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008B1 -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008B1
KR101818008B1 KR1020160112350A KR20160112350A KR101818008B1 KR 101818008 B1 KR101818008 B1 KR 101818008B1 KR 1020160112350 A KR1020160112350 A KR 1020160112350A KR 20160112350 A KR20160112350 A KR 20160112350A KR 101818008 B1 KR101818008 B1 KR 10181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ound
blowing
player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림
Original Assignee
한우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림 filed Critical 한우림
Priority to KR102016011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5Voice controlle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61Mouth control in general, i.e. breath, mouth, teeth, tongue or lip-controlled input devices or sensors detecting, e.g. lip position, lip vibration, air pressure, air velocity, air flow or air jet ang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에 사람의 입으로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여 음계를 부여하고,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장치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휘파람을 불듯이 간단한 방법으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면서 음을 낼 수 있으며, 혼자서도 자유롭게 다양한 음색의 악기를 연주하는 듯한 효과를 낼 수 있다.

Description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SOUND DEVICE USING THE STRENGTH OF THE BREATH}
본 발명은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에 사람의 입으로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여 음계를 부여하고,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장치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기는 연주자가 특정 음계와 길이를 가진 음을 연속적으로 내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나무나 금속, 가죽, 석재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장치를 특별한 방법으로 연주함으로써 소리를 낼 수 있다.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 트럼펫과 같은 금관악기는 모두 사용자의 손이나 입으로 소리를 내도록 하고 있는데, 최근에 사용되는 전자악기의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생성된 신호를 합성하여 실제 악기와 유사한 소리를 낸다.
디지털 키보드나 전자바이올린, 전자드럼 등은 전기적인 센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을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한다.
이러한 종래에 사용되던 악기는 단순히 소리를 내는 것을 넘어서 아름다운 멜로디의 음악을 연주하려면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연습을 통해 운지법이나 호흡법을 익혀야 제대로 된 연주를 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입으로 바람을 불거나 들이마시면서 일정한 음역대의 소리를 내는 휘파람은 아무런 도구 없이 오직 사람의 입으로만 소리를 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휘파람을 다른 악기의 소리와 함께 결합해서 음악을 연주하기도 한다.
휘파람의 경우에는 소리를 내는 사람의 기능에 따라서 비교적 다양한 음을 낼 수 있지만, 개인마다 차이가 크기때문에 발생되는 음에서도 아름다움의 차이가 크게 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악기는 연주를 하기 위해서 오랜 시간 동안 연습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휘파람의 경우에는 단순한 소리밖에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는데, 두 가지 단점을 보완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다양한 음을 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KR 10-1529109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직접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되는 바람의 세기와 길이에 비례하는 음계와 장단을 부여하고, 정해진 음을 출력하여 멜로디가 연주되도록 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머리에 쓰거나 귀,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고정장치를 마련하여 손으로 직접 잡지 않아도 자유롭게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악기의 다양한 음향을 낼 수 있는 데이터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과 악기의 음향을 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악기를 연주하는 듯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입으로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장치로서,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바람의 세기에 대응되는 음계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계에 대한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입력장치(110)와; 상기 입력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110)와 상기 출력장치(120)는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장치(110)는 상기 연주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11)와; 상기 연주자가 입으로 물어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실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피스(112)와; 상기 마우스피스(112)를 통해 지나가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모듈(113)과; 상기 센서모듈(113)이 측정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음계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114)와; 상기 신호처리부(114)가 생성한 음향신호를 상기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장치(120)는 상기 송신부(115)가 전송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1)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22)와; 상기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2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모듈(113)은 상기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속도, 압력, 변위 중의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바람의 속도, 압력, 변위 중의 하나에 비례하는 감지값을 생성하며, 상기 신호처리부(114)는 상기 감지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음계의 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처리부(114)는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악기의 음색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장치(12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중의 하나이며, 상기 신호변환부(122)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입으로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장치로서, 연주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11)와; 상기 연주자가 입으로 물어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실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피스(112)와; 상기 마우스피스(112)를 통해 지나가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모듈(113)과; 상기 센서모듈(113)이 측정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음계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114)와; 상기 신호처리부(114)가 변환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휘파람을 불듯이 간단한 방법으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면서 음을 낼 수 있으며, 혼자서도 자유롭게 다양한 음색의 악기를 연주하는 듯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불거나 들이마시는 숨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말을 할 수 없거나 언어표현에 장애가 있는 언어장애인이 스스로 음을 내면서 노래를 하거나 자신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 내지 5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8은 센서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음향장치를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구현된 출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이하, '음향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음향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면서 연주를 하고, 음향신호를 유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받아 음향으로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입에 물고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부분을 입력장치(110)라고 하고, 입력장치(11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부분을 출력장치(120)라고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장치(110)와 출력장치(120)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장치(120)는 본 발명의 음향장치(100)에 사용하기 위한 전용장치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단말기(130)일 수 있다. 통신단말기(130)는 통상적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 개념으로 사용된다.
