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857B1 - 회전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857B1
KR100315857B1 KR1019950013601A KR19950013601A KR100315857B1 KR 100315857 B1 KR100315857 B1 KR 100315857B1 KR 1019950013601 A KR1019950013601 A KR 1019950013601A KR 19950013601 A KR19950013601 A KR 19950013601A KR 100315857 B1 KR100315857 B1 KR 10031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exible cable
elastic piece
housing
rota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367A (ko
Inventor
오쿠하라다케시
마츠모토쯔요시
사카마키다카시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케토시
Priority to KR101995001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857B1/ko
Publication of KR96004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857B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유연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부를 1회의 몰드공정으로 형성할 수가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터미널을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금형이 불필요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스테이터하우징과 로터하우징이 이루는 공간내에 나선상으로 유연케이블(3)을 수납한다. 유연케이블(3)에서 노정된 도전선(31)에 터미널(4A)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터미널(4A)을 수지몰드하고, 지지체(5A)를 형성한다. 지지체(5A)는 스테이터하우징 및 로터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하는 것이다. 터미널(4A)은 응력집중부(41A)를 가지며, 연결편(43A)를 구부려 접어 제거함으로써 각 터미널편(42A)을 분리할 수가 있다.
탄성편의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함으로 인해, 탄성편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서, 가령 조립공차에 의해 탄성편이나 유연케이블이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하는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개량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스테이터하우징에 로터하우징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한다. 양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내의 유연케이블(3)을 나선상으로 수납한다. 유연케이블(3)에서 노정된 도전선(31)에 터미널(4)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지지체(5A)는 터미널(4)를 수지몰드함과 동시에 스테이터하우징 및 로터하우징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한다. 탄성편(8)은 지지체(5A)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유연케이블(3)을 따라 설치한다. 탄성편(8)은 지지체(5A)에 조립시킨 쪽의 폭(W1)을 반대쪽의 폭(W2)보다 비교적 좁게 하여,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장치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steering handie)의 패드(pad)부분에 설치된 에어 백(air bag)등으로 전원(電源)을 공급하는데 적절한 회전 커넥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케이블의 단부(端部)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구조부에 있어서, 그 성형공정을 간략화함과 동시에 저렴한 값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히 유연 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부에 있어서, 유연케이블의 좌굴(座屈)을 방지하도록, 해당 유연케이블(의 방향)을 따라 설계된 탄성편을 개량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방면의 기술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4-2198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방면의 종래 기술에서는,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공정에서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터미널을 프레스성형하여, 제 2 공정에서 해당 터미널을 1차 몰드에 의해 인서트성형하고, 제 3 공정에서 터미널의 상기 부분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절단하여 각 터미널편 으로 분리하고, 제 4 공정에서 유연케이블로부터 노정(露呈)된 도전선을 각 터미널 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제 5 공정에서 1차 몰드부 및 터미널 접속부 전체를 2차 몰드에 의해 인서트성형하여 왔다.
또한 종래의 유연케이블이 단부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유연케이블을 따라 탄성편을 설치하던 기술이 있다. 예를들어, 일본국 실공소 62-11147호 공보는, 이 방면의 탄성편을 좌굴 방지부재로 개시하였다.
