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62Y1 - 음악 연주 완구 - Google Patents

음악 연주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62Y1
KR200440562Y1 KR2020070005068U KR20070005068U KR200440562Y1 KR 200440562 Y1 KR200440562 Y1 KR 200440562Y1 KR 2020070005068 U KR2020070005068 U KR 2020070005068U KR 20070005068 U KR20070005068 U KR 20070005068U KR 200440562 Y1 KR200440562 Y1 KR 200440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grasped
input unit
soun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건
Original Assignee
박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건 filed Critical 박중건
Priority to KR2020070005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62Y1/ko
Priority to PCT/KR2008/001509 priority patent/WO200811795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8Practice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6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21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 G10H2210/026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for games, e.g. video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1Hybrid piano, e.g. combined acoustic and electronic piano with complete hammer mechanism as well as key-action sensors coupled to an electronic sound generator

Abstract

본 고안은 음악 연주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이렇게 움켜쥔 상태로 휴대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입력 유닛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하거나 춤을 추거나 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한 손 조작 타입(one-handed)의 음악 연주 완구에 관한 것이다.
게임기, 스피커, 연주, 완구, 음악, 입력 유닛, 한 손 조작, one-handed

Description

음악 연주 완구{Toy of playing music}
도 1 내지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10', 10" : 보디 12 : 경사부
12p : 턱 14 : 홈
20 : 메모리 30 : 입력 유닛
40 : 프로세서 50 : 출력 유닛
52 : 스피커 54 : 외장형 송신기
본 고안은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한 손으로 움켜쥐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음악 연주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음악 연주 완구라 함은 단순히 음향이 출력되는 장난감만이 아닌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입력 유닛을 조작하면 음향이 출력되는 게임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근래에 들어 멀티미디어(multimedia, 다중 매체) 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의 음향에 대한 욕구는 더욱 높아졌다. 특히 이는 음악 등을 사람들로 하여금 단지 수동적으로 듣게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직접 참여하여 연주하거나 창작하거나 하기 위한 기기 등의 발달로 이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기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음악 연주 게임기가 있는데, 이 게임기에 대한 것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01057(이하, 종래기술1)에 게시되어 있다. 공보에 따르면, 종래기술1은 손과 발로 조작하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바, 손으로 조작하는 입력 수단으로는 디스크나 건반 모양의 키(key) 등이 적용되고, 발로 조작하는 입력 수단으로는 페달 모양의 키 등이 적용된다.
이 밖으로는 기타(guitar)ㆍ드럼ㆍ피아노 등의 악기를 본뜬 현악기 완구, 타악기 완구, 건반악기 완구 등이 있고, 이러한 완구 중 둘 이상을 하나로 결합한 형태의 완구 등이 있다. 이들 악기 완구(이하, 종래기술2)는 대개 그 작동 방식이 해당 악기의 연주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2의 예>
피아노 완구 : 피아노 모양의 보디, 이 보디에 구비된 건반 모양의 키,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키를 조작하면 스피커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됨.
그러나 살펴본 바와 같은 기기 중에서, 종래기술1은 그 부피가 커서 휴대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공간을 할애하여 여기에 설치하여 놓고 사용하여야 하며, 그 조작에 양손과 발이 다 필요하므로 춤을 추는 등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사용하는 데 커다란 제약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2의 경우에는 종래기술1과 비교하여 볼 때 전반적으로 그 부피가 작기는 하지만, 그래도 큰 편에 속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였고, 또 대부분이 종래기술1과 마찬가지로 양쪽 손을 다 이용하여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작하면서 손을 이용한 다른 행동이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손으로만 움켜쥔 상태로 소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 같이 움켜쥔 상태에서 이 움켜쥔 손만으로 입력 유닛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 입력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하거나 춤을 추거나 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는, 즉 한 손 조작 타입(one-handed)의 음악 연주 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이렇게 움켜쥔 상태로 휴대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디는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굵기가 움켜쥔 손의 검지 측에서 소지 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소지가 위치되는 쪽 끝 부분에 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디는 움켜쥔 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이 손의 손가락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놓이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유닛은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유닛은 2개가 구비되어 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엄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입력 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2개의 입력 유닛 중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것은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유닛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디의 한쪽 끝 부분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거나 상기 보디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 유닛은 음향을 외부 기기로 보내는 외장형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이렇게 움켜쥔 상태로 휴대 가능한 길이를 가진 보디; 복수의 사운드 소스가 군(群)으로 하여 복수 개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 중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버튼;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 중에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버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군에 속하는 복수의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버튼; 상기 