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996B1 - 원통형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원통형 오카리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996B1
KR100828996B1 KR1020060107057A KR20060107057A KR100828996B1 KR 100828996 B1 KR100828996 B1 KR 100828996B1 KR 1020060107057 A KR1020060107057 A KR 1020060107057A KR 20060107057 A KR20060107057 A KR 20060107057A KR 100828996 B1 KR100828996 B1 KR 100828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arina
cylindrical
mouthpiece
gripping holes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018A (ko
Inventor
이일용
계용수
Original Assignee
이일용
계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용, 계용수 filed Critical 이일용
Priority to KR102006010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96B1/ko
Priority to PCT/KR2006/004529 priority patent/WO2008013338A1/en
Publication of KR200800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볼트구조 또는 너트구조의 제1체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몸체(10); 하부공간(B)이 형성되고, 그 제1체결부(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구조 또는 볼트구조의 제2체결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20); 하부몸체(2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호 체결된 상,하부몸체(10)(20)의 내부공간(AB)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31)가 형성된 마우스피스(30); 취구(3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공간(AB)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40);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C)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파지홀; 및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오카리나{a cylinder ocarin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원통형 오카리나에 발광체가 내장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상부몸체에 제8,9상부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8은 도 2의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의 조립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몸체 11 ... 제1체결부
20 ... 하부몸체 21 ... 제2체결부
22 ... 수납홈 30 ... 마우스피스
31 ... 취구 40 ... 소리구멍
51,52,53,54 ... 제1,2,3,4상부파지홀
55,56 ... 제5,6상부파지홀 57 ... 제7상부파지홀
58,59 ... 제8,9상부파지홀 61, 62 ... 제1,2하부파지홀
61a, 62a ... 공간확장홈 A ... 상부공간
B... 하부공간 AB ... 내부공간
C ... 가상선 L ... 발광체
본 발명은 원통형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이 우수한 원통형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란 1860년경 이태리 북부의 볼로냐 지방에서 도나티라는 사람이 처음 만든 것으로서, 도자기 성분이나 석고, 또는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악기이다. 오카리나는 매우 청아하면서도 소박한 소리로 인공적인 소리와 비교하면 자연과 가장 어울리는 음정을 가지고 있고, 쉽게 휴대하고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그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악기를 겸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도 그 활용영역이 넓다.
오카리나는, 다수의 운지구멍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먼저 제작한 후 그 상,하부몸체를 접합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때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어긋나게 접합되면, 내부공간 내부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내주면에서 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연주시 발생되는 소리의 왜곡이 일어난다.
그런데, 오카리나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어긋나지 않게 정확히 접합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즉, 접합 공정의 어려움은 오카리나를 대량 생산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되었고, 이에 따라 오카리나의 생산단가는 높아질 수 밖에 없어 보급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심자가 오카리나를 조작하려면, 왼손과 오른손의 양 새끼손가락이 항상 운지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조작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연주 중에 새끼손가락이 운지구멍으로부터 벗어나 연주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용이하고 정확히 접합할 수 있음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생산단가를 낮춤으로써 대량 보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원통형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세서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서 발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원통형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지구멍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낮은음 시에서 높은음 솔까지 연주할 수 있는 원통형 오카리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는,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볼트구조 또는 너트구조의 제1체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몸체(10); 하부공간(B)이 형성되고, 그 제1체결부(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구조 또는 볼트구조의 제2체결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호 체결된 상,하부몸체(10)(20)의 내부공간(AB)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31)가 형성된 마우스피스(30); 상기 취구(3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AB)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40); 상기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C)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파지홀; 및 상기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의 제2체결부(21)의 내측으로 발광체(L)가 수납되는 수납홈(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상부몸체(10)의 좌측 상부공간은 우측 상부공간보다 크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에는, 상기 제1,2하부파지홀(61)(62) 각각에서 상기 내부공간(AB)으로 넓어지도록 공간확장홈(61a)(62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기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1,2,3,4,7상부파지홀(51)(52)(53)(54)(57); 및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상부파지홀(55)(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8상부파지홀(58) 및 제9상부파지홀(59)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기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2,3,4,7상부파지홀(520)(530)(540)(570); 및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8상부파지홀(550)(560)(58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조립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통형 오카리나에 발광체가 내장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또 도 5는 도 4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상부몸체에 제8,9상부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18은 도 2의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는, 상부측으로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볼트구조 또는 너트구조의 제1체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몸체(10)와; 하부측으로 하부공간(B)이 형성되고, 그 제1체결부(11)에 체 결될 수 있도록 너트구조 또는 볼트구조의 제2체결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20)와; 하부몸체(2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호 체결된 상,하부몸체(10)(20)의 내부공간(AB)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31)가 형성된 마우스피스(30)와; 취구(3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공간(AB)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부몸체(20)에 형성되는 소리구멍(40)과;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C)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파지홀과;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포함한다.
