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56B1 -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 Google Patents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956B1
KR102501956B1 KR1020210053274A KR20210053274A KR102501956B1 KR 102501956 B1 KR102501956 B1 KR 102501956B1 KR 1020210053274 A KR1020210053274 A KR 1020210053274A KR 20210053274 A KR20210053274 A KR 20210053274A KR 102501956 B1 KR102501956 B1 KR 10250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s
string
holes
w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245A (ko
Inventor
김도연
박연서
Original Assignee
김도연
박연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박연서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21005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56B1/ko
Priority to PCT/KR2022/005572 priority patent/WO2022225289A1/ko
Priority to CN202290000229.3U priority patent/CN221040502U/zh
Publication of KR2022014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온음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과 반음부(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31)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가 구분되어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내에 온음부(20)와 반음부(30)가 서로 간섭없이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몸체부(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중심 현을 기준으로 다음 음계가 좌측과 우측에 순차적으로 교차 배치되어 인접한 세 개의 음계가 화음코드를 구성하여 화음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STRING INSTRUMENT FOR EASY PLAYING OF WHOLE TONE AND SEMITONES}
본 발명은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온음부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과 반음부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내에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가 구분되어 온음부와 반음부가 서로 간섭없이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몸체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현을 기준으로 다음 음계가 좌측과 우측에 교번하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세 개의 음계가 화음코드를 구성하여 화음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고 운지를 통해 줄의 길이를 달리하여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연주로서 대표적으로 기타, 우크렐레, 베이스기타, 일렉기타,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하프, 라이버하프, 비올라, 첼로, 바이올린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현악기는 여가 및 취미생활로 악기를 배우는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기존의 현악기 중에서 기타, 우크렐레, 비올라, 첼로, 바이올린은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음계 배열이 구성되고, 코드를 짚어 운지를 통해 음계를 연주할 수 있으며, 화음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암기하고 많은 연습을 통해 악기 연주법을 습득해야 한다.
특히, 해당 코드를 숙지하고 화음코드 구현을 위한 정확한 위치를 눌러주어야 하며 여기서 화음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1 내지 6개의 현을 운지해주어야 하므로 초보 연주자가 취미로 입문한 경우에 습득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기존의 하프, 라이어 하프의 경우에는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음계 배열이 구성되는데, 코드를 잡지 않고 정해진 음계의 현을 튕겨서 연주해야 하므로 정확한 현의 위치를 숙지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 양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연주해야 하며, 화음, 반주 등을 섞어 연주할 시에는 동시에 연주하기 위해 정확한 현의 위치를 숙지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현악기는 대체적으로 크고 무거운 몸체로 구성되어 이동에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0552호(2001.03.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하고, 온음부 및 반음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는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온음부 및 반음부를 구성하여 일측은 온음부 연주를 위한 공간으로 타측은 반음부 연주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하여 작은 면적 내에서 온음부와 반음부가 서로 방해받지 않고 연주가 가능한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부의 중간지점에서 다수의 현 중 어느 하나의 현을 기준으로 다음 음계가 그 현의 좌측과 우측에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화음코드에 대한 음계가 서로 인접하고 구성되어 화음연주와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는, 상측에 일측과 타측으로 배열된 다수의 현을 통해 연주가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구비한 현악기로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온음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으로 구성되는 온음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온음계 구성음의 사이에 위치하는 반음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이 상기 다수의 제1현과 높이가 교차 되도록 설치되는 반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음부가 반음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온음연주부와, 상기 반음부가 온음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반음연주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음부는, 인접한 현을 통해 세 개의 음으로 구성된 다이어토닉 코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보의 중앙에 위치한 기준이 되는 현을 중심으로 다음 음을 이루는 현이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순차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제1현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1-1공 및 제1-2공과, 상기 다수의 제2현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2-1공 및 