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21Y1 - 대금용 운지장치 - Google Patents

대금용 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21Y1
KR200494321Y1 KR2020200004963U KR20200004963U KR200494321Y1 KR 200494321 Y1 KR200494321 Y1 KR 200494321Y1 KR 2020200004963 U KR2020200004963 U KR 2020200004963U KR 20200004963 U KR20200004963 U KR 20200004963U KR 200494321 Y1 KR200494321 Y1 KR 200494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egeum
attached
rotation shaft
hole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근
Original Assignee
이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근 filed Critical 이기근
Priority to KR2020200004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금용 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대금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대금을 연주할 때 연주자의 손가락의 길이에 상관없이 손쉽게 지공을 운지하며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금용 운지장치{Pipe fingering device}
본 고안은 대금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대금을 연주할 때 연주자의 손가락의 길이에 상관없이 손쉽게 지공을 운지하며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는 대금용 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전통 관악기인 대금은 소금 및 중금과 함께 신라 삼죽의 하나로 소금이나 중금보다는 그 길이가 훨씬 길고, 음공 간격이 길며, 가로로 잡고 연주하는 관악기이며, 그 제조방법은 악학궤범 등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대금은 쌍골죽, 황죽(한쪽이 막힌 대나무), 합죽 또는 합성수지 등의 견고한 재질로 제작되며, 원통 형상의 몸통에 취구 입김을 불어넣어 공명음을 내고, 원통 몸체의 막힌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취구와 여섯 손가락으로 몸체 내의 소리 공명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막아서 다양한 음정을 내는 지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공은 왼손 및 오른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6개가 각 음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며, 왼손과 오른손의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각 음에 맞는 간격으로 형성된 6개의 지공 간격이 너무 멀어서 검지, 중지, 약지로 상단 3공과 하단 3공을 파지하는데 손가락 간격이 미치지 않아 지공을 파지하는데 어려움이 아주 많았다.
또한 종래의 6개의 지공은 손가락의 길이와 관계없이 음정이 맞는 위치에 음공을 뚫어서 제작하여 연주하고 있으나, 성인의 경우에도 지공을 파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대금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청소년 및 어린이의 경우에는 손 크기 및 손가락 길이가 성인보다 작아서 대금을 연주하는데 더욱더 큰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목, 어깨, 손가락 등에 심한 통증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대금을 배우는 것을 포기하고 말았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금의 길이 및 지공의 간격을 줄인 대금이 개발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대금은 길이 및 지공의 간격 변화에 의해 대금 특유의 음정, 음량 및 음색이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167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대금을 연주자가 연주할 때 손가락 길이에 상관없이 손쉽게 지공을 운지하며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은 대금에 탈부착할 수 있는 체결벨트와, 상기 체결벨트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상면에 교차되게 부착되어 회동축과 함께 회동시 지공을 개폐하도록 일측에 버튼이 부착된 회동편과, 상기 회동축에 부착되어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체결벨트의 상면에 부착된 스프링 고정블록과, 상기 스프링 고정블록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과 평행하게 인출되어 타측단부는 회동편의 끝단에 부착된 핀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대금의 제 1 내지 6 지공중 해당 지공에 버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체결벨트를 대금에 체결한 다음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레버를 가압하면 버튼이 해당 지공을 닫고, 레버에서 손가락을 분리하면 핀 스프링의 탄성력에 회동축이 원상태로 회동하여 버튼이 지공을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금용 운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는 대금의 제 1 지공 내지 제 6 지공중 해당 지공을 