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51Y1 - 전자 하모니카 - Google Patents

전자 하모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51Y1
KR200412551Y1 KR2020060001466U KR20060001466U KR200412551Y1 KR 200412551 Y1 KR200412551 Y1 KR 200412551Y1 KR 2020060001466 U KR2020060001466 U KR 2020060001466U KR 20060001466 U KR20060001466 U KR 20060001466U KR 200412551 Y1 KR200412551 Y1 KR 200412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te
harmonica
electronic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2020060001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4Tun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61Mouth control in general, i.e. breath, mouth, teeth, tongue or lip-controlled input devices or sensors detecting, e.g. lip position, lip vibration, air pressure, air velocity, air flow or air jet ang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211Spint harmonica, i.e. mimicking mouth operated wind instruments with multiple tuned free reeds, a.k.a. harmonica, blues harp, mouth organ, pitch pipe, ChengGo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모니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방식의 전자음이 메모리에 저장되어서 다양한 음을 요구하는 곡의연주를 용이하게 하는 전자하모니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숨에 따라 음의 입력부가 되는 음판, 상기 음판 상면에 부착하여 음판에서 입력된 신호를 각 조에 따라 설정된 신호로 변화하는 전자기판, 상기 전자기판에서 보내는 전자신호를 소리로 외부에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 상기 전자기판과 음향발생부에 전원을 부가하는 전원부, 상기 음판 및 전자기판과 음향발생부, 전원부를 수납하여일체화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의 전자하모니카는 증감기와 변조기를 사용하여 반음 내림 및 올림이 용이하며, 다양한 음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하모니카

Description

전자 하모니카 {Electronic harmony ca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하모니카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스위치접점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전자기판의 신호발생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음판 20:전자기판
30:스피커 40:배터리
50:케이스 51:기능버튼홈
52:연결단자홈 60:평판부
70:구획부 71:구획판
72:스위치접점부 73:리드
74:접지 80:지지부
90:제어부 91:음원처리기
92:증감기 93:변조기
100:믹싱부 101:리듬기
102:믹서 103:주파수발생기
104:트랜지스터 105:음량조절기
110:제어패널부 120:연결단자부
130:통공 131:음표시도
본 고안은 조의 변경이 용이한 하모니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방식의 전자음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양한 장조나 단조의 음을 요구하는 곡의 연주를 용이하게 하는 전자하모니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모니카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의 사람들이 사랑하고 연주하는 악기로서 제한없이 모든 곡을 연주할수 있으며 리드의 공명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켜 연주하는 악기로서, 이러한 하모니카의 종류로서는 합주나 트리오에서 베이스 부분을 담당하는 베이스하모니카, 베이스와 같이 합주나 트리오에서 쓰이는 반주악기인 코드하모니카,반음 내리거나 반음 올린 음으로 하모니카하나로 웬만한 음을 다 연주 할 수 있는 크로메틱하모니카, 한 옥타브(전음계)의 소리를 내는 다이어토닉하모니카, 양측에 두 홀드가 있고 보통 에코(echo)효과를 내는 트레몰로하모니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옥타브하모니카 등이 있다.이러한 하모니카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입을 하모니카의 구멍에 대고 악보상의 각 음에 따라 구멍을 이동하면서 숨을내쉬거나 숨을 들이마시는 동작을 반복하여 정확한 음을 내야하는 바, 하나의 곡을 연주하려면 기본적인 7음계(도, 레, 미, 파, 솔, 라, 시)와 각 음의 반음이 필요하며, 각 음의 음표에 따라 하모니카로 연 주시 반음 올림 및 내림이 가능하여야 하나 크로메틱하모니카를 제외하고는 단음만을 내어 곡을 연주함에 있어 단조로움이 있으며, 일반 하모니카로연주하기 위해서는 곡의 조를 변경(모든 곡을 다장조로 변경)하여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코드하모니카는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기타의 코드와 같이 하나의 화음(다장조는 도, 미, 솔, 도)을 냄으로 하나하나의 음을 낼 수 없어 합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따라서, 하모니카로 연주를 할 때 다장조 이외의 곡들은 반음을 올리거나 반음을 내릴 수 있는 크로메틱 하모니카를 이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의 크로메틱하모니카는 보통 하모니카의 두 세배의 가격차이가 있고 연주도중 슬라이드를 조작해야 해서 초보자에겐 연주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악보에 따라 반음 내림 및 올림이 용이하며, 다양한 음을 낼 수 있는 저렴한전자 하모니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의 입력부가 되는 음판, 상기 음판 상면에 부착하여 음판에서 입력된 신호를 각 조에 따라 설정된 신호로 변화하는 전자기판, 상기 전자기판에서 보내는 전자신호를 소리로 외부에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 상기 전자기판과 음향발생부에 전원을 부가하는 전원부, 상기 음판 및 전자기판과 음향발생부, 전원부를 수납하여 일체화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 함에 그 특징이 있다.