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32B1 - 관악기 - Google Patents
관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7532B1 KR102067532B1 KR1020180059990A KR20180059990A KR102067532B1 KR 102067532 B1 KR102067532 B1 KR 102067532B1 KR 1020180059990 A KR1020180059990 A KR 1020180059990A KR 20180059990 A KR20180059990 A KR 20180059990A KR 102067532 B1 KR102067532 B1 KR 102067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 hole
- fingering
- holes
- finger ho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5 운지공(131, 13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6 운지공(132, 136)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정 공간에 공기를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지공을 구비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관악기는 몸체 내부에 울림공간, 취구, 다수의 운지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주자가 입김으로 공기를 관악기의 취구로 불어 넣으며, 취구로부터 들어온 공기의 흐름이 관악기 내부에 형성된 울림공간에 공명을 일으키면서 소리를 만들어 낸다. 이때에 관악기의 울림공간에 천공된 운지공의 개폐 여부에 따라 일정 정도 소리의 음정이 조절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관악기는 운지공을 개폐하여 음정을 일정정도 구현하는데, 단순한 개폐로는 구현할 수 없는 음을 구현하기 위해 운지공을 1/2만 열거나 닫는 지법을 반규법이라 한다. 반규보다 조금 더 열어 3/4 정도 여는 지법을 반규강법이라 하고, 반규보다 조금 더 닫아 1/4 정도 여는 지법을 반규약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연주법은 운지공을 정확히 1/2, 3/4, 1/4로 여닫기 어려워 불안정한 음정을 구현하게 되는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존에 운지공의 일부를 여닫는 방법으로 불안정하게 구현하던 음정을 운지법만으로 손쉽게 구현하는 동시에 취구를 개량하여 명확한 소리를 구현하고 운지와 함께 파지가 손쉬운 관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취구(200)에서 사용자가 불어 넣는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내면 부분의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취구(200)에서 사용자가 불어 넣는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내면 부분의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취구(200)에서 사용자가 불어 넣는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내면 부분의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악기는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반규법으로 불안정하게 구현하던 반음을 단순한 개폐만으로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중지와 약지로 파지하여야 하는 운지공이 사선을 이루며 근접해 있으므로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취구에 모서리를 형성하여 더욱 분명하고 깨끗한 음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제 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횡단면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취구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제 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횡단면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취구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제 1, 6 운지공(131, 136)이 위치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제 2, 3, 4, 5 운지공(132, 133, 134, 135)이 위치한 배면도이다.
도 1,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는 몸체(100)과 취구(2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취구(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공명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 내측에 형성되며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 및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천공되어 연주자의 손가락이 놓이는 제 1 내지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180)을 몸체의 하단에서 평평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취구(200)는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부터 돌출 천공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천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도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2, 5 운지공(132, 135) 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보다 지름이 작게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운지공(133)의 개폐만으로도 반규법으로 불안정하게 구현하던 반음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 쪽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제 3 운지공(133)과 상기 제 4 운지공(134)가 같은 손(통상적으로 왼손)의 약지와 중지 손가락으로 운지하여 연주할 수 있어, 보다 쉽고 편하게 연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제 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횡단면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에서 상기 제 1, 5 운지공(231, 235)는 마주보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 2, 6 운지공(132, 136)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위치한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6 운지공(131 내지 136)은 각기 다른 비율에 의한 지름을 갖는 원형 천공이 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각 지름이 6:5:3의 비율로 원형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의하여 반규법으로 불안정하게 구현하던 반음을 단순한 개폐만으로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여타의 관악기들은 파지하여야 하는 운지공이 멀리 떨어져 있어 파지가 쉽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관악기는 파지하여야 하는 운지공이 사선을 이루며 근접해 있으므로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에서 취구(200)의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취구(200)는 바깥 외면은 일정한 연속된 곡률을 따라 형성되고, 안쪽 내면은 연마되어 연속된 곡률이 중단되는 모서리(210)를 형성하며, 취구내부면(220)은 상기 바닥면(180)과 수직을 형성한다.
연주자는 연주를 위하여 상기 모서리(110)의 반대방향에 입술을 접촉하고 상기 모서리(110)를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게 되는데, 해당 공기는 상기 모서리(110)에 부딪쳐 반정도는 밖으로 나가고 반정도는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모서리(110)는 연마 등을 통하여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악기의 재질이 도자기인 경우 해당 모서리(110)부분을 특별히 연마하여 갈아서 연속된 곡률이 중단되도록 불연속한 곡률을 만드는 상기 모서리(1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모서리(11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들어가는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갈라지는 공기의 속도 등을 향상시켜 더욱 분명하고 깨끗한 음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구내부면(220)을 상기 바닥면(180)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더욱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연주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연주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의 정면인 제 1 운지공(131)과 제 6 운지공(136)의 가운데를 몸 쪽으로 하여 상기 취구(200)의 절반 정도를 입술에 대고 공기를 불어 넣고, 불어 넣어진 공기는 상기 모서리(210)를 거쳐 상기 취구내부면(220)을 따라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들어가 공명이 일으켜 소리를 내게 된다.
