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00B1 - 악기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악기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00B1
KR101389500B1 KR1020120131601A KR20120131601A KR101389500B1 KR 101389500 B1 KR101389500 B1 KR 101389500B1 KR 1020120131601 A KR1020120131601 A KR 1020120131601A KR 20120131601 A KR20120131601 A KR 20120131601A KR 101389500 B1 KR101389500 B1 KR 10138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or
instrument
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전하영
정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2013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연주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고,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진동 발생기와 제어기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기는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악기를 진동시켜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제어기는 진동 발생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악기에 마련된 키를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조작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기형 스피커{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본 발명은 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를 구동시켜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음악은 일반적으로 '시간예술'로 불리고 있다. 회화, 조각, 건축물 등의 조형예술은 3차원의 세계에 실재하는 구체적인 소재에 바탕을 두고 공간적인 대상을, 말하자면 항구적인 형태로 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음악은 문예나 무용과 더불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生成) 및 전개되어 간다.
따라서 조형예술을 정적이고 공간예술이라 부르는 데 대해 음악 등은 동적이고 시간예술이라 불리는데, 같은 시간예술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각각 독자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다. 즉 문예는 언어의 사용으로 관념적인 의미내용을 표현하고, 무용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함으로써 시각적이고 형상적인 데 반해 음악은 소재인 소리의 순수성(純粹性)에다 시간적인 성질에 바탕을 둔 가장 단적인 시간예술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음악은 발생적으로도 언어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또한 무용, 연극과도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음악은 이와 같은 예술의 장르와 연관을 갖고서 독자적인 형식이 창출되는 것 외에도 회화 등과는 달리 그때마다 재현할 필요가 있어, 이와 같은 의미로서는 재현예술로서의 공통적인 기반 위에 성립되어 있다. 음악을 '유동하는 건축', 건축을 '언(凍) 음악'이라 부르는 것은 비유적(比喩的)인 표현이기는 하나 소재가 지닌 순수한 질서성(秩序性)이나 통일성이라는 점에서 공통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악은 소리를 매체로 하는 예술로서, 통상적으로 음의 높낮이와 박자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은 다양한 악기를 통해 사람들이 들일 수 있는 음으로 표현된다.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는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악기는 연주자가 직접 연주를 통하여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두 개 이상의 악기로서 동시에 연주하는 협주가 필요한 경우에는 협주에 투입되는 악기의 수에 대응하는 연주자가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한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를 구동시켜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진동 발생기와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발생기는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다.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악기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진동 발생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각각,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협주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입력부, 저장부, 제2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저장부는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악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의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다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하다. 즉 악기형 스피커의 제어기는 다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개별 악기음이 각각,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오케스트라와 같은 협주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발생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발생기가 설치된 악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진동 발생기 및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악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는 악기(10)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20)와,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악기(10)를 진동시킨다. 즉 악기(10)는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를 진동시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제어기(4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진동 발생기(2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컨대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MP3 Player, IPTV, 스마트 TV,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어기(40)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제어기(40)는 악기(10)에서 이격되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악기(10)를 직접 연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진동 발생기(20)는 탈착 가능한 구조로 악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는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를 진동시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악기(10)를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악기(10)는 울림 공간(11)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울림 공간(11)에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다. 예컨대 현악기로는 기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악기로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아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의 진동 발생기(2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진동 발생기(2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제1 무선 통신부(21)와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부(21)는 제어기(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기(4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21)는 제어기(40)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부(23)는 제1 무선 통신부(21)를 통하여 제어기(4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부(23)로는 트랜스듀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악기(10a)의 일 예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악기(10a)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된다. 이때 악기(10a)로는 기타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진동 발생기(20)를 설치하되,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울림 공간(11)을 통하여 악기(10a)가 갖는 고유의 음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는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제1 무선 통신부 및 진동 발생부가 일체화된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는 울림 공간(11) 또는 그 외의 악기(10a)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의 제어기(40)에 대해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제어기(4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40)는 제2 무선 통신부(41) 및 제어부(49)를 포함하며, 입력부(43), 저장부(45) 및 출력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부(41)는 진동 발생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49)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를 진동 발생기(20)로 전송한다.
입력부(43)는 제어기(4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4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43)를 통해 악기(10)를 통하여 출력할 음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은 특정 음악이거나 음소일 수 있다. 이때 입력부(43)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45)는 제어기(4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45)는 음원에 따른 진동 발생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5)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기(40)의 제조 단계에서 디폴트로 저장되는 내부 정보와, 사용자가 제어기(40)의 사용 중 자신이 입력하거나 외부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는 음원 정보와,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신호는 악기(10)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진동 발생기(20)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신호는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정지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7)는 제어기(4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45)에 저장된 정보를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47)는 표시부 또는 음원처리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제어부(49)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영상은 음원 정보 또는 구동 신호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음원처리부는 제어부(49)의 제어에 따라 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원을 디지털화하여 제어부(49)로 전송한다. 특히 음원처리부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제어부(49)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는 제어기(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49)는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9)는 사용자의 입력부(43)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저장부(45)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한다. 제어부(49)는 추출한 구동 신호를 제2 무선 통신부(41)를 통하여 악기(10)의 진동 발생기(20)로 전송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를 제어기(40)로 제어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를 하나의 제어기(40)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와,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한다.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는 각각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악기(10)의 울림 공간(11)이 진동하여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이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기(4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복수의 악기(10) 중 적어도 하나의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하다. 즉 제어기(40)는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개별 악기음이 각각,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오케스트라와 같은 협주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악기(10)에 진동 발생기(20)를 설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10)에 액추에이터(3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는 악기(10)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와, 제어기(40)를 포함한다. 이때 악기(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는 관악기일 수 있다.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기(20)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액추에이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설치되어 제어기(40)의 구동 신호에 따라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악기(10)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한다. 이때 액추에이터(30)는 진동 발생기(20)로 전달된 구동 신호를 진동 발생기(20)로부터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30)는 진동 발생기(20)의 제1 무선 통신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 액추에이터(30)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고정 방식이 아닌 탈착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진동 발생기(20) 또한 악기(10)의 울림 공간(11)에 탈착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연주가 필요한 경우, 악기(10)에서 액추에이터(30)와 진동 발생기(2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는 악기(10)에 진동 발생기(20)와 함께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진동 발생기(20)만 설치할 때 보다 액추에이터(30)를 통하여 다양한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진동 발생기(20)에 제1 무선 통신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무선 통신부는 진동 발생부와 별도로 제작되거나 액추에이터(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악기(10b)의 일 예에 대해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도 6의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악기(10b)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b)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된다.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b)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설치된다. 이때 악기(100b)로는 트럼펫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서는 악기(10b)의 울림 공간(11)에 제1 무선 통신부 및 진동 발생부가 일체화된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는 울림 공간(11) 또는 그 외의 악기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악기
20 : 진동 발생기
21 : 제1 무선 통신부
23 : 진동 발생부
30 : 액추에이터
40 : 제어기
41 : 제2 무선 통신부
43 : 입력부
45 : 저장부
47 : 출력부
49 : 제어부
100 : 악기형 스피커

