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19Y1 -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오카리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19Y1
KR200435519Y1 KR2020060032050U KR20060032050U KR200435519Y1 KR 200435519 Y1 KR200435519 Y1 KR 200435519Y1 KR 2020060032050 U KR2020060032050 U KR 2020060032050U KR 20060032050 U KR20060032050 U KR 20060032050U KR 200435519 Y1 KR200435519 Y1 KR 200435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arina
gripping
hole
finger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용
Original Assignee
김준모
이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모, 이일용 filed Critical 김준모
Priority to KR2020060032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라운드형 오카리나의 경우 음역의 폭이 좁아 음역이 높은 다양한 곡의 연주가 불가능하고 반음계를 연주할 경우 취구의 각도를 변경하여야 되는데, 이때 음정이 부정확하고 빠른 연주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공기를 불도록 취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취구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취구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중공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과, 상기 몸체의 외측과 중공을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개폐되어 고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지홀로 이루어지는 오카리나에 있어서;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 상면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세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파지홀과;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두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4 및 제5 파지홀과;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6 및 제7 파지홀과;
상기 오카리나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로 각각 파지 하는 제8 및 제9 파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

Description

오카리나{OCARINA}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카리나의 운지표,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운지표,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오카리나에서 높은 음이 나오도록 형성되는 공간을 취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오카리나에서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반드시 밑으로 가도록 취한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오카리나에서 오른손 새끼 손가락이 오카리나를 항상 받치고 있고, 약지 손가락이 오카리나를 감싸쥐고 있는 상태도,
도 10은 일반 라운드형 오카리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일반 라운드형 오카리나의 운지표,
도 12는 일반 도나티형 오카리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일반 도나티형 오카리나를 지탱하는 부분(★)과 지탱하는 손가락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중공
2 : 마우스피스
21 : 취구
3 : 소리구멍
4 : 파지홀
41 : 제1 파지홀 42 : 제2 파지홀
43 : 제3 파지홀 44 : 제4 파지홀
45 : 제5 파지홀 46 : 제6 파지홀
47 : 제7 파지홀 48 : 제8 파지홀
49 : 제9 파지홀 50 : 제10 파지홀
51 : 제11 파지홀 52 : 제12 파지홀
53 : 제13 파지홀 54 : 제14 파지홀
본 고안은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라운드형 오카리나의 경우 음역의 폭이 좁아 음역이 높은 다양한 곡의 연주가 불가능하고 반음계를 연주할 경우 취구의 각도를 변경하여야 되는데 이때, 음정이 부정확하고 빠른 연주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는 18C 경 이탈리아에서 도자기를 구워서 만든 악기로 그 모양에서 유래한 거위새끼라는 뜻을 가진 악기다.
이의 소리는 매우 청아하면서도 소박한 소리로 인공적인 소리와 비교하면 자연과 가장 어울리는 음색을 가지고 있고 쉽게 휴대하고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그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악기를 겸용 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도 그 활용 영역이 넓다.
