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645B1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645B1 KR101656645B1 KR1020160058441A KR20160058441A KR101656645B1 KR 101656645 B1 KR101656645 B1 KR 101656645B1 KR 1020160058441 A KR1020160058441 A KR 1020160058441A KR 20160058441 A KR20160058441 A KR 20160058441A KR 101656645 B1 KR101656645 B1 KR 1016566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thpiece
- air flow
- hole
- air
- enga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22 noctu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 G10D9/026—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10D9/03—Cupped mouth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걸림턱부를 갖는 마우스 피스와, 상단부를 갖는 수직체와 결합홈부를 갖는 수평체로 이루어지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우스 피스는 취구와, 상기 취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공기 유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구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취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는 중앙에 공분홀을 갖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구의 취구 출구는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명체의 결합홈부의 절개면에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가 끼움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공명체에 결합할 수 있는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는 개관악기와 폐관악기로 나뉘어질 수 있다. 개관악기는 관의 한쪽 끝이 개방되어 있는 리코더나 단소와 같은 악기이고, 폐관악기는 관의 한쪽 끝이 막혀있는 클라리넷, 팸플룻과 같은 악기이다. 만약 뚜껑을 갖는 병, 예컨대 맥주병, 소주병과 같은 병의 입구를 입에 대고 불면 소리가 나는데, 이는 병의 바닥이 막혀 있는 폐관악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개관악기와 폐관악기는 모두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켜 이른바 공명이라고 하는 물리학적 또는 음향학적 요소로부터 소리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흐름은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에 맞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한편, 폐관악기는 개관악기보다 같은 길이로 하였을 때 낮은 소리를 낸다. 개관악기의 경우 관의 끝부분에서 소리의 일부는 외부로 나가고 소리의 나머지는 외부의 공기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므로 소리가 관의 내부로 반사되어 정상파를 만들게 되며, 폐관악기는 관의 끝부분이 막혀있는 구조이므로 모든 소리가 관의 끝 부분에서 반사되어 정상파를 만들게 된다.
도 1은 폐관악기인 오카리나를 나타낸 것인데, 취부와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공간부에는 운지공이 일정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오카리나는 점토로 빚어서 오리의 몸통 형상으로 만든 다음, 반으로 잘라서 안쪽을 파낸다. 이어서 운지공에 해당하는 구명을 뚫어서 다시 결합시켜 불에 구어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오카리나는 운지공에 해당하는 구멍의 위치가 바뀌거나, 공간부의 내부 영역의 넓이에 따라 제각각의 소리가 난다. 이른바 제소리가 나지 않는 오카리나는 버려진다. 이와 같이 정확한 음계를 갖는 오카리나를 얻기란 쉽지 않다.
근래에는 플라스틱, 합판 등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오카리나를 제작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5562호는 적층형상을 갖는 판형의 오카리나로서, 종이, 나무 등의 다수개의 판형을 적층시켜 내부에 공명부(16)를 마련하고 외부에 다수 개의 운지공(41)을 형성되어 있으며, 취입구(21)와 취입부재(12)를 결합하여 취입홈(13)을 형성하고 있다. 취입구와 취입부재를 입에 물고 불면 소리를 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입으로 부는 부분과 공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종래 점토를 사용하는 제작하는 방식에 비해 시간적으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나 입으로 부는 부분과 공명부가 일체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지 않다.
