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790A -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 Google Patents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790A
KR20230090790A KR1020210179855A KR20210179855A KR20230090790A KR 20230090790 A KR20230090790 A KR 20230090790A KR 1020210179855 A KR1020210179855 A KR 1020210179855A KR 20210179855 A KR20210179855 A KR 20210179855A KR 20230090790 A KR20230090790 A KR 2023009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tring
ease
instrument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홍
Original Assignee
김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홍 filed Critical 김민홍
Priority to KR102021017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790A/ko
Publication of KR2023009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헤드부측에 설치된 상현주; 상기 바텀부측에 설치된 하현주; 상기 바디 중 상기 상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 장치, 제 1 조율 장치는 미세조율을 담당함; 상기 바디 중 상기 하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장치, 제 2 조율장치는 조대조율을 담당함;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현주와 상기 하현주에 의해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 및 상기 상현주에서 내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지판부를 형성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스트링과 이격되며, 연주자가 상기 지판부를 운지하면 상기 스트링과 맞닻게 되어서 상기 스트링이 타현될 때 떨림이 발생하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줄여서 원음을 반음 높이는 단일 프렛;을 포함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사용되는 조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STRING INSTRUMENT HAVING EASY TUNING PROPERTY AND TUNN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선율 및 화음 연주가 가능한 현악기에서 조율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기는 인류 역사와 함께해온 오래된 발명품으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음정을 만든다. 그중에서 현은 굵기, 길이 및 장력의 차이를 통해 음의 높이를 조절하기 편리하고 재질에 따라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기에도 적합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다양한 현악기가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현을 해머로 치는 피아노, 손가락이나 피크 등으로 연주하는 기타(우쿨렐레) 및 리라(하프) 그리고 활을 이용하여 발현하는 바이올린 등이 잘 알려진 현악기들이다.
우선 피아노(류)는 건반과 해머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현을 타격하여 소리를 만들어 낸다. 특별히 피아노의 흰건반은 음악의 기준이 되는 자연 장음계(C Major Scale)의 배열을 갖는 것이 큰 장점인 악기이다. 오선악보나 기초음악이 자연 장음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율연주 및 화음연주를 하기 적합한 악기이다. 그러나 조표가 바뀔 시 연주가 매우 어려워지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둘째로 기타(류)는 지판에 12개가 넘는 복수의 프렛을 만들어 하나의 현에서 여러 개의 음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악기이다. 프렛은 현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만드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현의 수를 줄여 간단한 구조와 휴대성을 높였지만, 프렛의 복잡성 때문에 배우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셋째로 리라(류)는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휴대성이 좋은 악기이다. 그러나, 반음계 배열의 리라는 현의 숫자가 많아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온음계 배열은 연주할 수 있는 곡이 한정되어 실제 연주나 교육용에 활용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넷째로 바이올린(류)는 지판을 갖고 있어 하나의 현에서 다양한 음을 만들어 내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지판에 프렛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음을 만들어 내기까지 매우 긴 숙련의 시간을 가져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화음을 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발명자는 특허 출원 2021-0039537 :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를 개발하여 휴대성은 좋으면서 다양한 연주가 가능한 현악기를 개발하였다.
한편, 위의 현악기의 경우 잦은 조율이 필요한데, 위 출원에 따른 현악기의 경우 조율장치의 회전에 따라 스트링이 감기면서 조율이 된다. 이 경우, 잦은 회전으로도 음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조율이 힘들며, 특히 사용자가 초보자인 경우 조율에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2개의 조율 장치를 구비하고, 하나는 미세 조율을 다른 하나는 조대 조율을 담당하게 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는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헤드부측에 설치된 상현주; 상기 바텀부측에 설치된 하현주; 상기 바디 중 상기 상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 장치, 제 1 조율 장치는 미세조율을 담당함; 상기 바디 중 상기 하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장치, 제 2 조율장치는 조대조율을 담당함;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현주와 상기 하현주에 의해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 및 상기 상현주에서 내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지판부를 형성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스트링과 이격되며, 연주자가 상기 지판부를 운지하면 상기 스트링과 맞닻게 되어서 상기 스트링이 타현될 때 떨림이 발생하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줄여서 원음을 반음 높이는 단일 프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중앙에 형성된 사운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각각 자연 장음계에 따라 조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7개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일 프렛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판부에 건반 표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조율장치는, 상호 교대로 설치될 수 있다ㅏ.
여기서, 상기 바디의 헤드부측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바텀부측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동일 스트링이고,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연결길이가 차례로 짧아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굵기가 차례로 가늘어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율 장치는 나사산의 상하이동에 따라 현의 장력이 변동되어 세조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조율 장치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한 나사이고, 상기 현의 일단은 상기 관통 중공부에 끼워지는 고정링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조율 장치에 의해 상기 현이 권취됨에 따라 현의 장력이 변동되어 조대조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조율 장치는 머리상부는 육각홈이 형성되어 육각 스패너에 의해 상기 대조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조율장치는 나사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현의 고정링이 삽입고정되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조율 장치로 대략적인 조율을 마누리하고, 제 1 조율 장치로 정확한 조율을 하게 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조율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측면도.
