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09Y1 -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 Google Patents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09Y1
KR200411709Y1 KR2020050035475U KR20050035475U KR200411709Y1 KR 200411709 Y1 KR200411709 Y1 KR 200411709Y1 KR 2020050035475 U KR2020050035475 U KR 2020050035475U KR 20050035475 U KR20050035475 U KR 20050035475U KR 200411709 Y1 KR200411709 Y1 KR 200411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vibrator
string instrument
acoustic
vibr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주)사운드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운드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사운드스케이프
Priority to KR2020050035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43Continuous modulation
    • G10H1/045Continuous modulation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진동시키는 음향 진동자;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아도 음향 진동자에 의해 현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고, 직접 연주도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음향을 송출하는 스피커 기능이 가능하다.
현악기, 음향 진동자, 진동, 스피커

Description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Stringed instrument having sound vibra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앞판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현악기에 사용되는 음향 진동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브리지에 설치된 현악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브리지를 대신해 구비된 현악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몸체 20a : 앞판
20b : 뒷판 20c : 옆판
21 : 브리지 24 : 홀
30 : 음향 진동자 40 : 앰프
50 : 고정나사
100, 200, 300, 400 :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본 고안은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진동자를 통해 현악기 및 다양한 음색을 구현하고, 스피커 역할을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나뉘는데, 주로 고출력 또는 높은 음향효과를 위한 외장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는 사각형상의 케이스에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단순히 음향만을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최근에 다양하고 개성적인 디자인을 찾는 현대인의 취향을 고려하면 미려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현악기가 스피커 기능을 갖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음향 진동자의 진동과 공명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구현하고, 현악기의 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미려함을 가지며 스피커 대체용으로 사용가능한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진동시키는 음향 진동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향 진동자는 상기 현악기의 앞판 후면 또는 뒷판 전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음향 진동자는 상기 현악기의 브리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음향 진동자와 상기 브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음향 진동자는 고정나사가 구비된 진동 케이스에 설치되어 브리지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앰프는 상기 몸체 또는 몸체 외부에 설치되어 오디오 신호 제공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하여 상기 음향 진동자에 인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현악기의 종류 중 바이올린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앞판 단면도이며, 도 3는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현악기(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20), 및 몸체(20)에 접촉되어 진동되는 음향 진동자(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20)는 홀(hole)(24)이 형성된 앞판(20a), 뒷판(20b), 앞판(20a)과 뒷판(20b)을 연결하는 옆판(20c), 및 몸체(20)내에 발생하는 음을 흡음할 수 있는 흡음재(25a)(25b)(25c)를 구비한다.
상기 앞판(2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4)이 형성되고, 앞판(20a) 전면 에는 브리지(21)가 설치된다.
상기 홀(24)은 'f'자 형상으로 음향을 외부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리지(21)는 현의 받침 역할을 하며, 현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브리지(21)를 통해 앞판으로 전달되어 몸체를 진동시킨다.
상기 뒷판(20b)은 앞판(20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옆판(20c)을 통해 앞판(20a)과 연결된다. 이때, 음향 진동자(30)는 앞판(20a) 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향 진동자(30)는 앞판(20a)의 전면, 뒷판(20b)의 후면, 옆판(20c)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와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옆판(20c)에 의해 연결되는 앞판(20a)과 뒷판(20b)은 밀착되어 밀폐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음향 진동자(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앞판(20a)을 통해 몸체(20)에 전달되어 진동과 공명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과 공명은 흡음재(25a)(25b)(25c)에 의해 차단·조절되어 음향이 몸체(20)와 홀(24)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기본적인 것으로 앞판(20a), 뒷판(20b), 및 옆판(20c) 중 어느 곳에서 음향 진동자(30)에 의해 진동이 발생 되더라도 몸체(20) 자체가 진동되어 음향이 발생된다.
