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89Y1 -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 Google Patents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89Y1
KR200321889Y1 KR20-2003-0011893U KR20030011893U KR200321889Y1 KR 200321889 Y1 KR200321889 Y1 KR 200321889Y1 KR 20030011893 U KR20030011893 U KR 20030011893U KR 200321889 Y1 KR200321889 Y1 KR 200321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trange
sounds
sensing mean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호
Original Assignee
박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호 filed Critical 박기호
Priority to KR20-2003-0011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4Tune barrels, sheets, rollers, spools, or the lik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흥을 부가할 수 있게 한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發聲)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음악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드럼 형태의 패드(Pad)를 두드리게 될때 마다 선택한 기이(奇異)하고 즐거운 소리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기 듣고 있는 음악에 나름대로의 흥 부가와 아울러 기분을 더욱 상기 시킬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Vocal Appartus use for Percussion Instrument}
본 고안은 노래 반주기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奇異)한 소리 발성(發聲)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과 같은 패드 부위를 손이나 혹은 스틱을 이용하여 두드리게 될 시 발생되는 진동음을 감지 신호로 하여 메모리 칩으로부터는 기 저장되어 있던 다양한 기이한 음이나 즐거운 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한 소리 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노래를 즐기려고 하는 경우 제일 쉬운 방법으로 노래 연주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밖에 기타나 드럼과 같은 장비들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전자(前者)의 경우에는 노래 연주기에 기 녹음되어 저장된 반주에 의해서만 음악을 즐기므로 인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별로 큰 흥은 느끼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노래 연주기는 흥 보다는 노래 점수에 큰 비중을 두므로 오래 사용하면 할 수록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후자(後者)의 경우에는 드럼이나 기타는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으면 안되는 아려움이 있고, 만약 사용자들이 잘 할줄 안다고 하더라도 드럼의 경우에는 가격이나 설치 장소 등이 적합치 않아서 현실적으로 일반인이 쉽게 접함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모든 음악 이용자들이 쉽게 접할수 있도록 하고자, 전문적인 고정된 드럼소리의 규칙과 리듬을 깨고 드럼 소리의 다양함을 구축하여 드럼과 같은 타악기듣 타격시 선택된 파일로부터는 음악을 즐기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흥과 기분을 돋구는 기이하고 즐거운 소리를 내게한 발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는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단의 일 부위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진동 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단독 혹은 믹싱된 여러 가지의 기이(奇異)한 소리가 각각 음성 파일로 만들어져 저장된 메모리 칩으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 수단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성파일에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입력시 그 해당 음성파일에 기 저장된 기이한 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본체; 상기 기기 본체에 연결되어 기이한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기기본체는 기이한 음성을 수개의 파일로 만들어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칩;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기이한 음성 파일들에 해당하는 만큼의 개수를 이루어 그 메모리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됨에의해,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되는 신호를 기이한 음성파일들중 어느 하나만으로 입력되게 선택할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들로 이루어진 선택단자부; 상기 메모리 칩에 기 저장된 기이한 음성 파일들중 하나의 파일에 상기 선택부를 통한 감지 신호 입력시 그 해당하는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수 있게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폭된 출력 신호를 기이한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출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스틱; 스틱으로 타격시 진동 음을 발생하여 그 하부에 부착된 감지수단 쪽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죽 재질을 긴장상태를 이루게 만든 타격용 패드; 상기 타격 패드로부터 길게 연장 설치되어 그 타격 패드를 바닥으로부터 입설되게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드럼, 장구, 심벌즈 (cymbals)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감지수단은 진동 감지 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이한 소리는 모든 쟝르의 음악, 사람소리, 바람소리, 조류소리, 동물소리,벌레 소리, 천둥소리, 기계음소리,전자음소리 등의 단독이나 이들을 2개이상 혼합하여 만든 혼합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감지수단 및 출력수단과 기기본체와는 입출력 코오드(Cord)로서 신호 전달이 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2는 도 1표시 장치에 대한 상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리 발성장치 120 : 타악기
140 : 감지수단 160 : 본체
162 : 메모리 칩 164 : 선택단자부
166 : 증폭부 168 : 출력단자부
180 : 출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2는 도 1표시 장치에 대한 상세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100)은 대별(大別)하면,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120), 감지수단(140), 기기 본체(160) 및 출력수단(1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120)은 타악기와 같은 종류인데, 스틱(121), 그 스틱(121)로 타격시 진동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가죽 재질을 긴장상태를 이루게 만든 타격용 패드(122), 상기 타격용 패드(122)로부터 길게 연장 설치되어 그 타격용 패드(122)를 바닥으로부터 입설되게 지지하는 지지대(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23)은 다수개의 금속재질의 지지각이나 나무재질의 지지각들(123a)를 연결하여 된 것이다.