일반적으로 오카리나는 운지 방식이 어떻게 진행 되느냐에 따라 크게 T자형과 라운드 형으로 나누어지며 먼저 오리형 오카리나라 불리는 T자형 오카리나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으로 리코더처럼 오른손 운지부터 왼손 운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음역이 라운드 형보다 많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방식의 악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라운드형 오카리나는 새, 짐승등 모양이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동그란 모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운지 구멍이 T자형 보다 적어 쉽게 익 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몇 개 안되는 구멍을 적절한 구멍 크기의 조합으로 음이 만들어지나 음역이 적어 동요 곡 정도의 음악만을 연주 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오카리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악기에서 연주 가능한 음역은 T자형 일 경우에는 저음 솔에서 높은 파로 14음 정도가 나오고 라운드 형 일 경우 저음 도에서 높은 미로 10정도로 그 음역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오카리나의 최고의 단점인 적은 음역을 해결하기 위하여 T자형인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6262호와 같이 14개의 파지 홀을 가지도록 하여 그 음역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저음역의 확장 밖에 되지 않아 높은 음역의 확장이 아직까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오카리나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부족한 음역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독주로는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0은 일반 라운드형 오카리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오카리나는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공기를 불도록 취구(21)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2)와, 상기 취구(21)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취구(2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중공(11)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소리구멍(3)과, 상기 몸체(1)의 외측과 중공(11)을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개폐되어 고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저면에 2개 및 상면에 4개가 형성되는 파지홀(4)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 병의 목에 바람을 불면 울림소리가 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각 파지 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 내부에 다양한 음파를 형성하여 이에 의한 공명음을 내도록 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도 11은 일반 라운드형 오카리나의 운지표로서, 일반적으로 10도에 해당하는 음역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도(C#)나 높은 레(D#)의 경우에는 악기를 45도 꺾어서 취구로 공기를 불어야 연주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음정이 부정확하며 빠른 음악의 연주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6262호와 같은 경우 14개의 파지홀을 가지도록 하여 그 음역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엄지를 포함한 모든 손가락으로 연주할 경우 모든 파지홀이 개방된 음 및 각각의 음을 소화해 내기 위하여 오카리나를 고정시키기가 곤란하고 또한 비교적 크기가 큰 오카리나에만 한정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도타티형 오카리나에 있어 초보자 대부분이 라음 운지부터 오카리나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다른 손가락과 달리 인체 구조상 4번 손가락(약지 손가락) 힘줄은 5번 손가락(새끼 손가락)과 3번 손가락(중지 손가락)에 같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4번 손가락(약지 손가락)만 따로 움직인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왼손 모든 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4번 손가락을 들어 올려야 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도나티형 오카리나에 있어 도 13과 같이, 높은 도는 오른손 새끼 손가락으로 악기 꼬리 위를, 높은 레는 높은 도의 상태에서 왼손 2번 손가락(인지 손가락)으로 악기 왼쪽 몸통 부분을, 높은 미와 파는 높은 레 상태에서 왼손 1 번 손가락(엄지 손가락)으로 악기 중앙 밑 부분을 지탱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고음 연주시 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세군데나 지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오카리나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한계점으로 음역이 매우 작아 고음역 확장의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넓은 음역 즉, 기존의 저음 솔에서 고음 파까지의 음역을 저음 파에서 고음 라까지 향상된 오카리나를 개발함은 물론 T자형 보다 라운드형 운지가 쉬운 장점을 살린 새로운 오카리나를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취구의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도 음역 내의 모든 음을 소화할 수 있는 오카리나를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공기를 불도록 취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취구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취구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중공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과, 상기 몸체의 외측과 중공을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개폐되어 고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지홀로 이루어지는 오카리나에 있어서;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 상면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세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파지홀과;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두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4 및 제5 파지홀과;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6 및 제7 파지홀과;
상기 오카리나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로 각각 파지 하는 제8 및 제9 파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공기를 불도록 취구(21)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2)와, 상기 취구(21)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취구(2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중공(11)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3)과, 상기 몸체(1)의 외측과 중공(11)을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개폐되어 고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지홀(4)로 이루어지는 오카리나에 있어서;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1) 상면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세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파지홀(41, 42, 43)과;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두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4 및 제5 파지홀(44, 45)과;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44, 45)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44, 45)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6 및 제7 파지홀(46, 47)과;
상기 오카리나 몸체(1)의 저면에 형성되어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로 각각 파지하는 제8 및 제9 파지홀(48, 49)이 형성되는 오카리나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카리나의 운지표로서 그림과 같이 저음 라(A)에서 13도 위의 파(F)까지 연주 가능하도록 음역이 확장되어 있으며 이때 취구를 꺾어서 불지 않아도 모든 음을 소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동요와 같은 경우 10도정도의 음역을 가진 노래가 대부분이나 각종 가요와 같은 음역은 그 영역이 17도까지 넓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런 음악의 독주가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파지홀을 개폐하는 움직임만으로 모든 음의 소화가 가능하여 기존에 아주 능숙한 전문가가 아니면 어렵고 또한 음이 부정확하였던 반음의 처리가 가능하고 빠른 속도의 음악 연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추가적인 운지표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부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도록 제10 파지홀(50)이 추가로 형성되며, 제1 파지홀(41)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제1 파지홀(41)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1 파지홀(51)이 추가로 형 성하도록 하여 고음의 파(F#)와 솔(G)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여 음역을 17도로 넓힌 실시 예에 따른 운지표이다.