입으로 부는 부분과 공명부가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29호의 재활용품을 이용한 오카리나는 일정한 용량을 갖는 용기(1)와, 용기의 상면에 부착되고 다수 개의 운지구명과 소리구멍이 형성된 종이부재(5)와, 상기 종이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소리구멍을 일정부분 폐쇄하는 방식으로 접착되는 마우스 피스(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오카리나는 사람의 눈대중으로 마우스 피스를 고정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접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며, 정확한 음계를 갖는 악기로서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마우스 피스와 공명체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공명체의 결합홈부와 완전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마우스 피스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 피스를 서로 연이어 결합된 복수 개의 공명체에 결합하여 서로 다른 음계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마우스 피스 및 이를 구비한 오카리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마우스 피스와 공명체가 결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마우스 피스는 취구와, 상기 취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공기 유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구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취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는 중앙에 공분홀을 갖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취구의 취구 출구는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의 일측은 취구 출구와 연통되며, 타측은 공분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부의 공분돌기의 상측에는 상부 반월절개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 반월절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구홀은 일측의 취구 입구는 넓고 타측 출구는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부의 하측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걸림턱부를 갖는 마우스 피스와, 상단부를 갖는 수직체와 결합홈부를 갖는 수평체로 이루어지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부의 절개면이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기 마우스 피스의 공분돌기에 의해 취구홀의 취구 출구로 나오는 공기가 나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취구로부터 나오는 공기는 반원 형상의 공분돌부에 의해 나누어지도록 구성하여, 귀에 거슬리는 파음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상의 공명체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형상의 오카리나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에는 걸림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가 공명체의 걸림홈부의 절개면에 끼움맞춤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상호 정확한 위치에 완전한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부품으로 제공되고 원하는 형상의 공명체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 크기에 맞는 공명 몸체를 제작하고 마우스 피스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카리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에 마우스 피스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에 마우스 피스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일측’이라 함은 마우스 피스의 취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며, ‘타측’이라 함은 공기 유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취구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사람의 입에 물리는 취구(110)와, 상기 취구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공기 유동부(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우스 피스의 취구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 기둥 형상이고, 마우스 피스의 공기 유동부는 도넛(donut) 형상으로 내부에 구멍이 구비된 둥근 형상이다. 상기 마우스 피스는 후술할 공명체와 결합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취구(11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직사각 형상의 취구홀(111)을 구비한 사각 기둥형상이며, 취구홀의 일측에는 취구 입구(111-1)가 형성되며, 취구홀의 타측에는 취구 출구(111-2)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보듯, 상기 취구 출구는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121)과 연통되어 있다.
취구 입구의 수평 길이는 취구 출구의 수평 길이 보다 크다. 또한, 취구 입구의 수직 길이는 취구 출구의 수직 길이 보다 크다, 따라서 취구 입구의 단면적은 취구 출구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취구를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내면, 공기는 취구 입구에서 취구 출구로 나오게 되며, 넓은 취구 입구에서 좁은 취구 출구로 나가는 공기는 강하고 빠른 속도를 갖게 된다.
상기 취구는 수평으로 반분(半分)하였을 때,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부(120)는 도넛과 같은 둥근 형상이며, 그 일단은 취구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 유동부의 중앙에는 수직 방향의 공분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121)은 취구의 취구홀(111)과 연통된다. 도 4에서 보듯, 공분홀의 일측 중앙에는 취구홀의 취구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취구를 입에 물고 입안의 공기를 불어내면, 공기는 취구홀(111)을 지나 공분홀(121)로 나오게 된다.
상기 공기 유동부의 일측은 취구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 유동부의 타측 상부에는 상부 반월절개부(122-H)가 형성되고, 공기 유동부의 타측 하부에는 하부 반월 절개부(122-L)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반월절개부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까지 점차적으로 넓게 퍼지는 조개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공분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반월절개부는 하측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까지 점차적으로 넓게 퍼지는 조개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공분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공기 유동부의 하부를 살펴보면, 상기 취구의 하부와 연결되는 영역(이하 ‘취구의 하부 연결영역(AA)’이라 한다)을 제외한 공기 유동부의 하부에는 걸림턱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123)는 일부가 잘려진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반월절개부(122-H)는 공기 유동부의 상부 타측에서 공분홀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반월절개부는 공기 유동부 몸체의 타측 상부 중앙에서부터 시작되어 공분홀의 수직 중앙 부근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월절개부(122-L)는 걸림턱부에서부터 시작되어 공분홀의 수직 중앙 부근에 이르기까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반월절개부와 하부 반월절개부는 공기 유동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타측에서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공분홀의 수직 중앙에는 반월 형상의 공분돌기(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우스 피스를 입에다 물고, 입속의 공기를 취구로 불면, 취구입구에서 취구 출구로 공기가 빨라지고, 상기 취구 출구에서 나오는 공기는 공분돌기(122)에 의해 공기 유동부의 상측과 하측으로 분배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턱부(123)는 공기 유동부의 외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단턱진 부분이다. 걸림턱부는 좌측 오목부(123-1)와, 라운드 단턱부(123-2)와, 우측 오목부(123-3)로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유동부와 걸림턱부가 만나는 지점에는 좌우측에 각각 좌측 및 우측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오목부와 우측 오목부 사이에는 둥근 형상의 라운드 단턱부가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좌측 오목부와 우측 오목부에는 공명체의 결합홈부의 절개면이 끼움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명체에 마우스 피스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공명체에 결합되어 소리를 발생시킨다. 상기 공명체(200)는 내부에 공명 공간(VV)을 가지는 물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공기 유동부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기 유동부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란 공기 유동부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말한다.