상기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20)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이나 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나무로 이루어지거나, 형틀을 이용할 경우 석고나 흙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20)의 제2체결부(21)의 내측으로 발광체(L),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나 전구와 이를 구동시키는 전원이 수납되는 수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22)에 수납된 발광체(L)에서는 은은한 빛을 발생함으로써, 오카리나를 연주할 때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밤에 발광될 경우, 주위를 밝혀줌으로써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도 있다.
가상선(C)을 중심으로, 상부몸체(10)의 좌측 상부공간은 우측의 상부공간보다 크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몸체의 두께를 우측 상부몸체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부몸체(20)에는, 제1,2하부파지홀(61)(62) 각각에서 내부공간(AB)으로 넓어지도록 공간확장홈(61a)(62a)이 형성된다.
상부파지홀은, 우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1,2,3,4,7상부파지홀(51)(52)(53)(54)(57)과;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상부파지홀(55)(56);를 포함한다.
한편, 상부파지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8상부파지홀(58) 및 제9상부파지홀(59)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원통형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8은 도 2의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운지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원의 오카리나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도시하였다. 이때 화살표 방향은 공기가 불어넣어지는 취구(31)를 가리키고, 검은색으로 표시된 파지홀은 손가락으로 막혀지는 파지홀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카리나의 바깥측에 도시된 구멍은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의미한다.
낮은음 라를 연주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상부몸체(10)에 형성된 제1,2,3,4,5,6,7상부파지홀(51,52,53,54,55,56,57)과,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낮은음 시를 연주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상부파지홀(51)을 개방하며, 나머지 제2,3,4,5,6,7상부파지홀(52,53,54,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도를 연주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상부파지홀(51)(52)을 개방하고, 제3,4,5,6,7상부파지홀(53,54,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레를 연주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상부파지홀(51,52,53)을 개방하고, 제4,5,6,7상부파지홀(54,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미를 연주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4상부파지홀(51,52,54)을 개방하고, 제3,5,6,7상부파지홀(53,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파를 연주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상부파지홀(51,52,53,54)을 개방하며, 제5,6,7상부파지홀(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솔을 연주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상부파지홀(51,52,53) 및 제5상부파지홀(55)을 개방하며, 제4,6,7상부파지홀(54,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라를 연주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상부파지홀(51,52,53,54,55)을 개방하며, 제6,7상부파지홀(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시를 연주할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4,5,6상부파지홀(51,52,54,55,56)을 개방하고, 제3,7상부파지홀(53,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높은음 도를 연주할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상부파지홀(51,52,53,54,55,56)을 개방하며, 제7상부파지홀(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높은음 레를 연주할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상부파지홀(51,52,53,54,55,56) 및 제1하부파지홀(61)을 개방하며, 제7상부파지홀(57) 및 제2하부파지홀(62)을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높은음 미를 연주할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상부파지홀(51,52,53,54,55,56)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개방하고, 제7상부파지홀(57)을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파를 연주할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7상부파지홀(51,52,53,54,55,56,57)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모두 개방한다.