제2-2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현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1-1공에 각각 설치된 제1조율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1-2공에 각각 삽입된 제1고정구에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제2현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2-1공에 각각 삽입된 제2고정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2-2공에 각각 설치된 제2조율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음부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현의 간격은 7 내지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제1-2공 및 상기 다수의 제2-1공은 각각 호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온음부에서 가장 짧게 형성되어 최고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이 장착된 제1-1공과 제1-2공 사이의 거리는 0.55y 내지 0.75y이고, 상기 온음부에서 가장 길게 형성되어 최저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이 장착된 제1-1공과 제1-2공 사이의 거리는 0.8y 내지 0.97y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몸체부에 온음부와 반음부를 포함하여 휴대성이 용이하면서 음역폭이 넓게 구성되어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온음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과 반음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이 몸체부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높이 방향으로 교차 설치되어 일측은 온음 연주를 위한 공간으로 타측은 반음 연주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가 구분되어 서로 간섭없이 연주할 수 있으면서 몸체부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중심지점에서 어느 하나의 현을 기준으로 다음 음계가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인접하는 음계들이 화음코드를 구성하여 화음 연주가 용이하고 초보자가 쉽고 빠르게 코드 연주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에서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의 현의 배치 구조를 이용한 화음코드 사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에서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의 현의 배치 구조를 이용한 화음코드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을 이용하여 음의 파장을 더욱 길게 구현할 수 있고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 내에서 온음과 반음을 별도의 운지없이 연주할 수 있어 폭넓은 연주가 가능하고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몸체부(10)와, 온음부(20)와, 반음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상측에 일측과 타측으로 배열된 다수의 현을 사용자가 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튕김으로써 연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설치된 다수의 현은, 후술되는 구성인 다수의 제1현(21)과 다수의 제2현(31)이다.
그리고 상기 온음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온음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음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서 폭방향으로 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로 배열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텐션을 조절하여 온음계을 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1현(21)은 서로 동일한 설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음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온음계의 구성음 사이에 위치하는 반음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31)이 상기 온음부(20)의 제1현(21)과 높이가 교차 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반음부(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31)은 상기 몸체부(10)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음부(20)와 상기 반음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높이가 서로 X자로 교차 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몸체부(10)에서 일측은 온음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이 더 높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0)에서 타측은 상기 다수의 제1현(21)보다 반음부(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31)이 더 높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서 다수의 제1현(21)이 다수의 제2현(31)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다수의 제1현(21)을 튕겨 연주할 수 있는 온음연주부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서 다수의 제2현(31)이 다수의 제1현(21)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다수의 제2현(31)을 튕겨 연주할 수 있는 반음연주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현(21)과 다수의 제2현(31)의 높이가 서로 교차되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온음을 위한 온음연주부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반음을 위한 반음연주부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몸체부(10)에서 현의 공간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온음과 반음을 구분하여 연주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다수의 제1현(21)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1-1공(11a) 및 제1-2공(11b)과, 상기 다수의 제2현(31)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2-1공(12b) 및 제2-2공(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1-1공(11a)에 각각 설치된 제1조율부재(22)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1-2공(11b)에 각각 삽입되는 제1고정구(2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2현(31)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2-1공(12b)에 각각 삽입되는 제2고정구(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2-2공(12a)에 각각 설치된 제2조율부재(3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구(23) 및 상기 제2고정구(33)는 상기 각 제1현(21)의 타단 및 상기 각 제2현(31)의 일단이 삽입되어 