도 4 내지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중 10 현이 사용된 경우의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중 제 1 조율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중 제 1 조율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의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는 16개의 현을 가지고 있는 것을 예시하며, 도 6의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는 10개의 현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작자의 필요나 연주자의 요구에 따라 현의 갯수는 더 많아질수도 더 적어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는, 바디(10), 상현주(20), 하현주(30), 제 1 조율 장치(40), 제 2 조율 장치(50), 복수의 스트링(60), 그리고 단일 프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구성요소로서, 목재, 합성 목재, 플라스틱재,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바디(10)의 중앙부에는 사운드홀(15)이 형성되어서 발생되는 음을 더욱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바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하며, 폭이 넓은 부분을 헤드(head)부(지판부(80)가 형성된 쪽)(13), 폭이 좁은 부분을 바텀(bottom)부(11)라고 정의한다. 상기 폭은 반대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헤드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바텀부(11)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3)에서는 복수의 제 1 조율 장치(40)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조율 장치(40)는 바디(10)에 형성된 제 1 조율 장치용 홀에 삽입 설치된다. 제 1 조율 장치(40)는 스패너 드라이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 상하 이동에 따라 미세 조율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텀부(11)에는 제 2 조율 장치(50)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율 장치(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여기에 스트링(60)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조율 장치(50)의 상부에는 육각홈(다각홈)이 형성되어서 이에 맞는 스패너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 2 조율 장치(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 2 조율 장치(50)의 회전에 따라 스트링(60)은 권취되고 이에 따라 조대 조율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 1 조율 장치(40)와 제 2 조율 장치(50)의 위치 서로 바뀔 수 있다.
스트링(60)은 바디(10)의 상기 제 1 조율 장치(40)와 상기 제 2 조율 장치(50)를 통해 헤드부(13)와 바텀부(11)에 각각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트링(60)의 각 일단은 바디(10)의 바텀부(11)측에 설치된 제 2 조율 장치(50)에 감겨지게 되고, 스트링(60)의 각 타단은 바디(10)의 헤드부(13)측에 설치된 제 1 조율 장치(40)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스트링(60)은 16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8개, 12개, 또는 24개 등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기본 장음계(도,레,미,파,솔,라 시)를 모두 내기 위해 적어도 7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60)은 금속현 또는 나일론 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트링(60)은 각각 상이한 스트링(6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트링(60)은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60)의 연결길이가 차례로 짧아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60)의 굵기가 가늘어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트링(60)은 라인부(61)와 고정링(62)으로 구성되며 고정링(62)은 상기 제 1 조율 장치(40)의 고정홈에 끼워져서 스트링(60)에 제 1 조율 장치(40)와 체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스트링(60)을 치게 되고 이에 따라 음이 발생된다. 각 스트링(60)의 기준음은 제 1 조율 장치(40) 및 제 2 조율 장치(50)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제 2 조율 장치(50)의 내측에는 하현주(30)이 설치되며, 이 하현주(30)과 후술하는 상현주(20)에 의하여 스트링(60)은 바디(1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된다.
상현주(20)의 내측에는 단일 프렛(70)이 설치된다. 단일 프렛(70)은 평상시에 스트링(60)과 이격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현주(20)과 단일 프렛(70) 사이의 지판부(80)(80:건반표시)를 운지하게 되면, 스트링(60)과 단일프렛(70)이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트링(60)을 치게 되면 떨리는 스트링(60)의 길이가 줄어들어서 기준음보다 반음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된다. 복수의 스트링(60)은 각각 자연 장음계에 따라 조율되어 기준음은 장음계의 소리가 나오게 되고, 사용자가 지판부(80)를 운지하게 되면 단일 프렛(70)에 의해 떨리는 스트링(60)의 길이가 줄면서 반음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프렛(70)은 복수의 스트링(60) 전체에 걸쳐(즉, 바디(10)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프렛(70)은 바디(10)에 일체형으로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판부(80)에는 사용자가 음계를 직관할 수 있는 건반 표시(A, A')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건반 표시(80)를 위한 마크의 형상이 원형(도 4의 A) 또는 피아노 건반형(도 5의 A') 또는 직사각형(도 6의 A") 로 상이할 뿐이다.
