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108Y1 -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108Y1
KR200155108Y1 KR2019960015439U KR19960015439U KR200155108Y1 KR 200155108 Y1 KR200155108 Y1 KR 200155108Y1 KR 2019960015439 U KR2019960015439 U KR 2019960015439U KR 19960015439 U KR19960015439 U KR 19960015439U KR 200155108 Y1 KR200155108 Y1 KR 200155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integrally
fuse box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180U (ko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15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108Y1/ko
Publication of KR980002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상대물로 각각 동시 접속되도록 연결부재(12)에 의해 숫단자(11)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더불 숫터미널(10)의 선단에 일체로 상대 숫단자(11)와 접속되는 암터미널(20)이 일체로 성형되어, 단자와 터미널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의 단순화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부품과의 접촉 개소가 감소되어 전기 불량 염려에 의한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전체 사이즈의 감소로 주어진 좁은 공간에서도 간결한 배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본 고안의 목적은 그 싸이즈가 짧아져 좁은 휴즈박스 하단에서 배선된 상태가 간결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배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속되는 상대 부품과의 접개소가 감쇠되어 전기적 불량요소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생산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품과의 접촉되는 개소의 감소로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를 저하시킬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퓨즈박스에는 릴레이 및 퓨즈로부터 해당 배선위치에 구비된 콘센트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터미널이 사용된다.
제1도는 종래 와이어식 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와이어(1)의 일단에는 휴즈(F) 및 릴레이(R)와 접속하기 위한 암터미널(2)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와이어(2)의 전선과 결속된 상태의 숫터미널(3)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 제2는 종래 더블 숫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숫단자 형태의 휴즈(F) 및 릴레이(R)와, 더블 숫단자(4)를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접속부에 양측 숫단자를 접속하는 일명 M to M 터미널(5)-Male To Male Terminal-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의 구조로 된 터미널의 구조에 의하면, 전기한 와이어식의 경우 와이어(1)의 길이에 의해 양단의 숫터미널(3)과 암터미널(2) 사이의 길이(H)가 매우 길다.
따라서, 휴즈박스 하단에 배선될 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그 배선상태가 혼잡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1)의 양단에 암터미널(1)과 숫터미널(2)을 각각 연결하는 공정이 필요로 하므로, 그 부품수와 공정수의 추가로 인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후기한 바와 같이 종래 더블 숫터미널의 구조에 의하면, M to M 터미널(5)을 조립하는 후 공정이 필요로 하여, 공정수의 추가로 인해 작업이 지체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제1도는 종래 와이어 연결식 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더블 숫 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2 : 암터미널
3 : 숫터미널 4 : 더블 숫단자
10 : 더블 숫터미널 11 : 숫단자
12 : 연결부재 20 : 암터미널
21 : 탄지편 22 : 하우징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상대물로 각각 동시 접속되도록 연결부재(12)에 의해 숫단자(11)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더블 숫터미널(10)의 선단에 일체로 상대 숫단자(11)와 접속되는 암터미널(20)이 일체로 성형된것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20)의 외측으로는 상대물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22)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부품수의 증가 및 후 조립공정이 필요없게 되므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전체 길이가 짧아 사이즈의 축소로 인해 설치공간에 대한 제한이 없이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부품연결에 의한 접촉부 개소가 감소되므로, 전기적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터미널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복수개의 숫단자(11)들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부재(12)로 연결시키고, 그 선단에는 각각 숫단자(11)와 상응하는 개소에 암터미널(20)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암터미널(20)은 일체로 탄지편(21)이 절곡된 상태로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사이로 상대물의 단자가 끼워 접속되도록 하는데, 이때 탄지편(21)이 벌어져 접촉저항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외측부를 감싸는 하우징(2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22)은 암터미널(20)의 간격이 좁을때, 암터미널(20)의 좌우로 상대 단자가 이탈되거나 하우징(22)이 벌어지는 것에 의해 합선사고의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암터미널(20)의 외측을 완전하게 하우징(22)으로 감싸지게 한 후, 그 이음부를 접착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2)은 암터미널(20)에 일체로 프레스가공으로 성형한 후, 절곡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감싸지게 한 후, 일단을 용착시키는 방법으로 부착되도록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암터미널(20)의 간격이 비교적 넓을 경우에는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2)을 탄지편(21)의 양측부에서 일체로 연장시켜 그 이음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절곡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단자와 터미널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의 단순화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부품과의 접촉 개소가 감소되어 전기 불량염려에 의한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전체 사이즈의 감소로 주어진 좁은 공간에서도 간결한 배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정정) 복수의 상대물로 각각 동시 접속되도록 연결부재(12)에 의해 숫단자(11)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더블 숫터미널(10)의 선단에 일체로 상대 숫단자(11)와 접속되는 암터미널(20)이 일체로 성형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20)의 외측으로는 상대물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22)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은 암터미널(20)과 다른 조각으로 그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이음부가 용착 고정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은 탄지편(21)의 양측부에서 일체로 절곡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KR2019960015439U 1996-06-11 1996-06-11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KR200155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439U KR200155108Y1 (ko) 1996-06-11 1996-06-11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439U KR200155108Y1 (ko) 1996-06-11 1996-06-11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80U KR980002180U (ko) 1998-03-30
KR200155108Y1 true KR200155108Y1 (ko) 1999-08-16

Family

ID=1945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439U KR200155108Y1 (ko) 1996-06-11 1996-06-11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1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11A (ko) * 2002-10-24 2004-04-30 임재원 개량된 정악대금
KR200494321Y1 (ko) * 2020-12-31 2021-09-13 이기근 대금용 운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8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7842B1 (en) One-piece receptable terminal
JP5896531B2 (ja) 端子
US679008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S6164062A (ja) キヤツプ付ランプ
US8094461B2 (en) Printed board and bus bar assembly
US7704103B1 (en) Low profile terminals
US5645441A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5080615A (en) Bulb soc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45394B2 (ja) 雄型電気端子
US4906195A (en) Built-in function type wiring apparatus
JP3304686B2 (ja) 相互接続用端子
JP2000516030A (ja) 電気的端子
KR200155108Y1 (ko)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JP4062186B2 (ja) 圧着バスバー
EP0795213B1 (en) Receptacle contact for pressed screen contact pins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344900B2 (ja) 電気接続箱用の電線付き端子接続構造
US7581964B2 (en) Unit with built-in control circuit
US20010031583A1 (en) Multipole electrical connector
JPH04286879A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とそのおす端子
JP4424042B2 (ja) 車載用リレーおよび電気接続箱
JPH11191914A (ja) 電気接続箱
KR100315857B1 (ko) 회전커넥터장치
JPH08195251A (ja) ヒューズ付きコネクタ
KR200223696Y1 (ko) Pcb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인트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