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21Y1 - 카라오케 그림책 - Google Patents

카라오케 그림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21Y1
KR200142521Y1 KR2019970005932U KR19970005932U KR200142521Y1 KR 200142521 Y1 KR200142521 Y1 KR 200142521Y1 KR 2019970005932 U KR2019970005932 U KR 2019970005932U KR 19970005932 U KR19970005932 U KR 19970005932U KR 200142521 Y1 KR200142521 Y1 KR 200142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picture book
melody generating
generating unit
generat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671U (ko
Inventor
히로유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다나카 하루오
가부시키가이샤 포푸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카 하루오, 가부시키가이샤 포푸라샤 filed Critical 다나카 하루오
Priority to KR2019970005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목적) 그림체 본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착탈자재로 수용한 유아 등의 음각교육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카라오케 그림책을 제공한다.
(구성) 그림책 본체(1)의 각 페이지(5)의 폈을 때 방해되지 않는 곳에 가요성 재료로 조성되는 틀체(7)를 돌설한다. 이 틀체(7)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8)를 착탈자재로 끼워 붙인다. 멜로디 발생유니트(8)는 케이싱(10) 표면에 배열된 곡목 선택 스위치(11)를 누름으로써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 멜로디 발생회로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멜로디 발생회로중에 마이크로폰(16)을 부설하여 멜로디발생 회로에서 연극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가성을 출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카라오케 그림책
본 고안은 그림책 본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 착탈자재로 수용할 수 있게한 카라오케 기능부착 그림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 등의 음감 교육에 유용한 카라오케 그림책에 관한 것이다.
그림책 본체 내부에 음발생회로를 내장시켜, 그림책 본체 표면부에 인쇄된 그림패널 등을 눌렀을 때 상기 음발생 회로가 작동하여 멜로디나 의음(擬音)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게 구성된 소리를 발생하는 그림책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소리를 발생하는 그림책에 따른 경우, 놀면서 자연스럽게 음악 등에 흥미를 갖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 표시된 그림패널을 누르면 그 그림 패널에 관련된 멜로디 등을 발생하게 구성된 음발생회로를 구비한 그림책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소리나는 그림책의 경우, 스피커에서 출력된 멜로디에 맞추어 단순히 노래를 부를 수는 있어도, 그 가성(歌聲)을 스피커를 통하여 반주음과 믹싱할 수 없어 흥미가 반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소리나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 본체 내부에 음발생 회로가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 그림책 본체에서 꺼내어 음발생 회로만을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멜로디 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가성을 동일 스피커에 얹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멜로디 발생회로를 수용한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그림책 본체에 착탈자재로 부착할 수 있게하여 종래의 이 종류의 멜로디 그림책의 결점을 해소한 카라오케 그림책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는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끼워붙일 수 있는 틀체를 돌설한 그림체 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그림책 본체에 돌설한 틀체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수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멜로디 발생유니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멜로디 발생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그림책 본체2: 등표지(背表紙)3: 표지
4: 뒤표지5: 페이지6: 곡목에 관한 정보
7: 틀체8: 멜로디 발생유니트9: 오목홈
10: 케이싱11: 곡목선택 스위치12: 전지전원
13: 멜로디 IC14: 증폭기15: 스피커
16: 마이크로폰17: 코드18: 오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술하면, 가사나 악보와 같은 곡목에 관한 정보를 인쇄표시한 다수의 페이지를 철한 그림책 본체와 그 그림책 본체를 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돌설한 가요성 재료로 되는 틀체와 그 틀체내에 착탈자재로 끼워붙인 멜로디 발생유니트로 구성되고, 상기 멜로디 발생유니트는 케이싱 표면에 배열된 곡목 선택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케이싱 내부에 설치한 전지전원, 멜로디 IC, 증폭기,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멜로디 발생회로가 작동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선택된 특정 멜로디가 연주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멜로디 발생회로 중에 마이크로폰을 접속하여 멜로디 발생회로에서 생기는 멜로디에 맞추어 가성을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라오케 그림책이다.