Claims (14)

  1.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는 진동 발생기;
    상기 진동 발생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 및
    상기 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트랜스듀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악기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9.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기; 및
    상기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악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각각,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협주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31601A 2012-11-20 2012-11-20 악기형 스피커 KR10138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ko) 2012-11-20 2012-11-20 악기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ko) 2012-11-20 2012-11-20 악기형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500B1 true KR101389500B1 (ko) 2014-04-29

Family

ID=5065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ko) 2012-11-20 2012-11-20 악기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06B1 (ko) * 2017-07-17 2018-07-13 김진구 음원 재생 기능을 구비한 현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09Y1 (ko) 2005-12-16 2006-03-20 (주)사운드스케이프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JP2007065196A (ja) 2005-08-30 2007-03-15 Yamaha Corp 金管楽器演奏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金管楽器演奏装置
JP2008034998A (ja) 2006-07-26 2008-02-14 Kirihara Sangyo:Kk 自動ヴァイオリ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196A (ja) 2005-08-30 2007-03-15 Yamaha Corp 金管楽器演奏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金管楽器演奏装置
KR200411709Y1 (ko) 2005-12-16 2006-03-20 (주)사운드스케이프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JP2008034998A (ja) 2006-07-26 2008-02-14 Kirihara Sangyo:Kk 自動ヴァイオリ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06B1 (ko) * 2017-07-17 2018-07-13 김진구 음원 재생 기능을 구비한 현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verholt et al. Advancements in actuated musical instruments
CN107424593B (zh) 一种区域划动触控式曲面立体扬声器阵列的数码乐器
EP2946479A1 (en) Synthesizer with bi-directional transmission
TW201737239A (zh) 具有智慧介面的樂器
US10418012B2 (en)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8146876A (ja) 電子楽器、発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92933B2 (ja) 制御装置、合成歌唱音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KR101389500B1 (ko) 악기형 스피커
US10805475B2 (en)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device,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program and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US11508342B2 (en) Shoulder rest with haptic feedback
Michalakos The augmented drum kit: an intuitive approach to live electronic percussion performance
CN101777342A (zh) 电子键盘乐器
CN106981279B (zh) 一种钢琴琴音补偿方法及系统
JP6582517B2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upone et al. Research at Rome's Centro Ricerche Musicali on Interactive and Adaptive Installations and on Augmented Instruments
KR102597777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JP7440727B2 (ja) リズム把握支援システム
Martin Creating mobile computer music for percussionists: Snow Music
JP2010231248A (ja) 電子楽器
KR101063941B1 (ko) 악기연주 설정 동기화를 위한 음악 장비 시스템 및 동기화된 악기연주 설정을 유지하는 디지털 악기
CN104424934A (zh) 乐器型扬声器
JP2008191691A (ja) 電子鍵盤楽器
RU2573369C1 (ru) Пиано-гитара
JP2020178324A (ja) 弦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