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224A -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 Google Patents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224A
KR20230172224A KR1020220072804A KR20220072804A KR20230172224A KR 20230172224 A KR20230172224 A KR 20230172224A KR 1020220072804 A KR1020220072804 A KR 1020220072804A KR 20220072804 A KR20220072804 A KR 20220072804A KR 20230172224 A KR20230172224 A KR 2023017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lines
instrument
string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홍
Original Assignee
김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홍 filed Critical 김민홍
Priority to KR102022007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224A/ko
Publication of KR2023017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에서 온음계 배열의 5선보의 줄과 칸의 의미를 그대로 악기의 줄로 표현하여 남녀 노소 누구나 악보를 보고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중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부; 상기 바디 중 상기 바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율장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을 포함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로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을 형성하되, 기본 높은음자리표가 있는 5선보의 줄에 해당되는 도, 미, 솔, 시, 레, 파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1 구역부와; 상기 제1 구역부의 각 스트링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악보의 5선보에서 해당되는 레, 파, 라, 도, 미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2 구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성화한 현악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String instrument embodying the five-line Staff}
본 발명은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현악기에서 5선보의 줄과 칸의 의미를 그대로 악기의 줄로 표현하여 남녀 노소 누구나 악보를 보고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인류 역사와 함께해온 오래된 발명품으로 현의 굵기, 길이 및 장력의 차이를 통해 음의 높이를 조절하는 악기이다. 재질에 따라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기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어 다양한 현악기가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여러 개의 줄을 배열하여 음을 표현하는 하프와 리라, 지판과 프렛을 갖고 있는 기타와 우쿨렐레 그리고 지판을 갖고 있고 활을 이용하여 발현하는 바이올린 등은 잘 알려진 현악기들이다.
하프나 리라는 여러 개의 현을 이용하여 음을 표현하는 악기이다. 다만 표현하고자 하는 음의 숫자만큼 현의 숫자가 많아져야 하고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보통 현이 많기 때문에 각 현이 어떤 음을 갖고 있는지 즉시 파악하기 어렵다.
또, 바이올린(류)과 악기는 지판을 눌러주면서 현의 길이 변화를 줄 수 있는 악기로 하나의 현에서 다양한 음을 만들어 내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지판에 구획이 없어 정교한 음을 만들어 내기까지 매우 긴 숙련의 시간을 가져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근대에 만들어진 기타나 우쿨렐라와 같은 악기는 지판에 여러 개의 프렛을 갖고 있어 하나의 현에서 옥타브 이상의 음을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악기이다. 프렛은 지판 위에 튀어나온 돌기로 쉽게 음을 만들 수 있는 장치이다. 지판과 프렛을 통해 음을 쉽고 정확하게 만들 수 있어 정형화된 코드표 등을 만들 수 있지만 음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배우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종합해 보면 종래의 현악기들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해당줄이 표현하는 음과 음계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숙련하는데 많은 시간이 든다. 그래서 악기연주를 쉽게하기 위해 5선보에 부가적으로 코드표를 넣거나 타브악보 병행해서 사용 하고 있다.
5선보란 서양의 기보법으로 5개의 수평선들과 네 개의 공백의 집합으로, 여러 기호를 그려 음의 길이나 높낮이 등을 표현하는 악보를 말한다. 5선보에서, 음의 높고 낮음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높아진다. 이 5선은 말 그대로 다섯개의 줄이며, 줄과 줄 사이는 칸이라고 한다. 5선은 아래에서부터 '첫째줄', '둘째줄', '셋째줄', '넷째줄', '다섯째줄'이라 읽으며, 줄 사이 4개의 칸은 마찬가지로 아래에서부터 '첫째칸', '둘째칸', '셋째칸', '넷째칸'이라 읽는다. 또 덧줄을 사용하여 5선 안에 안에 나타낼 수 없는 높은 음이나 낮은 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5선 자체만으로는 음의 절대적 높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음의 자리를 정해주는 음자리표를 5선의 맨 앞에 그려 넣는데, 이렇게 음자리표까지 그려져 음의 자리가 정해져야 비로소 보표(악보)가 된다. 본 개발에서 논하는 5선보란 높은음자리표에 의해 음의 높이 순서가 정해지는 5선보를 칭한다.