선택하여 부착한 다음 레버의 간섭으로 회동축이 회전하여 버튼에 의해 지공을 개폐할 수 있어 연주자의 손가락의 길이에 상관없이 손쉽게 지공을 운지하며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는 대금에 한개 이상 설치가 가능하여 연주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펼쳐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원형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대금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에서 버튼의 개폐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펼쳐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원형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는 대금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대금을 불때 연주자의 손가락의 길이에 상관없이 손쉽게 지공을 운지하며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는 대금에서 제 1 지공 내지 제 2 지공(11, 12, 13, 14, 15, 16)중 해당 지공을 선택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대금(10)에 탈부착하는 체결벨트(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벨트(2)의 일측단부 일면에 부착되어 체결벨트(2)의 타측 단부를 내부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19)이 형성된 고정수단(3)이 부착된다.
상기 체결벨트(2)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20)이 형성되어, 고정수단(3)의 체결공(19)으로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19)의 내부에는 체결벨트(2)의 체결홈(20)에 맞물리도록 체결벨트(2)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체결볼트(22)가 삽입되어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체결홈(20)을 간섭한다.
상기 체결벨트(2)의 일면에는 회동축 하우징(4)이 부착되고, 체결벨트(2)의 일면에는 회동축 하우징(4)에 인접되게 부착된 스프링 고정블록(7)이 부착된다.
상기 회동축 하우징(4) 내부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축(5)의 일측이 삽입 체결되고 타측은 회동축 하우징(4)에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블록(7)에는 핀 스프링(6)의 일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5)과 평행하게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회동축(5)의 상면에는 회동축(5)과 교차되게 회동편(21)이 위치하고, 상기 회동편(21)은 회동축(5)을 중심으로 길이가 편심되게 저면이 부착된다.
상기 회동편(21)의 일측 단부에는 지공을 개폐할 수 있는 버튼(8)과 타측 단부의 저면에는 핀 스프링(6)이 부착되어 회동축(5)과 함께 회동한다.
상기 회동축(5)의 끝단에는 회동편(21)과 동일방향으로 일축 단부에 부착된 레버(9)로 구성한다.
상기 레버(9)는 길이를 길게 연장한 상태이므로 연주자는 손쉽게 손가락으로 가압 및 해지할 수 있다.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레버(9)를 가압하면 회동축(5)이 회전하여 버튼(8)이 해당 지공을 닫고, 레버(9)에서 손가락의 가압을 해지하면 핀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8)이 지공에서 분리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즉, 본 발명은 체결벨트(2)를 해당 지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한 다음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레버를 누르면 회동축과 회동편이 회전하여 해당 지공을 누르고, 레버에서 손가락을 분리하면 핀 스프링의 탄성력 의해 원상태로 회동한다.
도 3은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를 대금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에서 버튼의 개폐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 대금용 운지장치(1)는 대금(10)에서 취구(17), 제 1 지공(11), 제 2 지공(12), 제 3 지공(13), 제 4 지공(14), 제 5 지공(15), 제 6 지공(16), 칠성공(18)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연주자가 제 1 지공 내지 제 6 지공(11, 12, 13, 14, 15, 16)중 해당 지공을 선택하여 버튼(8)으로 개폐할 수 있는 위치에 체결벨트(22)를 감아서 부착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대금을 입으로 불어서 연주할 때 대금용 운지장치(1)의 레버(9)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회동축(5)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동편(21)도 회전하여 해당 지공을 닫고 반대로 레버에서 손가락을 분리하면 핀 스프링의 탄성력에 회동축과 회동편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대금용 운지장치(1)는 대금에 한개 이상 부착한 다음 연주를 할 수있다.
1: 대금용 운지장치 2: 체결벨트
3: 고정수단 4: 회동축 하우징
5: 회동축 6: 핀 스프링
7: 고정블록 8: 버튼
9: 레버 10: 대금
11: 제 1 지공 12: 제 2 지공
13: 제 3 지공 14: 제 4 지공
15: 제 5 지공 16: 제 6 지공
17: 취구 18: 칠성공
19: 체결공 20: 체결홈
21: 회동편