또한,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120)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기존악기로 사용되고 있는 드럼, 장구,심벌즈(cymbals)등의 타악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120)즉, 패드(122)의 일 부위(도1에서 보아 패드(122)의 저면부위)에는 그 패드(122)를 손 혹은 스틱(121)로 타격시 발생되는 진동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4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140)은 상기 패드(122)를 타격할 때 마다 그 패드(122)로부터 진동음을 잘 전달 받기위한 곳에 설치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122)저부의 중앙에 부착하고 있는데, 다른 곳 예컨대, 패드(122)의 옆쪽이나 가장자리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40)으로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음 감지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60)은 단독 혹은 믹싱된 여러 가지의 기이(奇異)하고 즐거운 소리가 각각 음성 파일로 만들어져 저장된 메모리 칩(161)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 수단(140)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성파일에 상기 감지 수단(140)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입력될때 마다 그 해당 음성파일에 기 저장된 기이하고 즐거운 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본체(160)은 전원부(161)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기이하고 즐거운 음성들을 수개로 파일화하여 저장한 메모리 칩(162)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 칩(162)의 용량이 1Mbyte라고 하면 그 1Mbyte를 10등분한 100Kbyte에 하나의 음성 Data를 저장하여, 총 10개의 블록에 10개의 디지탈 음성 파일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음성 파일의 수(數)는 상기 메모리 칩(162)의 용량에 따라서 얼마든지 늘리거나 줄여서 저장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 칩(162)에 저장되는 음악 파일의 기이하고 즐거운 소리는 기존의 모든 쟝르의 음악, 각종 사람소리, 바람소리, 조류소리, 동물소리, 벌레 소리, 천둥소리,기계음소리 등의 단독이나 이들을 2개이상 혼합하여 만든 혼합 음이다. 그 밖에 이용자들이 노래를 부를 때 즐거워 할 수 있는 음이라고 하면 어느 음이라도 무방하다.
또한,상기 본체(160)에는 상기 메모리 칩(162)측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선택 단자부(16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택 단자부(164)는 도 1의 표시와 같이, 그 본체(160)의 전면에 설치된 수개의 선택 단자들(164a,...)이며, 그 선택 단자들(164a,...)의 개수는 상기 메모리 칩(162)에 저장된 음성 파일들에 해당하는 만큼의 개수를 이루어 상기 메모리 칩(162)와 전기적인 회로를 이루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 단자부(164)의 선택 단자들(164a,...)는 상기 감지수단(140)으로부터 연장된 입력 코오드(152)의 잭을 선택적으로 꽂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컨대, 음악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입력 코오드(152)를 상기 본체(160)의 선택 단자부(164)중 제1선택단자(164a)를 선택(삽입)후, 스틱(121) 혹은 손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122)를 두드리게 된다고 하면, 상기 패드(122)를 타격할 때 마다 소리와 함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소리는 노래 연주에 사용되고 진동은 상기 감지수단(140)으로 전달되어 상기 감지수단(140)이 감지하게 한다. 상기 감지수단(140)이 진동을 감지하게 될 때 마다, 그 감지수단(140)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바와 같이, 미세한 수 mV의 전압을 발생된다. 이때의 전기 신호(전압)가 상기 입력 코오드(152)를 통하여 기 선택한 제1선택단자(164a)측으로 인가되고, 아울러 그 제1선택단자(164a)측으로 인가되는 감지 신호는, 상기 메모리 칩(162)에 기 저장된 수개의 음악파일들 중 상기 제1선택단자(164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도록 기 설정한 제1음악파일 측으로 입력되어, 상기 메모리 칩(162)는 제1음악 파일에 대한 데이터만을 후술하는 증폭부(166)측으로 출력되게 제어한다.
상기 증폭부(166)은 상기 메모리 칩(162)로부터 제어되는 음악파일의 디지털 신호를 받게되는 경우, 그 해당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수단 (180)을 통해 출력할수 있게 증폭한다.