그래서 근래에 들어 본 출원인이 선출원 한 등록특허공보 제10-2341491호(교육용 현악기)를 제안한 바 있으나, 현악기에서 5선보의 줄과 칸의 의미를 그대로 악기의 줄로 표현하여 타브악보 없이도 남녀 노소 누구나 악보를 보고 손쉽게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를 더욱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A 10-234149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 20-2011-0008972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현악기들은 사용자가 악기와 현을 보고 어떤 음이 나올지 알기 쉽지 않다. 지판이 있는 현악기의 경우 하나의 줄에서 다양한 음이 만들어지기 때문이고, 지판이 없는 현악기들은 줄이 많아 줄과 줄이 구분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타(우쿨렐레)와 같은 악기는 5선보에 별도의 그림으로된 코드표나 타브악보라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연주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는 하프와 같은 악기는 음의 구분을 위해 특정 줄에 색을 다르게 하여 연주자가 줄들을 구분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오선보의 줄과 칸의 개념을 그대로 악기줄로 표현하여 별도의 타브악보나 코드표가 없이도 그대로 악기가 연주될 수 있는 현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중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부; 상기 바디 중 상기 바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율장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을 포함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로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을 형성하되, 기본 높은음자리표가 있는 5선보의 줄에 해당되는 도, 미, 솔, 시, 레, 파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1 구역부와; 상기 제1 구역부의 각 스트링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악보의 5선보에서 해당되는 레, 파, 라, 도, 미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2 구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성화한 현악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역부의 스트링은 불투명이고, 상기 제2 구역부의 스트링은 투명으로 구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부와 제2 구역부는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어 구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부의 스트링은 검은색이고, 상기 제2 구역부의 스트링은 흰색으로 색상을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획부는 아래로 "라" 또는 위로 "라"를 추가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구획부는 아래로 “시” 또는 위로 “솔”을 필요에 따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부는 최소 6줄이고, 상기 제2 구획부는 최소 5줄로 전체 스트링은 최소로 11줄이고, 최대는 15줄까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스트링과 이격되며, 연주자가 지판부를 운지하면 상기 스트링과 맞닿게 되어서 상기 스트링이 타현될 때 떨림이 발생하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줄여서 원음을 반음 높이는 단일 프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프렛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악기에 5선보의 줄과 칸의 의미를 그대로 악기의 줄로 표현하여 남녀 노소 누구나 악보를 보고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오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악기의 5선보의 줄과 칸의 의미를 그대로 악기의 줄로 표현하되, 색깔로 구분 표현하여 누구나 악기줄과 악보가 동일하게 인식시켜 주어 타브악보 없이 악기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투명 줄의 제1 구역부와 투명 줄의 제2 구역부로 구분 형성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따른 악보의 5선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부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따른 악보의 5선보에 대응하는 제2 구역부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에 따른 악보의 5선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부 및 제2 구역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의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100)는 바디(110); 복수의 스트링(현 또는 줄:120), 조율장치(130), 하현주(140); 고정부(150); 상형주(160); 그리고 프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110)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구성요소로서, 목재, 합성 목재, 플라스틱재,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중앙부에는 사운드홀(115)이 형성되어서 발생되는 음을 더욱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하며, 폭이 넓은 부분을 헤드(head)부(지판부가 형성된 쪽)(113), 폭이 좁은 부분을 바텀(bottom)부(11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와 바텀부의 폭은 상호 반대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헤드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텀부(111)는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3)에서는 복수의 고정부(150)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부(150)는 