연주자(오른손잡이)는 통상적으로 상기 제 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고, 상기 제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왼손(오른손의 반대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반규법으로 불안정하게 구현하던 반음을 단순한 개폐만으로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운지법에 있어서 중지와 약지로 파지하여야 하는 운지공이 사선을 근접해 위치하므로 연주자 보다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취구에 모서리를 날카롭게 형성하여 더욱 분명하고 깨끗한 음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몸체 110: 연주울림공간
131: 제 1 운지공 132: 제 2 운지공 133: 제 3 운지공
134: 제 4 운지공 135: 제 5 운지공 136: 제 6 운지공
180: 바닥면
200: 취구 210: 모서리 220: 취구내부면
131: 제 1 운지공 132: 제 2 운지공 133: 제 3 운지공
134: 제 4 운지공 135: 제 5 운지공 136: 제 6 운지공
180: 바닥면
200: 취구 210: 모서리 220: 취구내부면
Claims (5)
-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취구(200)에서 사용자가 불어 넣는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내면 부분의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고,
상기 제1, 2, 5, 6 운지공(131, 132, 135, 136)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의 원형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80 내지 100도씩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취구(200)에서 사용자가 불어 넣는 공기가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내면 부분의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 원형의 둘레를 갖춘 연주울림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주울림공간(110)에 제 1 내지 제 6 운지공(131 내지 136)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평평한 바닥면(180)을 구비한 몸체(100);
상기 바닥면(130)에 대향되는 몸체(100)의 상측에 천공되어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는 취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 6 운지공(131, 136)은 상기 제2, 5 운지공(132, 135)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운지공(134)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5 운지공(135) 사이 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5 운지공(132)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은 상기 제 2 운지공(132)과 상기 제 4 운지공(134)의 사이에서 상기 제 4운지공(134)과 가깝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 4 운지공(134)보다 상기 바닥면(180)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운지공(133)의 지름은 상기 제 1, 2, 4, 5, 6운지공(131, 132, 134, 135, 13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연속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 내지 5 운지공(132 내지 135)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의 반대편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취구(200)는 곡률을 불연속하게 하는 모서리(2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6 운지공(131, 136)과 상기 제 2, 4, 5 운지공(132, 134, 135)과 상기 제 3 운지공(133)에 형성된 천공의 각 지름 비율이 6 대 5 대 3의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 운지공(131, 132)은 각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개폐하며, 상기 3, 4, 5, 6 운지공(133, 134, 135, 136)은 각각 다른쪽 손의 약지, 중지, 검지, 엄지로 개폐하여 음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990A KR102067532B1 (ko) | 2018-05-25 | 2018-05-25 | 관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990A KR102067532B1 (ko) | 2018-05-25 | 2018-05-25 | 관악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414A KR20190134414A (ko) | 2019-12-04 |
KR102067532B1 true KR102067532B1 (ko) | 2020-01-17 |
Family
ID=6900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9990A KR102067532B1 (ko) | 2018-05-25 | 2018-05-25 | 관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753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9305Y1 (ko) * | 2004-02-16 | 2004-05-04 | 장규완 | 원형(圓形) 오카리나 |
KR200473757Y1 (ko) * | 2013-03-19 | 2014-07-25 | 김준모 | 미려한 시각성을 갖는 원형 오카리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997B1 (ko) * | 2006-11-07 | 2008-05-14 | 이일용 | 티자형 오카리나 |
-
2018
- 2018-05-25 KR KR1020180059990A patent/KR1020675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9305Y1 (ko) * | 2004-02-16 | 2004-05-04 | 장규완 | 원형(圓形) 오카리나 |
KR200473757Y1 (ko) * | 2013-03-19 | 2014-07-25 | 김준모 | 미려한 시각성을 갖는 원형 오카리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414A (ko) | 2019-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72473A1 (en) | Mouthpiece for a wind instrument | |
KR200452251Y1 (ko) | 개량형 정악대금 | |
US7638698B1 (en) | Harmonica removably attached to a musical string instrument such as a guitar | |
KR102067532B1 (ko) | 관악기 | |
KR100828997B1 (ko) | 티자형 오카리나 | |
US7544874B2 (en) | Height adjustable key assembly for a saxophone | |
KR200435519Y1 (ko) | 오카리나 | |
KR100849581B1 (ko) | 오카리나 | |
CN203882596U (zh) | 哪嘟呜民俗吹管乐器 | |
KR200349305Y1 (ko) | 원형(圓形) 오카리나 | |
KR101674359B1 (ko) |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 |
KR100798393B1 (ko) | 오카리나 | |
JP2005275207A (ja) | オカリナおよびオカリナ用閉栓キャップ | |
CN104851417A (zh) | 一种鸭嘴笛 | |
US9495943B2 (en) | Musical instrument | |
KR200459972Y1 (ko) | 경사면을 구비한 취구부를 포함하는 단소 | |
US2214314A (en) | Musical instrument | |
CN209168722U (zh) | 一种新型乐器 | |
CN205845492U (zh) | 一种便于握持的陶笛 | |
KR20020046262A (ko) | 오카리나 악기 | |
KR102507438B1 (ko) | 악기용 마우스피스 | |
KR200483189Y1 (ko) | 소금용 마우스피스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소금 | |
US9105258B2 (en) | Musical instrument | |
CN207068453U (zh) | 一种新型萨克斯管 | |
JP3204070U (ja) | 応援用の楽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