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12B1 - 멜로디 악기 - Google Patents

멜로디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12B1
KR100303812B1 KR1019990021460A KR19990021460A KR100303812B1 KR 100303812 B1 KR100303812 B1 KR 100303812B1 KR 1019990021460 A KR1019990021460 A KR 1019990021460A KR 19990021460 A KR19990021460 A KR 19990021460A KR 100303812 B1 KR100303812 B1 KR 10030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s
modulator
present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941A (ko
Inventor
이영환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이영환
최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최종호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using generation of basic tones
    • G10H5/0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using generation of basic ton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s ac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로디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한 손으로 완전히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콤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여러 악기 소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부 건반(1,2,3,4,5)의 입력을 여러 악기의 소리로 변조하는 변조기(11)와, 변조음을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발생기(20)와, 상기 발생기(20)의 주파수를 증폭작용으로 전압, 전류의 진폭을 늘여서 감도를 좋게 하는 트랜지스트(30)와 외부로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크(40)와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여러개의 연결단자(50)와, 상기 음을 저장할 수 있는 읽기 쓰기가 가능한 저장부(60)와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로 구성되고 외형이 대략 한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계란 모양의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멜로디 악기{A melody instrument}
본 발명은 멜로디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한 손으로 완전히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콤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여러 악기 소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휴대하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는 하모니카, 피리 등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악기들은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면서도 자신이 가지는 고유의 소리만을 연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여러음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악기를 휴대하여야 하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출원인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콤팩트한 크기에 다섯 개의 음반을 마련하고 여러 악기음으로 변조할 수 있는 변조기를 부가하여 여러 악기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부가적으로 외부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여러단자를 마련하여 컴퓨터, TV,오디오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간략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2,3,4,5 : 건반 11 : 변조기
15 : 스피크 20 : 주파수 발생기
30 : 트랜지스트 50 : 연결단자
60 : 저장부 70 : 전원공급부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크기를 대략 한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계란 모양의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이에는 다섯 개의 건반1,2,3,4,5을 마련하여 화음을 만들 수 있는 음계를 형성토록 하며 본체10 일측에는 로타리식으로 되는 변조기11를 마련하여 상기 건반1,2,3,4,5에서 송출되는 화음의 여러 악기 소리로 변조하여 스피크15로 송출토록 한다.
상기 본체10 후방에는 본 발명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용 밧데리90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의 하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14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저면부12는 바닥에 세울 수 있게 평평하게 형성되며 이에는 외부기기와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여러개의 연결단자50가 구비되며 하단 일측방에는 고리부13를 형성한다.
본체10의 크기는 연령층에 맞도록 유아용, 성인용 등으로 제작하고 손가락이 닫는 부위에는 미끄럼방지용으로 얇은 고무(실리콘)를 덮어 먼지(이물질)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표면에 형광물질 등을 도포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하는 회로의 간략도이다.
상기한 외형으로 되는 본체10 내부에는 외부 건반1,2,3,4,5의 입력을 여러 악기의 소리로 변조하는 변조기11와, 변조음을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발생기20와, 상기 발생기20의 주파수를 증폭작용으로 전압, 전류의 진폭을 늘여서 감도를 좋게 하는 트랜지스트30와 외부로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크15와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여러개의 연결단자50와, 상기 음을 저장할 수 있는 읽기 쓰기가 가능한 저장부60와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조기11는 상기 건반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을 여러 악기의 음으로 변조하며 상기 변조기11의 변조된 음은 주파수 발생기20를 통하여 저장부60에 저장되며 상기 변조기11의 조작으로 저장부60에 저장된 내용을 스피크15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외형이 대략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콤팩트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체10에 형성되는 다섯개의 건반1,2,3,4,5으로 화음을 만들어내며 하나의 건반을 누르게 되면 건반1은 도, 건반2는 레, 건반3은 미, 건반4는 파, 건반5는 솔이며, 두개의 건반을 동시에 누를 경우 건반1,2는 라, 건반3,4는 시, 건반1,5는 높음레이며 건반1,2,5는 높은 미이고 모든 건반을 동시에 누를 경우에는 높은 도의 음이 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건반1,2,3,4,5 일측에 있는 변조기11를 통하여 여러 가지 악기소리(피아노, 첼로, 하모니카, 피리 등)를 선택하여 연주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이때 변조기11는 상기 기능 이외에 저장부60에 내용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송출하는 기능키 이기도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연결단자50는 컴퓨터단자51, 타 멜로디 악기 연결단자52, 외부스피크 연결단자53, 저장단자54로서 하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컴퓨터 단자51는 자신이 컴퓨터를 통하여 여러 형태의 음을 변조하여 입력하거나 멜로디악기에서 연주되는 음향을 컴퓨터에 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타 멜로디악기 연결단자52는 여러대의 멜로디 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타 멜로디악기에 연결하여 여러 대를 하나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되어 이중창은 물론 삼중창, 사중창도 가능하도록 되었고, 여러 대를 연결만 하면 한 화음으로도 연주할 수 있도록 되어서 한 가족, 친구, 음악인들에게도 한 화음이 아니라 여러 연결단자52에 연결하여 합창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에는 전자올겐에 연결하여 올겐건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멜로디악기의 음반으로서 전자올겐을 연주할 수도록 하였다.
외부스피크 연결단자53는 외부스피크를 통하여 멜로디음을 송출할 수 있는기능을 가지며 이에는 개인이 쉽게 휴대하여 사용하는 이어폰을 삽입하여 소음이 심한 곳이나 주위 사람에게 방해를 주어서는 안될 장소 등에서 이어폰을 연결하여 멜로디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를 하거나 저장된 내용물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저장단자54는 외부기기(TV,라디오등)에 연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음을 멜로디악기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 단자에는 는 외부의 소리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아답타 연결단자5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충전밧데리9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같이 여러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외부에 형광물질 야간에도 식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그리고 본체 하단 일측방에 고리80를 두어 악세사리를 이용한 어디에든지 걸 수 있게 되어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60를 사용하여 자신이 즐겨듣는 노래 등을 저장하였다가 변조기11의 조작을 통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저장하였다가 수시로 들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악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위치14를 조작하여 밧데리9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콤팩트한 크기에 다섯 개의 음반을 마련하고 여러 악기음으로 변조할 수 있는 변조기를 부가하여여러 악기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부가적으로 외부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여러 단자를 마련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효과 이외에도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이를 널리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어린이들에게 보급할 경우에는 음악에 보다 친근감을 가지게 되어 정서적으로도 안정을 취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외부 건반1,2,3,4,5의 입력을 여러 악기의 소리로 변조하는 변조기11와, 변조음을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발생기20와, 상기 발생기20의 주파수를 증폭작용으로 전압, 전류의 진폭을 늘여서 감도를 좋게 하는 트랜지스트30와 외부로 소리를 송출하는 스피크15와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여러개의 연결단자50와, 상기 음을 저장할 수 있는 읽기 쓰기가 가능한 저장부60와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로 구성되고 외형이 대략 한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계란 모양의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악기.
KR1019990021460A 1999-06-04 1999-06-04 멜로디 악기 KR10030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60A KR100303812B1 (ko) 1999-06-04 1999-06-04 멜로디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60A KR100303812B1 (ko) 1999-06-04 1999-06-04 멜로디 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41A KR20010001941A (ko) 2001-01-05
KR100303812B1 true KR100303812B1 (ko) 2001-11-01