본 고안 카라오케 그림책에 따를 경우, 그림책 본체를 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돌설한 합성수지등, 가요성 재료로 되는 틀체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끼워붙여, 마이크로폰으로 가성을 입력할 수 있고, 멜로디 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멜로디를 반주음으로 하여 그 반주음과 가성을 믹싱할 수 있어, 매우 흥미 깊은 소리나는 그림책이 되는 것이다.
또, 그림책 본체의 틀체내에서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꺼낼 수 있으므로, 그림책 본체의 각 페이지에 인쇄표시된 악보나 가사에서 분리된 멜로디 발생유니트 단체(團體)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유아 등의 음각 교육에 대한 메리트를 가져올 수 있는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카라오케 그림책 구성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끼워붙일 수 있는 틀체를 돌설한 그림책 본체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는 그림책 본체에 돌설한 틀체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수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멜로디 발생유니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멜로디 발생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중 1은 그림책 본체이고, 그 그림책 본체(1)는 등표시(2)를 통하여 표지(3)와 뒤표지(4)가 이절(二折)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5는 그림책 본체(1)의 표지(3)가 뒤표지(4) 사이에 철한 복수매의 페이지이고, 그 각 페이지(5)에는 악보나 가사, 혹은 배경화 등의 곡목에 관련된 정보(6)가 인쇄표시되어 있다.
7은 상기 그림책 본체(1)에 있어서의 각 페이지(5)를 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곳, 즉,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뒤표지(4) 하측 스페이스내에 돌설한 합성수지 등, 가요성 재료로 되는 틀체이다. 그 틀체(7)는 후기하는 멜로디 발생유니트(8)를 착탈자체로 끼워붙이기 위한 것이므로, 끼워붙이기에 적당한 두께와 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단 틀체(7)내에 끼워붙인 멜로디 발생유니트(8)를 그림책 본체(1)에서 꺼내는데 손잡이가 되도록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체(7)의 긴변부에 오목홈(9, 9)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책 본체(1) 내부에 돌설한 가요성 재료로 되는 틀체(7)내에 착탈자재로 끼워붙인 멜로디 발생유니트(8)는 케이싱(10) 표면에 다수의 곡목 선택 스위치(11)를 배열해 있고, 희망하는 곡목 선택 스위치(11)를 누르면 케이싱(10) 내부에 설치한 멜로디 발생회로가 작동한다.
멜로디 발생회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전원(12), 멜로디 IC(13), 증폭기(14), 압전부저 등으로 되는 스피커(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곡목 선택 스위치(11)를 누르면, 선택된 멜로디에 관한 신호가 멜로디 IC(13)에서 출력되는 증폭기(14)에 의해 증폭되고, 압전부저 등으로 되는 스피커(15)를 통하여 정해진 멜로디가 연주된다.
16은 멜로디 발생회로중에 접속한 마이크로폰이고, 그 마이크로폰(16)은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코드(17)를 통하여 멜로디 발생회로 중에 수용되어 있으나, 그 마이크로폰(16)은 무선방식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이크로폰(16)은 불사용시에는 케이싱(10) 표면의 오목부(18)내에 격납할 수 있다.
기타,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케이싱(10) 표면에는 피아노음, 엘렉톤음 등의 모드셀렉트 스위치와 스피커 음량 조절스위치, 멜로디 발생회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 카라오케 그림책은 이와같은 구성으로 되고, 그림책 본체(1)의 각 페이지(5)에 인쇄표시된 곡목에 관한 정보(6)를 참조하면서 카라오케를 즐길 때는 그림책 본체(1)에 돌설해 있는 틀체(7)내에 멜로디 발생유니트(8)를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16)을 꺼내어, 희망하는 곡목 선택 스위치(11)를 누르면, 스피커(15)를 통하여 멜로디가 출력되므로 여기 맞추어 마이크로폰(16)에서 가성을 입력하면, 그 음성과 연주음이 믹싱되어 스피커(15)에서 함께 연주된다. 따라서, 피아노와 엘렉폰 등의 연주음에 맞추어 그 곡목의 가사를 보면서 동시에 노래부를 수 있어, 매우 흥미 깊은 소리나는 그림책이 되는 것이다.
또, 일단 가사 등을 기억해버렸을 때는 그림책 본체(1)에 돌설한 틀체(7)내에서 멜로디 발생유니트(8)를 꺼내어 그림책 본체(1)와는 관계 없이 카라오케를 즐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멜로디 발생회로에서 연주되는 연주음에 맞추어 마이크로폰에서 음성을 입력할 수 있어, 유아 등의 음감교육에 대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멜로디 발생유니트를 그림책 본체에서 꺼낼 수 있으므로 일단 가사등을 기억해 버렸을 때에는 그림책 본체와 분리하여 카라오케 연주를 즐길 수 있다.

