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811Y1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811Y1
KR200249811Y1 KR2020010016197U KR20010016197U KR200249811Y1 KR 200249811 Y1 KR200249811 Y1 KR 200249811Y1 KR 2020010016197 U KR2020010016197 U KR 2020010016197U KR 20010016197 U KR20010016197 U KR 20010016197U KR 200249811 Y1 KR200249811 Y1 KR 200249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curved member
music
diameter port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배
지 유
Original Assignee
유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배 filed Critical 유성배
Priority to KR2020010016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81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함이 없이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훌라후프을 제공할 목적으로;
다수의 곡형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형부재의 연결부에 음악발생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훌라후프{HULA HOOP}
본 고안은 놀이 및 운동기구인 훌라후프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함이 없이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훌라후프(hula hoop)라고 함은 지름 1m 안팎의 플라스틱제(製)의 테[輪]로서, 그 속에 들어가 허리 둘레가 테의 내경(內徑) 어느 부분에 닿은 상태로 몸을 혼들어 그 테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계속 돌게 하여 즐기는 놀이 및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훌라후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도 4의 (A)(B)에서와 같이, 중공체인 하나의 플라스틱 관(100)을 대략 지름이 1m 정도 되도록 링상으로형성한것과, 일정 곡률을 갖는 다수위 곡형 관(102)을 상호 연결하여 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물론 상기 연결부분에는 단순히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단을 소경부(104)로 하고 타단부를 대경부(106)로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이 연결부분의 외경부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도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훌라후프는 상기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훌라후프의 내경부로 들어가 허리부분의 움직임으로 훌라후프를 돌리면서 놀이를 겸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훌라후프에 있어서는 단순히 링 형태로 이루어졌는 바, 처음 훌라후프를 할 때에는 재미를 느낄 수 있으나, 그 후로는 지루하고 힘만 들어 싫증을 내기 쉽고, 즐거워야 할 놀이 및 운동이 오히려 괴로운 놀이 및 운동이 되어 역효과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따라 일부 개인 또는 스포츠 센터에서는 상기 훌라후프를 이용할 때 음악을 틀어놓고 음악의 리듬에 맞춰 운동을 함으로써, 지루함이나 싫증을 달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별도의 음악기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놀이 및 운동할 수 있는 장소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악을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함이 없이 들으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훌라후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악 발생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악 발생수단의 조립 단면도.
도 4 (A)(B)는 종래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곡형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형부재의 연결부에 음악발생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음악 발생기구는 곡형부재의 내경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부를 소유하는 부재로서, 하프 업 및 하프 다운과, 상기 하프 업 및 다운의 후측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프 업 및 하프 다운의 내경부 전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 후측에 배치되며, 곡형부재의 외측으로 관통 노출된 스위치 노브의 터치 동작에 의하여 온/오프되면서 음악을 재생하는 멜로디 키트와; 상기 멜로디 키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곡형부재는 울림통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공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훌라후프의 평면도로서, 부호 2는 훌라후프 전체를 지칭한다.
상기 훌라후프(2)는 일정 곡률을 갖는 다수의 곡형 부재(4)의 조합에 의해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형부재(4)의 곡률은 목표로 하는 직경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곡형부재(4)의 상호 연결은 유니온 너트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측 곡형부재(4)의 일측단부에 외주연으로 돌출되는 둘레턱(6)를 형성하고, 이에 연결되는 타측 곡형부재(4)의 타단부에는 숫나사부(8)를 형성하여 둘레턱(6)이 있는 곡형부재(4)로 삽입된 너트부재(10)가 후측 내경부로 돌설된 둘레턱 (12)이 상기 둘레턱(6)에 걸리면서 상기 숫나사부(8)와 체결되면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음악 발생기구(14)가 결합되어 놀이 및 운동시 훌라후프 자체내에서 나오는 음악에 맞춰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음악발생기구(14)는 도2 및 3에서와 같이, 크게 하우징(16), 스피커(18), 멜로디 키트(20), 건전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하우징(16)은 상기 곡형부재(4)의 내경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부를 소유하는 부재로서, 하프 업 및 하프 다운(24)(26)과, 상기 하프 업 및 다운 (24)(26)의 후측에 체결되는 캡(2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프 업 및 하프 다운(24)(26)은 전측단면이 다수의 구멍(29)이 형성되어 그 후측으로 배치되는 스피커(18)의 소리가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스피커(18)는 멜로디 키트(20)과 연결되어 이의 멜로디 키트(20)에 녹음되어 있는 음악소리는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멜로디 키트(20)은 그 후측에 배치되는 건전지 (2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건전지(22)는 캡(28)의 개폐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멜로디 키트(20)은 훌라후프(2)의 곡형부재(4)의 구멍을 통해 노출된 스위치 노브 (3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스피커(18), 멜로디 키트(20), 건전지(22)의 배치 구조는 어느 하나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부품을 완전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구조이든 만족한다.
