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109B1 -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09B1
KR101529109B1 KR1020150010284A KR20150010284A KR101529109B1 KR 101529109 B1 KR101529109 B1 KR 101529109B1 KR 1020150010284 A KR1020150010284 A KR 1020150010284A KR 20150010284 A KR20150010284 A KR 20150010284A KR 101529109 B1 KR101529109 B1 KR 10152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strument
wind
sound
instru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김병희
서영호
Original Assignee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09B1/ko
Priority to CN201610015346.8A priority patent/CN105810185A/zh
Priority to US15/002,268 priority patent/US96913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r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러 관악기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마우스 피스로 바람을 불어 넣어 관악기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연주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여러종류의 관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실제 관악기와 같은 관악기음으로 연주를 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는,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와, 국악기와 서양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는 관악기 종류 선택키와, 표시장치 겸용으로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 선택키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기 관악기 종류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여러종류의 관악기 중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터치패널에 표시된 고저음 선택키(음계선택키)를 조작하여 실제 관악기와 같은 음으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감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를 구현할 수 있고 하나의 다기능 디지털 관악기로 대부분의 관악기의 연주가 가능하며 고가인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각각 구입하는 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Digital multi-function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여러 관악기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마우스피스로 바람을 불어 넣어 관악기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연주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술, 디지탈 기술의 진보는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을 이용한 각종의 전자악기, 예컨대, 전자관악기, 전자건반악기가 개발되어 널리 일반대중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각종 전자악기중 전자건반악기중에는 하나의 음고지정 조작을 행했을 경우에도 그 지정조작된 제 1의 음고로서 제 1의 악음, 즉 원음을 발음시키는 외에 상기 제 1의 음고와는 다른 별도의 제 2의 음고로서 제 2의 악음, 즉 커플러음을 발음시키는 커플러 효과라고 불려지는 발음기능을 가진 것이었다. 이 발음 기능을 가지는 전자건반악기에 의하면, 소정의 음고차를 가지는 2개의 악음을 동시에 발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주효과를 향상시킬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 관악기는 전자건반악기에서 관악기음을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제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관악기음을 발생시켜 실제 관악기를 연주하는 효과를 내는 디지털 관악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316152호 (2013년 10월 0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종류의 관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실제 관악기와 같은 관악기음으로 연주를 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는,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와, 국악기와 서양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는 관악기 종류 선택키와, 표시장치 겸용으로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 선택키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관악기 종류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는,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는,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피스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관악기의 종류에 맞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다 종류 터치패드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여러종류의 관악기 중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한 후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키를 조작하여 실제 관악기와 같은 음으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감 있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다기능 디지털 관악기로 대부분의 관악기의 연주가 가능하며 고가인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각각 구입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를 연주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악기 중 단소를 연주하기 화면의 예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악기 중 알토혼을 연주하기 화면의 예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의 블럭구성도 이다.
디지털 마우스 피스(10)는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마우스 피스(10)는 각종 관악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실제 마우스 피스와 유사하게 조립식 형태로 형성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형태에 맞는 마우스피스를 바꾸어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관악기 종류 선택키(12)는 국악기와 서양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이다.
고/저음 선택키(14)는 고/저음를 선택하여 저음이나 고음을 강조하여 연주하기 위한 버튼이다. 특수효과키(16)는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음량조절키(18)는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버튼이다.
터치패널(20)은 표시장치 겸용으로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 선택키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제어부(22)는 관악기 종류 선택키(12)의 입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터치패널(20)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10)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20)로부터 입력되는 음계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24)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한다.
데이터 베이스(24)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한다.
