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41B1 -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 Google Patents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41B1
KR100346041B1 KR1020000022779A KR20000022779A KR100346041B1 KR 100346041 B1 KR100346041 B1 KR 100346041B1 KR 1020000022779 A KR1020000022779 A KR 1020000022779A KR 20000022779 A KR20000022779 A KR 20000022779A KR 100346041 B1 KR100346041 B1 KR 10034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olk
melody
reproducing apparatus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553A (ko
Inventor
안경모
Original Assignee
안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모 filed Critical 안경모
Priority to KR102000002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41B1/ko
Priority to KR2020000012157U priority patent/KR200199960Y1/ko
Publication of KR2001009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통 타악기로 이용되는 장구 내지 북을 축소된 모형구조로 형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되도록 하고, 특히 그 내부로 악기 고유의 원음발생을 위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내설되도록하여, 민속문화를 알리기 위한 민속 공예품 내지 관광 기념품 등으로서 그 이용범위를 확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멜로디 재생장치에 의한 고유의 원음 발생으로 물품에 대해 생소함을 갖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물품의 특징 및 사용 용도를 명확히 전달시킬수 있도록 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멜로디 재생장치로 부터 악기 고유의 원음을 출력되도록 함에 있어, 자석을 장착한 장구채 또는 북채의 자력과 마그네틱 스위치위의 접촉에 의해 실제 물품과 동일한 사용관계로서 음향효과를 출력되도록 하여 제품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그 사용관계에 있어 유희감 또한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한쌍의 울림통을 구비한 장구본체를 모형 장식구조로 형성하여 받침판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장구본체의 울림통 내에 외부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스위치 구조로서 신호입력장치를 형성시키고, 상기 신호입력장치와 단자연결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 출력기능을 행하는 음원칩을 장착한 음향재생장치를 형성시키며, 상기 음향재생장치와 단자 연결되어 상기 음원칩으로 부터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확산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형성시키고, 상기 신호입력장치와, 음향재생장치와,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받침판 내부에 전원부를 구성되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멜로디 재생 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The folk-craft of sound re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구 또는 북 등과 같은 민족 고유의 전통 타악기를 장식적인 물품형태로 소형화하고, 그 내부에 프로그램화 된 음향 재생수단을 내설되도록하여 사용자의 선택적인 제어작용에 따라 물품 고유의 음향효과를 출력되도록 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구 또는 북 등과 같은 우리 민족 고유의 타악기는 목재로 제작된 원통형의 몸체에 가죽소재로 이루어진 울림판을 장착시킨 구성으로, 이와같은 전통 타악기는 장구채 또는 북채에 의한 리듬감 있는 타격작용에 따라 울림판을 진동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박자형태로 소리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장구 또는 북 등과 같은 타악기는 민족 고유의 전통을 세계에 알릴수 있는 문화유산의 일종으로, 이와같은 장구 내지 북은 리듬을 맞추기 위한 단순한 타악기로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 문화를 대변하는 민속 공예품으로서의 가치 또한 충분히 갖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제작. 사용되어지고 있는 통상의 장구 내지 북은 단순히리듬에 따라 박자를 맞추기 위한 연주 수단, 즉 전통적인 타악기 자체로서만 그 용도가 한정되었던 것인바, 따라서 외국인 또는 일반인들이 전통 타악기인 장구 혹은북을 연주 목적이 아닌 기념품 내지 장식적인 민속 공예품 용도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악기구성 자체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부담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물품자체가 갖는 과다한 부피로 인해 장식 및 보관 상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못한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근래에는 전통 타악기인 장구 내지 북의 형상과 모양을 그대로 모방,축소하여 장식적인 효과만을 부각시킨 모형구조로서 각종 민속공예품이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축소된 모형 구조를 이루는 장구 내지 북 등은 실물과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이루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행하기는 하나, 이는 하나의 전통 악기로서 소리의 발생을 특징으로하는 물품 특성을 갖는 것인바, 이에 단순한 시각적인 효과만으로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제품 용도에 관한 의아심만을 자아내게 할 뿐 제품의 사용 용도 내지 그 제품이 타악기로서 어떠한 고유의 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결코 설명 할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상존 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실물과 동일한 전통적인 형상과 모양으로 시각적 호기심을 충족되도록 함과 동시에 