입력장치(110)와 출력장치(120) 및 통신단말기(130)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블루투스나 WIFI,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음향장치(100)에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출력장치(12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일반적인 단말기를 사용하는 통신단말기(130)와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장치(110)에는 고정장치(111)가 구비된다. 고정장치(111)는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마우스피스(112)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어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실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마우스피스(112)에는 바람이 출입하는 입구와, 센서모듈(113)의 방향으로 바람을 이동시키는 통로가 구비된다.
센서모듈(113)은 사용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부분으로서, 여러 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4)는 센서모듈(113)이 측정한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는 음을 선택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의 세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음계를 결정한다.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시간에 따라서 음의 길이나 옥타브 등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14)에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라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표현할 수도 있는데, 입력장치(110)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악기의 음색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신호처리부(114)는 사용자가 결정한 악기의 음색 데이터를 호출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악기의 소리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신호처리부(114)가 발생시킨 음에 대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출력장치(120)에 전달한다.
전원부(116)는 입력장치(110)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교체가능한 건전지나 충전가능한 배터리 등이 사용된다.
출력장치(120)에는 수신부(121)가 구비되는데, 수신부(121)는 입력장치(110)의 송신부(115)가 전송한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부(115)와 수신부(121)는 동일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신호변환부(122)는 수신된 음향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123)에 전달하고, 스피커(123)는 외부로 음향을 출력한다.
도 3 내지 5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헤드셋(111a),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귀걸이(111b),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목걸이(111c) 등의 몸에 부착 가능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8은 센서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피스(112)에서 출입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여 음계와 길이를 결정하는데, 이를 위해서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속도나 압력, 변위 등을 측정한다.
공기의 압력 또는 흐름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어떤 것이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은 세 가지 방식으로 바람의 세기를 측정한다.
첫 번째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10)의 내부에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에 돌출된 형태로 속도센서(113a)를 설치하고, 지나가는 바람의 속도를 직접 측정한다. 속도센서(113a)로는 열선풍속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선풍속계는 전류를 통해서 가열되는 금속체를 공기의 흐름 통로에 노출시키고, 공기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공기의 속도를 측정한다. 속도센서(113a)는 이와 같이 흐르는 공기와 직접 접촉하면서 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감지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를 측정한다. 입력장치(110)의 내부에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에 개구부(113b)를 형성한다. 그리고 개구부(113b)의 안쪽 공간에 압력센서(113c)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12)에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면 바람이 개구부(113b)를 지나가면서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개구부(113b)의 안쪽과 바깥쪽에 압력차가 생기게 된다. 이때 생기는 압력차를 측정함으로써 바람의 세기를 비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 세 번째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의 흐름에 저항하는 미터계(113d)를 사용하여 변위를 측정한다. 미터계(113d)는 탄성체의 저항이 가해지면서 회전하는 바늘로 이루어지며, 바람의 세기에 따라 바늘이 저항을 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바늘의 회전 각도 및 변위를 측정하면 바람의 상대적인 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값을 사용한다.