스피커(26)는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를 연주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악기 중 단소를 연주하기 화면의 예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악기 중 알토혼을 연주하기 화면의 예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종류의 관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하여 연주를 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관악기 종류선택키(1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22)는 202단계에서 터치패널(20)에 국악기와 서양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게 되며, 사용자가 터치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 국악기와 서양악기 중 하나를 터치하게 되면 203단계에서 제어부(22)는 국악기나 서양악기에 대한 리스트를 터치패널(2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국악기를 선택하면 국악기인 단소, 태평소, 소금, 대금, 피리, 나발 등이 터치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되고, 서양악기를 선택하게 되면 서양악기인 바리톤, 바순, 섹스폰, 스자폰, 알토혼, 오보에, 유포늄, 잉글리쉬혼, 코넷, 클라리넷, 튜바, 트럼본, 트럼펫, 플루트, 프랜치혼, 플루겔혼, 피콜로 등이 터치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렇게 203단계에서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중 하나를 선택입력하게 되면 204단계에서 제어부(22)는 그 선택된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터치패널(20)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디지털 마우스피스(10)로 바람을 불어 넣고 터치패널(20)에 표시된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버튼을 터치하면서 연주를 하게 된다. 그러면 205단계에서 제어부(22)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10)로부터 입력되는 공기의 압력에 대응하여 그 선택된 관악기에 해당하는 관악기음을 데이터 베이스(24)로부터 읽어들여 음성합성에 의해 스피커(26)로 관악기음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여러개의 관악기 중 단소를 연주하고자 한다면, 터치패널(20)에 표시된 국악기를 선택하면, 단소, 태평소, 소금, 대금, 피리, 나발 등 표시되고, 그 중 단소를 선택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단소 화면이 터치패널(20)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디지털 마우스피스(10)를 입에 물고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도 3과 같이 터치패널(20)에 표시된 단소의 구멍(11)을 손으로 터치하면서 연주를 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여러개의 관악기 중 알토혼을 연주하고자 한다면, 터치패널(20)에 표시된 서양악기를 선택하면, 바리톤, 바순, 섹스폰, 스자폰, 알토혼, 오보에, 유포늄, 잉글리쉬혼, 코넷, 클라리넷, 튜바, 트럼본, 트럼펫, 플루트, 프랜치혼, 플루겔혼, 피콜로 등이 터치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되고, 그 중 알토혼을 선택하게 되면 도 4와 같은 알토혼 화면이 터치패널(20)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디지털 마우스피스(10)를 입에 물고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도 4와 같이 터치패널(20)에 표시된 알토혼의 연주버튼(13)을 손으로 터치하면서 연주를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10)은 일측에 취구부가 형성되고, 일면에 배출 홀이 형성된다. 이때 취구부는 사용자의 호흡기류가 인가되는 부분으로 인가되는 호흡기류를 손실 없이 공급받을 수 있도록 취구부로부터 배출 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취구부를 입에 넣고 호흐비류를 인가하면 배출 홀로 호흡기류가 배출된다.
튜브(120)는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류를 안내하는 것으로, 유입부(121)의 일단이 취구부와 연결되고 배출부(122)의 일단이 배출 홀과 연결된다. 이처험 하우징(110) 내에 튜브(120)가 내장됨에 따라 취구부 내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호흡기류가 분산되지 않고 안전하게 배출부(122)로 안내된다.
튜브(120)는 중앙을 유입부(121)의 배출부(12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튜브(120)의 중앙에 저항을 형성한 후 압력센서(130)를 통해 유입부(121)와 배출(122)의 차동압력을 측정하여 호흡기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압력센서(130)는 튜브(120)와 연결되며 튜브(120)로 유입된 호흡기류에 의해 튜브(120) 내의 압력 값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130)는 튜브(120)의 유입부(121)와 배출부(122)에 각각 장착되어 유입부(121) 내의 압력과 배출부(122) 내의 압력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센서(13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의 압력변화를 계측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데이터 통신부(140)는 제어부(22)의 통신단자에 연결되어 제어부(22)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우징(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0)의 통신단자는 USB포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40)가 하우징(110)의 타측에 형성됨에 따라 데이터 통신부(140)를 휴대 단말기(10)의 통신단자에 연결한 후 제어부(22)를 양손으로 파지하면 취구부가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된다.