물품이 갖는 특징적의 고유의 원음발생으로 청각적 호기심 또한 만족시킬수 있도록 한 민속공예품으로서의 장구 내지 북의 개발을 절실한 해결과제로 남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연주목적으로 이용되는 단순 기능의 전통 악기를 새로운 민속공예품으로 개선하여 상업성을 증대시키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 타악기로 이용되는 장구 내지 북을 축소된 모형구조로 형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되도록 하고, 특히 그 내부로 악기 고유의 원음발생을 위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내설되도록하여, 민속문화를 알리기 위한 민속 공예품 내지 관광 기념품 등으로서 그 이용범위를 확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멜로디 재생장치에 의한 물품 고유의 원음 발생으로 물품에 대해 생소함을 갖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물품의 특징 및 사용용도를 명확히 전달시킬수 있도록 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으로는 멜로디 재생장치로 부터 악기 고유의 원음을 출력되도록 함에 있어, 자석을 장착한 장구채 또는 북채의 자력과 마그네틱 스위치위의 접촉에 의해 실제 물품과 동일한 사용관계로서 음향효과를 출력되도록 하여 제품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그 사용관계에 있어 유희감 또한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한쌍의 울림통을 구비한 장구본체를 모형 장식구조로 형성하여 받침판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장구본체의 울림통 내에 외부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스위치 구조로서 신호입력장치를 형성시키고, 상기 신호입력장치와 단자연결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 출력기능을 행하는 음원칩을 장착한 음향재생장치를 형성시키며, 상기 음향재생장치와 단자 연결되어 상기 음원칩으로 부터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확산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형성시키고, 상기 신호입력장치와, 음향재생장치와,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받침판 내부에 전원부를 구성되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의 사시도
도 2는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향재생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장구본체 2 : 받침판 3 : 신호입력장치
4 : 음향재생장치 5 : 스피커 6 : 전원부
7 : 장구채 11 : 울림통 31 : 마그네틱 스위치
41 : 음원칩 61 : 축전지 71 : 자석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향재생장치의 상세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받침판(2)에 고정 설치되는 장구본체(1)를 형성하고, 이러한 장구본체(1)에 내설되는 구조로서 신호입력장치(3)와, 음향재생장치(4)와, 스피커(5)와, 전원부 (6)를 구비시키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구본체(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과 타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서 원통형을 취하는 한쌍의 울림통(11)을 상호 일체화 연결하여 구성한 것인바, 이와같은 장구본체(1)는 실제 악기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장구 구성과 상이함이 없는 것으로, 단지 그 크기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받침판(2)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하므로서 장식적인 모형구조를 취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입력장치(3)는 외부로 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를 후술하는 음향재생장치(4)로 전달되게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달수단으로서, 이와같은 신호입력장치(3)는 외부 자력접촉에 의해 개폐되며 그에 따라 작동관계를 제어할수있도록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마그네틱 스위치(31)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향재생장치(4)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각종 입출력 단자 (LED, OSC, Vcc,Vss, AUDIO, PA1, PA1, PA2등)와 트랜지스터(T) 등을 구비한 통상의 컨트롤 기판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와같은 음향재생장치(4)로는 장구 내지 북의 원음을 프로그램화 하여 저장시킨 음원칩(41)을 장착되도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은 음원칩(41)의 출력방식은 음원칩(41) 생산업체에서 지원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그 방식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5)는 전술한 음향재생장치(4)로 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외부로 확산 시키기위한 구성인바, 이와같은 스피커의 구성은 음향 확성수단으로 이용되는 통상의 스피커를 본 발명에 적합한 용량과 크기로 적용되게 하므로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6)는 전술한 마그네틱 스위치(31)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재생장치(4)를 작동시켜 스피커(5)를 통해 음향을 출력시키기는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이와같은 전원부(6)는 사용관계에 따라 탈,부착 교환사용이 가능한 축전지(61)를 장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과 구별되는 별도의 독립적인 물품형태로서 상기 신호입력장치(3)를 통해 작동신호를 전달하기위한 장구채(7)의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장구채(7)는 도 1또는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길이의 봉상체 구조로하여 하단부에 자석(71)을 장착되도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2도 도시된 바와같이 장구본체(1)의 울림통(11) 일측에, 먼저 신호입력장치(3)를 설치 한 후, 이러한 신호입력장치(3)의 후측으로 음향재생장치(4)를 단자 연결되도록 하여 입력신호를 전달할수 있도록 구성시킨다.