상기의 종래 기술구성으로서는, 적어도 2회의 몰드공정이 필요하고,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터미널을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할 경우, 각 터미널편의 간격이 좁으면 고정도(高精度)의 절단정도가 요구되고, 또한 프레스금형의 도폭(刀幅)도 좁아지기 때문에 금형의 내구성도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구조부를 1회의 몰드공정으로 형성할 수가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터미널을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시키기는 프레스 성형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스테이터하우징과, 해당 스테이터하우징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로터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내에 나선상으로 수납된 유연케이블과, 상기 유연케이블로부터 노정된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과, 해당 터미널을 수지 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하우징 및 로터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시킨 지지체등을 갖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응력집중부를 갖추고, 해당 응력집중부에서 구부려 접어 절단이 가능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실시상태로서, 상기 터미널이, 복수의 터미널편과 해당 각 터미널편 상호간을 연결한 연결편을 갖춤과 동시에, 해당 연결편과 상기 각 터미널편과의 사이에 상기 응력집중부를 형성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로서, 상기 연결편과 응력집중부가 상기 지지체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응력집중부에서 연결편을 지지체로부터 구부려 접어 제거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로서, 상기 응력집중부가,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열형성된 홈으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조립공차에 의해, 예를들어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a)이 지지체(b)에 편심상태로 조립되면, 탄성편(a) 및 유연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하우징의 내벽(c)에 강하게 접촉될 때가 있다. 그로 인해 회전 커넥터장치가회전동작을 할 때, 탄성편 (a)과 하우징의 내벽(c)의 간섭으로 노이즈가 발생하여, 나아가서 내구성능이 열화(劣化)되는 원인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편의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탄성편의 폭 방향에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유연성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가령 조립공차에 의해, 탄성편 및 유연케이블의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하는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개량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스테이터하우징과, 해당 스테이터하우징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로터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내에 나선상으로 수납된 유연케이블과, 상기 유연케이블로부터 노정된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과, 해당 터미널을 수지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하우징 및 로터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시킨 지지체와, 해당 지지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연케이블을 따라 설치된 탄성편등을 갖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실시상태로서, 상기 탄성편을 상기 지지체에 조립시킨 쪽의 폭을 반대쪽의 폭보다 비교적 좁게 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로서, 상기 탄성편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 대한 해당 구멍에 딱 들어맞는 복수의 기둥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적어도 두 개의 기둥을, 상기 탄성편을 상기 지지체에 조립시킬 때의 위치를 정하는 것으로 한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눌러 찌그러 뜨려서, 상기 탄성편을 전기 지지체에 고정시킨 회전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도∼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1)은 스테이터하우징, (2)는 로터하우징, (3)은 유연케이블, (4A),(4B)는 터미널, (5A),(5B)는 지지체, (6)은 연결핀으로서, 이에 대하여 다음에 상술한다.
먼저 스테이터하우징(1)은, 예를들어 자동차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로터하우징(2)은, 스테이터하우징(1)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함과 동시에, 연결핀(6)에 의해 스테어링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연케이블(3)은, 예를들어 도전선(31)을 수지필름(32)에 끼워넣은 구조로서, 소위 말하는 플랫(flat)케이블을 사용한다. 해당 유연케이블(3)은, 상기 스테이터하우징(1)과 로터하우징(2)으로 구성되는 도넛형의 공간내에 수납되어 있고, 그 한쪽은 스테이터하우징(1)에, 다른 한쪽은 로터하우징(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4A),(4B)은, 동과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한 것이다.
먼저, 터미널(4A)는, 제 3 도∼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터미널편(42A)과, 해당 터미널편(42A)의 상호간을 연결한 연결편(43A)등을 갖추고,해당 연결편(43A),(43A')과 터미널편(42A)과의 사이에 응력집중부(41A),(41A')를 형성하고 있다. 해당 응력집중부(41A),(41A')는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열형성되어 있고,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V자형인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식으로 터미널(4B)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터미널편(42B)와, 해당 터미널편(42B)의 상호간을 연결한 연결편(43B)등을 갖추고, 해당 연결편(43B)과 터미널편(42B)과의 사이에 응력집중부(41B)를 형성하고 있다. 해당 응력집중부(41B)는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열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V자형인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5A),(5B)는, 상기 터미널(4A),(4B)을 수지 몰드하는 것이며, 한쪽 지지체(5A)는 로터하우징(2)에, 다른쪽의 지지체(5B)는 스테이터하우징(1)에 각각 고정한다. 덧붙여 말하면, 한쪽 지지체(5A)는 유연케이블(3)을 외부 접속하네스(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부재로 구성되고, 다른쪽 지지체(5B)는, 그대로 직접 끼워넣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터미널(4A),(4B)을 프레스성형하는 공정에서, 연결편(43A), (43A') 및 (43B)를 제거하는 공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설명한다.
