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90Y1 - 동물완구의 발성기 - Google Patents

동물완구의 발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90Y1
KR910004090Y1 KR2019880011593U KR880011593U KR910004090Y1 KR 910004090 Y1 KR910004090 Y1 KR 910004090Y1 KR 2019880011593 U KR2019880011593 U KR 2019880011593U KR 880011593 U KR880011593 U KR 880011593U KR 910004090 Y1 KR910004090 Y1 KR 910004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ece
sound
induction pipe
tur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601U (ko
Inventor
최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드에이치
최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드에이치, 최규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드에이치
Priority to KR2019880011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090Y1/ko
Priority to JP5453689U priority patent/JPH0220593U/ja
Priority to DE8913400U priority patent/DE8913400U1/de
Priority to DE19893923400 priority patent/DE3923400A1/de
Publication of KR900002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63H3/31Bellows, cylinders or the like for sound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물완구의 발성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4a 도와 제 4b 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체크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제 4a 도는 공기흐름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 4b 도는 공기수장통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수장통 2 : 유도관
3 : 떨림편 4 : 발성기
5 : 캡 8 : 체크밸브
본 고안은 주로 봉재류된 동물완구에 쓰이는 발성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공기압에 의하여 칠면조 울음소리를 길게 낼 수 있도록 고안된 동물완구의 발성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동물완구로서 여러가지가 제안된바 있고 최근에는 첨단과학 소재 및 장치를 갖춘 완구류가 대량으로 소비자들에게 보급되어, 바야흐로 이러한 동물완구나 장난감을 직접 유희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에게는 더이상 바랄게 없는 완구풍성시대가 도래한 시점에서, 주로 어른들(제작자)의 입장만을 고려한 관점에서 호기심만을 자극하도록 고안된 각종 완규류, 예를들면 전자장비를 갖춘 각종 오락기구라든지 유아발육에 있어서 장애가 될 소지가 있는 외발뜀뛰기 운동기구나 사행심을 조장하게하거나 도박성이 짙은 게임관구등만이 시판보급되고 있어 이러한 완구류의 범람에 밀려서 어린이들에게 내재된 꿈과 창의성을 개발해 낼수 있는 완구류는 찾아 보기가 어려웠다.
또한 가장 간단한 제작에 의한 커다란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오랜 옛날부터 동물자체의 유순성과 포악성을 불문하고 우리 인간자신에게 친숙해질수 있도록 각종 동물들을 형상화한 동물완구가 보급되어 우리생활 깊숙히 자리잡고 이것이 어린이들에게 창의성, 꿈, 동료의식, 사랑등을 가르치는 매개물이 되고 이들을 인성에 함양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동물완구(대부분 봉재완구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음)의, 특히 봉재류로된 동물완구의 대부분이 시각적인 효과나 촉각적인 효과만을 강조한 것이어서 어린이들은 이러한 동물완구에 쉽게 싫증을 내게되어 거의 단기간용에 그쳐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청각에 예민한 어린이들은 아무런 소리도 내지 못하는 무반응의 동물완구(생명현상이 없는 실체로 인식)에는 더이상의 어떠한 기대도 가질수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됨에따라 어떠한 자극을 동물완구에 주었을때 그것이 활동을 하든가 유희성 있는 소리를 내든가 하여 반응을 보이는 동물완구(생명현상이 있는 실체로 인식)라야 만이 호기심의 대상으로서나 계속적인 유희의 대상으로서 선택될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봉재류 동물완구가 대부분 무반응의 완구이고 비록 어떠한 발성장치를 갖춘 동물완구가 제안되었다. 