제어부(150)는 압력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이용하여 호흡량을 산출한 후 산출된 호흡량을 제이터 통신부(140)를 통해 제어부(22)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호흡기류의 속도에 비례하는 유입부(121)와 배출부(122)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호흡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오리피스 유량계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산출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호흡기류를 통해 측정된 호흡량르 구동정보로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 가능하나, 관악기 애플리케이션이나 호흡량을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마우스피스(10)는 제어부(2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취구부로 직접 호흡기류를 인가할 있게 되므로 호흡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며, 현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부(22)의 통신단자에 데이터 통신부(140)를 연결하여 제어부(22)와 디지털 마우스(10)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실행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호흡량을 구동정보로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관악기 애플리케이션이나 호흡량 분석 애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디지털 마우스피스(10)가 관악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취구부를 물고 제어부(22)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손가락을 파지하며 호흡기류를 인가한다. 관악기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호흡량 분석 애플케이션인 경우에 사용자는 제어부(22)로 출력되는 안내에 따라 취구부에 호흡기를 인가한다. 그러면 튜브(120) 내로 호흡기류가 안내되고 압력센서(130)는 호흡기류에 의해 발생된 튜브(120) 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튜브(120)의 중앙을 유입부(121)와 배출부(12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튜브(120) 내부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도록 하는데, 이는 오리피스 유량계의 원리를 이용하여 호흡기류의 유량을 산출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50)를 통해 호흡량을 산출한 후 이를 제어부(1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호흡량을 정보로 하여 관악기 연주를 수행하거나 폐활량을 측정하여 이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관악기 종류선택키(12), 고저/저음 선택키(14), 특수효과키(16), 음량조절키(18)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키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터치패널(20)에 표시한 후 그 터치패널(20)에 표시된 키 버튼을 터치하면서 조작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터치패널(20)에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나, 별도로 형성된 각 관악기에 대응하는 터치패드를 제어부(22)에 연결하게 되는데, 연주할 때마다 관악기 종류에 맞는 터치패드를 연결하여 실세 관악기와 유사한 터치감각으로 화면을 보지않고 손 감각으로 터치패드를 조작하여 해당 관악기를 연주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각 관악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연주하기 위해 선택된 관악기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여 조립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제어부(22)와 터치패드는 커넥터로 형성하여 교체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디지털 마우스 피스 12: 관악기 종류 선택키
14: 고/저음 선택키 16: 특수효과키
18: 특수효과키 18: 음량조절키
20: 터치패널 22: 제어부
24: 데이터 베이스 26: 스피커

Claims (4)

  1. 삭제
  2.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있어서,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와,
    국악기와 서양악기 중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는 관악기 종류 선택키와,
    표시장치 겸용으로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 선택키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관악기 종류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3.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있어서,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 피스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4.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에 있어서,
    연주자가 불어 넣은 호흡량을 산출하여 소리의 강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마우스피스와,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관악기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표시하여 관악기의 종류를 원터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를 선택할 시 연주하기 위한 음계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패널과,
    여러 종류의 관악기음을 각각 발생하기 위한 관악기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여러 종류의 관악기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가 선택될 시 해당 관악기의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마우스피스로부터 입력되는 관악기 소리의 강약정보에 대응하여 관악기음의 강약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음계선택 정보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관악기의 연주음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연주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관악기의 종류에 맞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다 종류 터치패드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고/저음를 설정하기 위한 고/저음 선택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악기에 따른 특성을 살리기 위한 요철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효과키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연주하고자 하는 관악기의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KR1020150010284A 2015-01-21 2015-01-21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KR10152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84A KR101529109B1 (ko) 2015-01-21 2015-01-21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CN201610015346.8A CN105810185A (zh) 2015-01-21 2016-01-11 数字多功能乐器