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전자 하모니카의 분해도로서, 사용자의 숨을 입력받게 되는 음판(10)과, 상기 음판(10) 상면에 부착되는 전자기판(20)과, 상기 전자기판(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와, 상기 전자기판(20)에 구비되는 제어부(90), 제어패널부(110), 믹싱부(100), 연결단자부(120)와, 상기 전자기판(20)에서 발생되는 전자신호를 소리로 서 외부에 발생시키는 스피커(30), 상기 음판(10) 및 전자기판(20)과 스피커(30)를 수납하여 일체화하는 케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판(10)은 연주자가 숨을 내쉬거나 들이마심으로 인해 전기신호가 발생하는 곳으로서, 직사각형의 평판부(60),상기 평판부(60) 저면에서 음의 구분을 위한 구획부(70), 상기 구획부(70) 내에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접점부(72), 상기 평판부(60)를 케이스(50)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80)를 가진다. 상기 구획부(70)는 구획판(71)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구획판(71)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부(70) 내부에는 사용자의 숨의 내쉼과 들이마심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접점부(72)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스위치접점부(72)의 상세단면도로서, 상기 스위치접점부(72)는 리드(73)와 접지(7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획판(71)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부(70) 내부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리드(73)는 각각의 구획부(70)내 평판부(60)의 저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접지(74)는 첫 번째 구획부(70)에서는 리드(73)의 후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숨을 내쉼으로 리드(73)가 뒤로 젖혀지면 접지(74)에 접촉되며 전기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두 번째 구획부(70)내 스위치접점부(72)의 접지(74)는 리드(73) 전위에 위치하는데,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심으로 리드(73)가 앞으로 젖혀지면서 접지(74)에 닿으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다음 구획부(70)내의 접지(74)는첫 번째와 같이 리드(73) 후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지(74)는 구획부(70)내 리드(73)를 기준으로 전위 및 후위에 번갈아가며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숨을 내쉬거나 들이마실 때 한번에 두 신호가 발생하는 걸 방지한다. 상기 전자기판(20)은 상기 음판(10)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90),상기 제어부(90)에서 발생된 신호의 혼합 및 증폭을 위한 믹싱부(100), 상기 제어부(90) 및 믹싱부(100)로부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원, 전체음 및 선택음의 증음과 감음, 리듬, 톤, 음량 등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110), 상기 제어부(90) 및 믹싱부(100)에서 발생된 음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단자부(120)가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전자기판의 신호발생 흐름도이다.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스위치접점부(72)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입력받 는 음원처리기(91), 상기 음원처리기(91)에서 발생되는 전체음 및 선택음의 증음 또는 감음을 위한 증감기(92), 상기 음원처리기(91)나 증감기(9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여러 악기톤(피아노, 피리, 섹스폰, 바이올린)으로 변조하는 변조기(93)가 구비된다. 상기 음원처리기(91)는 상기 스위치접점부(72)에서 발생된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되어 있던 일반적인 하모니카의음(1번 구획부내 스위치접점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솔, 2번은 레, 3번은 도, 4번은 파, 5번은 미, 6번은 라, 7번은 솔,8번은 시, 9번은 도.......)을 발생시킨다. 상기 증감기(92)에 의해서 음원처리기(91)에서 발생되는 하모니카의 음은 각각의 장조나 단조에 의해서 전체음이 증음 또는 감음된 음(라장조에서는 파→파#, 도→도#, 바장조에서는 시→시b)이 출력이 되며, 선택하는 음만의 증음과 감음도 가능하다. 