 2002-02-20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 KR100460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5210A JP2002246133A (ja) 2001-02-21 2001-02-21 回転コネクタ
JPJP-P-2001-00045211 2001-02-21
JP2001045211A JP3889231B2 (ja) 2001-02-21 2001-02-21 回転コネクタ
JPJP-P-2001-00045210 2001-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66A true KR20020068466A (ko) 2002-08-27
KR100460724B1 KR100460724B1 (ko) 2004-12-08

Family

ID=2660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012A KR100460724B1 (ko) 2001-02-21 2002-02-20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41404B2 (ko)
EP (1) EP1235313B1 (ko)
KR (1) KR100460724B1 (ko)
CN (1) CN1217453C (ko)
DE (1) DE6023741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5862C1 (de) * 2002-08-05 2003-11-13 Freudenberg Carl Kg Verbindungsvorrichtung
JP3876206B2 (ja) * 2002-09-02 2007-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
US7381064B2 (en) * 2003-08-26 2008-06-03 Methode Electronics, Inc. Flexible flat cable termination structure for a clockspring
EP1981131A1 (de) 2007-04-14 2008-10-15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US7758364B1 (en) * 2009-08-04 2010-07-20 Seagate Technology Llc Rotary positioning
KR101322593B1 (ko) * 2011-03-14 2013-10-2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CN103378526B (zh) * 2012-04-11 2015-05-27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旋转连接器
KR101691429B1 (ko) * 2015-06-22 2017-01-09 (주)신창코넥타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CN109075517B (zh) * 2016-05-31 2020-05-05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旋转连接器
CN109075516B (zh) * 2016-05-31 2020-05-01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旋转连接器
JP6782125B2 (ja) * 2016-08-30 2020-1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WO2021045047A1 (ko) * 2019-09-05 2021-03-11
CN112928648B (zh) * 2021-03-29 2022-09-27 正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交流金属封闭环网开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88B1 (ko) * 1994-03-09 1998-07-01 가다오까 마사다까 회전콘넥터
TW317043B (ko) 1994-07-19 1997-10-01 Methode Electronics Inc
KR100315857B1 (ko) * 1995-05-29 2002-03-21 스즈키 다케토시 회전커넥터장치
DE19702538B4 (de) 1996-01-25 2004-12-02 Alps Electric Co., Ltd. Drehverbinder
DE29605034U1 (de) * 1996-03-06 1996-05-15 Petri Ag Steckverbinder
GB2319398B (en) * 1996-05-29 2001-07-11 Tokai Kogyo Co Ltd Conductive por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portion device assembly
DE19633933A1 (de) * 1996-08-22 1998-04-02 Gore W L & Ass Gmbh Bandkabel-Verbinder
JP2000150098A (ja) * 1998-11-09 2000-05-30 Yazaki Corp 回転コネクタ
JP2000294359A (ja) * 1999-02-05 2000-10-20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3561435B2 (ja) * 1999-05-14 2004-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DE19926278C1 (de) * 1999-06-09 2001-02-15 Kostal Leopol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nergie
JP3633413B2 (ja) * 2000-01-06 2005-03-30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1357916A (ja) * 2000-06-13 2001-12-26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7453C (zh) 2005-08-31
US20020115312A1 (en) 2002-08-22
EP1235313A3 (en) 2003-10-01
DE60237410D1 (de) 2010-10-07
US6641404B2 (en) 2003-11-04
EP1235313B1 (en) 2010-08-25
KR100460724B1 (ko) 2004-12-08
CN1372359A (zh) 2002-10-02
EP1235313A2 (en)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724B1 (ko) 복수매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전커넥터
US5683259A (en) Rotary connector
US6247977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6644978B2 (en) Connector having two connectors inserted into one lead block
JP5833522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3524363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相対回転可能な二つの構成部材間の通電装置
JP5802156B2 (ja) 回転コネクタ
JP3520220B2 (ja) 回転コネクタ
US6109942A (en) Rotary connector
JP3889231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2246133A (ja) 回転コネクタ
JP371861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への回転コネクタの取り付け構造
US5728975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flat cable
JP3758533B2 (ja) 回転コネクタ
JP2012182072A (ja)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JP2002246136A (ja) 回転コネクタ
JP2002246135A (ja) 回転コネクタ
JP5833523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3086321A (ja) ケーブルリール
JP2001015240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H083704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導電体に対する端子の接続構造
JPH1074573A (ja) 回転コネクタ
JPH0779515A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用帯状fpc
JP2000133399A (ja) 回転接続装置及びその製造に適する端子溶接方法
JPH07320835A (ja) 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