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18Y1 -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 Google Patents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18Y1
KR200269518Y1 KR2020010039612U KR20010039612U KR200269518Y1 KR 200269518 Y1 KR200269518 Y1 KR 200269518Y1 KR 2020010039612 U KR2020010039612 U KR 2020010039612U KR 20010039612 U KR20010039612 U KR 20010039612U KR 200269518 Y1 KR200269518 Y1 KR 200269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string
air
win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중
Original Assignee
김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중 filed Critical 김성중
Priority to KR2020010039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18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악기와 현악기를 하나의 악기로 일체로 제작하여 다양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가 주입되는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하도록 통공되어 있는 공기유도관과, 상기 공기유도관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의 고저를 조절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공기유도관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일단부가 고정되는 현을 따라 형성된 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조절부; 그리고, 상기 공기유도관이 통공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일측 하방으로 진동된 소리가 배출되는 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현의 타단부를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길이조절부를 가지며, 주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부 또는 상기 현의 조작에 따라 공간내에서 음의 진동상태가 달라지게 되는 몸통부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An improved musical instrument having multiple characteristics of wind and stringed instrument}
본 고안은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가 제공하는 음을 발생시킴은 물론 관악기의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를 일체로 제작하여 한 악기를 현악기로는 물론 관악기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에 관한 것이다.
악기는 인간의 감정을 소리로 표현하는 도구이며, 아름다운 소리를 통해 우리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상기 악기로는 건반악기,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이 있으며, 그 중 관악기는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관으로 된 악기로, 피리, 트럼펫, 클라리넷, 색소폰, 오보에 등이 있으며,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로 구별된다. 현악기는 가야금, 거문고,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따위와 같이 줄을 타거나 켜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이들 악기들은 각각에 따라 고유의 특성이 있는 음색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적으로 혹은 다른 악기와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화음을 내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악기들은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개체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악기에는 한 명의 연주자가 배정되어 전문적인 연주가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악기로는 한 가지의 음색을 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와는 달리 전자키보드가등장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하나의 악기로 피아노, 트럼펫, 색소폰 등의 음을 미디(MIDI) 형태로 가공하여 여러가지 악기에서 낼 수 있는 음색을 내기도 하지만, 상기 전자키보드는 일정 공간의 장소에 설치한 후 연주하는 악기이다. 즉, 이동성은 용이하지만 전기시설 및 일정 면적을 갖는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등 몸에 지닌체 휴대한 상태에서 연주하기는 어려운 악기이다. 그리고, 한 연주자가 여러가지 악기를 연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악기를 하나 하나 번갈아 가면서 연주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악기와 현악기를 일체로 제작하여 하나의 악기로 두 가지의 음을 자유롭게 낼 수 있도록 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악기와 현악기가 일체로 제작된 악기에서 음을 진동시키는 몸통을 민족 고유의 정서를 반영시키는 전통적인 소재로 구성하여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악기와 현악기가 일체화 된 악기에 연주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조의 벨트와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연주자가 악기를 착용한 후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악기가 기립상태로 자동 복원되게 하여 연주자가 연주외에 다른 동작 연출이 자유롭도록 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악기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몸통부에서의 음의 진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고정부의 변형 가능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악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악기 10 : 마우스피스부
12 : 주입구 20: 음조절부
21 : 현 22 : 지판(Finger Board)
23 : 프렛(Fret) 26 : 관
27 : 피스톤 30 : 몸통부
31, 32 : 몸통 34 : 길이조절부
37 : 인입구 40 : 바디체결부
42 : 벨트 43 : 회전축