(1) 프레스공정
터미널(4A),(4B)을 금형으로 프레스성형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 응력집중부(41A),(41A') 및 (41B)도 동시에 성형한다.
(2) 접속공정
상기 공정에 이어,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케이블(3)로부터 노정된 도전선(31)을 예를들어 초음파용착, 전기용접 또는 납땜등의 적절한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각 터미널편(42A),(4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접속부는, 제 6 도에 있어서 크로스 해칭으로 표시한 부분이다.
(3) 몰드공정
상기 공정에 이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미널(4A),(4B)을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인서트성형하여, 지지체(5A),(5B)를 형성한다.
(4) 절단공정
상기 공정에 이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5A),(5B)의 벽면에서 돌출된 터미널(4A),(4B)의 연결부(43A),(43A') 및 (43B)를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1회 내지 수회 구부려 접으면, 터미널(4A),(4B)이 응력집중부(41A),(41A') 및 (41B)에서 금속피로를 일으켜 절단된다. 그리고 이 절단된 연결편(43A)(43A') 및 (43B)를 지지체(5A),(5B)에서 제거한다. 그후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지지체(5A)로 부터 노출된 각 터미널편(42A)에 외부 접속하네스(7)이 심선(71)을 예를들어 초음파용착, 전기용접 또는 납땜등의 적절한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접속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커넥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회전 커넥터장치는, 외부 접속하네스(7)을 스테이링 핸들측, 예를들면 에어백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지지체(5B)를 차체측, 예를들면 에어백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그러면, 예를들어 자동차가 충돌사고를 일으켰을 때, 에어백 컨트롤러로부터의 전기신호는, 회전 커넥터장치의 유연케이블(3)을 통해 스티어링 패드의, 예를들면 에어백장치에 전달되고, 인플레이터(inflater)를 점화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제 9 도∼제 12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적절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1)은 스테이터하우징, (2)는 로터하우징, (3)은 유연케이블, (4)는 터미널, (5A),(5B)는 지지체, (6)은 연결핀, (7)은 외부 접속하네스, (8)은 탄성편으로서, 이에 대하여 다음에 상술한다.
먼저 스테이터 하우징(1)은, 예를들어 자동차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로터하우징(2)은, 스테이터하우징(1)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함과 동시에, 연결핀(6)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연케이블(3)은 예를들어 도전선(31)을 수지 필름에 끼워넣은 구조로서, 소위 말하는 플랫케이블을 사용한다. 해당 유연케이블(3)은, 상기 스테이터하우징(1)과 로터하우징(2)로 이루어지는 도넛형의 공간내에 수납되어 있고, 그 한쪽은 스테이터하우징(1)에 다른 한쪽은 로터하우징(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4)은 동과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한 것이다.
해당 터미널(4)은, 복수의 터미널편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지지체(5A),(5B)에 몰드한 후, 해당 터미널편의 상호간을 연결한 연결편(도시하지 않음)을 절단한다.
또한 지지체(5A),(5B)는, 상기 터미널(4)을 수지 몰드하는 것이며,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지지체((5A)는 로터하우징(2)에, 다른 한쪽의지지체(5B)는 스테이터하우징(1)에 각각 고정한다. 덧붙여 말하면, 한쪽 지지체(5A)는, 유연케이블(3)을 외부 접속하네스(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부재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 지지체(5B)는, 그대로 직접 끼워 넣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해당 지지체(5A')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개의 기둥(51),(52),(53)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말하면, 기둥(51),(53)은 탄성편(8)을 지지체(5A)에 조립시킬 때의 위치 결절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기둥(52)는, 가열 압착기 등으로 눌러 찌부러 뜨려서 탄성편(8)을 지지체(5A)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8)은, 상기 유연케이블(3)을 지지체(5A)에 조립시킨 끝단부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케이블(3)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자세히는 유연케이블(3)에 접착되어 있다.
