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55Y1 - 악기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악기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55Y1
KR200476655Y1 KR2020130010021U KR20130010021U KR200476655Y1 KR 200476655 Y1 KR200476655 Y1 KR 200476655Y1 KR 2020130010021 U KR2020130010021 U KR 2020130010021U KR 20130010021 U KR20130010021 U KR 20130010021U KR 200476655 Y1 KR200476655 Y1 KR 200476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thpiece
lead
met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2020130010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1Tu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피스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소재를 달리하여 부드러운 음과 강한 음을 중성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또한 마우스피스의 본체에 홀 또는 공명실을 구성하여 생성되는 소리에 울림을 주어 관악기의 톤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구사할 수 있으며, 고도의 테크닉도 쉽게 컨트롤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악기용 마우스피스{Mouthpieces for musical instruments}
본 고안은 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소재를 달리하여 부드러운 음과 강한 음을 중성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한편 생성되는 소리에 울림을 주어 관악기의 톤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구사할 수 있으며, 고도의 테크닉도 쉽게 컨트롤할 수 있게 하는 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의 넥(Neck)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는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으로서,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들며 각자의 홋수에 맞는 것을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크게 나누어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리가추어(Ligature)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Reed)로 구성되며, 마우스피스는 챔버와 오프닝사이즈(마우스피스와 리드 사이의 간격)가 중요한 선택기준이 되는데, 챔버는 마우스피스 내부 중공부의 용적을 의미하며 챔버의 용적율에 따라 큰 것은 묵직하고 풍부한 소리를 내는 반면, 작은 것은 약간 가볍게 느껴지고 화려하게 쏘는 소리를 내게 된다.
연주자가 오프닝사이즈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챔버를 통해 탄력적으로 밀어내는(resiliently pushing each other) 작용에 의해 진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진동 주파수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여 챔버 내부 공간에서 진동하게 되어 음악을 소리를 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마우스피스에 대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399154호(2005. 10. 19. 공고) '공기저항이 감소되는 마우스피스'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 단일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특허 제1006588호(2011. 1. 7. 공고) '에코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에 게시된 마우스피스도 역시 단일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의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의 경우에는 약간 가볍게 느껴지고 화려하게 쏘는 소리를 내게 되고, 합성수지의 경우에는 묵직하고 풍부한 소리를 내게 되어 금속과 합성수지를 합한 중성을 얻기 위해 오프닝사이즈이나 기타 에코밸리 등의 부가적 기술적 사상이 게시된 바가 있지만 마우스피스의 본체내의 챔버에서 생성되는 소리는 중성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99154호(2005. 10. 19. 공고) '공기저항이 감소되는 마우스피스'
특허 제1006588호(2011. 1. 7. 공고) '에코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우스피스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소재를 달리하여 부드러운 음과 강한 음을 중성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의 본체 원주상에 공명실을 갖는 홀을 마련함으로써 본체내의 챔버에서 생성되는 진동주파수를 한층 더 상승시켜 생성되는 소리에 울림을 주어 톤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구사할 수 있고, 리드의 체결에 용이성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오프닝사이즈와 공기 토출구를 구성한 본체와, 상기 오프닝사이즈의 공기주입량을 조절하게 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를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리가추어로 구성되는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소재가 강성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공기토출구측에 내주연을 감싸면서 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메탈을 인서트(insert)작업을 통해 상기 본체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고, 한편 상기 본체내의 챔버에서 생성되는 소리의 진동주파수를 높여 줄 수 있도록 있는 수단으로 상기 본체의 원주상 소정의 위치에 홀을 천공하여 상기 본체에 인서트작업을 통해 일체화된 메탈과 상기 리드를 체결하는 리가추어에 의해 공명실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리드를 상기 본체에 체결에 용이성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리가추어의 각 모서리에 소정의 돌기를 구성한 악기용 마우스피스를 고안한 것이다.