이는 종래 T자형의 운지는 어렵고 그 크기는 크나 음역이 넓은 장점을 종래 쉬운 운지와 소형으로 연주가 쉬웠지만 음역이 좁았던 라운드형 오카리나에 적용시킬 수 있는 고안으로 종래 일반인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상기 오카리나의 보급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카리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몸체(1)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파지홀(41, 42)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제1 및 제2 파지홀(41, 42)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1 및 제12 파지홀(51, 52)이 추가로 형성되며, 제2 파지홀(42)과 제3 파지홀(43)의 사이에는 제13 파지홀(53)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음 파에서 고음 라까지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전문 연주가들이 보다 다양한 곡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문 연주가용 오카리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오카리나는 도나티 오카리나의 장점과 랭글리 오카리나의 장점에 “크로스 오버 주법”을 추가하여 오카리나의 최고 문제인 음역의 확장을 “3옥타브 도”까지 음을 내도록, 몸체(1)의 상부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도록 제10 파지홀(50)이 추가로 형성되며, 오카리나 몸체(1) 상면에 오른손의 1번 손가락(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2번 내지 3번 손가락(인지 내지 약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제14 파지홀(54)이 구성되어 있다. 높은 파와 솔까지는 운지구멍에서 음이 나지만, “높은 라, 시, 도”는 도 7과 도 8과 같은 자세로 악기를 가운데 두고 바람이 세지 않도록 양손으로 악기를 잡은 상태(이 자세를 크로스 오버 주접이라 한다.)를 한다. 이때 도 7에서 처럼 오카리나 밑 부분의 일정한 공간이 형성하고, 왼손 손등으로 악기 밑면 간격을 약 5㎝ 유지하면 “높은 솔” 음이 나오고, 약 3㎝ 일때 “높은 라”음이 나오며, 1㎝ 일때 “높은 시”음이 나오고, 조금 더 올리면 3옥타브 “도”가 나오게 되어 있다. 이 방법은 기존 악기에서도 소리가 나지만 운지 구멍 방법상 연주는 불가능하다. 불가능한 원인은 도 12에서 보듯이 기존 오카리나는 모든 손가락이 운지구멍을 막는데 사용되어 진다. 뿐만 아니라 높은 음역에서는 운지구멍을 막는데 사용되어 지던 손가락이 오카리나를 지탱해야 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지는 문제 자체만으로도 기존 오카리나는 힘든 상황이다. 도 7과 같은 자세를 하고 있다가 기존 오카리나 운지 구멍을 자연스럽게 빨리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오카리나의 형태는 도나티형 오카리나 이지만, 랭글리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오른손 5번 손가락(새끼 손가락)은 기존 오카리라 처럼 운지를 막기 위한 손가락이 아니고, 오카리나를 항상 받치고 있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고, 4번 손가락(약지 손가락)은 오카리나를 감싸쥐고 있는 상태에서 도 7과 같은 자세를 취하더라도 악기가 흔들리지 않고 손이 다음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놓여질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 라운드형 오카리나의 음역을 확장하여 비 교적 넓은 음역을 가진 보다 다양한 곡들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몇 가지 음을 연주할 때 취구의 각도를 바꾸어 불도록 하던 것을 운지만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음의 연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빠른 곡의 연주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카리나 악기를 연주할 때, 오른손 새끼 손가락은 악기를 지탱해 주는 역할만 하도록 하여 높은 음을 불 때, 오카리나 악기 지탱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때문에 오카리나 악기를 처음 배우는 초보자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높은 파까지 나는 오카리나를 사용하면 초보자일 경우 오른손 5번 손가락(새끼 손가락)과 왼손 4번 손가락(약지 손가락) 구멍을 막지 않아도 되므로, 오카리나 악기를 배우는데 있어 매우 빠른 진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오카리나 전문가를 위하여 도 6과 같이 운지 구멍에서 높은 솔까지 나오고 “크로스 오버 주법”을 통하여 “높은 솔, 라, 시, 도” 음이 나오는 오카리나 악기로 연주자의 재량에 따라 여는 악기들처럼 다양한 장르의 곡을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공기를 불도록 취구(21)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2)와, 상기 취구(21)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취구(2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중공(11)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3)과, 상기 몸체(1)의 외측과 중공(11)을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개폐되어 고유음을 발생 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지홀(4)로 이루어지는 오카리나에 있어서;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1) 상면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세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일렬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파지홀(41, 42, 43)과;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두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4 및 제5 파지홀(44, 45)과;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44, 45)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4 및 제5 파지홀(44, 45)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6 및 제7 파지홀(46, 47)과;