상기 흡음재(25a)(25b)(25c)는 상기 몸체 내부에 부착되어 음향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진동과 공명을 차단·조절한다. 흡음재(25a)(25b)(25c)는 몸체(20) 내부 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나, 몸체(20) 하단부, 중심부 및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 진동자(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향 진동자(30)는 직류자속의 공급을 위한 마그네트(31)와, 직류자속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마그네트(31) 위에 접착되는 플레이트(32)와, 이 플레이트(32)를 중심으로 교류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상하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33)과, 이들 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 역할을 하는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 내에 형성된 공극(35)에 수용되는 보이스 코일(33)을 프레임(34)과 접속시키며, 상하진동에 대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36) 및 보이스 코일(33)을 보호하는 한편, 상하진동을 직접적으로 몸체(20)에 전달하는 링(3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 코일(33)에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어 교류 회전자계가 발생하면, 이 교류 회전자계와 마그네트(31)로부터 공급되어 플레이트(32)로 집중되는 직류자속의 상호작용으로 보이스 코일(33)과 링(37)이 일체로 진동하여 이에 따른 음향 진동파가 현악기의 몸체(20)에 가해져서 결과적으로는 몸체(20) 자체의 진동에 의해 소리(음파)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현악기(100)는 앰프(40)를 구비한다. 상기 앰프(40)는 몸체(20) 내부에 오디오 신호를 음향 진동자(30)에 인가시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앰프(40)는 후술할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현악기(2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20)와, 몸체(20)에 접촉되어 진동되는 음향 진동자(30), 및 앰프(40)를 구비한다. 이때, 도 5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의 몸체(20)와, 음향 진동자(30), 및 앰프(40)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즉, 상기 현악기(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몸체(20)를 가진다. 또한, 음향 진동자(3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며, 다만 음향 진동자(30)가 몸체(20)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진동자(30)는 뒷판(20b)의 전면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진동자(30)는 앞판(20a) 또는 옆판(20c) 및 몸체(20) 외부에 설치되며, 설치위치와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브리지에 설치된 현악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현악기(3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20)와, 몸체(20)에 접촉되어 진동되는 음향 진동자(30), 및 앰프(40)를 구비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의 몸체(20)와, 음향 진동자(30), 및 앰프(40)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현악기(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몸체(20)를 가진다. 또한, 음향 진동자(3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며, 다만 음향 진동자(30)가 몸체(20)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위치 및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300)는 진동의 전달이 가능한 고정나사(50)가 설치된 진동 케이스(5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진동 케이스(52)는 음향 진동자(30)가 진동 케이스(52)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케이스(52) 외부에는 진동의 전달과 진동 케이스(52)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50)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 케이스(52)와 진동 케이스(52) 하단에 설치된 고정나사(50)는 앞판(20a) 전면에 설치된 브리지(21)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리지(21)의 상단부에 고정나사(5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3)이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나사(50)와 결합공(23)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주자가 현악기를 연주하여 현악기에 지속적으로 진동을 가할 경우 현악기의 음색이 좋아진다는 점을 착안하여 고정나사(50)를 이용하여 연주자 대신 현악기에 지속적인 진동을 주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음향 진동자(30)를 몸체(20)에 부착할 때, 고가인 현악기가 흠집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나사(50)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84는 음향 진동자(30)에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브리지를 대신해 구비된 현악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현악기(4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 (20)와, 몸체(20)에 접촉되어 진동되는 음향 진동자(30), 및 앰프(40)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현악기(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몸체(20)를 가진다. 또한, 음향 진동자(3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며, 다만 음향 진동자(30)가 몸체(20)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브리지(21) 대신 진동의 전달이 가능한 진동 브리지(22)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 브리지(22)는 음향 진동자(30)가 진동 브리지(22)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브리지(22)는 브리지(21) 대신 그 위치에 부착되어 브리지(21)의 역할과 음향 진동을 몸체(20)를 통해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브리지(21)와 음향 진동자(30)가 일체형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100)(200)(300)(400)는 오디오 신호 제공부(8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입력부(82)와, 음향 진동자(30), 및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음향 진동자(30)에 인가하는 앰프(40)를 구비한다. 