상기 믹싱부(100)에는 이미 입력된 반주리듬(디스코, 트롯, 홍키통키, 재즈)을 재생하는 리듬기(101), 음량조절을 위한 음량조절기, 상기 음원처리기(91)에서 발생되는 음과 리듬기(101)를 통해 재생되는 반주음악을 혼합하는 믹서(102), 상기 음원처리음이나 증감음 또는 믹서(102)에 의해 혼합된 음을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발생기(103), 상기 주파수발생기(103)의 주파수를 증폭하여 감도를 좋게 하는 트랜지스터(10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부(120)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위한 단자로서, 컴퓨터와 연결을 하여 미디작업을 위한 컴퓨터단자, 외부스피커로의 출력을 위한 외부스피커 연결단 자, 연주음의 저장을 위한 저장단자등이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30)는 음향출력부로서 트랜지스터(104)와 연결되어 음을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는 기본적으로 배터리(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터리(40)는 가정용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충전식 배터리(40)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어패널부(110)는 제어부(90)에 연결되어져 상기 전자기판(20)의 상부에 고정되며, 각 버튼(전원버튼, 전체음 및 선택음의 증음과 감음버튼, 톤버튼, 리듬버튼, 음량버튼)은 상기 케이스(50)의 상부에 돌출되는데, 전원버튼은 전원부, 전체음 및 선택음의 증음과 감음버튼은 증감기(92), 리듬버튼은 리듬기(101), 톤버튼은 변조기(93), 음량조절 버튼은 음량조절기(105)와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패널부(110)의 버튼을 누르면 각각의 기능이 작동된다.상기 케이스(50)는 상기 구획부(70)의 길이만큼의 전후면에 통공(130)이 존재하며, 상기 통공(130)의 전면상부에는내쉼으로 발생되는 음(도, 미, 솔)부분을 표시한 음표시도(131)가 있어서 초보자도 사용이 용이하며, 케이스(50) 후면은 상기 통공(13)과 동일선상의 면만 개방되며 그 상부는 폐쇄된다. 상기 케이스(50)의 상면부는 제어패널부(110)의 기능버튼(전원, 전체음 및 선택음의 증음 및 감음, 리듬, 톤, 음량)홈(51)들이 존재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50) 후면의 상부에는 연결단자(컴퓨터단자, 외부스피커 연결단자, 저장단자)홈(5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 하모니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전자하모니카 케이스(50) 상부에 위치한 전원버튼을 누르면 전자기판(20)은 배터리(4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진다. 그리고, 연주하고자 하는 곡의 악보를 확인한 후 곡의 장조(또는 단조)에 맞게 전체음 증음 및 감음버튼을 누르면 증감기(92)로 신호가 전달되어져 장조에 맞는 음을 설정한다.이후, 선택하는 일음에 대해서 증감음이 필요하면 선택음 증음 및 감음버튼을 누르면, 증감기(92)로 신호가 전달되어각 일음에 대해서 증감 또는 감음된 음이 발생된다.사용자가 악보에 맞추어 전자하모니카의 해당하는 구획부(70)에 숨을 내쉬거나 들이쉬면 상기 구획부(70)내의 리드(73)가 전위 또는 후위로 젖히며 접지(74)에 닿으면서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음원처리기(91)에 보내면, 상기 음원처리기(91)는 다시 전기신호를 주파수발생기(103)로 보낸 후, 랜지스터(104)를 거쳐 스피커(30)로 전달되며, 상기 스피커(30)에서 해당하는 음의 하모니카 음이 발생된다. 이때, 사용자의 입은 구획부(70)에 닿은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구획부(70)만 닿지 않고 인접한 다른 구획부(70)도 닿게 되는바, 지정된 구획부(70)에서 숨을 내쉴 때 음이 발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정된 구획부(70)에 숨을내쉴 때 인접된 다른 구획부(70)에도 숨이 들어가나 지정된 구획부(70)에 있는 리드(73)는 후위로 젖혀지면서 스위치접점이 일어나 지정된 음을 발생하고 인접된 구획부(70)에는 접지(74)가 전위에 있어 리드(73)가 후위로 젖혀져도 접지(74)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음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접된 구획부(70)의 소리를 내려면 사용자가 입을 움직여 숨을 들이마심으로서 상기 인접된 구획부(70)내의 리드(73)를 전위로 젖혀지게 하여서 리드(73)가 접지(74)에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구획부(70)에서 전기신호는 발생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기계식 하모니카의 연주방식대로 연주를 하면 음원처리기(91)에 입력된 각각의 음이 스피커(30)를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연주자가 악보를 보고 코드에 구애받지 않고 악보에 그려진 것을 다장조와 같이 연주하면서증감버튼작동으로 증감기(92)에 의하여 음의 증음이나 감음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증음되거나 감음된 소리가 발생한다. 그리고, 악보상에서 증음이나 감음이 필요치 않은 제자리표가 표시된 부분의 연주는 상기 제어패널부(110)의 증음버튼이나 감음버튼을 재차 눌러, 각 버튼에 연결된 증감기(92)의 작동에 따라 하모니카음은 감음되거나 증음시켜 제자리표에 맞는 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패널부(110)의 톤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음원처리기(91)나 증감기(9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변조기(93)에 입력되며 여러 악기(피아노, 피리, 섹스폰, 바이올린)의 소리로 변환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모니카음이나 다른 악기의 음으로 연주를 하면서 리듬(디스코, 트롯, 홍키통키, 재즈)을 삽입하고 싶으면, 리듬버튼을 누르면 리듬기(101)에서 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음원처리기(91)나 증감기(92)를 거친 음과 리듬기(101)에서 발 생되는 음은 믹서(102)에 의해 합쳐진 후, 스피커(30)로 리듬음과 연주음 두음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음들은 