감기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상기 제2조율부재(32)는 상기 제1현(21)의 일단 및 상기 제2현(31)의 타단이 끼워져 감길 수 있도록 상부에 각 현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조율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의 제1현(21)의 일단 및 상기 다수의 제2현(31)의 타단은 각 삽입공에 삽입되어 권취되는 형태로 다수의 제1조율부재(22) 및 다수의 제2조율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제1현(21) 및 상기 다수의 제2현(31)은 다수의 제1조율부재(22) 및 다수의 제2조율부재(3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1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제2조율부재(32)의 하단에는 나사산(221, 3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에 각각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상기 제2조율부재(32)는 상기 몸체부(10)에서 돌려 현의 굵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상기 제2조율부재(32)는 상기 제1-1공(11a) 및 제2-2공(12a)에 10 내지 15mm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상기 제2조율부재(32)는 상기 몸체부(10)에서 회전시켜 제1현(21) 및 제2현(31)의 텐션을 조절하여 음계를 조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2공(11b) 및 제2-1공(12b)에는, 제1현(21) 및 제2현(31)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몸체부(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현(21) 및 제2현(31)의 통과 가능한 하부핀(4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공(11b) 및 상기 제2-1공(12b)의 하측에는 제1고정구(23) 및 제2고정구(33)가 삽입되고, 상기 제1-2공(11b) 및 상기 제2-1공(12b)의 상측에는 제1고정구(23) 및 제2고정구(33)에 고정된 제1현(21) 및 제2현(31)이 통과하는 하부핀(4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조율부재(22)를 돌려 권취된 제1현(21)의 텐션을 조절하여 음계 조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2현(31)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율부재(32)를 돌려 제2현(31)의 텐션을 조절하여 음계 조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제1현(21)과 상기 다수의 제2현(31)이 각각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면, 상기 제1조율부재(22) 및 상기 제2조율부재(32)를 돌려 텐션 조절만으로 음계를 조절하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상기 다수의 제1현(21) 중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기준이되는 제1현(21)을 중심으로 다음 음을 이루는 제1현(21)이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순차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온음부(20)에서 인접한 세 개의 제1현(21)을 통해 세 개의 음으로 구성된 다이어토닉 코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운지없이 인접한 세 개의 제1현(21)을 연주하면 화음코드를 형성할 수 있어 화음연주가 용이하여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2현(31)도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부(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기준이 되는 어느 제2현(31)을 중심으로 다음 반음을 이루는 제2현(31)이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순차 배열되어 상기 온음부(21)의 구성음 사이에 대응되는 각 반음을 구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온음부(20) 및 상기 반음부(30)의 배치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폭이 150 내지 400mm이고 길이가 210 내지 500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폭이 150 내지 250mm이고 길이가 210 내지 3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는 폭이 180 내지 210mm이고 길이가 230 내지 270mm로 형성되어 A4 용지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연주와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음부(20)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현(21) 사이의 간격은 7 내지 13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현(21) 사이의 간격이 7mm 미만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1현(21)으로 인하여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1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의 폭이 너무 넓어지면서 사용자가 연주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고 몸체부(10)에 설치되는 제1현(21)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연주 가능한 음역대의 폭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거나 몸체부(10)의 폭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상기와 같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현(21) 사이의 간격 범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현(21)이 사용자가 연주하기에 용이하고 서로 인접한 제1현(21)과의 간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제1현(21)과 그 제1현(21)에 인접 배치된 제2현(31) 사이의 간격은 2.5 내지 6.5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현(21) 및 상기 제2현(31)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현을 튕겨도 다른 인접한 현에 간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현(21)과 상기 제2현(31)의 간격이 2.5mm 미만으로 이루어진다면 어느 하나의 현을 튕길 경우 다른 현에 접촉하게 되는 한계가 발생하게 되어 연주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음부(20)를 구성하는 제1현(21)의 개수는, 0.07x 내지 0.1x 사이의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x는 상기 몸체부(10)의 폭(mm)이고 100 내지 400인 실수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현(21)의 개수는, 0.08x 내지 0.09x 사이의 자연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부(10)는 폭이 180 내지 2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온음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이 15 내지 18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6 내지 17개의 온음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2공(11b) 및 상기 다수의 제2-1공(12b)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서 각각 