일렬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부(111)에는 조율장치(130)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조율장치(130)는 지그재그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조율장치(130)와 고정부(15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스트링(120)은 바디(110)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를 통해 헤드부(113)와 바텀부(111)에 각각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트링(120)의 각 일단은 바디(110)의 바텀부(111)측에 설치된 조율장치(130)에 감겨지게 되고, 스트링(120)의 각 타단은 바디(110)의 헤드부(113)측에 설치된 고정부(15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스트링(120)은 16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8개, 12개, 또는 24개 등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기본 장음계(도,레,미,파,솔,라 시)를 모두 내기 위해 적어도 7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120)은 금속현 또는 나일론 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트링(120)은 각각 상이한 스트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스트링(120)을 형성하되, 기본 악보의 5선보를 연상시키는 도(P1), 미(P2), 솔(P3), 시(P4), 레(P5), 파(P6)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1 구역부(121)와; 상기 제1 구획부(121)의 각 스트링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악보의 5선보에서 해당되는 레(S1), 파(S2), 라(S3), 도(S4), 미(S5)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2 구역부(1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작하게는, 상기 제1 구역부(121)의 각 스트링은 불투명이고, 상기 제2 구역부(123)의 각 스트링은 투명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구역부(121)와 제2 구역부(123)는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어 구분되도록 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부(121)의 스트링은 검은색이고, 상기 제2 구역부(123)의 스트링은 흰색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온음계 배열의 5선보 악보를 표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트링(120)은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연결 길이가 차례로 짧아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횡방향으로 가면서 상기 스트링의 굵기가 가늘어져서 음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스트링(120)을 치게 되고 이에 따라 음이 발생된다. 각 스트링(120)의 기준음은 조율장치(130)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조율장치(130)의 내측에는 하현주(140)이 설치되며, 이 하현주(140)과 후술하는 상현주(160)에 의하여 스트링(120)은 바디(110)에서 소정거리 이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현주(160)의 내측에는 단일 프렛(170)이 설치된다. 단일 프렛(170)은 평상시에 스트링(120)과 이격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현주(160)과 단일 프렛(170) 사이의 지판부(180)를 운지하게 되면, 스트링(120)과 단일프렛(170)이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트링(120)을 치게 되면 떨리는 스트링(120)의 길이가 줄어들어서 기준음보다 반음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된다. 복수의 스트링(120)은 각각 자연 장음계에 따라 조율되어 기준음은 장음계의 소리가 나오게 되고, 사용자가 지판부(180)를 운지하게 되면 단일 프렛(170)에 의해 떨리는 스트링(120)의 길이가 줄면서 반음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된다. 상기 단일 프렛(170)은 복수의 스트링(120) 전체에 걸쳐(즉, 바디(10)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프렛(170)은 바디(110)에 일체형으로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판부(180)에는 사용자가 음계를 직관할 수 있는 건반 표시(미도시)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5선보를 형성화한 현악기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
먼저, 상기 복수의 스트링(120)은 기본 악보의 5선보를 연상시키는 도(P1), 미(P2), 솔(P3), 시(P4), 레(P5), 파(P6)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1 구역부(121)와; 상기 제1 구획부(121)의 각 스트링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악보의 5선보에서 해당되는 레(S1), 파(S2), 라(S3), 도(S4), 미(S5)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2 구역부(123)의 직관적인 구성을 통해 바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역부(121)와 제2 구역부(123)의 각 스트링을 구분 표시하여 전체적으로 피아노 건반과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게 되며, 각 현의 음이 어떤 음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지를 "피아노의 기초"만 배운 사람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연 장음계의 배열이기 때문에 각 스트링의 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게 되므로, 처음 접하는 사람도 현악기의 음계 배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선율 (멜로디) 연주가 즉시 가능하다.
