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30B1 -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 Google Patents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30B1
KR101218430B1 KR1020100071047A KR20100071047A KR101218430B1 KR 101218430 B1 KR101218430 B1 KR 101218430B1 KR 1020100071047 A KR1020100071047 A KR 1020100071047A KR 20100071047 A KR20100071047 A KR 20100071047A KR 101218430 B1 KR101218430 B1 KR 101218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ight emitting
light
sink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154A (ko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이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식 filed Critical 이경식
Priority to KR102010007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와 빛을 동시에 구현하여 다양한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문화적 소외계층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되,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울림관과; 상기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관에 설치한 다수의 싱크발광소자와; 상기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센싱마이크에서 감지하고, 이를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싱크발광소자에 출력하는 발광컨트롤유닛과; 상기 싱크발광소자와 발광컨트롤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음하는 핀마이크와; 상기 핀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음향송출기를 통해 음향수신기로 무선 송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연주와 동시에 소리와 빛이 싱크를 맞추어 사운드와 비주얼이 동시에 표현됨으로써, 다양하고 흥미로운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빛의 색깔이 감각적인 표현의 소리를 전달하여 문화 소외계층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Wind instrument combined with light}
본 발명은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와 빛이 함께 융합되도록 구현하여, 다양하고 흥미로운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음악을 접하기 어려운 이들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는 금속·나무·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소리를 내는 구조에 따라 크게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로 구분된다.
이 중 목관악기는 리드를 진동시키거나 마우스피스로 관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것으로, 주로 관을 따라 크고 작은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을 열거나 막음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구멍이 많이 열릴수록 높은 음을 낼 수 있다. 대표적인 목관악기로는 플루트, 오보에, 바순, 클라리넷, 색소폰, 대금, 중금, 소금, 피리, 퉁소, 단소 등이 있다.
그리고, 금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사용하기는 하나, 연주자의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는 내는 것으로, 이 소리를 밸브 등을 이용하여 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음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대표적인 금관악기로는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코넷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관악기들은 대부분 음계의 조절이 가능하고, 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음역에서의 소리를 구현할 수 있어, 다른 악기들과 하모니를 이루는 협연 연주는 물론 독주 또한 가능하여 음악적인 부분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연주를 연출 및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관악기들의 경우 단순히 소리에 의지하여 음악을 청취하고, 시각에 의지하여 악기를 연주해야 함으로써, 청각 또는 시각장애를 겪고 있는 장애인들의 경우, 음악을 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다.
특히, 기존의 관악기들은 그 악기들의 모양 및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어, 연주자들은 대부분 정해진 틀 안에서만 연주해야만 한다. 따라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퍼포먼스(performance)나 시각적 효과(visual)가 가미된 연출이 필요한 공연에서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향의 연출과 동시에 빛의 구현이 가능하여 흥미로운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문화 소외계층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되,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울림관과; 상기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관에 설치한 다수의 싱크발광소자와; 상기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센싱마이크에서 감지하고, 이를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싱크발광소자에 출력하는 발광컨트롤유닛과; 상기 발광컨트롤유닛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음하는 핀마이크와; 상기 핀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음향송출기를 통해 음향수신기로 무선 송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컨트롤유닛은,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소리와 진동을 감지하는 센싱마이크와; 상기 센싱마이크와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발광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싱크발광소자에 출력하는 발광신호출력부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에 연결되어 센싱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 음향조절스위치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에 연결되어 싱크발광소자로 출력되는 발광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 발광조절스위치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와 싱크발광소자 사이에 설치되어 싱크발광소자를 온/오프시키는 발광전원스위치와; 상기 센싱마이크와 발광신호출력부 사이에 설치되어 센싱마이크에서의 음향 감지 여부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울림관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모자에 다수의 싱크발광소자를 고정시키고, 상기 싱크발광소자는 상기 발광컨트롤유닛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울림관을 갖는 관악기는 디제리두(didgeridoo)와, 대금과, 중금과, 소금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싱크발광소자가 설치된 울림관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연주를 하는 경우, 싱크발광소자와 함께, 음향시스템을 통해 소리와 빛이 싱크를 맞추어 사운드와 비주얼이 동시에 표현됨으로써, 다양하고 흥미로운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사운드와 빛이 싱크를 맞추어 공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소리와 진동 및 싱크발광소자의 다양한 빛의 색깔이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표현의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음악을 접하기 어려운 장애인들 및 문화 소외계층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제리두 형상의 관악기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금 형상의 관악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악기에서의 소리와 빛의 싱크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울림관(100)과, 싱크발광소자(110)와,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전원부(250)와, 핀마이크(140)와, 음향시스템(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울림관(100)은 연주자가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어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싱크발광소자(110)에 의한 빛을 투영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수지의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울림관(100)은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서양악기의 하나인 디제리두(10)(didgeridoo)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디제리두(10)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오스트레일리아 선주민의 악기로써, 1~2m의 나무 내부를 공동(空洞)으로 해서 트럼펫 식으로 분다. 보통, 저음이 잘 울리며, 10도 위의 음을 교대시키거나 드로운(drone) 음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내면서 노래의 반주를 하는 악기이다.
