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998B1 -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오카리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998B1
KR101379998B1 KR1020100058374A KR20100058374A KR101379998B1 KR 101379998 B1 KR101379998 B1 KR 101379998B1 KR 1020100058374 A KR1020100058374 A KR 1020100058374A KR 20100058374 A KR20100058374 A KR 20100058374A KR 101379998 B1 KR101379998 B1 KR 10137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arina
led
led module
soun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475A (ko
Inventor
안용학
Original Assignee
안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학 filed Critical 안용학
Priority to KR102010005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9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객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주자가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구멍(150); 상기 공기 주입 구멍(150)에 의해서 주입된 공기에 대해서 공명을 유발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구멍(160), 및 상기 소리 구멍(160)에 의해서 발생된 소리의 음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운지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그 내부를 향하여 발광하는 LED(light-emitting diode)(177)를 포함하는 LED 모듈(17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오카리나{OCARINA}
본 발명은 공연장 등에서 보다 다채로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음향센서 및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카리나(Ocarina)'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거위'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스위트 포테이토(sweetpotato)라고 불리기도 하는 악기의 일종이다. 각 나라별로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악기는 고유의 이름이 있으나, 오카리나라는 말이 생긴 후부터 흙으로 만들어진 폐관악기이면 통상 '오카리나'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인 '훈' 은 '한국의 오카리나'라고 말해도 될 것이다. 오카리나는 인류의 문명이 발달하기 시작한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적이지만 흙으로 만든 휘슬(한음을 낼 수 있는 원시적인 악기)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악기로 제작, 발전되었다. 지역의 분포는 유럽,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시아에도 원시적인 오카리나가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오카리나는 잉카문명 지역에서 발굴된 거북모양의 오카리나로 알려져 있다. 현재 거위 모양의 오카리나는 19세기에 이탈리아의 G. 도나티라는 사람이 처음 만들었다. 오카리나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T자형과 공모양의 오카리나로 나뉘며, 오카리나를 제조하기 위한 재질은 점토 등에서 발달하여 금속, 합성수지 또는 동물뼈 등 다양하다.
이러한 오카리나는 폐관악기의 일종으로, 입으로 불어넣은 바람이 내부에서 반사되어 공명되고, 이러한 오카리나는 그 음색이 우아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 있는데, 위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입에 물고 불며, 윗면에는 운지 구멍이 있고 밑면에는 운지 구멍과 소리 구멍이 있다. 온음계이지만 운지법에 따라 반음계도 낼 수 있다.
이러한 오카리나 악기에 있어서, 음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은, 운지 구멍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고, 소리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음색을 결정하는 것은, 오카리나의 공기주입 구멍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일부 빠져나가는 엣지형의 소리 구멍과 오카리나의 내부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공명현상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에, 방과 후 학습이나 아동복지 센터, 각 단체 및 피아노학원 등에서 오카리나를 배우는 학생들이 늘고 있으며 리코더나 하모니카보다 대중화 속도가 빠른 편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오카리나의 운지 구멍에서 각종 빛이 새어 나오면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나 학습 욕구를 더욱더 유발시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특히, 빛이 나는 오카리나는 천문대 별음악회 등과 야간 연주시에 공연장에서 한 층 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상정했다.
상술한 종래의 오카리나는 실내 또는 야외 공연장 등에서 오카리나의 연주음만 들리기 때문에, 관객에게 다채로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객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생들에게 학습 욕구를 더욱 유발킬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LED를 포함시킬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는, 연주자가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구멍; 상기 공기 주입 구멍에 의해서 주입된 공기에 대해서 공명을 유발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구멍, 및 상기 소리 구멍에 의해서 발생된 소리의 음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운지 구멍을 포함하는 오카리나로서, 그 내부를 향하여 발광하는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LED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경통, 상기 경통 내에 삽입되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면서 상기 경통에 결합되는 배터리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상기 LED를 덮어씌우도록 투명한 속이 비어 있는 원통과 그 원통의 일단이 투명한 둥근 원판에 의해서 막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둥근 원판의 직경은 상기 원통의 단면 원의 직경보다 크고, 가요성과 밀폐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오카리나에서 나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음향 센서; 및 상기 음향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LED의 밝기 또는 발광색을 변경시키는 LED 모듈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음향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공중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의하면, 오카리나의 운지 구멍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다채로운 광에 의해 관객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욕구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음계에 따라 LED의 발광 색이 달라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에 의하면, 청각적인 공연뿐만 아니라 음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다채로운 시각적인 공연이 가능하다.
