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661B1 -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1661B1 KR102181661B1 KR1020190107957A KR20190107957A KR102181661B1 KR 102181661 B1 KR102181661 B1 KR 102181661B1 KR 1020190107957 A KR1020190107957 A KR 1020190107957A KR 20190107957 A KR20190107957 A KR 20190107957A KR 102181661 B1 KR102181661 B1 KR 102181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sound
- tube
- mouthpiece
- saxo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및 그 마우스피스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는,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출 공기에 의한 떨림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드부, 및 챔버 내에서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지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되어 (기)발생된 소리의 음색을 조절하는 울림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마우스피스의 상부 내측에 울림통을 구비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의 연주시 색소폰의 상부측에 마우스피스를 결합하여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게 된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는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부착시켜 리가쳐(조임기구)로 조임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마우스피스는 그 모양과 마우스피스와 리드간 벌어진 간격, 연주자들은 이를 "오프닝"이라 부르며, 이에 따라 음색이 달라질 정도로 매우 민감하여 색소폰에서 있어 소리는 마우스피스에서 많이 좌우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마우스피스의 소재 개발에 치중해왔고, 배플 벽면에 보조기구를 삽입하는 등 그 효과가 미비해 상품성이 없고, 또 제조되는 각종의 마우스피스는 배플 형상 변형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회적 분위가 여가를 즐기려는 분위기로 많이 변화하면서 개인 또는 집단적으로 색소폰과 같은 악기를 다루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입문자의 경우에는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숙련된 연주자의 경우에도 풍부하고 깊은 음색의 사운드가 생성되도록 하여 풍부하고 감미로운 소리의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마우스피스의 상부 내측에 울림통을 구비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는,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출 공기에 의한 떨림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드부, 및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지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발생된 소리의 음색을 조절하는 울림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넥 삽입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체결되어 상기 챔버의 체적을 변경하는 챔버 조절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챔버 조절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울림통부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챔버 내로 삽입되는 하부에 상기 음색을 조절하는 지정 형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정 형태의 홈은, 상기 발생된 소리의 파장과 상기 분출 공기의 유속과 압력을 변경하여 상기 음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의 구동방법은, 본체부, 리드부 및 울림통부를 포함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챔버 내로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부가, 상기 분출 공기에 의해 떨려 마우스피스 팁레일에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지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되는 상기 울림통부가 상기 발생한 소리에 의한 음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넥 삽입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체결되어 상기 챔버의 체적을 변경하는 챔버 조절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챔버 조절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울림통부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챔버 내로 삽입되는 하부에 상기 음색을 조절하는 지정 형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정 형태의 홈은, 상기 발생된 소리의 파장과 상기 분출 공기의 유속과 압력을 변경하여 상기 음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가변 챔버형의 마우스피스에 울림통을 구비함으로써 음색 조절이 다양하게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숙련된 연주자의 경우 울림통을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우스피스를 선택 및 사용함으로써 풍부하고 깊은 음색의 사운드가 생성되도록 하여 풍부하고 감미로운 소리의 연주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울림통을 마우스피스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조립 등의 절차를 줄임으로써 마우스피스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울림통부의 절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울림통부의 절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울림통부의 절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이하, 마우스피스)(90)는 본체부(100), 챔버 조절관(170) 및 울림통부(18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챔버 조절관(17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마우스피스(90)가 구성되거나, 울림통(185)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본체부(100)나 챔버 조절관(170)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90)는 일반형 마우스피스(도 1 참조)와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도 2 및 도 4 참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의 경우에는 마우스피스 내부, 가령 챔버의 일측에 울림통부(185)를 구비하거나(도 2 참조), 챔버 내부에 투입되는 챔버 조절관(160)에 울림통부(180)가 형성되는 형태(도 4 참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가변 챔버형에 울림통이 형성되는 경우 음색 조절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도 1의 마우스피스(90)가 일반형 마우스피스라면, 도 1에서 마우스피스(90)의 내부 챔버에 챔버 조절관(160, 170)을 포함하면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가 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 즉 내쉬는 숨인 날숨이 통과하는 챔버(120)가 구비된다. 챔버(120)는 마우스피스(90)로 유입되는 연주자의 날숨이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해당 챔버(120)를 통과하는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 즉 날숨은 색소폰의 넥(neck) 부위로 유입되는 것이다. 마우스피스(90)의 넥 삽입부(150)는 넥에 삽입되므로, 연주자의 입이 접촉하는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유입된 연주자의 날숨은 본체부(100)의 타측에서 출력되어 다시 넥으로 유입된다. 오프닝으로 연주자가 강한 공기 즉 날숨을 불어넣게 되면 대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리드의 얇은 판을 울림으로써 소리를 만들어 내는데, 이때 만들어진 소리는 색소폰의 관을 통과하면서 더욱 증폭되어 큰 소리로 방출되게 된다.