제1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군에 속하는 복수의 사운드 소스 중에서 조작된 제2버튼에 대응하는 사운드 소스를 이 제2버튼이 조작되어 있는 동안 추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추출하는 사운드 소스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이 중에서 도 1은 한 손으로 움켜쥐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와 3은 각도를 달리하여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이하, 제1실시예)는 보디(10), 사운드 소스(sound source)가 복수 개 저장된 메모리(20), 보디(1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입력 유닛(30), 이 입력 유닛(20)의 조작에 따라 메모리(20)에서 해당하는 사운드 소스를 추출하는 프 로세서(processor)(40), 이 프로세서(40)가 추출하는 사운드 소스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5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디(10)는 대략 사각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바,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소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굵기(예를 들어, 약 16㎝)를 가지도록 전체가 일정한 굵기로 형성된다. 또한 이 같이 움켜쥔 상태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예를 들어, 약 1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보디(10)는 설명한 바와 달리 반드시 사각 막대 모양이어야 하는 이유는 없다. 즉 그 모양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한쪽 손으로 움켜쥐고 휴대할 수 있는 크기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보디(10)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그 전체가 아닌 그 일부만이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20)는 4개의 사운드 소스가 군(群)으로 하여 5개 저장되고, 이 각 군의 사운드 소스는 각각 일정한 시간 동안 연주되는 서로 다른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사운드 소스로는 리듬(rhythm), 멜로디(melody), 비트(beat), 효과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위의 각 군을 리듬 뱅크(rhythm bank)라 칭하기로 한다.
입력 유닛(30)은 복수 개의 뱅크 버튼(32), 복수 개의 소스 버튼(34) 등으로 이루어진다. 뱅크 버튼(32)은 5개가 구비되는데, 이들 각각은 각 리듬 뱅크와 대응하여 이 리듬 뱅크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소스 버튼(34)은 4개가 구비되는데, 이들 각각은 뱅크 버튼(32)에 의하여 선택이 된 리듬 뱅크에 속하는 각 사운드 소스와 대응하여 이 사운드 소스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력 유닛(30)은 한 손으로 보디(10)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만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움켜쥔 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바, 뱅크 버튼(32)은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 엄지(엄지손가락)가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소스 버튼(34)은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또 이처럼 배치되는 뱅크 버튼(32)과 소스 버튼(34)은 둘 모두 보디(10)를 움켜쥔 사용자의 손 크기에 관계없이 이 뱅크 버튼(32)과 소스 버튼(34)에 손가락이 닿아 조작할 수 있도록 보디(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한편 설명한 바와 같은 입력 유닛(30)은 적어도 하나의 홀드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홀드 버튼은 조작 중이던 뱅크 버튼(32)과 소스 버튼(34)의 조작을 중단하더라도 이 뱅크 버튼(32)과 소스 버튼(34)을 조작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세서(40)는 뱅크 버튼(32)에 의하여 선택된 리듬 뱅크에 속하는 복수 개의 사운드 소스 중 조작이 된 소스 버튼(34)에 해당하는 사운드 소스를 이 소스 버 튼(34)이 조작되어 있는 동안 추출한다. 이때 조작이 되는 소스 버튼(34)은 복수일 수 있다. 즉 일례로 2개의 소스 버튼(34)이 동시에 조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출력 유닛(50)은 스피커(52) 또는 송신기(54)를 포함하거나 이 스피커(52)와 송신기(54) 둘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피커(52)의 경우, 보디(10)의 한쪽 끝 부분에 구비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음향을 스테레오(stereo)로 듣는 것이 가능하도록 끝 부분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송신기(54)의 경우에는 음향을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데, 보디(10)의 다른 쪽 끝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2.4㎓ 대역의 주파수로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장형 송신기, 즉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일 수 있다. 또는 음향을 FM 라디오 주파수에 실어 외부 기기(오디오 시스템 등)에 전송하는 타입으로 보디(10) 안에 설치된 내장형 송신기일 수 있다. 물론 외장형 송신기와 내장형 송신기 둘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보디(10)는 외장형 송신기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 부분에 커넥터(connector)가 구비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보디(10)가 한 손으로 움켜쥐고 휴대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고 또 이렇게 보디(10)를 한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입력 유닛(3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 입력 유닛(30)이 보디(10)를 움켜쥔 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므로,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같이 사용 하면서 춤을 추거나 다른 손으로는 입력 유닛(30)의 조작 이외의 행위를 하거나 하는 것 등이 자유롭다.
다음에서는 제1실시예에 의한 음악 연주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정 상항>
아래의 표와 같은 4가지의 상이한 랩뮤직(rap music)으로 된 사운드 소스 1, 2, 3, 4가 리듬 뱅크 1에 저장되어 있음.
<표>
Figure 112007024290930-utm00001
위와 같이 가정한 상황에서, 리듬 뱅크 1이 선택되도록 뱅크 버튼(32)을 조작하고, 사운드 소스 1, 2, 3, 4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소스 버튼(34)을 각각 8 초 동안 조작하면, 처음 8초는 "사랑해요 당신만을"이, 다음 8초는 "내 사랑 그대여"가, 그 다음 8초는 "영원히 사랑해"가, 다음 8초는 "기억해요"가 출력된다. 즉 "사랑해요 당신만을 / 내 사랑 그대여 / 영원히 사랑해 / 기억해요"라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조작하는 과정 중에 사운드 소스 1이 선택된 상태로 홀드 버튼을 조작하면, "사랑해요 당신만을"이라는 음향이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가운데 "내 사랑 그대여 / 영원히 사랑해 / 기억해요"라는 음향이 출력된다.
다른 예로, 사운드 소스 3을 5초 동안 선택한 후 사운드 소스 4를 5초 동안 선택하면, "영원히 / 기억해"라는 음향이 출력된다.
또 다른 예로, 사운드 소스 1을 2초 동안, 그리고 다시 사운드 소스 1을 2초 동안 선택한 뒤 사운드 소스 2를 4초 동안 선택하고, 또 사운드 소스 4를 8초 동안 선택하면, "사랑 / 사랑 / 내 사랑 / 기억해요"라는 음향이 출력된다.
