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000B1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Google Patents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000B1 KR102081000B1 KR1020180107447A KR20180107447A KR102081000B1 KR 102081000 B1 KR102081000 B1 KR 102081000B1 KR 1020180107447 A KR1020180107447 A KR 1020180107447A KR 20180107447 A KR20180107447 A KR 20180107447A KR 102081000 B1 KR102081000 B1 KR 102081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groove
- hole
- shape
- air injection
- guide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와, 공기주입부(300)로 이루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는 하부본체(200)와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공기주입부가 결합되는 끼움공(210)과, 소리발생부(220)와, 운지공(HV)이 형성되고, 상기 소리발생부(220)는 통공(221)과 경사부(222)와 가이드 돌부(223)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공(221)은 제1 형상홈부(221-1)와, 제2 형상홈부(221-2)와, 상기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를 연결하는 제3 형상홈부(2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형상홈부에는 공기주입부의 단부가 위치하고, 제2 형상홈부는 제1 형상홈부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222)는 외측 경사부(222-OT)와 내측 경사부(222-IN)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경사부와 내측 경사부는 통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뚜껍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부(223)는 통공의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돌출되는 좌측 가이드 돌부(223-L)와 우측 가이드 돌부(223-R)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카리나 악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는 개관악기와 폐관악기로 나뉘어질 수 있다. 개관악기는 관의 한쪽 끝이 개방되어 있는 리코더나 단소와 같은 악기이고, 폐관악기는 관의 한쪽 끝이 막혀있는 클라리넷, 팸플룻과 같은 악기이다.
뚜껑을 갖는 병, 예컨대 맥주병, 소주병과 같은 병의 입구를 입에 대고 불면 소리가 나는데, 이는 병의 바닥이 막혀 있는 폐관악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개관악기와 폐관악기는 모두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켜 이른바 공명이라고 하는 물리적 또는 음향적 요소로부터 소리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흐름은 악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관의 내부에 있는 공기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한편, 폐관악기는 개관악기와 비교하여, 같은 길이로 하였을 때 낮은 소리를 낸다.
개관악기는 관의 끝부분에서 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나가고 공기의 나머지는 외부의 공기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어 소리가 관의 내부로 반사되어 정상파를 만들게 되며, 폐관악기는 관의 끝부분이 막혀있는 구조이므로 모든 소리가 관의 끝 부분에서 반사되어 정상파를 만들게 된다.
폐관악기인 오카리나는 취부와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공간부에는 운지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오카리나는 점토로 빚어서 오리의 몸통 형상으로 만든 다음, 반으로 잘라서 안쪽을 파낸다. 이어서 운지공에 해당하는 구명을 뚫어서 다시 결합시켜 불에 구어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오카리나는 운지공에 해당하는 구멍의 위치가 바뀌거나, 공간부의 내부 영역의 넓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소리가 난다. 동일한 제조과정을 거친다하더라도 정확한 음계를 갖는 오카리나를 얻기란 쉽지 않다. 제소리가 나지 않는 오카리나는 버려진다.
근래에는 플라스틱, 합판 등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오카리나를 제작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5562호의 적층형상을 갖는 판형의 오카리나는 종이, 나무 등의 다수개의 판형을 적층시켜 내부에 공명부를 마련하고 외부에 다수 개의 운지공(41)을 형성되어 있으며, 취입구(21)와 취입부재(12)를 결합하여 취입홈(13)을 형성하고 있다. 취입구와 취입부재를 입에 물고 불면 소리를 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입으로 부는 부분, 즉 취구와 공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종래 점토를 사용하는 제작하는 방식에 비해 시간적으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나 입으로 부는 부분과 공명부가 일체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지 않다.