이들도 또한 그 소리가 매우 단순한 "삐-이", "붕"하는 것에 그쳐서 어린이나 유아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만족해 줄 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동물완구가 어린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현재 보급되고 있는 동물완구의 문제점을 각각 고려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복원력이 양호한 유연재로 되고 본체역할을 하는 공기수장통(1)의 상부에 캡(5)이 연결되어 있고 공기수장통(1)의 중간부위일측에 구멍을 뚫어 후술하는 단속볼(9)이 내장한 체크밸브(8)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캡(5)의 측면일부를 절개하여 소리구멍(6)으로 도시하였고 상기 캡(5)과 본체인 공기수장통(10)과의 연결은 공기수장통(1)의 상부를, 캡(5)의 지름과 대략 일치시킨 지름으로 연장되어 뽑아올린 연장관(1a)과 연장관(1a)의 내측에 끼워 맞춤된 유도판(2)의 상부면 테두리에 요설시킨 오목홈(2a')내에 캡(5)의 하단부가 끼워맞춤하므로서 연결되도록 하였고 이 유도관(2)이 연장관(1a)에 끼워맞춤함으로서 공기수장통(1)에 부착되도록 하였으며 캡(5)의 상면에 형성된 둥그런 구형체(5a)는 소리가 퍼저나가는데 영향을 주도록 하였고 캡(5) 내부를 울림실(5b)로 하여 칠면조 울음소리에 더욱 가깝게 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캡(5)과 유도관(2) 및 본체역할을 하는 공기수장통(1) 상부의 연장관(1a)과의 연결시에 공기의 효과적인 사용과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발성기(4)는 첨부도면 제 2 도의 분해사시도에서 표현하였는데, 여기에서 채택한 발성기(4)는 일측이 트여진 반원형의 발성판체(4a)와, 이 발성판체(4a)의 하면이 평면의 떨림판부(4a′)로 되어있으며 이 발성판체(4a)에 맞추어 포개지는 판형의 얇은 떨림체(4b)으로 구성한다. 발성판체(4a)와 떨림체(4b)은 발성기(4) 내측상부의 반을 폐쇄하고 있는 막음편(4d)에 의하여 발성기(4)내측면에 고정되며, 발성기(4) 외주면과 상부에 일체로 형성한 고정돌기(4c) (4c)로 상기 유도한(2)의 지지판(2b)중앙에 뚫린 구멍에 억지끼워 맞춤하므로서 발성기(4)가 고정되도록 한다.
유도관(2)은 이중관으로 되어 있는데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구분되는 중간부위가 지지판(2b)과 돌기형을 이루는 원형돌기(2c)를 형성하고 있어서 노즐(7)이 원형돌기(2c)에 끼워맞춤하므로서 노즐(7)이 유도관(2)에 고정되도록 하며 밀폐된 하부가 소공(2a)을 형성하고 있어 공기수장실(1′)내의 공기를 노즐(7) 및 노즐(7)에 연결된 떨림편(3)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노즐(7)은 일자형으로 된 노즐구멍(7a)을 형성하고 있고 하부가 상기 원형돌기(2c)와 끼워맞추어 지므로서 고정이 되고, 얇고 질긴 고무체로된 떨림편(3)의 하측을 고정하여 떨림편(3)이 떨림작용을 할때 떨림편(3)의 이탈방지 역할을 하도록 노즐구(7a)가 노즐(7)본체로 부터 길게 연장되어 있다.
떨림편(3)은 얇고 부드러운 재질의 에스(S)자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더우기 제 1 편(3b)과 제 2 편(3c)을 합하여 이루고 신축성이 양호한 것을 선택하면 본 고안에서 달성하고자하는 돼지울음소리를 보다더 사실감있게 낼수가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 3 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공기수장통(1)을 가상선의 상태로 외부에서 압박하게 되면 이 공기수장통(1)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 형상을 변화시켜 내부의 공기 수장실 (1′)의 체적을 줄어들게하므로 이 공기수장실 (1′)내에 있던 기체상태의 공기는 소공(2a)을 통하여 유도관(2)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발성기(4)를 통과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발성기(4)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생성과정을 설명하면 발성기(4) 내부로 들어온 다소 압축된 공기는 발성판체(4a)와 떨림체(4b)사이를 통과하게되고 이때 떨림체(4b)이 발성판체(4a)하부의 떨림판부(4a′)와 고속으로 마찰을 일으켜 진동하므로서 떨림작용이 일어나고 이떨림작용이 반복되어 "삐이∼"하는 고음이 나게된다(소리의 1차 발생).