해당 탄성편(8)은, 길고 짧은 두개의 편(81,82)로 구성되고,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5A)에 조립시킨 측의 폭(W1)을, 반대측의 폭(W2)보다 비교적 좁게 하여 폭 방향(제 1 도에 나타낸 화살표 A,A'방향)에 대한 강성을 상기 폭(W1)의 부분에 있어 약하게 하고 있다. 이로인해, 탄성편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유연성을 부여하며, 가령 조립공차에 의해, 탄성편(8)이나 유연케이블(3)의 하우징(1),(2)의 내벽에 접촉하는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나아가서, 제 3 도에 나타낸 (9)는 커버로서, 유연케이블(3)이 지지체(5A)에걸려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을 해당 커버(9)에 의해 방지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 커넥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회전 커넥터장치는, 외부 접속하네스(7)을 스티어링 핸들측, 예를들면 에어백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다른쪽 지지체(5B)를 차체측, 예를들면 에어백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이로인해, 예를들어 자동차가 충돌사고를 일으켰을 때, 에어백 컨트롤러로부터의 전기신호는, 회전 커넥터장치의 유연케이블(3)을 통해 스티어링 패드의, 예를들면 에어백장치로 전달되고, 인플레이터를 점화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그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탄성편(3)은 지지체(5A),(5B)에 조립시킨쪽의 전체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아니고,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폭(W3)을 좁게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그 이외에, 본 발명은, 터미널이 응력집중부를 구비하고, 이 응력집중부에 있어서 연결편을 손을 이용하는 등으로 해서 구부려 접어 제거할 수 있으면 되는 것으로, 상기에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연케이블도 플랫케이블로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유연케이블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부, 즉 지지체에 의해 형성된, 예를들면 유연케이블을 외부 접속하네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부재 및, 직접 끼워넣는 커넥터를 한번의 몰드공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코스트가 저렴해 진다.
(2)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상의 터미널을 몰드공정 후에, 예를들어 연결편을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구부려 접기만 하는 간단한 손작업으로, 각 터미널로 분리할 수가 있고, 그로인해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금형이 불필요하게 된다.
(3) 각 터미널편의 간격이 좁을 경우에도, 손작업으로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할 수가 있으며, 그로인해 고정도의 절단정도가 요구되지 않고, 또 각 터미널편으로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금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금형의 내구성 문제가 해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의 효과가 있다.,
즉, 탄성편의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함으로 인해, 탄성편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유연성이 생긴다. 이로인해 가령 조립공차에 의해, 탄성편이나 유연케이블이 하우징 내벽에 접촉하는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고, 회전 커넥터장치가 회전 작동할 때, 탄성편과 하우징의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 내구성능이 향상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지지체내에 몰드된 터미널을 나타낸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나타낸 C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터미널에 유연케이블을 접속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장치의 사시도,
제 8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의 제조공정을 설명한 공정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 10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탄성편을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11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을 조립시킨 로터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
제 1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탄성편의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14 도는 종래 기술의 제조공정을 설명한 공정도,
제 15 도는 종래 기술에서의 탄성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이터하우징 2 : 로터하우징
3 : 유연케이블 4,4A,4B : 터미널
5 : 지지체 6 : 연결핀
7 : 외부 접속하네스 31 : 도전선
41A,42A',41B : 응력집중부 42A,42B : 터미널 편
43A,43A',43B : 연결편 71 : 심선
8 : 탄성편 51,52,53 : 기둥
81,82,83 : 구멍

Claims (9)

  1. 스테이터하우징(1)과, 해당 스테이터하우징(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 로터하우징(2)와, 상기 하우징(1),(2)이 이루는 공간내에 나선상으로 수납된 유연케이블(3)과, 상기 유연케이블(3)로부터 노정된 도전선(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터미널(4A),(4B)과, 해당 터미널(4A),(4B)를 수지 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하우징(1) 및 로터하우징(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시킨 지지체(5A),(5B)등을 갖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4A),(4B)이 응력집중부(41A),(41B)를 갖추고, 해당 응력집중부(41A,41B)에서 구부려 접어 절단이 가능한 회전 커넥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4A),(4B)이 복수의 터미널편(42A),(42B)과, 해당 각 터미널편(42A),(42B)의 상호간을 연결한 연결편(43A),(43B)을 갖추며, 동시에 해당 연결편(43A),(43B)과, 상기 각 터미널편(42A),(42B)사이에 상기 응력집중부(41A,41B)를 형성한 회전 커넥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43A),(43B)과 응력집중부(41A),(41B)가 상기 지지체(5A),(5B)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응력집중부(41A),(41B)에서 연결편(43A),(43B)을지지체(5A),(5B)에서 구부려 접어 제거한 회전 커넥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부(41A,41B)가, 거의 일직선상에 배열형성된 홈으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장치.
