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15B1 -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 Google Patents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15B1
KR101390415B1 KR1020130069121A KR20130069121A KR101390415B1 KR 101390415 B1 KR101390415 B1 KR 101390415B1 KR 1020130069121 A KR1020130069121 A KR 1020130069121A KR 20130069121 A KR20130069121 A KR 20130069121A KR 101390415 B1 KR101390415 B1 KR 10139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ocarina
musical instrument
character body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용
Original Assignee
이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용 filed Critical 이일용
Priority to KR102013006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15B1/ko
Priority to CN201310536449.5A priority patent/CN10422592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 관한 것으로,
입체적인 캐릭터 형상으로 되는 캐릭터 몸체부(10)와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오카리나 악기가 되는 악기부(30)를 포함하여, 상기 악기부(30)가 회동하면서 캐릭터 몸체(10)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드러나 연주할 수 있게 되어,
캐릭터 몸체부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캐릭터 몸체부의 상단에 별도로 부착하여 유아들이 캐릭터를 활용한 오카리나를 연주 시 캐릭터의 얼굴형상이 밖으로 정확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단조로운 오카리나를 벗어날 수 있으며, 캐릭터 몸체부의 하측이 개폐되면서 유아들에게 캐릭터의 형상과 함께 소리에 대한 호기심을 크게 불러일으키며 악기를 연주하는 즐거움과 함께 상상력을 이끌어 주는 효과를 발휘하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A CHARACTERS TOY COMBINED A OCARINA WITH TUNING COMPENSATION}
본 발명은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인기 있는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그대로 적용한 동물의 형상이나 뽀로로, 미키마우스, 헬로키티, 앵그리버드, 시양양 등 캐릭터 완구에 음정 보정부를 갖는 오카리나 악기가 내장된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청각은 인간의 오감 중 가장 먼저 어머니의 배 속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소리를 매개로 하는 음악은 아이에게 양질의 청각 자극을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도구가 된다. 이는 정서적 안정과 두뇌 발달, 사회성 발달 등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유아음악 교육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전통적인 유아 음악가들의 핵심 이론가인 칼오르프는 아이들이 눈으로 보기 전에 먼저 들려주어야 하고 이론을 알기 전에 먼저 직접 해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이들은 모방으로 따라하고, 따라 한 것을 기억하는 천부적인 능력을 타고났다. 특히 유아들의 빠른 반응을 보이는 캐릭터는 더욱 효과가 크다. 유아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 한국의 '뽀롱 뽀롱 뽀로로'의 경우는 어린이들의 '뽀통령'으로 불리며 캐릭터의 모든 것을 유아들은 모방하려 한다.
그러나, 인형과 관련하여 음성이나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있어왔다. 예로 인형의 배를 누르면 텍트스위치 등의 압력 스위치가 눌려져서 음성이나 멜로디가 발생되거나, 접촉센서를 내장하여 인형의 일정부분을 만지면 음성이나 멜로디가 나오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캐릭터 인형은 단순히 사용자에 대한 청각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이들 소형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키 등은 단조로운 형상과 배치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들 소형 음향기기는 단순히 그 외관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와 흥미에 대한 변화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캐릭터 인형에 오카리나 악기를 내장하여 악기를 연주하는데 있어서, 오카리나 악기 특성상, 소형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으므로, 오카리나 합주를 연주하는데 있어 음정 영역대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2855호(2010.07.29. 등록공고) (특허문허 2)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8943호(2008.11.17.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들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들의 목걸이에 캐릭터를 활용한 오카리나 악기를 통하여 유아들이 춤추고 노래할 수 있는 경험을 위한 유아음악 교육에 필요한 메로디 체험을 할 수 있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4가지 훈련인 따라하기, 빠른 반응 보이기, 대체 행동으로 반응하기, 연속적으로 반응하기에 대한 것과 손근육 강화 훈련, 오카리나 합주를 통한 협동심, 준법성 향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체적인 캐릭터 형상으로 되는 캐릭터 몸체부와 상기 캐릭터 몸체부의 뒷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오카리나 악기가 되는 악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악기부가 회동하면서 캐릭터 몸체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드러나 연주할 수 있게 되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를 제안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릭터 몸체부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캐릭터 몸체부의 상단에 별도로 부착하여 유아들이 캐릭터를 활용한 오카리나를 연주 시 캐릭터의 얼굴형상이 밖으로 정확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단조로운 오카리나를 벗어날 수 있으며, 캐릭터 몸체부의 하측이 개폐되면서 유아들에게 캐릭터의 형상과 함께 소리에 대한 호기심을 크게 불러일으키며 악기를 연주하는 즐거움과 함께 상상력을 이끌어 주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의 전체 구성도.