44 : 지지구 45a, 46a, 47a :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는, 공기가 주입되는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하도록 통공되어 있는 공기유도관과, 상기 공기유도관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의 고저를 조절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공기유도관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일단부가 고정되는 현을 따라 형성된 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조절부; 그리고, 상기 공기유도관이 통공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일측 하방으로 진동된 소리가 배출되는 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현의 타단부를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길이조절부를 가지며, 주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부 또는 상기 현의 조작에 따라 공간내에서 음의 진동상태가 달라지게 되는 몸통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는, 상기 악기의 회전 및 소정 간격의 좌우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악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벨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에 연장되어서 악기의 회전 및 좌우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구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환형구를 두르며 일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환형구 및 제 1 스프링을 두르며 상기 제 1 스프링이 감기는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 2 스프링을 둘러싸며, 상기 제 2 스프링이 감기는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3 스프링; 그리고, 상기 환형구와상기 스프링들을 감싸고 있는 고정박스로 구성되는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몸통부에 연장되어서 악기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단부와 상기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두 개의 환형구와, 상기 환형구들 사이의 고정축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의 회전 및 좌우운동을 보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 1 울림구멍을 갖는 제 1 몸통부와, 상기 제 1 울림구멍과 마주 보는 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 2 울림구멍을 가지고, 상기 현을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몸통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 2 몸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몸통부 및 제 2 몸통부는 민족적인 정서를 반영시킬 수 있는 박을 소재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외측에서 표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색소폰과 같이 부는 기능의 악기와 기타 처럼 손으로 치거나 튕기는 악기 기능을 하나의 악기로 축소 압축 제작하여 하나의 악기에서 필요에 따라 색소폰 기능과 기타 기능의 연주를 자유로이 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연주자가 노래와 춤과 두 기능의 악기 연주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병행하여 연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착용벨트를 설치하여 허리에 착용하고 악기 연결 부위에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손으로 악기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연주자의 얼굴쪽으로 악기가 오뚜기 처럼 일어서며 자동 복원되게 하여 가무나 움직임상에 해학적이고 익살스런 연출기능을 유도할 수 있는 두 가지 연주기능을 가진 악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 기재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악기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악기(1)는, 먼저, 연주자가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마우스피스부(10)와, 복수개의 현(21)이 연결되어 있고 현악기로서 현의 종류에 따른 음색과 눌린 위치에 따라 음높이가 달라지게 되며 상기 마우스피스부(10)에 연통되는 관(26)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관(26)에는 음량 조절을 위한 피스톤(27)들이 구비되어 있는 음조절부(20)와, 현(21)의 떨림과 관악기의 연주에 의한 음의 진동이 일어나는 몸통부(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마우스피스부(10), 음조절부(20), 몸통부(30)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악기(1)에는 휴대가 용이하고, 연주와 더불어 율동을 보여줄 수 있도록 악기를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바디체결부(40)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부(10)는 연주자가 부는 위치에 관계없이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조절부(20)는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연주자의 연주에 의해 현(21)에서 발생하는 음을 발생시키는 기능과, 관악기 즉 관(26)에 연결된 피스톤(27)들을 조절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현(21)에서 발생되는 음의 조절은 서로 다른 종류의 현을 조작할 때 발생되는 음과, 동일 현이라고 할지라도 누르는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음이 다르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예에서는 네 개의 현이 구비된 현악기를 예로 들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음조절부(20)에는 다수의 프렛(Fret, 23)들과 이들 프렛(23) 사이에 형성된 지판(Finger Board, 22)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마우스피스부(10)의 주입구(12)를 통해 불어진 공기에 의해 관(26)에서 발생되는 음의 조절은, 상기 프렛(23)과 지판(22)들의 배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피스톤(27)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입구(12)를 통해 공기가 불려지면서 관(26)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피스톤(27)들의 조작에 의해 공급된 공기의 유로가 넓어지고 좁아지고를 반복하면서 서로 다른 음이 발생되고 이로써 일정한 곡조의 연주가 가능한 것이다.