또한,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LED를 포함시킬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카리나를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카리나의 하부 본체에 LED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LED 모듈의 조립 과정에 의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LED 모듈에 투명 캡을 더 설치하고, 이 모듈을 오카리나의 하부 본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된 LED 모듈의 조립 과정에 의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LED 모듈에 부가하여 LED 모듈 구동 회로부와 음향센서가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LED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LED 모듈 구동 회로부를 기능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카리나를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카리나의 하부 본체에 LED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100)는 상부 본체(110), 하부 본체(120), 운지 구멍(130), LED 모듈 조립 홈(140), 공기 주입 구멍(150), 소리 구멍(160) 및 LED 모듈(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카리나(100)는 내부에 공명 공간을 포함하는 T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취사 선택할 수 있는 어떠한 모양의 오카리나이어도 좋다. 또한, 오카리나(100)의 재질은 본 실시예에서는 점토로 이루어져 있으나, 점토 이외에도 당업자가 취사 선택할 수 있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동물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카리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는 선대칭으로 각각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를 정렬하여 맞대고 부착하면,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사이에 공명이 일어날 수 있는 공명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10)에는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으로 이루어진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벽면에 원형의 다수의 운지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본체(120)에는 상부 본체(110)의 오목 홈과 맞대어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면으로 이루어진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벽면에 원형의 다수의 운지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다수의 운지 구멍(130)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의 오카리나(100)의 한쪽 단부에는 공기 주입 구멍(150)이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주입 구멍(150)은 오카리나(100)의 내부 공명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공기 주입 구멍(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의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한쪽 단부에 대칭적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오목 홈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120)에는 소리 구멍(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소리 구멍(160)은 상술한 공기 주입 구멍(150)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오카리나(100)에서 소리가 나는 원리를 간략히 설명한다. 연주자가 공기 주입 구멍(150)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공기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공기 주입 구멍(150)을 따라 진행하다가 소리 구멍(160)에 이르면, 소리 구멍(160)에 의해서 갈라져서, 일부 공기는 오카리나(100)의 외부로 흘러나가고, 나머지 공기는 오카리나(100)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된 공명 공간으로 흘러들어가고, 이 공기에 의해서 공명이 일어나서 오카리나(100)에 소리가 나게 된다. 공명에 의해서 나는 소리는 오카리나(110)에 형성된 다수의 운지 구멍(130)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달라진다. 따라서, 운지 구멍(130)을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개폐함으로써, 예를 들면, 8도 음계(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에 대응하는 소리가 나게 되며, 운지 구멍(130)의 형성 위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반음을 포함하는 8도 음계 이상에 대응하는 소리도 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100)에는 LED 모듈 조립 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LED 모듈 조립 홈(1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170)이 조립된다.
LED 모듈 조립 홈(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의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다른 단부에 각각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오목 홈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가압부(171), 배터리(173), 경통(175), 및 LED(177)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오카리나(100)의 LED 모듈 조립 홈(140)에 삽입 조립된다. 배터리(173)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수은 전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취사선택할 수 있다. 이 배터리(173)는 + 전극과 -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LED(177)의 + 전극 단자와 - 전극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전기적으로 폐루프가 형성되어 LED(177)가 발광을 개시한다. 경통(175)은 이러한 상술한 폐루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경통(175)의 일단에는 LED(177)가 삽입 고정되고, 타단에는 배터리(173)가 내부로 삽입되어 LED(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가압부(171)는 경통(175)에 삽입된 배터리(173)를 가압하면서 경통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통(175)의 내부에 삽입된 배터리(173)의 + 전극과 - 전극은 각각 경통(175)에 삽입 고정된 LED(177)의 + 전극 단자와 - 전극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시되지 않은 단락 스위치에 의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70)에 있어서, 배터리 가압부(171), 배터리(173), 경통(175), 및 LED(177) 상호간의 결합 관계는, 배터리(173)가 LED(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177)가 발광할 수 있기만 하면,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취사 선택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LED(177)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색 광 LED, 3색(red, gree, blue)광 LED, SMD Type LED, 고휘도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LED 모듈의 조립 과정에 의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LED 모듈(170)이 오카리나(100)에 조립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77)가 오카리나(100)의 내부 공명 공간으로 약간 돌출된다. 