입으로 부는 부분과 공명부가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29호의 재활용품을 이용한 오카리나는 일정한 용량을 갖는 용기(1)와, 용기의 상면에 부착되고 다수 개의 운지구명과 소리구멍이 형성된 종이부재(5)와, 상기 종이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소리구멍을 일정부분 폐쇄하는 방식으로 접착되는 마우스 피스(4)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오카리나는 연주자가 마우스 피스로 공기를 불어넣는 량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소리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은 크기의 오카리나를 제작하여도 보다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내부 체적으로도 상대적으로 음정을 내릴 수 있고, 소리의 크기를 상승시킬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와, 공기주입부(300)로 이루지고, 상기 상부본체(100)는 하부본체(200)와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공기주입부가 결합되는 끼움공(210)과, 소리발생부(220)와, 운지공(HV)이 형성되고, 상기 소리발생부(220)는 통공(221)과 경사부(222)와 가이드 돌부(223)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공(221)은 제1 형상홈부(221-1)와, 제2 형상홈부(221-2)와, 상기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를 연결하는 제3 형상홈부(2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형상홈부에는 공기주입부의 단부가 위치하고, 제2 형상홈부는 제1 형상홈부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222)는 외측 경사부(222-OT)와 내측 경사부(222-IN)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경사부와 내측 경사부는 통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뚜껍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부(223)는 통공의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돌출되는 좌측 가이드 돌부(223-L)와 우측 가이드 돌부(223-R)로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형상홈부는 외측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의 경사면(PP)은 상기 통공의 제3 형상홈부와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의 경사면(PP)은 서로 제3 형상홈부에서 제2 형상홈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형상홈부는 외측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는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제2 형상홈부가 형성된 영역의 높이까지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돌부는 공기주입홀의 단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오카리나를 제작하여도 한층 높은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의 밀도감을 상승시키고, 악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고음역까지 안정적인 소리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의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통공과 가이드 돌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의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통공과 가이드 돌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카리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의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하부본체에 공기주입부를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와, 공기주입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본체(100)는 하부본체(200)와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진다.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결합되면, 결합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부공간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도 2(a)는 하부본체의 내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하부본체의 외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에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운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부(300) 인근에는 소리발생부의 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200)에는 공기주입부가 결합되는 끼움공(210)과, 소리발생부(220)와, 운지공(HV)이 형성되어 있다. 운지공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막거나 개방하여 원하는 높낮이의 소리를 선택하는 구멍이고, 소리발생부는 운지공에 의해 선택된 소리가 생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부(300)는 취구(310)와 끼움부(320)로 이루어지고, 취구와 끼움부의 내부에는 공기주입홀(300-H)이 형성된다. 되돌아가 도 3에서 보듯이, 공기주입부(300)의 끼움부(320)를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210)에 끼우면, 끼움부(320)의 단부(320-T)는 끼움공(210)의 단부(210-T)와 위치맞춤된다. 연주자가 입으로 취구(310)에 공기를 불어넣어면 공기는 공기주입홀(300-H)로부터 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주입부를 하부본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하여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부본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공기주입부를 하부본체 또는 상부본체와 일체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2의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의 통공과 가이드 돌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부분을 확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소리발생부는 공기주입홀(300-H)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해 소리를 발생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220)는 통공(221)과 경사부(222)와 가이드 돌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통공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 형상홈부(221-1)와, 제2 형상홈부(221-2)와, 상기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를 연결하는 제3 형상홈부(221-3)를 가진다. 상기 제3 형상홈부의 전측에는 제1 형상홈부가 위치하며, 제3 형상홈부의 타측에는 제2 형상홈부가 위치한다.
통공의 제1 형상홈부에는 공기주입부의 단부가 위치하고, 제2 형상홈부는 제1 형상홈부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형상홈부는 통공의 위치별 형상에 따라 부여한 명칭이다.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는 외측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제2 형상홈부는 외측이 직선 형상을 갖는다. 제3 형상홈부는 제1 및 제2 형상홈부를 연결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222)는 제2 형상홈부와 제3 형상홈부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다. 되돌아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는 외측 경사부(222-OT)와 내측 경사부(222-IN)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경사부와 내측 경사부는, 도 3을 참조하면, 통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뚜껍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부(223)는 공기주입부(300)의 공기주입홀(300-H)의 단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를 통공의 제3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리발생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발생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서 보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소리발생부에는 가이드 돌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공기주입홀(300-H)의 단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퍼지게 되고 소리의 주파수가 낮아져서 고음을 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돌부는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오카리나를 제작하여도 한층 높은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부의 가이드 돌부(223)는 통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측 가이드 돌부(223-L)와 우측 가이드 돌부(223-R)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는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제2 형상홈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통공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선(C)에서 점차적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중심축선(C)는 제1 형상홈부, 제3 형상홈부, 제2 형상홈부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축선을 말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의 경사면(PP)은 통공의 제3 형상홈부와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의 단부(TT)는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제2 형상홈부가 형성된 영역까지 돌출된다. 