또한, 이와같은 상태에서 음향재생장치(4)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W)에 의해 스피커(5)와 단자연결되도록하고, 상기 음향재생장치(4)와 단자 연결된 스피커(5)를 타측 울림통(11)내에 장착시키므로서 그 결합관계를 갖게 하는 것으로, 이때 전원부(6)의 연결관계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인가선(61)에 의해 상기 음향재생장치(4)와 단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사용관계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식용으로 이용되는 장구본체(1)로 부터 장구의 원음을 출력시키고자 할 경우, 자석(71)을 장착한 장구채(7)를 신호입력장치(3)에 접촉시키게되면, 장구채(7)에 장착된 자석(71)의 자력작용에 의핸 신호입력장치(3)의 마그네틱 스위치(31)는 스위칭 동작되며 그 신호를 음향재생장치(4)에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를 전달받은 음향재생장치(4)는 각종 입출력 단자(LED, OSC, Vcc,Vss, AUDIO, PA1, PA1, PA2등)에 의한 제어작용으로서 음원칩(41)에 프로그램화 저장된 장구의 원음을 설정된 시간동안 스피커(5)를 통해 출력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장구의 원음을 연속하여 출력시키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장구채(7)를 재차신호입력장치(3)에 접촉시키므로서 연속적인 음향효과를 제공받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은 단순히 장구라는 단일 물품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또 다른 전통 타악기(북, 징, 꽹과리 등) 내지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거문고, 가야금 등)를 모형화하여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인 신호입력장치(3)와, 음향재생장치(4)와, 스피커(5)와, 전원부(6)를 장착하여 그 적용범위를 다양한 민속공예품으로 확대 시킬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은 전통 타악기로 이용되는 장구 내지 북을 축소된 모형구조로 형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되도록 하고, 특히 그 내부로 음향재생장치를 내설되도록 하여, 물품 고유의 원음을 재생가능토록 한 구성으로, 이는 민속문화를 알리기 위한 민속 공예품 내지 관광 기념품 등으로 그 이용범위를 확대되도록 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음향재생장치에 의한 고유의 원음 발생으로 물품에 대해 생소함을 갖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물품의 특징 및 사용 용도를 명확히 전달될수 있도록 하여 구매욕구를 증대킴과 더불어 유희감 또한 상승되게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한쌍의 울림통(11)을 구비한 장구본체(1)를 모형 장식구조로 형성하여 받침판(2)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장구본체(1)의 울림통(11) 내에 외부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스위치 구조로서 신호입력장치(3)를 형성하고, 상기 신호입력장치(3)와 단자연결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향 출력기능을 행하는 음원칩(41)을 장착한 음향재생장치(4)를 형성하며, 상기 음향재생장치(4)와 단자 연결되어 상기 음원칩(41)으로 부터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확산되게 하는 스피커(5)를 형성하고, 상기 신호입력장치(3)와, 음향재생장치(4)와, 스피커(5)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받침판(2) 내부에 전원부(6)를 구성되도록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장치(3)는 자석(71)을 장착한 장구채(7)의 자력 접촉에의해 스위칭 동작되도록 한 마그네틱 스위치(3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
KR1020000022779A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KR10034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79A KR100346041B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KR2020000012157U KR200199960Y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779A KR100346041B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57U Division KR200199960Y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553A KR20010099553A (ko) 2001-11-09
KR100346041B1 true KR100346041B1 (ko) 2002-07-24

Family

ID=196674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779A KR100346041B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KR2020000012157U KR200199960Y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57U KR200199960Y1 (ko) 2000-04-28 2000-04-28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6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89B1 (ko) * 2006-11-01 2008-03-20 박재준 Mp3 모듈이 내장된 회로 및 상기 회로를 이용한 수공예mp3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61U (ko) * 1994-07-23 1996-02-14 정영미 고점도 페인트 도장용 로울러
KR0135929Y1 (ko) * 1996-10-07 1999-02-01 임경준 장난감 바이올린
KR200170633Y1 (ko) * 1999-09-04 2000-02-15 홍건표 스피커 내장형 북
KR200165062Y1 (ko) * 1999-07-21 2000-02-15 정동현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61U (ko) * 1994-07-23 1996-02-14 정영미 고점도 페인트 도장용 로울러
KR0135929Y1 (ko) * 1996-10-07 1999-02-01 임경준 장난감 바이올린
KR200165062Y1 (ko) * 1999-07-21 2000-02-15 정동현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KR200170633Y1 (ko) * 1999-09-04 2000-02-15 홍건표 스피커 내장형 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89B1 (ko) * 2006-11-01 2008-03-20 박재준 Mp3 모듈이 내장된 회로 및 상기 회로를 이용한 수공예mp3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960Y1 (ko) 2000-10-16
KR20010099553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05903A1 (en) Synchronized multiple device audio playback and interaction
CA2220348A1 (en) A virtual music instrument with a novel input device
CN101515452B (zh) 数码键盘多弦鼓琴
US5135426A (en) Toy stringed instrument
KR100346041B1 (ko)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CN101676991A (zh) 多媒体概念吉他
JP3877981B2 (ja) 音声出力玩具
CN201378422Y (zh) 数码键盘多弦鼓琴
KR200239364Y1 (ko) 외부기기와 연결 사용되는 전자드럼
CN210516209U (zh) 一种智能电子琴及音乐教学系统
JP2766832B2 (ja) 楽器玩具
KR200142521Y1 (ko) 카라오케 그림책
US20230001316A1 (en) Melodiman musical toy figurine
CN207950639U (zh) 一种玩具音乐手提包
JP2001237915A (ja) 報知音生成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端末用アクセサリ
KR200324619Y1 (ko) 장식용시계
KR200270920Y1 (ko) Mp3 플레이어가 장착된 인형
KR200165062Y1 (ko) 음발생장치를구비하는전통악기
KR0135929Y1 (ko) 장난감 바이올린
US3126436A (en) Brass voice formant system for
AU733630B2 (en) A toy
KR200294525Y1 (ko) 피아노 완구
KR200287521Y1 (ko) 음향 재생기능을 갖는 목탁
JP3000626U (ja) 発音操り人形
JP3161934B2 (ja) 装飾体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