또 다른 예로, 사운드 소스 1을 8초 간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사운드 소스 2, 3, 4를 각각 순차적으로 2초 동안 선택하면, "사랑해요 당신만을"이라는 음향이 출력되는 가운데 "내 / 영원 / 기"라는 음향이 출력된다. 즉 "사랑해요 당신만을"과 "내 / 영원 / 기"가 함께 출력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사운드 소스 1을 16초 동안 선택하면, "사랑해요 당신만을"이 2번 반복하여 출력된다.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각 리듬 뱅크가 각각 4개의 사운드 소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메모리(20)는 총 20가지의 서로 다른 사운드 소스를 가지며, 이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소스를 서로 조합하는 것으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느낌의 음향 이 무수히 생성된다. 특히나 복수의 사운드 소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인하여 사운드 소스의 조합은 더욱 다양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여러 변형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변형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부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하고, 도면도 해당하는 부분 중심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이하,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스피커(52)의 배치만이 다소 상이하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그 스피커(52)가 보디(10)의 양 끝 부분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제1실시예에 비하여 음향을 스테레오로 보다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이하, 제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 여, 보디(10')의 구성만이 다소 상이한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의 보디(10')는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굵기가 이 움켜쥔 손의 검지(집게손가락) 측에서 소지(새끼손가락)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경사부(12)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경사부(12)는 보디(10')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또 경사부(12)는 보디(10')를 움켜쥔 손의 새끼손가락이 위치되는 쪽 끝 부분에 보디(10')를 움켜쥔 손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턱(12p)이 마련된다.
물론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아닌 제2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제3실시예는 비교적 손놀림이 어려운 약지(넷째손가락)와 다른 손가락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새끼손가락으로 보디(10')를 움켜쥐는 것이 용이하여 그립(grip)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입력 유닛(30)의 조작을 위한 손놀림 등이 보다 자연스럽게 된다. 아울러 보디(10')를 움켜쥔 손이 보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주 완구(이하, 제4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이 또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디(10")의 구성만이 다소 다른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실시예의 보디(10")는 소스 버튼(34) 양쪽에 위치되는 돌출부(14p)가 마련되어 이 돌출부(14p) 사이에 보디(10")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에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각각 놓이는 홈(14)이 구비된다. 이러한 홈(14)은, 위에서는 뱅크 버튼(32)이 5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1개인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이 놓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 홈(14)은 보디(10")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버튼(32)(34)의 노출을 위한 개구가 마련된 한편 이 개구 양쪽에 돌출부가 마련되어 이 돌출부 사이에 홈이 구비된 라이너(liner)를 보디(10")에 씌우는 것으로써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디(10")를 움켜쥔 손이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아닌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그 보디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이렇게 움켜쥔 상태로 휴대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그 입력 유닛이 보디를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한 손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하거나 춤을 추는 등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며,
    상기 입력 유닛은 2개 구비되며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이 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엄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다른 하나는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입력 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굵기가 움켜쥔 손의 검지 측에서 소지 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손가락 중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입력 유닛은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보디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디의 한쪽 끝 부분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디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7.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의 굵기가 움켜쥔 손의 검지 측에서 소지 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디를 움켜쥔 손의 소지가 위치되는 쪽 끝 부분에 턱이 마련되며,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8.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한편 움켜쥔 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이 손의 손가락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놓이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9. 보디에 구비된 입력 유닛의 조작에 따라 출력 유닛에서 해당 음향이 출력되는 음악 연주 완구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적어도 그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며,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유닛은 음향을 외부 기기로 보내는 외장형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11. 적어도 일부가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한 굵기를 가지는 보디;
    복수의 사운드 소스가 군(群)으로 하여 복수 개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 중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버튼;
    상기 보디를 움켜쥔 때 이 움켜쥔 손 중에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버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군에 속하는 복수의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버튼;
    상기 제1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군에 속하는 복수의 사운드 소스 중에서 조작된 제2버튼에 대응하는 사운드 소스를 이 제2버튼이 조작되어 있는 동안 추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추출하는 사운드 소스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완구.
  12. 삭제
  13. 삭제
KR2020070005068U 2007-03-28 2007-03-28 음악 연주 완구 KR200440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68U KR200440562Y1 (ko) 2007-03-28 2007-03-28 음악 연주 완구
PCT/KR2008/001509 WO2008117950A1 (en) 2007-03-28 2008-03-18 Toy of playing mus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68U KR200440562Y1 (ko) 2007-03-28 2007-03-28 음악 연주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62Y1 true KR200440562Y1 (ko) 2008-06-19