상기 출력수단(180)은 스피커로서 상기 본체(160)에 기 마련된 출력단자부 (168)에 출력 코오드(154)로서 탈착되게 접속할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선택단자(164a)를 선택한 경우 상기 메모리 칩(162)로부터 제1선택단자(164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음악 파일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게 된다고 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제2내지 제3단자 등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그 선택된 단자에만 해당하는 음악파일을 상기 메모리 칩(162)로부터 출력되게 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체(160)의 선택 단자부(164)에 하나의 입력 코오드(152)만을 꽂아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개를 동시에 꽂아서 사용할수도 있다. 또, 상기 본체(160)은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노래방과 같은 곳에 노래 연주기와 같이 배치하여 음악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하여금 노래를 부를시 같이 두들기면서 반주하여, 기존의 노래 연주기로부터 출력되는 노래와 아울러 본 고안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이한 소리를 부가하여 흥을 더 돋울 수 있다.
도면부호(151)은 전원 스위치를, (153)은 전원 램프를 각각 표시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모든 음악 이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 드럼에 의한 반주 효과와 아울러 드럼 타격시 기 저장된 음성 파일로부터는 다양한 소리들을 출력되게하여, 음악을 즐기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흥을 부여함과 아울러 기분을 배가되게 상기시키는 즐거운 오락기구의 역활을 갖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단의 일 부위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진동 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단독 혹은 믹싱된 여러 가지의 기이(奇異)한 소리가 각각 음성 파일로 만들어져 저장된 메모리 칩으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 수단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성파일에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입력시 그 해당 음성파일에 기 저장된 기이한 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본체; 및
    상기 기기 본체에 연결되어 기이한 음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며 기이한 음성들을 수개의 파일로 만들어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칩;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기이한 음성 파일들에 해당하는 만큼의 개수를 이루어 그 메모리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됨에의해,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감지되는 신호를 기이한 음성파일들중 어느 하나만으로 입력되게 선택할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들로 이루어진 선택 단자부;
    상기 메모리 칩에 기 저장된 기이한 음성 파일들중 하나의 파일에 상기 선택단자부를 통한 감지 신호 입력시 그 해당하는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수있게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폭된 출력 신호를 기이한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출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타격시 진동 음을 발생하여 그 하부에 부착된 감지수단 쪽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죽 재질을 긴장상태를 이루게 만든 타격용 패드;및
    상기 타격 패드로부터 길게 연장 설치되어 그 타격 패드를 바닥으로부터 입설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두들겨서 음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드럼, 장구, 심벌즈 (cymbals)임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은 진동 감지 센서임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기이한 소리는 모든 쟝르의 음악소리,각종 사람소리, 바람소리, 조류소리, 동물소리,벌레 소리, 천둥소리, 기계음소리 등의 단독이나 이들을 2개이상 혼합하여 만든 혼합음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7.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 및 출력수단과 기기본체와는 입출력 코오드(Cord)로서 신호 전달 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하는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KR20-2003-0011893U 2003-04-17 2003-04-17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KR200321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93U KR200321889Y1 (ko) 2003-04-17 2003-04-17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93U KR200321889Y1 (ko) 2003-04-17 2003-04-17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430A Division KR20040090564A (ko) 2003-04-17 2003-04-17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89Y1 true KR200321889Y1 (ko) 2003-07-31

Family

ID=4933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93U KR200321889Y1 (ko) 2003-04-17 2003-04-17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3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music video game with a drum system game controller
US7145070B2 (en) Digital musical instrument system
JP4445562B2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US20080250914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detecting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ranslating those signals into auditory, visual or kinesthetic expression
US20020002900A1 (en)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US8003873B2 (en) Percussion assembly, as well as drumsticks and input means for use in said percussion assembly
JP3654143B2 (ja) 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装置、演奏制御装置、映像再生制御装置、および、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方法、演奏制御方法、映像再生制御方法
KR200321889Y1 (ko)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US8674207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8207001A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20040090564A (ko)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WO2009096762A3 (ko) 자동음정 기타
KR200348847Y1 (ko) 효과음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드럼연주기
JP6782031B1 (ja) 電子式打楽器玩具
JP2004177910A (ja) 通信カラオケ連動自動コード選択伴奏用ギター
JP3356626B2 (ja) 楽器玩具
KR200400226Y1 (ko)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전자드럼
Hansen et al. The drum pants
KR200367847Y1 (ko) 오락용 전자드럼
KR200273098Y1 (ko) 디지털피아노 완구
JP2004348035A (ja) カラオケ玩具用カートリッジ
JP2020148921A (ja) 演奏装置
JPH09212164A (ja) 鍵盤演奏装置
Snyder et al. All About--Electronic Percu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