도 5 및 도 6은 예시적인 공명체를 나타낸 것인데, 상단부를 갖는 수직체(210)와, 상기 수직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의 걸림턱부와 대응되는 홈 형상을 갖는 수평체(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와 대응되는 홈으로서, 상기 수평체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123)는 결합홈부의 절개면(221-C)과 끼움결합된다. 이때, 걸림턱부의 좌측 오목부와 우측 오목부에 의해 마우스 피스는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취구의 하부 연결영역은 수직체의 상단부, 구체적으로는 수평체의 결합홈부에 의해 개방되는 상단부와 면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가 공명체의 수평체의 결합홈부에 끼움맞춤되면 마우스 피스와 공명체 사이에는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을 위해 상기 취구의 상부와 공기 유동부의 상부는 평면을 이루지 않아도 되지만, 취구의 하부와 공기 유동부의 하부는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부터 공명체의 내부에 들어간 공기는 끼움결합된 부분에서 새어나오지 않는다.
한편, 상기 수평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운지공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운지공을 손가락 끝으로 막거나 개방하여 공명체의 공간부로부터 공기의 외부 공간으로의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특정 음계에 해당하는 소리가 나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마우스 피스
110 : 취구
111 : 취구홀
111-1 : 취구 입구
111-2 : 취구 출구
120 : 공기 유동부
121 : 공분홀
122 : 공분돌기
122-H : 상부 반월절개부
122-L : 하부 반월절개부
123 : 걸림턱부
123-1 : 좌측 오목부
123-2 : 라운드(round) 단턱부
123-3 : 우측 오목부
200 : 공명체
210 : 수직체
220 : 수평체
221 : 결합홈부
221-C : 결합홈부의 절개면
222 : 운지공
110 : 취구
111 : 취구홀
111-1 : 취구 입구
111-2 : 취구 출구
120 : 공기 유동부
121 : 공분홀
122 : 공분돌기
122-H : 상부 반월절개부
122-L : 하부 반월절개부
123 : 걸림턱부
123-1 : 좌측 오목부
123-2 : 라운드(round) 단턱부
123-3 : 우측 오목부
200 : 공명체
210 : 수직체
220 : 수평체
221 : 결합홈부
221-C : 결합홈부의 절개면
222 : 운지공
Claims (7)
- 마우스 피스와 공명체가 결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오카리나로서,
상기 공명체는,
상단부를 갖는 수직체와 결합홈부를 갖는 수평체로 이루어지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우스 피스는,
취구와, 상기 취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공기 유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구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취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는 중앙에 공분홀을 갖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동부의 공분홀의 일측은 취구 출구와 연통되며, 타측은 반원 형상의 공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의 공분돌기의 상측에는 상부 반월절개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 반월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하부 반월절개부의 외측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좌측 오목부, 라운드 단턱부, 및 우측 오목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부와 만나는 좌우측에는 좌측 오목부와 우측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 오목부와 우측 오목부 사이에는 라운드 단턱부가 형성되고, 좌측 오목부, 라운드 단턱부, 및 우측 오목부로 연이어 형성되는 걸림턱부는 상기 공명체에 형성된 결합홈부의 절개면이 마우스 피스의 걸림턱부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마우스 피스의 공분돌기에 의해 취구홀의 취구 출구로 나오는 공기가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구홀은 일측의 취구 입구는 넓고 타측 출구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441A KR101656645B1 (ko) | 2016-05-12 | 2016-05-12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441A KR101656645B1 (ko) | 2016-05-12 | 2016-05-12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6645B1 true KR101656645B1 (ko) | 2016-09-22 |