도 2은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의 조립도.
도 3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서 오카리나 악기를 사용하기 위해 악기부를 펼친 상태 사시도.
도 4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서 오카리나 악기를 사용하기 위해 악기부를 펼친 상태 배면 사시도.
도 5는 캐릭터의 커버부 내면에 장착되는 악기부의 조립사시도.
도 6은 캐릭터의 커버부 내면에 장착되는 악기부의 분해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첨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의 예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의 전체 구성도, 도 2은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의 조립도, 도 3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서 오카리나 악기를 사용하기 위해 악기부를 펼친 상태 사시도, 도 4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에서 오카리나 악기를 사용하기 위해 악기부를 펼친 상태 배면 사시도, 도 5는 캐릭터의 커버부 내면에 장착되는 악기부의 조립사시도, 도 6은 캐릭터의 커버부 내면에 장착되는 악기부의 분해된 분해사시도 이다.
삭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는 캐릭터 형상으로 되는 캐릭터 몸체부(10)와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에 결합되어 캐릭터 몸체부(10)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드러나는 악기부(30)를 포함한다.
캐릭터 몸체부(10)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인기 있는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서, 동물의 형상이나 뽀로로, 미키마우스, 헬로키티, 앵그리버드, 시양양 등의 형상으로 으로 되며, 내부가 비고 뒷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악기부(30)는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에 설치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0)는 판 형태로 된 커버부(20)가 마련되어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 상단의 힌지고정홈(15)에 좌,우 한쌍의 힌지핀(12)에 의해 일체형으로 회동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캐릭터 커버부(20)가 힌지연결되는 것이다. 이로써 악기부(30)가 캐릭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커버부(20)를 열고 닫음으로써 악기부(30)를 캐릭터 몸체부(10)에 수용시키거나 외부로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0)의 내측 중심부에는 오카리나 악기의 소리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의 캡(40)이 부착되어 소리공간부가 형성된다. 더불어 소리공간의 크기를 조정하여 음정을 조정할 수 있는 음정 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커버부(20)를 닫으면 소리공간부가 캐릭터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부(20)의 일측에는 원통형 캡(40)과 커버부(20)가 상호 체결된 소리공간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취구가 형성된 마우스피스(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구에서 나온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소리공간부에서 울림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커버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소리구멍(27)이 형성된다.
여기서, 마우스피스(28)는 그 끝단이 캐릭터 몸체부(10)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8)를 잡고 회동시켜 커버부(2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커버부(20)에는 상기 마우스피스(28)에서 연장되는 커버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리공간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파지홀(21)(23)(24)(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28)에서 연장되는 커버부(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통형의 캡(4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리공간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되는 제1,2하부파지홀(41)(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2하부파지홀(41)(42)은 각각 높은 레 및 높은 미를 연주할 수 있는 파지홀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연주를 할 때에는 마우스피스(28)를 잡고 커버부(20)를 회동시켜 악기부(30)가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8)를 입으로 물고 불면서 연주를 하게 된다. 상기 상부파지홀(21)(23)(24)(26)과 제1,2하부파지홀(41)(42) 등을 양손 손가락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면서 연주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주를 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부(20)를 닫아 악기부(3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정 보정부는 소리공간부에서 음정 영역을 축소시킬 수록 고음정을 내거나 또는 확대시킬수록 저음정을 낼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20)의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의 원주(29)가 형성되고, 상기 원주(29)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의 숫 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캡(40) 내측에는 상기 숫 나산과 대응하여 맞물리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암 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의 캡(40)과 커버부(20)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재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소리공간부에서 고음정, 중음정, 저음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20)의 내측 중심부에 원통형의 원주(29)가 형성되고, 상기 원주(29)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의 고음정 홈(29a), 중음정 홈(29b), 저음정 홈(29c)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캡(40) 내측에는 음정 조정에 따라 상기 음정 홈(29a)(29b)(29c)들에 대응하여 각각 안착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의 캡(40)과 원통형의 원주(29)는 합성수지재의 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형상으로 구성되는 캐릭터 완구에 원통형의 소형 오카리나 악기가 장착되어 원통형의 소형 오카리나 악기의 소리공간부에 음정(튜닝)을 조정할 수 있는 음정 조정부를 구비하여 음정 보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주곡에 맞는 음정을 선택하여 뛰어난 오카리나 합주가 가능케 된다.