몸통부(30)는 소리울림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현(21)은 물론 관(26)을 통해 발생된 음이 상기 공간에서 울림이 발생되고, 이 울림에 의해 음이 외부로 전파된다. 즉, 음조절부(20)에 연결되어 있는 현(21)은 인입구(37)를 통해 몸통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그에 따라 현(21)은 몸통부(30) 내측에서 음의 울림이 발생된다. 또한, 관(26)의 단부는 몸통부(30)의 내측 통공(36)에서 종료되므로 현(21)의 울림과 같이 몸통부(30)의 내측에서 음의 울림이 발생된다. 몸통부(30)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우리 민족고유의 정서를 반영하는 식물의 열매인 박을 가공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박속을 제거한 후 건조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구현된 몸통부(30)에서 발생되는 음은 전통적인 소리에 가까운 음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박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나무를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소리울림 효과를 얻거나, 플라스틱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소리울림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때 현(21)은 몸통부(3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으나, 몸통부(30)의 윗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현악기의 구조와 같이 현의 위치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몸통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몸통(31, 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몸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이 동일한 용적을 갖는 크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의 용적을 갖도록 제작하여 저음과 고음의 울림이 발생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몸통(31, 32)의 배열도 현(21)의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현(21) 및 상기 몸통(31, 32)과 직각인 방향으로 또 다른 몸통들을 더 설치하여 네 개의 몸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몸통을 하나로만 형성하여 악기에 적용시킬 수 있음도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몸통부(30)를 두 개로 제작하여 개방부가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 경우, 새로운 음운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몸통들(31, 32)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데, 음의 울림과 고음화, 음의 교환파장에 의한 여운을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원형구 형태를 갖는 몸통(31, 32)들에 의해초기에 발생된 음이 일부는 밖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맞은편 울림통 속으로 다시 들어가 새로 생성된 음과 혼합되어 새로운 음운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때 몸통이 두 개, 즉 제 1 몸통(31)과 제 2 몸통(32)으로 구성되는 경우, 추가되는 몸통, 즉 제 2 몸통(3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몸통의 개구부(31a)와 대응되는 부분에 마주 보도록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현(21)을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음의 울림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34)에 인접한 제 2 몸통(32)의 하측에는 악기(1)가 직립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지고, 회전가능한 구조의 바디체결부(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체결부(40)는 상기 몸통부(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악기가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됨은 물론 소정 간격의 좌우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 결합되어 연주자의 몸을 둘러 고정시키는 벨트(42)로 이루어진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41)는 회전축(43)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지지구(44)와, 일단부는 회전축(43)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구(44)를 두르고 있는 다수의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원스프링은 지지구(44)를 두르면서 일 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1 스프링(45a)과, 상기 지지구(44) 및 제 1 스프링(45a)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 1 스프링(45a)이 감기는 반대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2 스프링(46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프링(46a)을 포함하면서 제 2 스프링(46a)의 반대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3 스프링(47a)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스프링들(45a,46a, 47a)은 모두 상기 회전축(4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43)에 소정 간격 이격된 하단 고정부(41)의 고정점(45b, 46b, 47b)에 고정되어 있으며, 구형의 지지구(44)를 두르게 되므로 그 형상 또한 구형을 이루어게 된다. 이로써 악기(1)가 외력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외력이 해제되면 기립상태로 자동복원되는 것이며, 일정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악기가 기립상태로 자동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도 4b에 제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몸통(32)의 하단에는 회전축(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회전축(43)은 위치고정을 위한 두 개의 환형구(48, 49)가 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43)의 두 개의 환형구(48, 49) 사이에는 두 개의 판스프링(50, 51)이 끼워진체 일단이 고정되는데, 악기(1)가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질 때 탄성을 가진 상태에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회전축(43)의 환형구(48, 49) 사이를 판스프링(50, 51)의 접촉편(50a, 51a)들이 탄력적으로 밀착된 것으로 충분히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악기가 회전축(4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에도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고정부(41) 내에서의 결합상태가 보장된다.