건반 표시(A, A', A")를 위한 마크는 장음계중, 도, 레, 파, 솔, 라음을 내는 스트링(60)에 각각 표시되며, 그외에 스트링(60)에는 마크의 표시가 없다. 이와 같이 표시하여 전체적으로 피아노 건반과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게 되며, 각 현의 음이 어떤 음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지를 "피아노의 기초"만 배운 사람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는 달리 10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의 예이다. 각 현의 기준음은 각각(C, D, E, F, A, B, C, D, E)로 되며, 지판부(80)에 표시된 건반에 의해 각각 기준음은 C#, D#, F#, G#, A#, C#, D#으로 반음 올라가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1 조율 장치(40)의 장착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중 제 1 조율 장치(40)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중 제 1 조율 장치(4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율 장치(40)는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된다. 제 1 조율 장치(40)는 나사 몸체(42)와 중앙에 관통 중공부(41)를 구비한다. 스트링(60)은 라인(61)과 고정링(62)으로 구성된다.이 관통 중공부(41)에 스트링(60)의 고정링(62)이 삽입 고정된다. 스트링(60)은 관통 중공부(41)를 통과한 후 바디(10)에 형성된 장착홀을 거쳐 제 2 조율 장치(50)에 고정된다.
제 1 조율 장치(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나사형태의 몸체인 나사 몸체(42)를 가지며, 그 중앙에는 스트링(60)의 고정링(62)이 삽입 고정되는 관통 중공부(41)를 구비한다. 관통 중공부(41)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육각 스패너를 통해 회전되게 된다. 육각 스패너에 의해 제 1 조율 장치(40)가 회전되면, 나사산의 피치 만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트링(60)의 장력이 조절되어 미세 조율이 된다. 한편, 상기 관통 중공부(41)의 육각형은 제 2 조율 장치(50)의 머리상부에 형성된 육각홈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육각 스패너로 제 1 조율 장치(40) 및 제 2 조율 장치(50)를 통한 조율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조율과 조대 조율을 함께 할 수 있게 되어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조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 바디
20 : 상현주
30 : 하현주
40 : 제 1 조율 장치
50 : 제 2 조율 장치
60 : 스트링
70 : 단일 프렛
80 : 지판부

Claims (16)

  1.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헤드부측에 설치된 상현주;
    상기 바텀부측에 설치된 하현주;
    상기 바디 중 상기 상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 장치, 제 1 조율 장치는 세조율을 담당함;
    상기 바디 중 상기 하현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율장치, 제 2 조율장치는 대조율을 담당함;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현주와 상기 하현주에 의해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 및
    상기 상현주에서 내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지판부를 형성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스트링과 이격되며, 연주자가 상기 지판부를 운지하면 상기 스트링과 맞닻게 되어서 상기 스트링이 타현될 때 떨림이 발생하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줄여서 원음을 반음 높이는 단일 프렛;을 포함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중앙에 형성된 사운드홀을 구비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각각 자연 장음계에 따라 조율된,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7개 이상인,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프렛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판부에 건반 표시가 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율장치는, 상호 교대로 설치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헤드부측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바텀부측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판형상을 가지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동일 스트링이고,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연결길이가 차례로 짧아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은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굵기가 차례로 가늘어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조율 장치는 나사산의 상하이동에 따라 현의 장력이 변동되어 세조율이 이루어지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율 장치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한 나사이고,
    상기 현의 일단은 상기 관통 중공부에 끼워지는 고정링이 설치되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율 장치에 의해 상기 현이 권취됨에 따라 현의 장력이 변동되어 대조율이 이루어지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율 장치는 머리상부는 육각홈이 형성되어 육각 스패너에 의해 상기 대조율이 이루어지는,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16. 나사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스트링의 고정링이 삽입고정되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한, 조율장치.
KR1020210179855A 2021-12-15 2021-12-15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KR20230090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55A KR20230090790A (ko) 2021-12-15 2021-12-15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55A KR20230090790A (ko) 2021-12-15 2021-12-15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90A true KR20230090790A (ko) 2023-06-22

Family

ID=8698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855A KR20230090790A (ko) 2021-12-15 2021-12-15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1350B1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80173163A1 (en) Musical instrument input device
US6723905B2 (en) Split-clip musical instrument
US11417299B1 (en) String instrument for educational use
JP4450110B1 (ja) 弦楽器
KR20230090790A (ko) 조율 용이성을 구비한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조율 장치
US4530268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GB2131592A (en) Arrangements of notes on musical instruments
US6365808B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inged instruments
US3344698A (en) Musical instrument
JP3385518B2 (ja) 多弦楽器
KR102501956B1 (ko)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US4126074A (en) Violin harp
US7825311B1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WO2005072503A2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KR200492658Y1 (ko) 현악기 운지용 보조기구
US6967270B2 (en) Strummable electric harpsichord
US20050011335A1 (en) Stringed instruments with no common string size placements
US20050011334A1 (en) Two octave and a perfect fourth open string range stringed instrument
KR20230172224A (ko)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US9875728B1 (en) Musical key-changing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US20050011333A1 (en) High tone pentatonic stringed instruments
US20050011331A1 (en) Constructing expanded range stringed instruments
KR20230064418A (ko) 피아노 타입 타인 적층형 칼림바
Bay Glossary of Guitar Te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