Family
ID=5710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441A KR101656645B1 (ko) | 2016-05-12 | 2016-05-12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64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9000A1 (ko) * | 2018-04-10 | 2019-10-17 | 우광혁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KR20190118488A (ko) * | 2018-04-10 | 2019-10-18 | 우광혁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KR102081000B1 (ko) | 2018-09-08 | 2020-02-24 | 이상진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0892B1 (ko) * | 2005-04-20 | 2006-09-07 | 고현일 | 오카리나 |
KR200435519Y1 (ko) | 2003-10-22 | 2007-01-29 | 김준모 | 오카리나 |
KR100828997B1 (ko) | 2006-11-07 | 2008-05-14 | 이일용 | 티자형 오카리나 |
KR101379998B1 (ko) | 2010-06-21 | 2014-04-04 | 안용학 | 오카리나 |
KR101582424B1 (ko) * | 2014-11-05 | 2016-01-04 | 이상진 | 마우스피스가 탈착 가능한 오카리나 |
-
2016
- 2016-05-12 KR KR1020160058441A patent/KR1016566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519Y1 (ko) | 2003-10-22 | 2007-01-29 | 김준모 | 오카리나 |
KR100620892B1 (ko) * | 2005-04-20 | 2006-09-07 | 고현일 | 오카리나 |
KR100828997B1 (ko) | 2006-11-07 | 2008-05-14 | 이일용 | 티자형 오카리나 |
KR101379998B1 (ko) | 2010-06-21 | 2014-04-04 | 안용학 | 오카리나 |
KR101582424B1 (ko) * | 2014-11-05 | 2016-01-04 | 이상진 | 마우스피스가 탈착 가능한 오카리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9000A1 (ko) * | 2018-04-10 | 2019-10-17 | 우광혁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KR20190118488A (ko) * | 2018-04-10 | 2019-10-18 | 우광혁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KR102104995B1 (ko) * | 2018-04-10 | 2020-04-27 | 우광혁 | 기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명 악기 |
KR102081000B1 (ko) | 2018-09-08 | 2020-02-24 | 이상진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645B1 (ko)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
US5113784A (en) | Multi-tone whistle | |
KR200476655Y1 (ko) | 악기용 마우스피스 | |
KR100620892B1 (ko) | 오카리나 | |
US291548A (en) | Hexey c | |
KR200390550Y1 (ko) | 오카리나 | |
KR100717357B1 (ko) | 합성수지재용 오카리나 | |
KR101812481B1 (ko) |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 |
KR102081000B1 (ko)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
KR200480609Y1 (ko) | 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음통로부재를 구비한 코피리 | |
US2513600A (en) | Musical humming instrument | |
CN213303621U (zh) | 一辅助工具及木管乐器 | |
KR20090005562A (ko) | 판형의 오카리나 | |
KR101582424B1 (ko) | 마우스피스가 탈착 가능한 오카리나 | |
US805817A (en) | Whistle. | |
KR101648328B1 (ko) | 음질을 향상시킨 코피리 | |
KR101169605B1 (ko) | 피페 | |
TWI571289B (zh) | Can be sounded frisbee | |
KR20090077505A (ko) | 리코더 | |
KR101430812B1 (ko) | 오카리나 | |
USD1015904S1 (en) | Double-sided measuring instrument | |
KR200399697Y1 (ko) | 피페 | |
CN214587989U (zh) | 笛子结构 | |
KR200458324Y1 (ko) | 리코더 | |
KR101812479B1 (ko) |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