또한, 상기 울림관(100)은 도 2와 같이 한국 국악기의 하나인 소금(20)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대금, 중금과 같은 국악기는 물론 이 외의 더욱 다양한 형상의 관악기 형상으로 제조 및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울림관(100)이 대금, 중금, 소금(20)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울림관(100)에는 마땅히 취구와 다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울림관(100) 표면에는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싱크발광소자(110)를 부착하고, 상기 싱크발광소자(110)는 후술하는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싱크발광소자(110)와 후술하는 싱크발광소자(310) 모두 적절하게는 LED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LED로는 스틱형, 써치형, 은하수형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연주자의 악기 연주에 의한 울림관(100) 내의 소리와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전달하고,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에서 출력되는 발광신호에 맞추어 싱크발광소자(310)를 밝힐 수 있도록 연주자의 머리에는 싱크발광소자(310)가 부착된 모자(300)를 더 착용할 수 있다.
설명하면,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자(300)에 다수의 싱크발광소자(3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싱크발광소자(310)는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상기 울림관(100)의 음향 발생에 따라 음향신호가 발생됨과 동시에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의해 음향신호가 발광신호로 변환되어 싱크발광소자(110)(310)로 출력되면서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울림관(100) 및 모자(300)의 싱크발광소자(110)(310)들을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모자(300)는 통상의 모자 형태 뿐만 아니라 헬멧의 형태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연주자의 머리부분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채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싱크발광소자(310)는 모자(300) 표면 뿐만 아니라 모자(300)에 고정된 고글 표면에도 고정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은 센싱마이크(120)에서 감지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싱크발광소자(110)(310)에 출력하는 것으로, 다시 센싱마이크(120)와, 발광신호출력부(210)와, 음향조절스위치(220)와, 발광조절스위치(230)와, 발광전원스위치(240)와, 리미트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살펴보면,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소리와 진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울림관(100) 내부에 센싱마이크(120)를 설치하고, 상기 센싱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울림관(100) 및 모자(300)에 고정된 싱크발광소자(110)(310)에 출력하도록 상기 센싱마이크(120)에 발광신호출력부(210)를 연결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마이크(12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에 음향조절스위치(220)를 연결 구비하고, 상기 싱크발광소자(110)(310)로 출력되는 발광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에 발광조절스위치(230)를 연결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와 싱크발광소자(110)(310) 사이에는 싱크발광소자(110)(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발광전원스위치(2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마이크(120)와 발광신호출력부(210) 사이에는 센싱마이크(120)에서의 음향 감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울림관(100) 외측에 리미트스위치(130)를 장착한다.