삭제
마우스피스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소재를 달리한 합성수지와 금속을 합한 부드러운 음과 강한 음의 중성 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그 음은 공명실에 의해 관악기의 톤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구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테크닉도 쉽게 컨트롤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리가추어의 각 모서리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우스피스에 리드의 체결에 있어서 좌우 흔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마우스피스의 본체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메탈을 발췌한 사시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마우스피스의 본체를 발췌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마우스피스의 본체에 리가추어를 이용하여 리드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마우스피스에서 본체만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한 메탈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마우스피스의 본체를 발췌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지지부(41)를 갖는 메탈(40)이 마련되고, 재질은 마우스피스 본체(10)와 다른 소재를 이용하되, 상기 본체(10)의 소재가 강할 경우 그에 비해 약한 것으로 선택하여야 할 것이고, 반대로 상기 본체(10)의 소재가 약할 경우에는 그에 비해 강한 것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의 소재가 합성수지(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소재)일 경우에는 그에 비해 강한 비철금속, 금속, 목재, 유리, 옥돌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부드러운 음과 강한 음을 중성으로 생성하는데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40)이 마련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인서트(insert)작업 방법을 통해 마우스피스의 본체(10) 소정의 형상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과정에 가공된 본체(10)의 형상에 상기 메탈(40)을 투입하면 상기 본체(10)의 공기토출구(13)측에 내주연을 감싸면서 지지부(41)의 단부 표면적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차이로 외관상 미려함이 제공되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본체(10)에 메탈(40)이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에 상기 메탈(40)을 인서트작업을 통해 일체로 성형한 후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의 원주상 소정의 위치에 홀(50)을 가공한다.
상기 홀(50)의 가공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에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내의 챔버(11)와 내통이 되도록 상기 메탈(40)에까지 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홀(50)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의 원주상 어느 부분에 구성하여도 이루고자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무방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되게 구성할 수 있는가 하면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20)를 장착하는 리가추어(30)에 의해 밀봉되는 위치를 선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홀(50)이 밀봉상태의 공명실(51)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11)에서 생성되는 소리 진동주파수에 의해 울림 현상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마우스피스(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마우스피스(1)의 메탈(40)이 있는 공기토출구(13)측을 통상의 관악기(미 도시됨)의 넥(Neck)에 끼우면 마우스피스(1)가 결합된 관악기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마우스피스(1)의 오프닝사이즈(12)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내의 챔버(11)에서 진동주파수를 생성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주파수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는 과정에 합성수지로 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의 부드러운 음과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메탈(40)에서의 강한 음이 합해지면서 중성으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0)에 마련된 상기 홀(50)과 상기 리가추어(30)에 의해 상기 홀(50)이 공명실(5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내의 챔버(11)에서 생성되는 진동주파수를 통해 생성된 소리를 상기 홀(50)과 공명실(51) 내부 공간에서 다시 진동하게 되어 생성되는 소리는 관악기의 톤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구사하게 되고, 사용에 경과가 흐를수록 고도의 테크닉도 쉽게 컨트롤할 수 있게 되어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마우스피스 10. 마우스피스 본체
11. 챔버 12. 오프닝사이즈
13. 공기토출구 20. 리드
30. 리가추어 31. 돌기
40. 메탈 41. 지지부
50. 홀(hole) 51. 공명실

Claims (6)