또한, 악기 습득에서 가장 어려웠던 조표(#,b)가 있는 악보도 간단히 연주가 가능한 악기가 되는데 이는 조표가 있는 음정의 현의 프렛을 한손이 누르기만 하면 다른 손은 손모양을 바꾸지 않아도 연주하게 되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장음계 배치 후 한음 건너뛰기 방식은 손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화음연주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주법연주 즉 아르페지오, 스트록 등 다양한 연주기법이 적용이 가능하다. 작고 휴대성이 좋은 본 발명은 무대 연주는 물론 음악 교육에 적합한 현악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현악기
110 : 바디
120 : 스트링
121 : 제1 구역부
123 : 제2 구역부
130 : 조율장치
140 : 하현주
150 : 고정부
160 : 상현주
170 : 단일 프렛
180 : 지판부

Claims (8)

  1. 헤드부와 바텀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중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부; 상기 바디 중 상기 바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율장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율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디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링을 포함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로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을 형성하되,
    기본 높은음자리표가 있는 5선보의 줄에 해당되는 도, 미, 솔, 시, 레, 파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1 구역부와;
    상기 제1 구역부의 각 스트링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악보의 5선보에서 해당되는 레, 파, 라, 도, 미의 계이름을 나타내는 각 스트링으로 구성되는 제2 구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성화한 현악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부의 스트링은 불투명이고, 상기 제2 구역부의 스트링은 투명으로 구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부와 제2 구역부는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어 구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부의 스트링은 검은색이고, 상기 제2 구역부의 스트링은 흰색으로 색상을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는 아래로 "라" 또는 위로 "라"를 추가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구획부는 아래로 "시" 또는 위로 "솔"을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부는 최소 6줄이고, 상기 제2 구획부는 최소 5줄로 전체 스트링은 최소로 11줄이고, 최대는 15줄까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7. 제1 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스트링과 이격되며, 연주자가 지판부를 운지하면 상기 스트링과 맞닿게 되어서 상기 스트링이 타현될 때 떨림이 발생하는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줄여서 원음을 반음 높이는 단일 프렛을 더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프렛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KR1020220072804A 2022-06-15 2022-06-15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KR20230172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4A KR20230172224A (ko) 2022-06-15 2022-06-15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804A KR20230172224A (ko) 2022-06-15 2022-06-15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224A true KR20230172224A (ko) 2023-12-22

Family

ID=8930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804A KR20230172224A (ko) 2022-06-15 2022-06-15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2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972U (ko) 2010-03-15 2011-09-21 하석현 현악기용 줄
KR102341491B1 (ko) 2021-03-26 2021-12-20 김민홍 교육용 현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972U (ko) 2010-03-15 2011-09-21 하석현 현악기용 줄
KR102341491B1 (ko) 2021-03-26 2021-12-20 김민홍 교육용 현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945B1 (en) Morpheus music notation system
US6191350B1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483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playing of stringed instrument
Bagchee Nad
US8039721B2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US7381878B2 (en) Musical instrument display
US20080127810A1 (en) Morpheus music notation devices and system
Sevsay The cambridge guide to orchestration
US20020117043A1 (en) Music tone identification method related with apparatus, notation, and instruments
US20230089269A1 (en)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the DAMONN Music Notation System
US59456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HRP20010598A2 (en) Bicameral scale musical intonations and recordings made therefrom
US20180268731A1 (en) Musical Modification Method
US11417299B1 (en) String instrument for educational use
US3845685A (en) Musical instruments
KR20230172224A (ko) 5선보를 형상화한 현악기
CN210804855U (zh) 初学者快速成曲钢琴
DeWitt The diatonic button accordion in ethnic context: idiom and style in Cajun dance music
JP3246771U (ja) バイオリン
Cooper The basic guide to how to read music
Palma DE (ar) RANGED Ornamenting the Six Cello Suites BWV 1007–1012 by Johann Sebastian Bach: the evidence in arrangements by Bach and his contemporaries
US20230260422A1 (en) Symmetric dodecaphonic harmony music notation system
Botting Developing a Personal Vocabulary for Solo Double Bass Through Assimilation of Extended Techniques and Preparations
Davis A Modern Approach to Naming Guitar Chords 4th Ed.
Cotton Practical Music Theory for Guitar P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