즉, 리미트스위치(130)를 한 번 누르게 되면 센싱마이크(120)에서 소리와 진동을 감지하여 이에 맞추어 싱크발광소자(110)(310)의 빛을 발광시키게 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30)를 다시 한 번 누르게 되면 더 이상 센싱마이크(120)에서는 음향을 감지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싱크발광소자(110)(310)의 빛을 발광시키게 되는 것으로, 리미트스위치(130)를 누를 때마다 위와 같은 조작을 반복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싱크발광소자(110)(310) 사이에는 전원부(250)를 연결하여 싱크발광소자(110)(3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250)에는 컨버터(혹은 인버터), 어댑터 등을 설치하여 싱크발광소자(110)(310)가 발광 가능한 전압으로 적절하게 변환 및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50)가 소금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250)로 수은건전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상기 울림관(100) 내부에는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음하여 음향시스템(400)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핀마이크(14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음향시스템(400)은 상기 핀마이크(14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음향송출기(410)를 통해 음향수신기(420)로 무선 송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것으로, 음향송출기(410)와, 음향수신기(420)와, 믹서(430)와, 앰프(440)와, 다수의 스피커(450)로 구성된다.
이하 살펴보면, 핀마이크(14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가 음향송출기(410)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음향수신기(420)에서는 음향송출기(410)로부터 음향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신호는 믹서(430)에서 혼합 및 분배되어, 앰프(440)와 스피커(45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관악기를 통해 소리와 빛이 동시에 구현되는 작용을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먼저 연주자는 싱크발광소자(310)가 부착된 모자(300)(헬멧)를 몸에 착용한 후,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후, 울림관(100) 내부에 악기 연주를 위한 공기를 불어 넣게 되면, 핀마이크(140)에서 수음된 음향이 다수의 스피커(450)를 통해 나오게 되고, 발광컨트롤유닛(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향과 싱크되어 싱크발광소자(110)(310)를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울림관(100) 내에서 울리는 음향 소리를 핀마이크(140)에서 수음하고, 이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향송출기(410)로 출력하며, 상기 음향송출기(41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음향수신기(420)로 무선 송수신되고, 음향수신기(42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믹서(430)와 앰프(440)를 거쳐 혼합 및 증폭되어 여러 스피커(450)를 통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울림관(100)에 장치된 센싱마이크(120) 역시 울림관(100) 내에서 울리는 음향의 소리와 진동을 감지 및 입력하여 발광신호출력부(210)에 입력하고,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에서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울림관(100)과 모자(300)(헬멧)에 부착된 싱크발광소자(110)(310)에 각각 출력함으로써, 싱크발광소자(110)(310)를 음향에 맞추어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장치된 여러 스위치들의 조작을 통해 싱크발광소자(110)(310)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와, 빛의 칼라 변환, 빛의 점소등 속도조절과 함께, 음향의 입력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장치된 리미트스위치(130)의 누름 조작을 통해 싱크발광소자(110)(310)를 음향에 맞추어 발광시키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는 울림관(100)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연주를 하는 경우,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싱크발광소자(110)(310)들와 함께, 음향시스템(400)을 통해 소리와 빛이 싱크를 맞추어 사운드와 비주얼이 동시에 표현된다.
따라서, 발광 인터렉티브 시스템이 소리에 반응하여 소리와 빛이 함께 구현됨으로써, 다양하고 흥미로운 퍼포먼스와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공연 및 무대 연출이 가능하고, 사운드와 빛이 싱크를 맞추어 공연이 가능한 것이다.