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제1현(21)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제1-1공(11a)과 그 제1-1공(11a)에 대응되는 제1-2공(11b)의 간격(mm)은 0.55y 내지 0.97y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아울러, 각 제2현(31)의 타단 및 일단이 설치되는 각 제2-1공(12b)과 그 제2-1공(12b)에 대응되는 상기 제2-2공(12a)의 간격(mm)은 0.55y 내지 0.97y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이때, 상기 제1-1공(11a) 및 제1-2공(11b)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1공(12b) 및 상기 제2-2공(12a) 사이의 간격이 상기 범위보다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의 구간에 대한 분리가 어렵거나 몸체부(10)가 커지게 되어 휴대가 불편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현(21) 및 상기 다수의 제2현(31) 중에서 상기 몸체부(10)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설치되는 현은 상대적으로 낮은 음을 구현하고 상대적으로 짧게 설치되는 현은 상대적으로 높은 음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 중에서 가장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최고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21)이 장착된 제1-1공(11a)과 제1-2공(11b) 사이의 직선 거리는 0.55y 내지 0.75y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0.60y 내지 0.66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2현(31) 중에서 가장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반음계 구성음 중에서 최고음계를 구성하는 제2현(31)이 장착된 제2-1공(12b)와 제2-2공(12a) 사이의 직선 거리는 0.55y 내지 0.75y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0.60y 내지 0.66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현(21) 중에서 가장 긴 길이로 이루어져 최저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21)이 장착된 제1-1공(11a) 및 제1-2공(11b)의 직선거리와, 상기 다수의 제2현(31) 중에서 가장 긴 길이로 이루어져 반음부 중에서 최저음계를 이루는 제2현(31)이 장착된 제2-1공(12b)과 제2-2공(12a)의 직선 거리는 0.80y 내지 0.97y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0.85y 내지 0.92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여기서 상기 온음부(20) 및 상기 반음부(30)에서 각각 최저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21) 및 제2현(31)이 0.95y를 초과하게 되면 온음연주부 및 반음연주부를 구분하는 구간이 너무 좁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연주가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0.8y 미만으로 구성된다면 몸체부(1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공간 배치의 효율이 저하되어 몸체부(10)가 크고 무겁게 구성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화음코드 임계가 서로 인접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기준 제1현(21)이 "도"로 예시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제1현(21)의 좌측과 우측에는 다음 음계가 번갈아가며 배열되며,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도"의 좌측에 "레", "도"의 우측이 "미", "레"의 좌측에 "파", "미"의 우측이 "솔"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현을 중심으로 다음 음계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도 있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접한 세 개의 제1현(21)은 세 개의 음으로 구성된 다이어토닉 코드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인접한 세 개의 제1현(21)은 C(도미솔), D(레파라), Em(미솔시), F(파라도), G(솔시레), Am(라도미), Bdim(시레파)의 화음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는 상판(13)과 상기 상판(13)의 하측에 형성된 중간판(14), 상기 중간판(14)의 하측에 형성된 하판(15)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간판(14)에는 제1현(21) 또는 제2현(31)을 튕기면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울림이 발생하도록 제1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측판(13)에는 상기 제1통공(141)보다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소리의 울림이 더욱 깊게 구현하도록 상기 제1통공(141)의 상측을 일부 개방하는 제2통공(1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통공(141) 및 상기 제2통공(131)의 형성을 통해 상기 몸체부(10)는 사용자가 제1현(21) 또는 제2현(31)을 튕기면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울림이 발생하도록 내부에 공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0)는 제1통공(141)및 제2통공(131)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통공(141)의 하단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을 책상 등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제1통공(141) 및 상기 제2통공(131)의 하측 개방구를 폐쇄하여 울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의 상측면에는 사용자가 제1현(21)의 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레, 미, 파, 솔, 라, 시에 대해 C, D, E, F, G, A, B로 표시할 수도 있고 1,2,3,4,5,6,7로 표시할 수도 있으고 둘 다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는 화음코드의 음계가 서로 인접하게 구성되어 화음 연주가 가능하고 특히 온음과 반음 연주가 작은 면적 내에서 가능하면서 온음연주부와 반음연주부가 서로 반대편에 구성되어 온음과 반음을 위한 연주 구간이 구분되어 온음과 반음의 연주를 편리하게 하여 초보자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몸체부 11a : 제1-1공
11b : 제1-2공 12a : 제2-2공
12b : 제2-1공 13 : 상판
131 : 제2통공 14 : 중간판
141 : 제1통공 15 : 하판
20 : 온음부 21 : 제1현
22 : 제1조율부재 221 : 나사산
23 : 제1고정구 30 : 반음부
31 : 제2현 32 : 제2조율부재
321 : 나사산 33 : 제2고정구
40 : 하부핀

Claims (5)