이와 같이 바디체결부(40)를 구성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사용 상태의 예와 같이, 연주자는 벨트(42)를 맨 상태에서 악기(1)를 연주할 수 있으며, 연주와 병행하여 적절한 율동을 취할 수 있고, 하나의 악기만이 아니라 관악기와 현악기 등 두 가지의 악기를 번갈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주자는 악기 연주는 물론 해학적인 율동을 연출하여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연주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악기의 마우스피스부(10)에 별도의 무선 마이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부(10)의 일측에 주입구(12)의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무선 마이크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마이크의 삽입 및 분리가 자유롭도록 형성한다. 상기 무선 마이크를 통해 연주와 동시에 노래를 부를 수 있으므로 더 큰 규모의 마이크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연주와 노래가 가능한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예에서는 단순한 현악기 및 관악기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전자기타와 같이 악기에서 음이 발생되는 부분에 현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관악기의 순수한 연주음과 함께 현악기에 의한 전자음이 발생되어 더 용이한 연주효과 및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전자음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통상의 전자기타의 구성과 같이, 현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과, 음역에 따른 크기를 조절하는 수단과, 음을 구현하기 위한 증폭수단들이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관악기에도 감지수단을 관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감지된 음을 전자음으로 변환한 후 전자기타와 같은 방식으로 음을 가공하여 전자음으로 표현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관악기와 현악기를 일체로 제작하여 하나의 악기로 두 가지의 음을 번갈아가며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악기를 구성하는 몸통을 전통적인 소재로 구성함은 물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음이 전통적인 소리를 내게 되므로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은 물론 국민정서 함양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주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조의 벨트와 복원스프링이 관악기와 현악기를 일체로 제작한 악기에 설치되어 연주자가 악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으로 악기를 잡지 않고도 악기가 자동 복원됨으로써 연주자가 악기 연주외의 동작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기가 주입되는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통하도록 통공되어 있는 공기유도관과, 상기 공기유도관에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의 고저를 조절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공기유도관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일단부가 고정되는 현을 따라 형성된 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조절부; 그리고,
    상기 공기유도관이 통공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일측 하방으로 진동된 소리가 배출되는 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현의 타단부를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길이조절부를 가지며, 주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부 또는 상기 현의 조작에 따라 공간내에서 음의 진동상태가 달라지게 되는 몸통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는,
    상기 악기의 회전 및 소정 간격의 좌우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악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벨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에 연장되어서 악기의 회전 및 좌우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구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환형구를 두르며 일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환형구 및 제 1 스프링을 두르며 상기 제 1 스프링이 감기는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 2 스프링을 둘러싸며, 상기 제 2 스프링이 감기는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제 3 스프링; 그리고,
    상기 환형구와 상기 스프링들을 감싸고 있는 고정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에 연장되어서 악기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축의 단부와 상기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두 개의 환형구와,
    상기 환형구들 사이의 고정축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의 회전 및 좌우운동을 보장하며,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 1 울림구멍을 갖는 제 1 몸통부와,
    상기 제 1 울림구멍과 마주 보는 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 2 울림구멍을 가지고, 상기 현을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몸통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 2 몸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은,
    상기 몸통부의 외측에서 표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KR2020010039612U 2001-12-21 2001-12-21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KR200269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12U KR200269518Y1 (ko) 2001-12-21 2001-12-21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612U KR200269518Y1 (ko) 2001-12-21 2001-12-21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18Y1 true KR200269518Y1 (ko) 2002-03-22

Family

ID=7311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612U KR200269518Y1 (ko) 2001-12-21 2001-12-21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664B1 (ko) * 2012-09-25 2014-07-14 이상희 휴대가 용이하며 광원이 구비된 전자첼로
CN109243410B (zh) * 2018-08-31 2023-09-05 湖南师范大学 一种多功能乐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664B1 (ko) * 2012-09-25 2014-07-14 이상희 휴대가 용이하며 광원이 구비된 전자첼로
CN109243410B (zh) * 2018-08-31 2023-09-05 湖南师范大学 一种多功能乐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6632B2 (e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frame body and percussion unit
US8669458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keyboard
US7579532B2 (en) String musical instrument
US20030154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KR20050040119A (ko) 교환 가능한 구성부를 가지는 악기
US6777608B1 (en) Integrated sound trigger musical instruments
US6649818B2 (en) Multiple neck, integral body musical instrument
KR200269518Y1 (ko)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KR102341491B1 (ko) 교육용 현악기
US7825311B1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US615696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ombination
US7075001B2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KR100290552B1 (ko) 연습용 현악기
US529893A (en) Island
KR102501956B1 (ko)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KR102597777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US5578774A (en) Body for a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adapted to produce banjo tones
US555651A (en) Musical instrument
RU2140102C1 (ru) Электронн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кубыз (варган)
CN2929893Y (zh) 单指和弦琴
US4305322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SU861943A1 (ru) Струнный щипковый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Knehans Unfinished Earth
KR20220037158A (ko) 막명 조음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막명 이중관 악기
Campbell et al. Viols and other historic bowed string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