이 공기가 그대로 노즐(7)내부로 유도되어 진행이 되는데 이 공기는 칠면조의 울음소리와 거의같은 파장을 갖는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어서 노즐구(7a)에서 내뿜어져 떨림편(3)내부를 통과할때에, 이 떨림편 (3)이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고 캡(5)내부의 기압은 정상 상태이기 때문에 센공기압(1차 발생된 소리로함한 공기)이 떨림편(3)내부를 통과하고 끝단의 떨림구멍(3a)으로 분사되면, 떨림편(3)로 표현한 바와같이 상하로 요동을 치게됨과 동시에 떨림편(3) 구성하는 두면 사이에서 고속의 떨림작용이 일어나 1차 발생된 소리를 흐트려뜨려서 「꾸르르르-륵」하는 소리가 반복하여 나게 된다(소리의 2차 발생).
즉, 떨림편(3)이 제 1 편(3b)과 제 2 편(3c)으로 이루어지고 그 두편(3b) (3c)사이가 평상시에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공기수장통(1)의 압박에 의하여 공기 수장실(1′)내의 공기가 제 1 편(3b)과 제 2 편(3c)사이를 통과하게 될때에 이 떨림편(3)은 자체형상이 에스(S)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떨림편(3)이 공기를 통과시키는 순간 순간마다 간혹 줄어들고 또는 늘어나서, 제 1 편(3b)과 제 2 편(3c)의 마찰에 의하여 칠면조 울음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 울음소리를 발음강세로 나타내면 [꾸 르 르 르 - 륵]이 된다.
이때 체크밸브(8)는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가 무단히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제 5a,b 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공기수장통(1)이 변형하여 공기수장실(1′)의 공기를 압축할때에 체크밸브(8)내의 단속볼(9)은 바깥쪽으로 이동[제 5a 도에서 실선상태]하여 체크밸브(8)의 구멍을 폐쇄하므로서 공기수장실(1′)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된다.
이러한 작용은 공기수장실(1′)내의 공기가 소공(2a)을 통과하여 그 상부의 노즐(7)내부를 통하여서만 외부로 배출이 되도록 하게 하므로서 칠면조 울음소리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노즐 (7)에서 발생한 소리는 캡(5)의 울림실(5b)에서 더욱 급하고 높은 소리로 변하므로서 칠면조 울음소리와 유사한 소리가 되어 소리구멍(6)을 통하여 외부로 퍼져나가 사용자들의 귀에 닿게 된다.
즉 유도관(2)하부의 소공(2a)이 그 지름이 매우 작으므로 통과하는 공기량을 적게 함과 동시에 일정량으로 공급하여 떨림편(3)에 작용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주고 떨림편(3)에서 나온공기(칠면조 울음소리와 유사한 파장이 포함된 공기)는 울림실(5b)에서 한번 회전하고 울리어 소리구멍(6)을 통하여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 소리는 다소 고음이고 비분절음이면서 높고 낮은 소리가 반복되는 소리이다.
한편, 유연재로된 공기수장통(1)에 작용시켰던 외력은 제거하게 되면 공기수장통(1)의 자체복원력에 의하여 원형대로 되돌아오고 체크밸브(8)내의 단속볼(9)은 제 3 도에서 실선으로, 제 6a 도에서 가상선으로 표현한 바와같이 이동을 하여 틈새(9a)를 통하여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므로서 발성에 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항상 자동적으로 공급해 줄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을 봉재완구인 칠면조에 적응시킨 것을 첨부도면 제 5 도에 도시하였다.