    상기 오카리나 몸체(1)의 저면에 형성되어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로 각각 파지하는 제8 및 제9 파지홀(48, 4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부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도록 제10 파지홀(50)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홀(41)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1 파지홀(41)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1 파지홀(51)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부에는 제2 파지홀(42)과 인접하고 각각 손가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곳에는 상기 제2 파지홀(42)을 막았을 때 동시에 막거나 개방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2 파지홀(52)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파지홀(42)과 제3 파지홀(43)의 사이에는 제13 파지홀(53)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부에는 각각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도록 제10 파지홀(50)이 추가로 형성되며,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중 세 손가락으로 파지가능하게 형성된 제14파지홀(54)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KR2020060032050U 2003-10-22 2006-12-19 오카리나 KR200435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050U KR200435519Y1 (ko) 2003-10-22 2006-12-19 오카리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853 2003-10-22
KR2020060032050U KR200435519Y1 (ko) 2003-10-22 2006-12-19 오카리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761A Division KR100798393B1 (ko) 2003-10-22 2004-10-22 오카리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19Y1 true KR200435519Y1 (ko) 2007-01-29

Family

ID=4161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050U KR200435519Y1 (ko) 2003-10-22 2006-12-19 오카리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5B1 (ko)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KR102081000B1 (ko) 2018-09-08 2020-02-24 이상진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KR200492370Y1 (ko) * 2019-03-22 2020-09-24 김명규 리코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5B1 (ko)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KR102081000B1 (ko) 2018-09-08 2020-02-24 이상진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KR200492370Y1 (ko) * 2019-03-22 2020-09-24 김명규 리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KR200435519Y1 (ko) 오카리나
KR100798393B1 (ko) 오카리나
US3776089A (e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accordion and the like, for easily producing rapid harmonic sequences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US9972290B1 (en) Plectrum with second striking member
EP0108783B1 (en) A string instrument of guitar type
JP2007522483A (ja) オカリナ
KR20070111908A (ko) 더블취구 오카리나
KR200349305Y1 (ko) 원형(圓形) 오카리나
Lependorf Contemporary Notation for the Shakuhachi: a primer for composers
KR100849581B1 (ko) 오카리나
KR101674359B1 (ko)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Matusky Borneo: Sabah, Sarawak, Brunei, and Kalimantan
JPS5812218Y2 (ja) ケンバンスイソウガツキ
KR890007982Y1 (ko) 개량 국악 관악기 (國樂管樂器)
Cresson Aztec music
JP3003196U (ja) 環状ハーモニカ
Hassan The long necked lute in Iraq
JP2678980B2 (ja) 5孔尺八
KR200349331Y1 (ko) 어린이 학습교재용 악기
Bach A performance project on selected works of five contemporary composers: Malcolm Arnold, Robert Henderson, Stan Friedman, John Elmsley, Lucia Dlugoszweski
Ramírez Saxophone Etudes Based on Latin American Musical Genres and Rhythms
櫻井哲男 et al. The Musical Instruments of Afghanistan
CN201352434Y (zh) 改进后的陶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