Claims (1)

  1. 가사나 악보와 같은 곡목에 관한 정보를 인쇄표시한 다수의 페이지를 철하여 구성되는 그림책 본체와 그 그림책 본체의 각 페이지를 폈을 때 방해되지 않는 곳에 돌설한 가요성 재료로 되는 틀체와 그 틀체내에 착탈자재로 끼워붙이는 멜로디 발생유니트로 구성되고, 상기 멜로디 발생유니트는 케이싱 표면에 배열된 곡목선택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케이싱 내부에 설치한 전지전원, 멜로디 IC, 증폭기,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멜로디 발생회로가 작동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선택된 특정 멜로디가 연주되어 나오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멜로디 발생회로중에 마이크로폰을 접속하여, 멜로디 발생회로에서 생기는 멜로디에 맞추어 가성을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라오케 그림책.
KR2019970005932U 1997-03-27 1997-03-27 카라오케 그림책 KR200142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32U KR200142521Y1 (ko) 1997-03-27 1997-03-27 카라오케 그림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32U KR200142521Y1 (ko) 1997-03-27 1997-03-27 카라오케 그림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71U KR19980061671U (ko) 1998-11-16
KR200142521Y1 true KR200142521Y1 (ko) 1999-06-01

Family

ID=1949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932U KR200142521Y1 (ko) 1997-03-27 1997-03-27 카라오케 그림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565B1 (ko) * 2018-05-02 2019-11-08 주식회사 바니랜드 교육용 차량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71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2230A (en) Picture book
US5356296A (en) Audio storybook
US5856628A (en) Table-type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FI900026A (fi) Elektronisk spelanordning med pseudostereofoniska ljudbildningsmoejligheter.
US20060230913A1 (en)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that can be folded up and rolled up
KR200142521Y1 (ko) 카라오케 그림책
CN101676991A (zh) 多媒体概念吉他
JP2009003273A (ja) 電子鍵盤楽器
US8674207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8292738A (ja) 電子鍵盤楽器
KR200435886Y1 (ko) 학습용 피아노 완구
CN211699703U (zh) 一种带自动伴奏的电钢琴
JP3019343U (ja) カラオケ絵本
KR200412551Y1 (ko) 전자 하모니카
TWI709427B (zh) 發聲滑板裝置
RU2140102C1 (ru) Электронн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кубыз (варган)
KR100346041B1 (ko)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 공예품
JPS6142467Y2 (ko)
CN2294500Y (zh) 歌曲伴奏录音画本
CN2230956Y (zh) 书本式幼儿视唱音乐键盘
KR200353711Y1 (ko) 전자 하모니카
JPH0559481U (ja) カラオケ付きピアノ絵本
KR0113214Y1 (ko) 가라오케 반주장치
GB2397027A (en) Electronic tune game
KR0135929Y1 (ko) 장난감 바이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