  1. 상측에 일측과 타측으로 배열된 다수의 현을 통해 연주가 이루어지는 몸체부(10)를 구비한 현악기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온음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1현(21)으로 구성되는 온음부(20);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온음계 구성음의 사이에 위치하는 반음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현(31)이 상기 다수의 제1현(21)과 높이가 교차 되도록 설치되는 반음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이 상기 다수의 제2현(3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온음연주부와, 상기 다수의 제2현(31)이 상기 다수의 제1현(2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반음연주부로 구분되며,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다수의 제1현(21)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1-1공(11a) 및 제1-2공(11b)과, 상기 다수의 제2현(31)의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는 다수의 제2-1공(12b) 및 제2-2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1-1공(11a)에 각각 설치된 제1조율부재(2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1-2공(11b)에 각각 삽입되는 제1고정구(23)에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제2현(31)은,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2-1공(12b)에 각각 삽입되는 제2고정구(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의 제2-2공(12a)에 각각 설치된 제2조율부재(32)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제1-2공(11b) 및 상기 다수의 제2-1공(12b)은 각각 호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 중에서 가장 짧게 형성되어 최고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21)이 장착된 제1-1공(11a)과 제1-2공(11b) 사이의 거리는 0.55y 내지 0.75y이고,
    상기 다수의 제1현(21) 중에서 가장 길게 형성되어 최저음계를 구성하는 제1현(21)이 장착된 제1-1공(11a)과 제1-2공(11b) 사이의 거리는 0.8y 내지 0.97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여기서 y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mm)이고 100 내지 500인 실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음부(20)는,
    인접한 제1현(21)을 통해 세 개의 음으로 구성된 다이어토닉 코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에 위치한 제1현(21)을 중심으로 다음 음을 이루는 제1현(21)이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순차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음부(20)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현(21) 사이의 간격은 7 내지 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5. 삭제
KR1020210053274A 2021-04-23 2021-04-23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KR10250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74A KR102501956B1 (ko) 2021-04-23 2021-04-23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PCT/KR2022/005572 WO2022225289A1 (ko) 2021-04-23 2022-04-19 온음계 및/또는 반음계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CN202290000229.3U CN221040502U (zh) 2021-04-23 2022-04-19 容易演奏全音阶及/或半音阶的弦乐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74A KR102501956B1 (ko) 2021-04-23 2021-04-23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45A KR20220146245A (ko) 2022-11-01
KR102501956B1 true KR102501956B1 (ko) 2023-02-20

Family

ID=8372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274A KR102501956B1 (ko) 2021-04-23 2021-04-23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01956B1 (ko)
CN (1) CN221040502U (ko)
WO (1) WO20222252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57152Y (zh) * 2005-10-14 2007-01-10 王小录 筝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0371U (zh) * 1992-05-01 1992-10-28 李松麐 十二平均律椭圆瑟(筝)
JP3385518B2 (ja) * 1995-05-19 2003-03-10 二郎 吉川 多弦楽器
KR100290552B1 (ko) 1997-12-17 2001-06-01 조영두 연습용 현악기
US7227067B2 (en) * 2003-10-20 2007-06-05 Ardashes Tarpinian Tarpin, a string musical instrument
CN110890079A (zh) * 2019-11-09 2020-03-17 宋陈亿 一种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57152Y (zh) * 2005-10-14 2007-01-10 王小录 筝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289A1 (ko) 2022-10-27
CN221040502U (zh) 2024-05-28
KR20220146245A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3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playing of stringed instrument
US6723905B2 (en) Split-clip musical instrument
KR101657692B1 (ko) 현악기
US11417299B1 (en) String instrument for educational use
US20070006710A1 (en) Guitar
KR102501956B1 (ko)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US4856403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GB2131592A (en) Arrangements of notes on musical instruments
US6365808B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inged instruments
US7411120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offset structure
US20100326255A1 (en) Chorded zither having adjustable chord bar rack
US4126074A (en) Violin harp
JP3385518B2 (ja) 多弦楽器
KR20230090790A (ko)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US761693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483016B1 (en) Hammered dulcimer
RU2810608C1 (ru) Гусли
CN2929893Y (zh) 单指和弦琴
US4993300A (en) Method of playing a fretted string instrument
KR200269518Y1 (ko)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US9875728B1 (en) Musical key-changing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US555651A (en) Musical instrument
JP6709929B2 (ja) 弦楽器
US20050011335A1 (en) Stringed instruments with no common string size placements
US20050011334A1 (en) Two octave and a perfect fourth open string range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