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62Y1 -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 Google Patents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62Y1
KR200165062Y1 KR2019990014518U KR19990014518U KR200165062Y1 KR 200165062 Y1 KR200165062 Y1 KR 200165062Y1 KR 2019990014518 U KR2019990014518 U KR 2019990014518U KR 19990014518 U KR19990014518 U KR 19990014518U KR 200165062 Y1 KR200165062 Y1 KR 200165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raditional
detachable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현 filed Critical 정동현
Priority to KR2019990014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단소(소금)나 대금등 목관으로 이루어진 전통악기의 일단에 음발생장치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킴으로서 전통음악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는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단소나 대금의 본체의 취구부의 반대측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지니며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착탈부; 착탈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단소나 대금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몸체에 내장되고 충전단자를 통하여 충전이 가능하며,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몸체에 내장되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저장하는 저장부;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원부와 저장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 그리고, 몸체에 내장되고 착탈부의 반대측 일단에 장착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내장된 연주음악을 듣고 나서, 전통악기를 연주할 수 있어서 전통악기의 우수성 및 전통 음악에 대한 대중참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문화관광상품이다.

Description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ith a device for producting sound}
본 고안은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소(소금)나 대금등 목관으로 이루어진 전통악기의 일단에 음발생장치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킴으로서 전통음악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는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에 관한 것이다.
단소(소금) 및 대금등 목관으로 이루어진 전통악기는 일명 피리라고도 하는 데, 입으로부터 본체로 불어넣는 공기가 대나무관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통과하면서 공명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명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체에는 일정한 공명소리를 발생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연주자가 손을 이용하여 이 구멍을 막거나 열음으로 해서 일정한 음을 내게 된다. 즉, 궁, 상, 각, 치, 우등 전통음악의 기본적인 5음계를 발생할 수 있도록 본체에 천공된 구멍을 손으로 열고 닫음으로서 연주가 이루어지게 된다. 단소 및 대금등은 그 소리가 저음역을 바탕으로한 단아하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각종 의식등에 널리 이용되고, 특히 단독으로도 예로부터 널리 연주되어진 우수한 악기이다.
이러한 전통악기가 서구의 음악체계가 보급되면서, 배우기가 힘들고 음악체계가 유사하지 않는등의 이유로 인하여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져 갔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전통음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외국인들이 전통음악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 현재는 전통음악이 재조명되고 이에 따라 잔소나 대금등 전통악기를 배우고자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단소나 대금등은 서양의 악기에 비하여 음을 발생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외국인의 경우에는 단소나 대금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청취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전통악기의 우수성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며, 참여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단소나 대금등의 본체의 일단에 그 악기의 소리가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 내장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는 음발생장치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반대중 특히 외국인의 경우에 내장된 연주음악을 듣고 나서, 전통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을 구비하는 전통악기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의 연결을 보여주기 위한 연결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2 : 취구부
104 : 연주구멍 200 : 음발생장치
201 : 충전단자 202 : 착탈부
204 : 전원부 206 : 저장부
208 : 스위치 210 : 스피커
211 : 몸체
상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소나 대금의 본체의 취구부의 반대측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지니며 고무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착탈부;
착탈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단소나 대금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몸체에 내장되고 충전단자를 통하여 충전이 가능하며,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몸체에 내장되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저장하는 저장부;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원부와 저장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 그리고,
몸체에 내장되고 착탈부의 반대측 일단에 장착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내장된 연주음악을 듣고 나서, 전통악기를 연주할 수 있어서 전통악기의 우수성 및 전통 음악에 대한 대중참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문화관광상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을 구비하는 전통악기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의 연결을 보여주기 위한 연결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악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소나 대금등의 일단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단소나 대금의 본체(100)는 연주자의 입이 접촉되어 바람이 들어가는 취구부(102)에서 불어넣는 공기를 조절하는 연주구멍(104)이 다수개 천공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200)는 취구부(102)의 반대방향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음발생장치(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는 단소나 대금의 본체(100)에 착,탈될 수 있도록 단소나 대금의 본체(100)의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고, 고무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착탈부(202)가 형성된다. 음발생장치(200)의 내부에는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단자(201)로부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전원부(204)가 형성되고, 전원부(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206)가 형성된다. 전원부(204)와 저장부(206)의 사이에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208)이 형성되며, 저장부(206)의 출력단이며 착탈부(202)의 반대편에는 전원부(204)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1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각 장치가 내장되는 음발생장치의 몸체(211)은 착탈부(202)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단소나 대금에 접합되었을 경우에 차이를 느낄 수 없도록 대나무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제작되고, 유지 및 관리의 필요에 따라 상부(212)를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저장부(206)는 메모리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피커(210)는 단소나 대금의 내측에 내장될 수 있도록 고출력마이크로 스피커(21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발생장치(2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소나 대금의 취구부(102)의 반대편에 부착하고 스위치(208)를 온시키면 전원부(204)의 전원이 메모리칩으로 이루어진 저장부(206) 및 스피커(210)에 인가되어 저장부(206)에 저장된 멜로디가 스피커(210)를 통하여 출력된다. 저장부(206)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연주음악이 저장될 수 있으며, 교육용 또는 상품용 용도에 따라 각기 다름 멜로디를 저장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음발생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을 듣고, 음발생장치(200)를 단소나 대금의 본체(100)에서 이탈시키면 본래의 단소나 대금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악을 청취할 수 도 있으며, 단소나 대금을 직접 연주할 수 도 있다.특히나, 단소 및 대금등의 연주는 흔히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본 고안 따른 음발생장치(200)는 상품 및 교육용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소나 대금등의 취구부 반대편에 악기의 소리가 내장된 음발생장치를 착탈할 수 있어서 일반대중에게 내장된 연주음악을 청취할 수 있고, 전통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교육용 및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단소나 대금의 본체(100)의 취구부(102)의 반대측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지니며 고무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착탈부(202);
    상기 착탈부(202)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상기 단소나 대금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지며 상부(212)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211);
    상기 몸체(211)에 내장되고 충전단자(201)을 통하여 충전이 가능하며,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4);
    상기 몸체(211)에 내장되며 상기 전원
    부(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저장하는 저장부(206);
    상기 몸체(2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전원부(204)와 저장부(206)의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208); 그리고,
    상기 몸체(211)에 내장되고 착탈부(202)의 반대측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부(204)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10)를 포함하는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6)는 메모리 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악기.
KR2019990014518U 1999-07-21 1999-07-21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KR200165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518U KR200165062Y1 (ko) 1999-07-21 1999-07-21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518U KR200165062Y1 (ko) 1999-07-21 1999-07-21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062Y1 true KR200165062Y1 (ko) 2000-02-15