미터계(113d)를 센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우스피스(112)의 입구로부터 두 개의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경로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넣었을 때 열리면서 바람을 미터계(113d)로 유도하는 것을 제1체크밸브(113e)라고 하고, 연주자가 바람을 들이마실 때 열리는 것을 제2체크밸브(113f)라고 한다.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넣어 제1체크밸브(113e)가 열리면 첫 번째 이동경로가 열리면서 바람이 통과하여 미터계(113d)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바람을 들이마셔 제2체크밸브(113f)가 열리면 두 번째 이동경로가 열리는데, 이때에도 미터계(113d)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연주자가 바람을 불어넣든, 들이마시든 바람의 세기에 따른 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110)에 출입하는 바람의 세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하여 음계를 결정하는데,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공개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장치(110)와 출력장치(120)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입력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음계를 결정하고, 음향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정해진 음이 출력되는 일체형의 장치를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음향장치(100)를 이용한 연주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음향장치를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연주할 악기의 음색을 결정한 후, 고정장치(111)를 이용하여 머리나 귀, 목 등에 음향장치(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12)를 입에 물고 바람을 불거나 들이마신다.(S102)
센서모듈(113)은 입력된 바람의 세기(속도, 압력, 변위 등)를 감지하여 수치로 환산한다.(S104)
그리고 센서모듈(113)은 감지한 수치를 신호처리부(114)에 전송한다.(S106)
신호처리부(114)는 수신한 감지값에 대응하는 음을 선택한다.(S108)
아래의 표 1은 사용자가 불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대응하도록 설정한 음계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6085231527-pat00001
그러나 실제 장치에서는 표 1에 도시된 것보다는 더욱 세밀한 단계로 바람의 세기를 구분하여 음계를 부여함으로써 세분화된 음계를 표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속도나 압력이 낮으면 낮은 음계의 음을 선택하고, 속도나 압력이 높으면 높은 음계의 음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시간에 비례해서 음의 길이를 선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속도나 압력의 바람을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불고 있는 경우, 음의 강도를 증가시켜 같은 음의 음량이 더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송신부(115)는 신호처리부(114)로부터 음향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출력장치(120)에 전송한다. 출력장치(120)는 수신한 음향신호를 스피커(123)로 출력한다.(S110)
출력장치(120)에 포함된 수신부(121)는 송신부(115)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음향신호를 신호변환부(122)에 전달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구현된 출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술한 음향장치(100)는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입력장치(110)와, 입력장치(110)가 감지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장치(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출력장치(120)는 입력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전용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통신단말기(130)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과,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모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입력장치(110)와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130)에 설치된 통신부(131)는 유선 또는 인터넷,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데, 입력장치(11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도 구현하여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음향을 생성하거나, 다양한 음계 또는 악기의 음색을 표현하는 것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132)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32)에 설치된 신호변환부(132a)와 음계DB(132b), 악기DB(132c)는 음향신호의 변환과 처리, 음계의 변환, 음색의 변환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애플리케이션(132)이 생성한 음향신호는 스피커(133)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음향장치 110 : 입력장치
111 : 고정장치 112 : 마우스피스
113 : 센서모듈 114 : 신호처리부
115 : 송신부 116 : 전원부
120 : 출력장치 121 : 수신부
122 : 신호변환부 123 : 스피커
130 : 통신단말기 131 : 통신부
132 : 애플리케이션 133 : 스피커

Claims (7)

  1. 입으로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에 비례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장치로서,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바람의 세기에 대응되는 음계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계에 대한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입력장치(110)와;
    상기 입력장치(11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110)는
    상기 연주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11)와;
    상기 연주자가 입으로 물어서 바람을 불어넣거나 들이마실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피스(112)와;