본 고안에서는 그 일예로서, 하프 업 및 하프 다운(24)(26)의 내경부 전측부에 스피커(18)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32)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는 멜로디 키트(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34)를 형성하며, 이 고정구(34)의 후측에는 격판(36)를 형성하여 이에 건전지(22)의 단자부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캡(28)에도 건전지(22)의 다른 단자부를 형성하여 이들 단자부들은 멜로디 키트(20)의 스위치(38) 부분에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스위치(38)는 상기 스위치 노브(30)의 터치에 의하여 온/오프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노브(30)는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어 항상 외측으로 밀리는 탄성력을 받게 되며, 상기 하프 업 및 하프 다운(24)(26)의 외주연 중간부에는 둘레턱(42)이 형성되어 곡형부재(4)의 상호 연결시 그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하였다.
상기에서 멜로디 키트(20)은 노래를 녹음시킬 수 있는 부품이고, 스위치(38)는 원터치형 스위치로서, 이미 공지된 기술적 구성과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훌라후프(2)를 형성하는 곡형부재(4)는 다공관로 이루어져 스피커(18)로부터 밸생되는 음악이 외부에서 잘 들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의 곡형부재(4)가 울림통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소형의 스피커(18)를 적용하더라도 크게 들릴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음악 발생기구(14)는 훌라후프(2)의 연결부 마다 배치되는데, 이들은 각각 다른 곡들이 녹음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해당 음악 발생기구(14)의 스위치(30)를 누르면 다른 음악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빠르기 또는 장르가 다른 곡들을 녹음시켜 두면,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실시예 설명과 도면에서는 음악 발생기구가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에 시판되고 있는 음악 키트를 사용해도 관계는 없다.
또한, 도면에서는 훌라후프(2)를 4개의 곡형 부재(4)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훌라후프에 의하면, 놀이 및 운동시 연결부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만 누르게 되면, 음악 발생기구에 녹음되어 있는 음악이 흘러나오게 됨으로써,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듯 훌라후프를 할 수 있게 되는 바, 지루함이 없이 즐기면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마다 적용되는 음악 발생기구에 각기 다른 노래가 녹음되어 있는 바, 노래의 빠르기에 맞춰 운동의 강약을 조절하면서 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다수의 곡형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형부재의 연결부에 음악발생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제1 항에 있어서, 곡형부재는 일측 곡형부재의 일측단부에 외주연으로 돌출되는 둘레턱를 형성하고, 이에 연결되는 타측 곡형부재의 타단부에는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둘레턱이 있는 곡형부재로 삽입된 너트부재가 후측 내경부로 돌설된 둘레턱이 상기 둘레턱에 걸리면서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되어 연결되는 유니온 너트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3. 제1항에 있어서, 음악 발생기구는 곡형부재의 내경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부를 소유하는 부재로서, 하프 업 및 하프 다운과, 상기 하프 업 및 다운의 후측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프 업 및 하프 다운의 내경부 전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 후측에 배치되며, 곡형부재의 외측으로 관통 노출된 스위치 노브의 터치 동작에 의하여 온/오프되면서 음악을 재생하는 멜로디 키트와;
    상기 멜로디 키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짐을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4. 제1 항에 있어서, 곡형부재는 울림통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공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KR2020010016197U 2001-05-31 2001-05-31 훌라후프 KR200249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97U KR200249811Y1 (ko) 2001-05-31 2001-05-31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97U KR200249811Y1 (ko) 2001-05-31 2001-05-31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811Y1 true KR200249811Y1 (ko) 2001-11-16

Family

ID=730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197U KR200249811Y1 (ko) 2001-05-31 2001-05-31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373A (en) Entertainment apparatus for use with a sucker type pop
US5533947A (en) Musical beat jump-rope
US5062341A (en) Portable drum sound simulator generating multiple sounds
US6409636B1 (en) Electronic jump rope
US4674743A (en) Athletic training unit with musical rhythm reproducing speaker and exerciser's pulse detecting means
EP0302645B1 (en) Whistle
US5533949A (en) Hand-muscle developer with music producing means
US5203530A (en) Balloon holder
US7470845B2 (en) Musical shaker
US6497603B1 (en) Musical hula hoop
US5137488A (en) Sports rod equipped with sound reproducing means
US5135454A (en) Dumb bell providing sound reproduction
US6297438B1 (en) Toy musical device
KR200249811Y1 (ko) 훌라후프
US10546569B1 (en) Drum base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incorporating internal kick drum
JPH01313083A (ja) 音出し玩具
KR200239364Y1 (ko) 외부기기와 연결 사용되는 전자드럼
JP3003196U (ja) 環状ハーモニカ
JPH05217346A (ja) 音響装置
CN210039620U (zh) 一种具有稳定接线端头的电子手风琴
JP7286203B1 (ja) 発音玩具
CN209984932U (zh) 一种基于学前音乐训练的组合式击打鼓结构
KR200343407Y1 (ko) 기타와 드럼이 결합된 연주용 완구
KR200354471Y1 (ko) 음악이 나오는 줄넘기
JP6782031B1 (ja) 電子式打楽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