그 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에 제8상부파지홀(58) 및 제9상부파지홀(59)을 형성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7,8상부파지홀(51,52,53,54,55,56,57,58)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개방하고 제9상 부파지홀(59)을 손가락으로 막으면 높은파#을 연주할 수 있고, 또한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1,2,3,4,5,6,7,8,9상부파지홀(51,52,53,54,55,56,57,58,59)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모두 개방하면 높은 솔을 연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에 따르면 낮은음 라에서 높은음 파까지 13음정을 모두 낼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상부몸체에 제8,9상부파지홀(58)(59)를 형성할 경우에 높은파#와 높은솔까지 낼 수 있어 많은 음악 연주가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의 조립도로서, 도 1 내지 도 4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상부몸체에 대해 또 다른 실시예의 상부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원통형 오카리나는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제1,2,3,4,5,6,7상부파지홀(51,52,53,54,55,56,57)과 도 5에 도시된 제8,9상부파지홀(58,59) 대신에 제2,3,4,5,6,7,8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570,580)로 대체되고, 도3 및 도4에 도시된 제1,2하부파지홀(61)(62)에서 공간확장홈(61a)(62a)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들 중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상선(C)을 중심으로, 상부몸체(10)의 좌측 상부공간은 우측의 상부공간보 다 크다. 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몸체의 두께를 우측 상부몸체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부몸체(20)에는, 제1,2하부파지홀(61)(62)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2,3,4,7상부파지홀(520)(530)(540)(570)과;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8상부파지홀(550)(560)(580);을 포함한다.
다음, 도 1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원통형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오카리나의 운지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운지구멍을 파지하는 해당 손가락을 설명하면,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제2,3상부파지홀(520)(530)은 오른손의 중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이고, 제4상부파지홀(540)은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이며, 제7상부파지홀(570)은 오른손의 약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에 해당한다. 또한,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5상부파지홀(550)은 왼손의 중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이고, 제6상부파지홀(560)은 왼손의 검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이며, 제8상부파지홀(580)은 왼손의 약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에 해당한다. 또한, 하부몸체(20)의 제1하부파지홀(61)은 왼손의 엄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이고, 제2하부파지홀(62)은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이 파지하는 파지홀에 해당한다.
도 19에 도시된 원통형 오카리나에서, 낮은음 시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부몸체(10)에 형성된 제2,3,4,5,6,7,8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모두 막는다.
도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상부파지홀(520)을 개방하고, 제3,4,5,6,7,8상부파지홀(530)(540)(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레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상부파지홀(520)(530)을 개방하고, 제4,5,6,7,8상부파지홀(540)(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미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4상부파지홀(520)(540)을 개방하고, 제3,5,6,7,8상부파지홀(530)(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파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상부파지홀(520)(530)(540)을 개방하고, 제5,6,7,8상부파지홀(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솔을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5상부파지홀(520)(530)(550)을 개방하고, 제4,6,7,8상부파지홀(540)(560)(570)(580) 및 제 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라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상부파지홀(520)(530)(540)(550)을 개방하고, 제6,7,8상부파지홀(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시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4,5,6상부파지홀(520)(540)(550)(560)을 개방하고, 제3,7,8상부파지홀(53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도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6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을 개방하고, 제7,8상부파지홀(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레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6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 및 제1하부파지홀(61)을 개방하고, 제7,8상부파지홀(570)(580) 및 제2하부파지홀(62)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미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6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개방하고, 제7,8상부파지홀(570)(580)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파를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6,8상부파지홀(520)(530)(540)(550)(56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개방하고, 제7상부파지홀(570)을 해당 손가락으로 막는다.
높은음 솔을 연주할 경우, 취구(31)로 공기를 불어넣고, 제2,3,4,5,6,7,8상 부파지홀(520)(530)(540)(550)(560)(570)(580) 및 제1,2하부파지홀(61)(62)을 모두 개방한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오카리나는 운지구멍의 갯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연주가 가능하고, 낮은음 시에서 높은음 솔까지 13음정을 모두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에 따르면, 제1체결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제1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짐으로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용이하게 하나의 몸체로 정확히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카리나 제작시 가장 어려웠던 정확한 접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 보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카리나 내부에서 발광되는 발광체를 내장함으로써 밤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도 있고, 경량 및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목걸이 용도의 액세서리로도 활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오카리나에 따르면, 운지구멍의 갯수를 최소화시켜 연주에 필요한 운지구멍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미숙련자에서부터 숙련자에 이르기까지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낮은음 시에서 높은음 솔까지 연주가 자유스럽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볼트구조 또는 너트구조의 제1체결부(11)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몸체(10);
    하부공간(B)이 형성되고, 그 제1체결부(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구조 또는 볼트구조의 제2체결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호 체결된 상,하부몸체(10)(20)의 내부공간(AB)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31)가 형성된 마우스피스(30);
    상기 취구(31)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AB)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리구멍(40);
    상기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C)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파지홀; 및
    상기 마우스피스(30)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그 가상선(C) 양측의 하부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AB)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제1,2하부파지홀(6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의 제2체결부(21)의 내측으로 발광체(L)가 수납되는 수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상부몸체(10)의 좌측 상부공간은 우측 상부공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에는, 상기 제1,2하부파지홀(61)(62) 각각에서 상기 내부공간(AB)으로 넓어지도록 공간확장홈(61a)(6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기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1,2,3,4,7상부파지홀(51)(52)(53)(54)(57); 및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상부파지홀(55)(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8상부파지홀(58) 및 제9상부파지홀(5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파지홀은,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기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2,3,4,7상부파지홀(520)(530)(540)(570); 및
    상기 가상선(C)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부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엄지 및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8상부파지홀(550)(560)(5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오카리나.