상부파지홀은 가상선(A)을 중심으로 우측의 상기 커버부(2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오른손의 검지 및 중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1,2,3,4상부파지홀(21)(22)(24)(25) 및 가상선(A)을 중심으로 좌측의 상기 커버부(20) 상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왼손의 검지 및 중지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제5,6상부파지홀(23)(26)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파지홀(21)(23)(24)(26)은 각각 조합음을 낼 수 있는 조합파지홀이고, 상부파지홀(22)(25)은 각각 저음 시와 저음 라를 연주할 수 있는 파지홀이다.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 하단에는 상기 커버부(2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마우스피스(28)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 상단 중앙에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를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12) 체결고리(1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아들이 캐릭터를 활용한 오카리나를 연주 시 캐릭터의 얼굴형상이 밖의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릭터의 형상과 함께 소리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합주를 통한 협동심 및 준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10 : 캐릭터 몸체부 11 : 고리
12 : 힌지핀 15 : 힌지고정홈
20 : 커버부
23,26 : 제 5,6상부파지홀 27 : 소리구멍
28 : 마우스피스 29a : 고음정 홈
29b : 중음정 홈 29c : 저음정 홈
30 : 악기부 40 : 원통형 캡
41,42 : 제 1,2하부파지홀

Claims (5)

  1. 내부가 비고 뒷면이 개방되어 입체적인 캐릭터 형상으로 되는 캐릭터 몸체부(10)와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의 뒷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오카리나 악기가 되는 악기부(30)를 포함하여 상기 악기부(30)가 회동하면서 캐릭터 몸체(10)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드러나 연주할 수 있게 되되,
    상기 악기부(30)는 상기 캐릭터 몸체부(10)의 입구에 힌지로 연결되어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커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20)의 내측 중심부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공간부가 형성되어 커버부(20)가 닫히면 상기 소리공간부가 캐릭터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커버부(20)의 일측에는 상기 소리공간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마우스피스(28)가 캐릭터 몸체부(10)의 바깥으로 끝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28)를 잡고 커버부(20)를 열어 상기 악기부(30)부가 외부로 드러나 연주할 수 있게 되는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69121A 2013-06-17 2013-06-17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KR10139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1A KR101390415B1 (ko) 2013-06-17 2013-06-17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CN201310536449.5A CN104225925A (zh) 2013-06-17 2013-11-04 具有调音功能的陶笛乐器卡通玩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1A KR101390415B1 (ko) 2013-06-17 2013-06-17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15B1 true KR101390415B1 (ko) 2014-04-29

Family

ID=5065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21A KR101390415B1 (ko) 2013-06-17 2013-06-17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0415B1 (ko)
CN (1) CN1042259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5774B (zh) * 2017-11-16 2023-12-08 青岛天然秒品服装有限公司 海螺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018A (ko) * 2006-07-28 2008-01-31 이일용 원통형 오카리나
KR20090005562A (ko) * 2007-07-09 2009-01-14 이일용 판형의 오카리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43B1 (ko) * 2008-03-10 2008-11-17 (주)쉬운기술 전자 캐릭터 장신구
KR100972855B1 (ko) * 2009-11-30 2010-07-29 주식회사 잉카 엠피쓰리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CN203123567U (zh) * 2012-12-27 2013-08-14 祥缘有限公司 玩偶的挤压吐舌发声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018A (ko) * 2006-07-28 2008-01-31 이일용 원통형 오카리나
KR20090005562A (ko) * 2007-07-09 2009-01-14 이일용 판형의 오카리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5925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 Early listening skills
ES2773026T3 (es) Títere sonoro
KR101390415B1 (ko)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US20130324006A1 (en) Little Soothers
JP3128548U (ja) 飾り付き歯ブラシ
CN206040200U (zh) 一种双音手拍鼓
US20170050117A1 (en) Companion Doll
US6409572B1 (en) Big mouth doll
Guilbaud The might of play as possibility and power
CN202526897U (zh) 一种极具趣味性的布绒玩偶
Bergen How to become a ventriloquist
US904914A (en) Harmonica.
CN208097341U (zh) 一种幼儿交友魔方盒
CN219662860U (zh) 摇铃玩具
CN210495233U (zh) 一种球形投影仪
KR200399445Y1 (ko) 완구 유모차
JP3203066U (ja) 幼児玩具
JP3103341U (ja) 大型縫いぐるみ玩具
Burlingham Occupations and toys for blind children
KR20170008107A (ko) 교육용 블록 퍼즐 완구
JP3103342U (ja) ポーズ可変な猿の縫いぐるみ玩具
CN205699419U (zh) 音乐安抚羊
KR910004090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Huddy Out of the Box: Carnival of the Animals-Creative Learning Guide
Beckett Ultimate Speech Sounds: Eliciting Sounds Using 3D An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