또, 연주기구의 소리와 진동 및 싱크발광소자(110)(310)의 다양한 빛의 색깔이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표현의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음악을 접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의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디제리두 20 : 소금
100 : 울림관 110 : 싱크발광소자
120 : 센싱마이크 130 : 리미트스위치
140 : 핀마이크 200 : 발광컨트롤유닛
210 : 발광신호출력부 220 : 음향조절스위치
230 : 발광조절스위치 240 : 발광전원스위치
250 : 전원부 300 : 모자
310 : 싱크발광소자 400 : 음향시스템
410 : 음향송출기 420 : 음향수신기
430 : 믹서 440 : 앰프
450 : 스피커

Claims (3)

  1.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되,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 넣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울림관(100)과;
    상기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관(100)에 설치한 다수의 싱크발광소자(110)와;
    상기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센싱마이크(120)에서 감지하고, 이를 발광신호로 변환하여 싱크발광소자(110)에 출력하는 발광컨트롤유닛(200)과;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은,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소리와 진동을 감지하는 센싱마이크(120)와;
    상기 센싱마이크(120)와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발광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싱크발광소자(110)에 출력하는 발광신호출력부(210)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에 연결되어 센싱마이크(12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 음향조절스위치(220)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에 연결되어 싱크발광소자(110)로 출력되는 발광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 발광조절스위치(230)와;
    상기 발광신호출력부(210)와 싱크발광소자(110) 사이에 설치되어 싱크발광소자(110)를 온/오프시키는 발광전원스위치(240)와;
    상기 센싱마이크(120)와 발광신호출력부(210) 사이에 설치되어 센싱마이크(120)에서의 음향 감지 여부를 결정하는 리미트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맞추어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모자(300)에 다수의 싱크발광소자(3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싱크발광소자(310)는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한 구성이며,
    상기 발광컨트롤유닛(2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와;
    상기 울림관(1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음하는 핀마이크(140)와;
    상기 핀마이크(14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음향송출기(410)를 통해 음향수신기(420)로 무선 송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시스템(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71047A 2010-07-22 2010-07-22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KR101218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47A KR101218430B1 (ko) 2010-07-22 2010-07-22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47A KR101218430B1 (ko) 2010-07-22 2010-07-22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54A KR20120009154A (ko) 2012-02-01
KR101218430B1 true KR101218430B1 (ko) 2013-01-03

Family

ID=4583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047A KR101218430B1 (ko) 2010-07-22 2010-07-22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209014Y (es) * 2018-03-02 2018-06-25 Orts Constantino Martinez Arco para instrumento musical de cuerda frotad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7A (ja) * 1999-11-17 2001-05-25 Seiko Instruments Inc 発光装置付きリード楽器
KR200279443Y1 (ko) * 2002-03-15 2002-06-24 김원식 발광 기능이 구비된 기타
US20060096445A1 (en) * 2004-11-10 2006-05-11 Leach Cary H Entertainment display systems
KR100775718B1 (ko) * 2006-11-03 2007-11-09 이상진 오카리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7A (ja) * 1999-11-17 2001-05-25 Seiko Instruments Inc 発光装置付きリード楽器
KR200279443Y1 (ko) * 2002-03-15 2002-06-24 김원식 발광 기능이 구비된 기타
US20060096445A1 (en) * 2004-11-10 2006-05-11 Leach Cary H Entertainment display systems
KR100775718B1 (ko) * 2006-11-03 2007-11-09 이상진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54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7858B2 (en) Acoustic, hyperacoustic, or electrically amplified hydraulophones or multimedia interfaces
US8003873B2 (en) Percussion assembly, as well as drumsticks and input means for use in said percussion assembly
US10418012B2 (en)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218430B1 (ko) 소리와 빛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관악기
CN102568450A (zh) 无干扰练习铜管乐器
KR101746216B1 (ko) 아두이노를 이용한 에어 드럼 연주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94308A1 (zh) 一种电子乐器
CN212516528U (zh) 一种多功能智能电子乐器
KR101218527B1 (ko)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타악기
CN205541863U (zh) 24孔复音口琴
CN203013233U (zh) 一种电子手风琴
KR101818008B1 (ko)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CN201498194U (zh) 用于产生音乐的手套
KR102597777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KR101389500B1 (ko) 악기형 스피커
CN215815160U (zh) 电吹管
JP3240035U (ja) 音響改善リング
KR200269518Y1 (ko)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CN111883092A (zh) 一种基于midi技术的电子口琴
CN114203135A (zh) 一种基于统一律制的智能便携电子乐器
TW200823864A (en) Digital blowing instrument and the music sound generation method
JP2011237662A (ja) 電子楽器
JP5842321B2 (ja) 管楽器の発音態様報知制御装置
CN116386578A (zh) 一种便于演奏民族音乐的电吹管
KR20170103721A (ko) 금관악기인 트럼펫. 트럼본. 코넷. 호론. 튜바등을 색소폰소리내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