Family

ID=1958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518U KR200165062Y1 (ko) 1999-07-21 1999-07-21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041B1 (ko) * 2000-04-28 2002-07-24 안경모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CN110599984A (zh) * 2018-06-12 2019-12-20 北京宏音斋民族文化发展中心 方便拆装活动笙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041B1 (ko) * 2000-04-28 2002-07-24 안경모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CN110599984A (zh) * 2018-06-12 2019-12-20 北京宏音斋民族文化发展中心 方便拆装活动笙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427B1 (en) Talking novelty device with book
US7842879B1 (en) Touch sensitive impact controlled electronic signal transfer device
US5471373A (en) Entertainment apparatus for use with a sucker type pop
JP2003157078A (ja) 電気ギター
US6454627B1 (en) Musical entertainment doll
US6297438B1 (en) Toy musical device
KR200165062Y1 (ko)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US8674207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10818277B1 (en) Enhanced electronic musical wind instrument
WO1997008681A1 (fr) Piano electronique pliable portatif
CN205810370U (zh) 一种手卷电子琴
CN205610748U (zh) 手机用音乐制作及播放装置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KR200249811Y1 (ko) 훌라후프
CN215653786U (zh) 模拟萨克斯玩具
US20070079409P1 (en) Motivational message tree
KR100303812B1 (ko) 멜로디 악기
CN207950639U (zh) 一种玩具音乐手提包
Walker We all came out of Africa singing and dancing and we have been doing it ever since
KR200269518Y1 (ko) 관악기와 현악기의 복합기능을 갖는 개량 악기
JP3068505U (ja) 手押式楽器
JP3074085U (ja) 折りたたみ鍵盤携帯ピアノ
KR200321889Y1 (ko)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RU57135U1 (ru) Матрешка русская музыкальная
RU2224301C2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