음량조절버튼에 의해서 음량의 크기가 조절가능하며, 연주하는 음은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하여 편집하거나, 외부스피커에 연결하여 출력음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저장단자를 저장장치와 연결하면 연주음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하모니카는 각각의 장조나 단조의 곡을 연주할 때, 증음이나 감음이 필요한 부분에 신경 써서 연주하지 않고 증음이나 감음이 필요없는 다장조와 동일하게 연주를 할 수 있으며, 증음이나 감음이 필요한 부분에는 증음기를 사용하여 반음 내림 및 올림된 음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조가 변경된 음이나 선택음을 변경하여 연주 할 수 있으며, 변조기를 사용함으로 다양한 음을 발생하는데 용이하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숨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판,상기 음판 상면에 부착되어 음판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전자기판,상기 전자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상기 전자기판에서 보내는 전자신호를 소리로 외부에 발생시키는 스피커,상기 음판 및 전자기판, 스피커, 배터리를 수납하여 일체화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판은 평판부, 구획부, 지지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판은 제어부, 믹싱부, 제어패널부, 연결단자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구획판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나뉘어진 구획부 내부에는 사용자의 숨의 내쉼과 들이마심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접점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접점부는 리드와 접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부 내부의 접지는 리드를 기준으로 전후에 걸쳐 번갈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원처리기, 증감기, 변조기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리듬기, 믹서, 주파수발생기, 트랜지스터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부는 컴퓨터단자, 외부스피커 연결단자, 저장단자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는 전원버튼, 전체음 및 선택음 증음과 감음버튼, 톤버튼, 템포버튼, 음량버튼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과 후면에 통공이 존재하며, 전면의 통공 상부에는 초보자도 연주가 용이하도록 음부분을 표시한 음표시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하모니카.
KR2020060001466U 2006-01-18 2006-01-18 전자 하모니카 KR200412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66U KR200412551Y1 (ko) 2006-01-18 2006-01-18 전자 하모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66U KR200412551Y1 (ko) 2006-01-18 2006-01-18 전자 하모니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51Y1 true KR200412551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466U KR200412551Y1 (ko) 2006-01-18 2006-01-18 전자 하모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25A (ko) 2016-03-14 2017-09-22 민부홍 전자 하모니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25A (ko) 2016-03-14 2017-09-22 민부홍 전자 하모니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WO2007055522A1 (en) Novel drum edutainment apparatus
WO2005048238A3 (en) Electronic tone generation system and batons therefor
US837820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irtu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N101676991A (zh) 多媒体概念吉他
US5065661A (en) Hand held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KR200412551Y1 (ko) 전자 하모니카
JP2009003273A (ja) 電子鍵盤楽器
KR200353711Y1 (ko) 전자 하모니카
JP2797648B2 (ja) カラオケ装置
CN203013233U (zh) 一种电子手风琴
JPH08328555A (ja) 演奏制御装置
JP2008299082A (ja) 響板付き電子鍵盤楽器
JPS6224311Y2 (ko)
Menzies New performance instruments for electroacoustic music
US20040011188A1 (en) Karaoke keyboard synthesized lyric maker
KR100303812B1 (ko) 멜로디 악기
KR102597777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CN212256893U (zh) 键盘以及电子乐器
WO2021146882A1 (zh) 键盘以及电子乐器
CN212256895U (zh) 电子设备
RU2140102C1 (ru) Электронн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кубыз (варган)
JP3205275U (ja) 楽器
KR20090130630A (ko) 주파수 비교 방법을 이용한 발성연습 보조기
KR200367847Y1 (ko) 오락용 전자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