도 4는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 때문에, LED(177)를 크게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LED(177)는 그 크기가 오카리나(100)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LED(177)가 오카리나(100)의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170)이 오카리나(100)에 조립된 경우, LED 모듈(170)과 LED 모듈 조립 홈(140)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그 틈을 통해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틈은 오카리나(100)의 공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하,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카리나(100)에 삽입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LED 모듈(170)에 투명 캡(179)을 더 설치하고, 이 LED 모듈(170)을 오카리나(100)의 하부 본체(120)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된 LED 모듈(170)의 조립 과정에 의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70)에는 LED(177)를 보호하여 씌우도록 투명캡(179)이 형성된다. 투명캡(17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속이 비어 있는 원통과 그 원통의 일단이 투명한 둥근 원판에 의해서 막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둥근 원판의 직경은 원통의 단면 원의 직경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캡(179)은 가요성이 우수하면서도 밀폐성이 우수한 투명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캡(179)은 LED 모듈(170)과 LED 모듈 조립 홈(140)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투명 캡(179)은 틈을 통해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LED 모듈(170)을 오카리나(100)에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LED 모듈(170)은 단순히 LED(177)를 발광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즉 관객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오카리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 이에 LED(177)에 의해서 발광되는 발광색이 오카리나(100)의 소리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상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오카리나(100)의 소리에 따라 발광 색이 변경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LED 모듈(170)에 부가하여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와 음향센서(178)가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LED 모듈(17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를 기능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LED 모듈(170)은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와 음향 센서(178)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LED 모듈(170)과 모두 동일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LED 모듈(170)은 배터리 가압부(171), 배터리(173),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 경통(175), LED(177), 음향 센서(178) 및 투명 캡(179)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도 7에서 음향 센서(178)는 LED(177)와 마찬가지로 투명 캡(179)에 의해서 보호되도록 위치 결정되고, 또한 경통(175)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음향 센서(179)는 음향신호, 즉 오카리나(100)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는 예를 들면 마이크가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취사 선택될 수 있다.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는 배터리(1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음향 센서(178)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전기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전기 신호의 전압의 크기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LED(177)의 밝기, 또는 발광색을 변경하는 기능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LED(177)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색 광 LED, 3색(red, gree, blue)광 LED, SMD Type LED, 고휘도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는 제어부(180), LED 구동부(182), 음향 수신부(184) 및 무선 송신부(186)를 포함한다.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는 배터리(173)에 의해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의 제어부(180)는 LED 구동부(182), 음향 수신부(184) 및 무선 송신부(186)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LED 구동부(182)에는 LED(17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향 수신부(184)에는 음향 센서(178)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 센서(178)는 오카리나(10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전환해주는 소자이다.
음향 센서(178)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음향 수신부(184)가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180)에 전송하다.
제어부(180)는 음향 수신부(184)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 예를 들면, 전압 크기, 전류 크기 또는 주파수 스펙트럼 등을 LED 구동부(182)에 전송한다. LED 구동부(182)는 전송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LED(177)를 구동한다.
예를 들면, LED(177)가 단색 광 LED이면 LED 구동부(182)는 전송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LED(177)의 밝기를 변경한다. 또한, LED(177)가 3색광 LED이면, LED 구동부(182)는 전송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LED(177)의 발광색을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송신부(18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 수신부(184)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무선 송신부(186)를 통해 공중(空中)에 송신한다. 무선 송신은 예를 들면, 불루투스, AM 또는 FM 송신, 적외선 송신, 초음파 송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무선 송신부(186)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전기 신호의 무선 송신은 원거리에 있는 무선 수신부(미도시)에 의해서 수신된다. 오카리나 연주자가 오카리나(100)를 연주하면, 그 소리가 그대로 전기 신호로 전환되어 무선 송신(186)에 의해서 송신되고, 예를 들면, 무선 앰프 장치가 이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크게 증폭하여 앰프를 통해 오카리나 연주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설명한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의 제어부(180), LED 구동부(182), 음향 수신부(184) 및 무선 송신부(186)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서 취사 선택될 수 있다.