    상기 마우스피스(112)를 통해 지나가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모듈(113)과;
    상기 센서모듈(113)이 측정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음계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악기의 음색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114)와;
    상기 신호처리부(114)가 생성한 음향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장치(120)는
    상기 송신부(115)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1)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22)와;
    상기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23);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113)은 상기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속도, 압력, 변위 중의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바람의 속도, 압력, 변위 중의 하나에 비례하는 감지값을 생성하며,
    상기 센서모듈(113)의 내부에는 제1체크밸브(113e)가 설치되어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12)로 바람을 불어넣었을 때 열리면서 바람이 이동하는 첫 번째 이동경로와, 제2체크밸브(113f)가 설치되어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12)를 통해 바람을 들이마셨을 때 열리면서 바람이 이동하는 두 번째 이동경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113e)가 열렸을 때 상기 바람이 이동하는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제2체크밸브(113f)가 열렸을 때 상기 바람이 이동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정의하며,
    상기 센서모듈(113)에는 탄성체의 저항이 가해지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바늘로 이루어져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바늘이 저항을 받아 회전하는 미터계(113d)가 설치되며, 상기 연주자가 불어넣거나 들이마시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바늘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바람의 상대적인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114)는 상기 감지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음계의 음을 선택하며, 동일한 크기의 감지값이 일정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음량을 더 크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12350A 2016-09-01 2016-09-01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KR10181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50A KR101818008B1 (ko) 2016-09-01 2016-09-01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50A KR101818008B1 (ko) 2016-09-01 2016-09-01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008B1 true KR101818008B1 (ko) 2018-01-12

Family

ID=6100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50A KR101818008B1 (ko) 2016-09-01 2016-09-01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3427A1 (en) * 2020-10-27 2022-05-05 Hu Jerry Chi Musical instrument therap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838A (ja) * 2000-06-19 2002-01-11 ▲高▼木 征一 電子楽器及びその入力装置
KR101410579B1 (ko) * 2013-10-14 2014-06-20 박재숙 전자악기
KR101529109B1 (ko) * 2015-01-21 2015-06-17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838A (ja) * 2000-06-19 2002-01-11 ▲高▼木 征一 電子楽器及びその入力装置
KR101410579B1 (ko) * 2013-10-14 2014-06-20 박재숙 전자악기
KR101529109B1 (ko) * 2015-01-21 2015-06-17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3427A1 (en) * 2020-10-27 2022-05-05 Hu Jerry Chi Musical instrument therap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7924B2 (ja) リード楽器用装置
GB2537104A (en)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a blown instrument
CN202159478U (zh) 一种无线音乐手套
EP3574496A2 (en) Transducer apparatus for an edge-blown aerophone and an edge-blown aerophone having the transducer apparatus
KR101529109B1 (ko)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Schiesser et al. SABRe: The Augmented Bass Clarinet.
KR101818008B1 (ko)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JP2011180546A (ja) 電子管楽器
WO202005414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79918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08062782A1 (fr) Système d'estimation de parole, procédé d'estimation de parole et programme d'estimation de parole
JP2021051106A (ja) 電子管楽器、電子管楽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4983B1 (ko) 디지털 다기능 악기
CN212461129U (zh) 一种数码口琴
KR101746216B1 (ko) 아두이노를 이용한 에어 드럼 연주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74991B1 (ko) 전자 하모니카
CN109754818B (zh) 一种发声检测和发声练习方法
JP2002006838A (ja) 電子楽器及びその入力装置
JP2004101790A (ja) 電子楽器
CN211654288U (zh) 便携式吉他模拟装置
JP3118541U (ja) 物理量音階変換電子楽器
JPH083710B2 (ja) 電子楽器の入力装置
JP2019517013A (ja) トロンボーンのスライド位置を示すためのデバイス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661803B2 (ja) 演奏補助装置及び楽器
JP2588713Y2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