US15/002,268 US9691368B2 (en) 2015-01-21 2016-01-20 Multifunctional digital mus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284A KR101529109B1 (ko) 2015-01-21 2015-01-21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109B1 true KR101529109B1 (ko) 2015-06-17

Family

ID=5351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284A KR101529109B1 (ko) 2015-01-21 2015-01-21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1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821A (ko) 2015-08-12 2017-0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관악기
US9691368B2 (en) 2015-01-21 2017-06-27 Cosmogenome Inc. Multifunctional digital musical instrument
KR101754983B1 (ko) * 2015-11-24 2017-07-06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디지털 다기능 악기
KR101818008B1 (ko) * 2016-09-01 2018-01-12 한우림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WO2022093427A1 (en) * 2020-10-27 2022-05-05 Hu Jerry Chi Musical instrument therap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7415A1 (en) * 2006-08-23 2008-02-28 Motorola, Inc. Wind instrument phone
US8222507B1 (en) * 2009-11-04 2012-07-17 Smu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and rendering of performance on synthetic musical instrument
JP2013164542A (ja) * 2012-02-13 2013-08-22 Yamaha Corp 電子管楽器、振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5965A (ja) * 2012-03-22 2013-09-30 Yamaha Corp 携帯情報機器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7415A1 (en) * 2006-08-23 2008-02-28 Motorola, Inc. Wind instrument phone
US8222507B1 (en) * 2009-11-04 2012-07-17 Smu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and rendering of performance on synthetic musical instrument
JP2013164542A (ja) * 2012-02-13 2013-08-22 Yamaha Corp 電子管楽器、振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5965A (ja) * 2012-03-22 2013-09-30 Yamaha Corp 携帯情報機器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1368B2 (en) 2015-01-21 2017-06-27 Cosmogenome Inc. Multifunctional digital musical instrument
KR20170019821A (ko) 2015-08-12 2017-0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관악기
KR101729406B1 (ko) * 2015-08-12 2017-05-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관악기
KR101754983B1 (ko) * 2015-11-24 2017-07-06 코스모지놈 주식회사 디지털 다기능 악기
KR101818008B1 (ko) * 2016-09-01 2018-01-12 한우림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WO2022093427A1 (en) * 2020-10-27 2022-05-05 Hu Jerry Chi Musical instrument therap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109B1 (ko) 디지털 다기능 관악기
US5245130A (en) Polyphonic breath 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10199023B2 (en) Electronic woodwind instrument
Campbell et al. The science of brass instruments
US9691368B2 (en) Multifunctional digital musical instrument
CA2896433A1 (en) A modular electronic musical keyboard instrument
US11200872B2 (en) Transducer apparatus for an edge-blown aerophone and an edge-blown aerophone having the transducer apparatus
US20180330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ptic instrumental electronic device
MX2014000912A (es) Dispositivo, método y sistema para producir música.
Fels et al. Tooka: Explorations of two person instruments
US20130192446A1 (en) Multi Channel Digital Wind Instrument
JP2011180546A (ja) 電子管楽器
CN205541916U (zh) 一种具有提示键位与评分录音功能的智能钢琴系统
US10796676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armonica having bifurcated air channels
JP2021051106A (ja) 電子管楽器、電子管楽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4983B1 (ko) 디지털 다기능 악기
WO2012098278A1 (es) Controlador de viento midi para instrumentos de viento de serie armónica
KR101746216B1 (ko) 아두이노를 이용한 에어 드럼 연주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M603611U (zh) 多功能電子吹奏樂器系統
Flores et al. HypeSax: Saxophone acoustic augmentation.
Wolfe et al. The acoustics of wind instruments—and of the musicians who play them
KR101818008B1 (ko) 바람의 세기를 이용한 음향장치
Garcia et al. Acquisition and Study of Blowing Pressure Profiles in Recorder Playing.
KR101380022B1 (ko) 전자악기
KR20190130108A (ko) 블로잉 전자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