  5. 스테이터하우징(1)와, 해당 스테이터하우징(1)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로터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1),(2)이 이루는 공간내에 나선상으로 수납된 유연케이블(3)과, 상기 유연케이블(3)에서 노정된 도전선(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터미널(4)과, 해당 터미널(4)를 수지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하우징(1) 및 로터하우징(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시킨 지지체(5A),(5B)와, 해당 지지체(5A),(5B)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유연케이블(3)을 따라 설치된 탄성편(8)을 갖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8)의 폭 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한 회전 커넥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8)의 상기 지지체(5A,5B)에 조립시킨 쪽의 폭(W1)을 반대쪽의 폭(W2)보다 비교적 좁게한 회전 커넥터장치.
  7. 제 5 항 또느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8)이 복수의 구멍(81),(82),(83)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5A),(5B)가 해당 구멍(81),(82),(83)에 딱 들어맞는 복수의 기둥(51),(52),(53)을 가지는 회전 커넥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이 기둥(51),(52),(53)중에, 적어도 2개의 기둥(51),(53)을, 상기 탄성편(8)을 상기 지지체(5A),(5B)에 조립시킬 때의 위치를 결정시키는 것으로 한 회전 커넥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51),(52),(53)의 적어도 1개를 눌러 찌그러뜨림으로해서 상기 탄성편(8)을 상기 지지체(5A),(5B)에 고정시킨 회전 커넥터장치.
KR1019950013601A 1995-05-29 1995-05-29 회전커넥터장치 KR10031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601A KR100315857B1 (ko) 1995-05-29 1995-05-29 회전커넥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601A KR100315857B1 (ko) 1995-05-29 1995-05-29 회전커넥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367A KR960043367A (ko) 1996-12-23
KR100315857B1 true KR100315857B1 (ko) 2002-03-21

Family

ID=6652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601A KR100315857B1 (ko) 1995-05-29 1995-05-29 회전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5313B1 (en) * 2001-02-21 2010-08-2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using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367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441A (en) Rotary connector device
EP0746056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flat cable
US5013952A (en) Precision brush mounting assembly for small electric motor
US639369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for flat cable
KR100315857B1 (ko) 회전커넥터장치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GB2301232A (en) Rotatry connector device
JP3113491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0315858B1 (ko) 회전커넥터장치
KR200155108Y1 (ko)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JPH1141754A (ja) 三次元立体回路体
EP0718160B1 (en) Air bag activating system and a strain relief sleeve therefor
JP3077079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4096800B2 (ja) 自動車用リレーボックス
JP3940374B2 (ja) 連鎖状端子を用いたコネクタ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使用される連鎖状端子
JP3305193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20210359572A1 (en) Electric motor contact adapter
JP3322215B2 (ja) ケーブルリール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の電気接続構造
GB2291281A (en) Rotary clock-spring connection device
KR980009800U (ko)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JPH11111352A (ja) 電子部品内蔵の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66026A (ja) ハーネス仮止め装置
JP3540169B2 (ja) 圧接端子
JPH09245923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H0668991U (ja) ミラー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