Family

ID=1959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60A KR100303812B1 (ko) 1999-06-04 1999-06-04 멜로디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3812C (zh) * 2006-07-12 2008-12-17 福建工程学院 回风调温轿车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62Y1 (ko) * 2007-03-28 2008-06-19 박중건 음악 연주 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3812C (zh) * 2006-07-12 2008-12-17 福建工程学院 回风调温轿车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41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006B1 (en)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piano
US6605765B1 (en) Acoustic guitar with internally located cassette tape player
US20080156180A1 (en) Guitar and accompaniment apparatus
US7842879B1 (en) Touch sensitive impact controlled electronic signal transfer device
US837820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irtu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US20060230913A1 (en)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that can be folded up and rolled up
KR100303812B1 (ko) 멜로디 악기
CN101676991A (zh) 多媒体概念吉他
US5065661A (en) Hand held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ES2202464T3 (es) Piano electronico plegable y portatil.
CN207441227U (zh) 一种乐器蓝牙适配器
CN210606599U (zh) 一种原声乐器音效增强装置
US20020053276A1 (en) Electronic guitar with its keys arranged in complex array
CN201117289Y (zh) 浴室音乐播放装置
KR101964004B1 (ko) 휴대용 전기기타
CN216119521U (zh) 智能卡林巴拇指琴
CN203192255U (zh) 乐器教育装置
CN203013233U (zh) 一种电子手风琴
CN211699702U (zh) 一种乐队琴
KR200412551Y1 (ko) 전자 하모니카
KR20080085340A (ko) 촉각 센서를 이용한 핑거탭 전자 악기
CN216817800U (zh) 一种电子乐器
KR200353711Y1 (ko) 전자 하모니카
TWI314721B (ko)
CN212084645U (zh) 一种带有同步录音播放功能的共振吉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