여기에서 채택한 봉재완구인 칠면조(T)는 제 5 도에서 도시한 형태를 어느정도 갖춘 탄력성 있는 통상의 내체(도시없음)에 봉재물인 외체를 씌웠고 내체안에 본 고안인 공기수장통(1)을 포함한 발성장치를 내장시킨 것이다.
이러한 칠면조(T)동물완구의 몸통부위를 압박하게 되면 두손으로 누르든가 가슴으로 껴안던가 하게 되면 공기수장통(1)의 형태가 변화하여 상술한 과정의 작용으로 칠면조울음 소리가 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어린이들이 쉽게 선택하고 친화될수 있는 동물인 칠면조를 형상화하여 만든 동물완구의 내부에,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할 수 있는 발성장치, 즉 칠면조 울음소리로 계속적인 유희감을 불어 일으킬 수 있으며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교육적인 효과를 줄수 있고 아무런 동력원도 필요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비가 들지 않고 동작이 손쉬워 누구라도 가지고 놀 수 있는등 경제적, 교육적으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기수장통(1)내로 저부에 소공(2a)이 뚫린 유도관(2)을 내장하고, 이 유도관(2) 내부 중간을 지지판(2b)과 원형돌기(2c)를 일체 성형하며, 이 원형돌기(2c)에 끼워맞춤되고 제 1 편(3b)과 제 2 편(3c)으로 이룬 떨림편(3)을 상부에 고정하는 일자형 노즐구(7a)가 형성된 노즐(7)을 유도관(2)내에 내장시키고, 구형체(5a)의 측면 일측에 소리구멍(6)이 뚫리고 내부를 울림실(5b)로 한 캡(5)을 유도관(2) 상부턱의 오목홈(2a′)에 끼워맞춤하면, 단속볼(9)을 내장한 체크밸브(8)를 상기 공기수장통(1)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하여 칠면조 울음소리를 낼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완구의 발성기.
KR2019880011593U 1988-07-16 1988-07-16 동물완구의 발성기 KR910004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93U KR910004090Y1 (ko) 1988-07-16 1988-07-16 동물완구의 발성기
JP5453689U JPH0220593U (ko) 1988-07-16 1989-05-15
DE8913400U DE8913400U1 (de) 1988-07-16 1989-07-14 Tonerzeugende Tierspielzeugpuppe
DE19893923400 DE3923400A1 (de) 1988-07-16 1989-07-14 Tierspielzeug mit tonerzeugender ein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93U KR910004090Y1 (ko) 1988-07-16 1988-07-16 동물완구의 발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01U KR900002601U (ko) 1990-02-06
KR910004090Y1 true KR910004090Y1 (ko) 1991-06-15

Family

ID=1927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593U KR910004090Y1 (ko) 1988-07-16 1988-07-16 동물완구의 발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0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01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8437A (en) Bubble dispensing doll
US6106358A (en) Biblical scripture doll
US5769682A (en) Squeezable plaything simulating humanoid figure
US5577723A (en) Squeezable toy ball
US6582274B1 (en) Noise making toy
US5348509A (en) Flying disk toy
US5803840A (en) Sound producing baseball bat
US4117626A (en) Sound-emitting toy flying saucer
KR910004090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US2826861A (en) Spinning toy
KR910004089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US6123598A (en) Hand held doll having pullstring driven jaws
KR910004088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KR910004087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KR910004086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US3534495A (en) Activatable doll
US6071169A (en) Doll having hiccupping feature
US3698128A (en) Amusement device producing sound with visual reinforcement
GB1566786A (en) Dill
US20010053651A1 (en) Talking numbers doll
US2723853A (en) Tumble toy
KR930007250Y1 (ko) 동물완구
KR101390415B1 (ko) 오카리나 악기 겸용 캐릭터 완구
KR940001780Y1 (ko) 완구 청진기
MXPA02011457A (es) Figura de jiguete transformable que tiene sonidos alternativ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