100: 오카리나
110: 상부 본체
120: 하부 본체
130: 운지 구멍
140: LED 모듈 조립 홈
150: 공기 주입 구멍
160: 소리 구멍
170: LED 모듈

Claims (5)

  1. 연주자가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구멍(150);
    상기 공기 주입 구멍(150)에 의해서 주입된 공기에 대해서 공명을 유발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구멍(160); 및
    상기 소리 구멍(160)에 의해서 발생된 소리의 음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운지 구멍(130)을 포함하는 오카리나로서,
    상기 오카리나의 내부를 향하여 발광하는 LED(light-emitting diode)(177)를 포함하는 LED 모듈(170), 및
    상기 오카리나의 내부 면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LED 모듈(170)과, 상기 LED 모듈(170)이 삽입되는 LED 모듈 조립 홈(140)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오카리나 내부면 상의 틈이, 상기 오카리나의 내부의 공명 공간에서 일어나는 공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틈을 밀폐하는 투명캡(179)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캡(179)은, 상기 LED(177)를 덮어씌우도록 투명한 속이 비어 있는 원통과 상기 원통의 일단이 투명한 둥근 원판에 의해서 막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둥근 원판의 직경은 상기 원통의 단면 원의 직경보다 크고, 가요성과 밀폐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한 둥근 원판은 상기 오카리나 내부 면상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70)은 경통(175), 상기 경통(175) 내에 삽입되어 상기 LED(177)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3), 상기 배터리(173)를 가압하면서 상기 경통(175)에 결합되는 배터리 가압부(171)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70)은,
    상기 오카리나에서 나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음향 센서(178); 및
    상기 음향 센서(178)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LED(177)의 밝기 또는 발광색을 변경시키는 LED 모듈 구동 회로부(1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70)은 상기 음향 센서(178)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공중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1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KR1020100058374A 2010-06-21 2010-06-21 오카리나 KR10137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74A KR101379998B1 (ko) 2010-06-21 2010-06-21 오카리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74A KR101379998B1 (ko) 2010-06-21 2010-06-21 오카리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75A KR20110138475A (ko) 2011-12-28
KR101379998B1 true KR101379998B1 (ko) 2014-04-04

Family

ID=4550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374A KR101379998B1 (ko) 2010-06-21 2010-06-21 오카리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5B1 (ko)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808A (ko) * 2005-06-08 2006-12-20 박종섭 움직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KR100775718B1 (ko) * 2006-11-03 2007-11-09 이상진 오카리나
KR100828996B1 (ko) * 2006-07-28 2008-05-14 이일용 원통형 오카리나
KR20080067757A (ko) * 2007-01-17 2008-07-22 홍만의 스윙연습용 골프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808A (ko) * 2005-06-08 2006-12-20 박종섭 움직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KR100828996B1 (ko) * 2006-07-28 2008-05-14 이일용 원통형 오카리나
KR100775718B1 (ko) * 2006-11-03 2007-11-09 이상진 오카리나
KR20080067757A (ko) * 2007-01-17 2008-07-22 홍만의 스윙연습용 골프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5B1 (ko) 2016-05-12 2016-09-22 이상진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75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638B1 (en) Illuminated fiber decorated balloons
US6942362B1 (en) Lighted whistle
US7119265B2 (en) Illuminated musical instrument
KR101379998B1 (ko) 오카리나
US6604880B1 (en) Motion lighting pen with light variably accompanying sound actuation
CN202632738U (zh) 一种弦乐器琴头结构及弦乐器
US20090266220A1 (en) Guitar Slide
KR200478975Y1 (ko)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
CN203325438U (zh) 电子无弦吉他
CN106412732A (zh) 一种随灯光变化声响的音响
US20060135320A1 (en) Illuminated trampoline
US10818277B1 (en) Enhanced electronic musical wind instrument
CN202102699U (zh) 一种激光水晶三角钢琴
CN203121439U (zh) 一种声控发光的背包
KR100775718B1 (ko) 오카리나
KR101218527B1 (ko)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타악기
CN220546576U (zh) 一种积木琴玩具
KR101218430B1 (ko)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EP1371505A1 (en) Motion ligthing pen with variably accompanying sound action
CN220404806U (zh) 一种炫彩电子吉他玩具
CN216212307U (zh) 指示演奏者气流强弱的呼吸灯
CN217139191U (zh) 一种敲打琴玩具
KR960010588Y1 (ko) 계수형 훌라후프
KR200165062Y1 (ko)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KR200341234Y1 (ko) 전자기타의 포지션 마크 발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