이때, 오디오 신호 제공부(80)는 예를들어, 컴퓨터, 오디오 시스템, 또는 기타 음향 관련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제공부(80)는 음원으로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유선 및 무선을 선택 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은 오디오 신호 제공부(80)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 입력부(82)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반면에, 무선은 오디오 신호 제공부(80)에 출력모듈이 구비되고, 오디오 신호 입력부(82)에 수신모듈이 구비되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제공부(80)에서 오디오 신호 입력부(82)를 통하여 음향 진동자(30)로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미약하기 때문에 앰프(40)를 통하여 소정의 전력레벨로 증폭되어 음향 진동자(30)에 인가된다.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현악기의 몸체(20)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음량 조절 다이얼(42)에 의해 전력레벨이 조정된 후 음향 진동자(3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악기(100)(200)(300)(400)의 주요부분인 앞판(20a)과 뒷판(20b) 및 옆판(20c)에 음향 진동자(30)를 설치한다. 음향 진동자(30)는 진동 케이스(52)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제공부(80)가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면, 이 신호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82)를 통하여 앰프(40)에 의해 증폭 처리된 후, 몸체(20)에 설치된 음향 진동자(30)에 인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음량 조절 다이얼(42)로 조절되어 음향 진동자(30)에 인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향 진동자(30)의 보이스 코일(33)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마그네트(31)에 대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33)과 링(37) 및 몸 체(20)가 일체로 진동하여 음파가 발생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음향 진동자(30)의 링(37) 부분이 몸체(20)에 부착되므로 상기 링(37)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음향 진동파는 직접적으로 몸체(20)에 전달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몸체(20) 자체가 진동함으로써 소리(음향)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사용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아도 현악기의 원 음색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둘째, 현악기 자체가 스피커 역할을 하고, 음향을 제공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의 장식품으로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셋째, 현악기 자체는 스피커 역할뿐만 아니라 현악기 자체로서의 연주가 가능하다.
넷째, 진동 케이스를 사용하여 현악기의 음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진동시키는 음향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자는 상기 현악기의 앞판 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자는 상기 현악기의 뒷판 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자는 상기 현악기의 브리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자와 상기 브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자는 고정나사가 구비된 진동 케이스에 설치되어 브리지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몸체 외부에 설치되어 오디오 신호 제공부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향 진동자에 인가하는 앰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KR2020050035475U 2005-12-16 2005-12-16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KR200411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75U KR200411709Y1 (ko) 2005-12-16 2005-12-16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75U KR200411709Y1 (ko) 2005-12-16 2005-12-16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09Y1 true KR200411709Y1 (ko) 2006-03-20

Family

ID=417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475U KR200411709Y1 (ko) 2005-12-16 2005-12-16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00B1 (ko) 2012-11-20 2014-04-29 주식회사 필룩스 악기형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00B1 (ko) 2012-11-20 2014-04-29 주식회사 필룩스 악기형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540A (en)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7282633B1 (en) Sound au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rum
US91115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JP6550526B2 (ja) 電気弦楽器
US9012758B2 (en) Acoustical transmission line chamb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EP3550851B1 (en) Acoustic apparatus
US20070084335A1 (en) Musical instrument with bone conduction monitor
US9424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JP2008292739A (ja) 響板付き鍵盤楽器
WO2001091103A3 (de) Instrument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klängen
US2018027708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US20020114481A1 (en) Speaker apparatus
US9704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JP3513511B1 (ja) 弦楽器
KR200411709Y1 (ko)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US10540951B2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JP3788382B2 (ja) 弦楽器
US20160140946A1 (en) Guitar Feedback Device and Method
JP4776465B2 (ja) 自動ヴァイオリン
KR101335501B1 (ko) 현악기용 전기 브리지
CN215680095U (zh) 一种用于音乐演奏的能源海螺
KR200431968Y1 (ko) 음향진동장치, 이를 구비한 키보드 및 음향 진동자가구비된 키보드
KR102277583B1 (ko)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CN217280015U (zh) 电木吉他
RU2282316C1 (ru)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и резонанс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