KR1020060107057A 2006-07-28 2006-11-01 원통형 오카리나 KR100828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57A KR100828996B1 (ko) 2006-07-28 2006-11-01 원통형 오카리나
PCT/KR2006/004529 WO2008013338A1 (en) 2006-07-28 2006-11-02 A cylinder ocari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1208 2006-07-28
KR1020060071208 2006-07-28
KR1020060107057A KR100828996B1 (ko) 2006-07-28 2006-11-01 원통형 오카리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018A KR20080011018A (ko) 2008-01-31
KR100828996B1 true KR100828996B1 (ko) 2008-05-14

Family

ID=3898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57A KR100828996B1 (ko) 2006-07-28 2006-11-01 원통형 오카리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8996B1 (ko)
WO (1) WO2008013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98B1 (ko) * 2010-06-21 2014-04-04 안용학 오카리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6595B1 (en) * 2009-06-29 2010-10-19 Jordan Reder Dietrich Methods of constructing and tuning ocarinas
KR101390415B1 (ko) * 2013-06-17 2014-04-29 이일용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CN107945774B (zh) * 2017-11-16 2023-12-08 青岛天然秒品服装有限公司 海螺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93A (ko) * 2003-09-01 2005-03-11 양강석 오카리나와 그의 제작방법
KR20050039642A (ko) * 2003-10-22 2005-04-29 (주)색동 오카리나
KR20060017564A (ko) * 2006-02-09 2006-02-23 박봉규 오카리나가 구비된 페트병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93A (ko) * 2003-09-01 2005-03-11 양강석 오카리나와 그의 제작방법
KR20050039642A (ko) * 2003-10-22 2005-04-29 (주)색동 오카리나
KR20060017564A (ko) * 2006-02-09 2006-02-23 박봉규 오카리나가 구비된 페트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98B1 (ko) * 2010-06-21 2014-04-04 안용학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3338A1 (en) 2008-01-31
KR20080011018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996B1 (ko) 원통형 오카리나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EP2766898B1 (en) Detachable shaker
KR200435519Y1 (ko) 오카리나
KR20070111908A (ko) 더블취구 오카리나
JP3123274U (ja) リズム玩具
CN201163522Y (zh) 多功能葫芦丝
KR100849581B1 (ko) 오카리나
KR100798393B1 (ko) 오카리나
CN201017622Y (zh) 两用球形埙
JP3217921U (ja) バズィング練習器具及びトランペット練習セット
CN103177711B (zh) 一种双腔葫芦埙
JP2007522483A (ja) オカリナ
CN218740201U (zh) 趣味金箍棒玩具
CN220526574U (zh) 一种龙头埙
CN201138567Y (zh) 改良多孔葫芦丝
KR200285826Y1 (ko) 다양한 음의 발생이 가능한 농악용 금속제 타악기
CN100527221C (zh) 巴芦笛
CN109243410B (zh) 一种多功能乐器
JP2001109478A (ja) 二重壁を有するメガホン
KR200483189Y1 (ko) 소금용 마우스피스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소금
JPS5815997Y2 (ja)
JP3204070U (ja) 応援用の楽器
CN203706651U (zh) 一种带4音的葫芦丝
CN202042166U (zh) 发声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