Claims (3)

  1. 제 1 지공 내지 제 2 지공(11, 12, 13, 14, 15, 16)중 해당 지공을 선택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대금(10)에 탈부착하는 체결벨트(2); 와,
    상기 체결벨트(2)의 일측단부 일면에 부착되어 체결벨트(2)의 타측 단부를 내부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19)이 형성된 고정수단(3); 과
    상기 체결벨트(2)의 일면에 부착된 회동축 하우징(4); 과
    상기 체결벨트(2)의 일면에는 회동축 하우징(4)에 인접되게 부착된 스프링 고정블록(7); 과
    상기 회동축 하우징(4) 내부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삽입 체결되고 타측은 회동축 하우징(4)에서 돌출된 회동축(5); 과
    상기 스프링 고정블록(7)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5)과 평행하게 인출된 핀 스프링(6); 과
    상기 회동축(5)의 상면에는 회동축(5)과 교차되게 부착되어 일측 단부에는 지공을 개폐할 수 있는 버튼(8)과 타측 단부의 저면에는 핀 스프링(6)이 부착되어 회동축(5)과 함께 회동하는 회동편(21); 과
    상기 회동축(5)의 끝단에는 회동편(21)과 동일방향으로 일축 단부에 부착된 레버(9)로 구성하여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레버(9)를 가압하면 회동축(5)이 회전하여 버튼(8)이 해당 지공을 닫고, 레버(9)에서 손가락의 가압을 해지하면 핀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8)이 지공에서 분리되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금용 운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용 운지장치(1)는 대금에 한개 이상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금용 운지장치.
KR2020200004963U 2020-12-31 2020-12-31 대금용 운지장치 KR200494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63U KR200494321Y1 (ko) 2020-12-31 2020-12-31 대금용 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63U KR200494321Y1 (ko) 2020-12-31 2020-12-31 대금용 운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21Y1 true KR200494321Y1 (ko) 2021-09-13

Family

ID=7778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63U KR200494321Y1 (ko) 2020-12-31 2020-12-31 대금용 운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2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180U (ko) * 1996-06-11 1998-03-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KR200303173Y1 (ko) * 2002-10-24 2003-02-06 임재원 개량된 정악대금
KR20080001677A (ko) 2007-08-07 2008-01-03 김광부 전자칩이 내장된 추모용 골회 사리
KR20090004977U (ko) * 2007-11-21 2009-05-26 유동민 보조 개폐구가 형성된 단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180U (ko) * 1996-06-11 1998-03-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휴즈박스용 터미널
KR200303173Y1 (ko) * 2002-10-24 2003-02-06 임재원 개량된 정악대금
KR20080001677A (ko) 2007-08-07 2008-01-03 김광부 전자칩이 내장된 추모용 골회 사리
KR20090004977U (ko) * 2007-11-21 2009-05-26 유동민 보조 개폐구가 형성된 단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US5370030A (en) Positive-grip drumstick
US4228719A (en) Plectru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O2017036391A1 (zh) 乐器指力练习盘
US4817488A (en) Guitar slide bar apparatus
KR200494321Y1 (ko) 대금용 운지장치
US6777600B2 (en) Bowed string instrument teaching device
US8168874B2 (en) Drumstick gripping aid
US4981063A (en) Guitar
US20150294653A1 (en) Guitar Pick
US5419228A (en) Musical instrument pick with multiple playing surfaces
US9972290B1 (en) Plectrum with second striking member
WO2008056839A1 (en) T-type ocarina
KR200435519Y1 (ko) 오카리나
JPH0337032Y2 (ko)
US20220415287A1 (en) Dexterous musical-instrument spinner
CN219225881U (zh) 一种木管乐器辅助套筒
KR102067532B1 (ko) 관악기
KR200474315Y1 (ko) 용이한 연주를 위한 개량대금
KR200317592Y1 (ko) 피리칫솔
KR100713120B1 (ko) 오카리나가 구비된 페트병 및 그 제조방법
KR200459972Y1 (ko) 경사면을 구비한 취구부를 포함하는 단소
Rau Making musical instruments
KR100798393B1 (ko) 오카리나
US2620701A (en) Rhythm 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