이로써 공기주입홀(300-H)의 단부로부터 나오는 공기는, 제3 및 제2 형상홈부가 형성된 영역에서, 통과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공기가 경사부로 집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공의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는 그 외측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여 실시예를 기재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형상홈부는 그 외측이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상부본체
200 : 하부본체
210 : 끼움공
210-T : 끼움공의 단부
220 : 소리발생부
221 : 통공
221-1 : 제1 형상홈부
221-2 : 제2 형상홈부
221-3 : 제3 형상홈부
222 : 경사부
222-OT : 외측 경사부
222-IN : 내측 경사부
223 : 가이드 돌부
223-L, 223-R :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
300 : 공기주입부
300-H : 공기주입홀
310 : 취구
310-T : 취구의 단부
320 : 끼움부
C : (제1 형상홈부, 제3 형상홈부, 제2 형상홈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선
HV : 운지공
PP : 가이드 돌부의 경사면
TT : 가이드 돌부의 단부
200 : 하부본체
210 : 끼움공
210-T : 끼움공의 단부
220 : 소리발생부
221 : 통공
221-1 : 제1 형상홈부
221-2 : 제2 형상홈부
221-3 : 제3 형상홈부
222 : 경사부
222-OT : 외측 경사부
222-IN : 내측 경사부
223 : 가이드 돌부
223-L, 223-R :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
300 : 공기주입부
300-H : 공기주입홀
310 : 취구
310-T : 취구의 단부
320 : 끼움부
C : (제1 형상홈부, 제3 형상홈부, 제2 형상홈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선
HV : 운지공
PP : 가이드 돌부의 경사면
TT : 가이드 돌부의 단부
Claims (3)
-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와, 공기주입부(300)로 이루지는 오카리나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00)는 하부본체(200)와 결합되고, 상기 공기주입부(300)는 하부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공기주입부가 결합되는 끼움공(210)과, 소리발생부(220)와, 운지공(HV)이 형성되고,
상기 소리발생부(220)는 통공(221)과 경사부(222)와 가이드 돌부(223)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공(221)은 제1 형상홈부(221-1)와, 제2 형상홈부(221-2)와, 상기 제1 형상홈부와 제2 형상홈부를 연결하는 제3 형상홈부(2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형상홈부에는 공기주입부의 단부가 위치하고, 제2 형상홈부는 제1 형상홈부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형상홈부의 외측은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의 경사면(PP)은 상기 통공의 제3 형상홈부와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의 경사면(PP)은 서로 제3 형상홈부에서 제2 형상홈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222)는 외측 경사부(222-OT)와 내측 경사부(222-IN)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경사부와 내측 경사부는 통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뚜껍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부(223)는 통공의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돌출되는 좌측 가이드 돌부(223-L)와 우측 가이드 돌부(223-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형상홈부의 외측은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돌부((223-L, 223-R)는 제1 형상홈부의 양단에서부터 제2 형상홈부가 형성된 영역까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카리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447A KR102081000B1 (ko) | 2018-09-08 | 2018-09-08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447A KR102081000B1 (ko) | 2018-09-08 | 2018-09-08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1000B1 true KR102081000B1 (ko) | 2020-02-24 |
Family
ID=6963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447A KR102081000B1 (ko) | 2018-09-08 | 2018-09-08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00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143A (ko) * | 2002-01-26 | 2003-07-31 | 송인정 | 오카리나 |
KR200435519Y1 (ko) | 2003-10-22 | 2007-01-29 | 김준모 | 오카리나 |
KR100828997B1 (ko) | 2006-11-07 | 2008-05-14 | 이일용 | 티자형 오카리나 |
KR101430812B1 (ko) * | 2012-08-30 | 2014-08-18 | 이용렬 | 오카리나 |
KR101509352B1 (ko) * | 2013-12-02 | 2015-04-07 | 이상진 | 공기주입부가 모듈화된 플라스틱 오카리나 |
KR101656645B1 (ko) | 2016-05-12 | 2016-09-22 | 이상진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
2018
- 2018-09-08 KR KR1020180107447A patent/KR1020810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143A (ko) * | 2002-01-26 | 2003-07-31 | 송인정 | 오카리나 |
KR200435519Y1 (ko) | 2003-10-22 | 2007-01-29 | 김준모 | 오카리나 |
KR100828997B1 (ko) | 2006-11-07 | 2008-05-14 | 이일용 | 티자형 오카리나 |
KR101430812B1 (ko) * | 2012-08-30 | 2014-08-18 | 이용렬 | 오카리나 |
KR101509352B1 (ko) * | 2013-12-02 | 2015-04-07 | 이상진 | 공기주입부가 모듈화된 플라스틱 오카리나 |
KR101656645B1 (ko) | 2016-05-12 | 2016-09-22 | 이상진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13451U (ja) | 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リード | |
JP6679866B2 (ja) | 管楽器 | |
US8766072B2 (en) | Reed for a saxophone | |
KR200476655Y1 (ko) | 악기용 마우스피스 | |
KR102081000B1 (ko) |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 |
KR101656645B1 (ko)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 |
KR101535003B1 (ko) | 음의 증폭 수단이 구비된 오카리나 | |
KR100620892B1 (ko) | 오카리나 | |
US6872876B2 (en) | Ocarinas with an inner liner and an outer shell | |
CN209747111U (zh) | 一种微笛口琴 | |
KR101812481B1 (ko) |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 |
KR101006588B1 (ko) | 에코 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 |
KR101999648B1 (ko)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 |
JP3140147U (ja) |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 |
KR102507438B1 (ko) | 악기용 마우스피스 | |
KR101674359B1 (ko) |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 |
KR101812479B1 (ko) |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 |
CN207818168U (zh) | 一种适用于幼儿吹奏的八孔高音竖笛 | |
KR100849581B1 (ko) | 오카리나 | |
KR102142218B1 (ko) | 모듈형 에지를 구비한 오카리나 | |
US11127382B1 (en) | Tone-a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 |
US805817A (en) | Whistle. | |
US1170800A (en) | Sound resonator and amplifier. | |
KR101684187B1 (ko) |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한 오카리나 | |
CN214587989U (zh) | 笛子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