Family

ID=3978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068U KR200440562Y1 (ko) 2007-03-28 2007-03-28 음악 연주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0562Y1 (ko)
WO (1) WO20081179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3256A (en) * 1999-02-05 1999-10-26 Martinez; Gustavo A. Five key music generator
KR100303812B1 (ko) * 1999-06-04 2001-11-01 이영환 멜로디 악기
JP2001188564A (ja) * 2000-01-05 2001-07-10 Toshiba Corp 音声出力装置
JP2003044042A (ja) * 2001-07-27 2003-02-14 Uubu Kk 電子楽器
KR100496834B1 (ko) * 2004-10-20 2005-06-22 이기운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마이크 타입 영상노래 반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7950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986A1 (en) Stick Controller
US7842879B1 (en) Touch sensitive impact controlled electronic signal transfer device
EP2061027B1 (en) Finger musical instrument
CN107407961A (zh) 计算机的手持式控制器、计算机的控制系统和计算机系统
US837820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irtu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US7230175B2 (en) Portable exerciser for stringed instrument players
JP2007518122A (ja) 楽器
EP3159890B1 (en) Accordion and electronic accordion
KR200440562Y1 (ko) 음악 연주 완구
KR20080085340A (ko) 촉각 센서를 이용한 핑거탭 전자 악기
JPS62157092A (ja) 肩掛け形電子ドラム
JP6760238B2 (ja) 音階変換装置、電子管楽器、音階変換方法及び音階変換プログラム
JP2019207339A (ja) 電子楽器のキー配列と演奏音の伝送・出音機器
CN216772801U (zh) 电子乐器
JP3140076U (ja) 電子楽器
CN211654288U (zh) 便携式吉他模拟装置
Nitheezkant et al. Guitar-For-All-A Programmable Single Touch Synthetic Guitar
WO2022194046A1 (zh) 智能手琴及其控制方法
JP2004240132A (ja) 楽器および指先操作部
JP3081509U (ja) 携帯用電子ピアノ
Wilcox robotcowboy: A one-man band musical cyborg
Jordà Puig Digital Lutherie--Crafting musical computers for new musics performance and improvisation
JP6640475B2 (ja) ショルダーキーボード
WO2012067008A1 (ja) 弦楽器用ピック
KR20230088882A (ko) 음악기반 다중작업 훈련, 가창 훈련 및 악기변별 훈련을 이용한 인지 기능 훈련 및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