  1. 오프닝사이즈(12)와 공기 토출구(13)를 구성한 본체(10); 상기 오프닝사이즈(12)의 공기주입량을 조절하게 되는 리드(20); 상기 리드(20)를 본체(10)에 체결하기 위한 리가추어(30);로 구성되는 마우스피스(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강성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공기토출구(13)측에 내주연을 감싸면서 지지부(41)의 단부 표면적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메탈(40)을 인서트(insert)작업을 통해 상기 본체(10)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고,
    한편 상기 본체(10)내의 챔버(11)에서 생성되는 소리의 진동주파수를 높여 줄 수 있도록 있는 수단으로 상기 본체(10)의 원주상 소정의 위치에 홀(50)을 천공하여 상기 본체(10)에 인서트작업을 통해 일체화된 메탈(40)과 상기 리드(20)를 체결하는 리가추어(30)에 의해 공명실(5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리드(20)를 상기 본체(10)에 체결에 용이성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리가추어(30)의 각 모서리에 소정의 돌기(31)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10021U 2013-12-05 2013-12-05 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0476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021U KR200476655Y1 (ko) 2013-12-05 2013-12-05 악기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021U KR200476655Y1 (ko) 2013-12-05 2013-12-05 악기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55Y1 true KR200476655Y1 (ko) 2015-03-23

Family

ID=5304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021U KR200476655Y1 (ko) 2013-12-05 2013-12-05 악기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05Y1 (ko) 2019-04-12 2020-03-04 장홍상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200122095A (ko) 2019-04-17 2020-10-27 윤여명 리드의 안정 체결구조를 갖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102181661B1 (ko) * 2019-09-02 2020-11-23 이종진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KR102340916B1 (ko) * 2020-10-23 2021-12-17 정서우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7438B1 (ko) 2022-04-01 2023-03-08 김규찬 악기용 마우스피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97A (ja) * 1981-07-11 1983-01-21 トヤマ楽器製造株式会社 音質調節栓を有する木管楽器
KR20090056812A (ko) * 2007-11-30 2009-06-03 쥬이-홍 짜이 에코 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JP3153666U (ja) * 2009-05-22 2009-09-17 孝造 荒瀬 木管楽器用弱音具
JP4440703B2 (ja) * 2004-05-18 2010-03-24 株式会社石森管楽器 マウスピ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97A (ja) * 1981-07-11 1983-01-21 トヤマ楽器製造株式会社 音質調節栓を有する木管楽器
JP4440703B2 (ja) * 2004-05-18 2010-03-24 株式会社石森管楽器 マウスピース
KR20090056812A (ko) * 2007-11-30 2009-06-03 쥬이-홍 짜이 에코 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JP3153666U (ja) * 2009-05-22 2009-09-17 孝造 荒瀬 木管楽器用弱音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05Y1 (ko) 2019-04-12 2020-03-04 장홍상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200122095A (ko) 2019-04-17 2020-10-27 윤여명 리드의 안정 체결구조를 갖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102181661B1 (ko) * 2019-09-02 2020-11-23 이종진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KR102340916B1 (ko) * 2020-10-23 2021-12-17 정서우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7438B1 (ko) 2022-04-01 2023-03-08 김규찬 악기용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655Y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CN207264769U (zh) 用于管乐器的吹嘴簧片
KR101405991B1 (ko)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KR101656645B1 (ko) 마우스 피스를 구비한 오카리나
CN102065346A (zh) 音箱
CN209747111U (zh) 一种微笛口琴
CN205283809U (zh) 扬声器系统和具有该扬声器系统的电子产品
CN201689661U (zh) 一种自带谐振腔的二胡琴马
KR200390550Y1 (ko) 오카리나
JP2006284996A (ja) オカリナ
CN207474043U (zh) 适用于乐器演奏的卡祖笛结构
JP3140147U (ja)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KR101502735B1 (ko) 리코더의 결합장치
CN208707955U (zh) 一种扬声器模组
KR100717357B1 (ko) 합성수지재용 오카리나
KR102181661B1 (ko)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KR102081000B1 (ko)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CN201359842Y (zh) 一种能拓宽实音音域的埙
CN207264773U (zh) 双面板琴体共振电吉他
CN216212292U (zh) 萧笛
JP3224996U (ja) 竹製オカリナ
JP3125042U (ja)
KR101406813B1 (ko) 리코더 및 리코더 제작방법
KR20090077505A (ko) 리코더
KR102193130B1 (ko) 공명홀이 형성된 오카리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