본체부(100)는 일측에서 연주자의 입이 접촉하는 리드부(110)와 팁레일부(130)를 포함하며, 팁레일부(130)에서 본체부(100)의 내부 즉 챔버(120)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배플(혹은 밧플)(140), 또 본체부(100)의 외부 상측에는 울림통부(혹은 울림통)(18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팁레일(130)과 리드부(110)의 사이를 통상 오프닝이라 명명하며, 오프닝을 통해 색소폰 연주자나 연습자의 날숨이 유입된다.
도 1에서 볼 때, 도 1의 (b)는 도 1의 (a)에서 절단선(A-A')을 따라 일측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며, 도 1의 (c)는 울림통부(185)를 본체부(100)의 관통홀부로 체결할 때 사용하는 드라이버(190)를 보여준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울림통부(185)가 체결되는 관통홀부에는 나사 체결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제1 나사산(195)이나 챔버 상부 나사부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챔버(120)의 내부에는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의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챔버 조절관(17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도 도 1의 (c)에서와 같은 드라이버(190)가 사용될 수 있다. 챔버 조절관(170)이 투입되는 챔버(120)의 내벽에도 챔버 조절관(170)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 체결구조가 형성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나사산(197) 또는 챔버 나사부라 명명할 수 있다.
도 2의 (a)는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를 가령 도 1에서 볼 때, 절단선(B-B')을 따라 바라본 절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의 경우 도 1에서 볼 때 절단선(A-A')을 따라 바라본 일측면도이며, 도 2의 (c)는 챔버 내부로 투입되는 챔버 조절관(170)을 보여주며, 도 2의 (c)를 챔버 조절관(170)의 정면도라 가정할 때 도 2의 (d)는 챔버 조절관(170)의 좌측면도가 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마우스피스(90)의 상부 내측, 더 정확하게는 팁레일부(130)에서 대략 52mm 부위에 컵 모양의 울림통부(185)가 설치되며, 챔버(120)의 상부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울림통부(185)의 외치 나사산과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 드라이버(190)를 이용하여 좌우로 회전시켜 울림통부(18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가변 챔버형 마우스피스의 경우 챔버 상부에 원형홀이 형성되고 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울림통부(185)의 외치 나사부와 체결되어 결합되며, 챔버 조절관(170)의 외치 나사산을 챔버 나사부 즉 제2 나사산(197)과 체결 및 결합하여 챔버 조절관(170)의 위치를 조절 드라이버(190)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사용되는 울림통부(185)의 절단면도이다. 본체 프레임(300)에서 외부면의 상측부는 (제3) 나사산(310)이 형성된다. 해당 나사산(310)은 마우스피스(90)의 본체부(100)에 형성된 챔버 상부 나사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나사산(195, 310)의 형성 길이는 서로 같을 수 있다. 또한, 울림통부(185)의 내부에는 일정 높이 혹은 깊이의 울림조절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공간(320)은 울림통부(185)가 원기둥 형태를 가지므로, 원형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울림조절공간(320)은 마우스피스(90)의 목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외형과 별개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울림조절공간(320)의 원형의 수납공간 형태가 아니라, 사각형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울림통부(185)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나사산(310)을 통해 본체부(100)의 제1 나사산(195)에 서로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울림조절공간(320)의 연주 특성에 따라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사산이 아닌 슬라이딩 구조로 체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슬라이딩 구조는 울림통부(185)를 본체부(100)에 강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의 홈부(groove)와 타측의 돌출부 즉 음각과 양각의 구조를 통해 직진 방향으로 밀어넣은 후 울림통부(185)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울림통부(185)는 본체부(100)의 상부, 더 정확하게는 챔버(120)의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에 체결되므로, 제1 유형의 울림통부(185)라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볼 때, 가변 챔버형의 경우, 챔버(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챔버 조절관(170)은 도 4의 챔버 조절관(160)과 비교해 볼 때 전체 길이가 더 짧을 수 있으므로, 제1 유형(예: A 타입)의 챔버 조절관(170)이라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90)는 가령 연주자의 날숨에 의해 팁레일부(130)에 리드부(110)가 부딪혀 떨리면서 발생되는 진동의 파장과 공기 흐름(도 2 참조)의 유속과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로서 울림통의 위치와 조절힘(혹은 조절링)의 위치에 따라 음색과 사운드는 변하게 된다. 울림통의 역할은 음압과 음향(소리)을 적절히 믹싱시켜 풍부하고 섬세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색소폰 연주음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c)는 도 4의 (b)의 좌측면도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이하, 마우스피스)(190)는 본체부(100), 챔버 조절관(160) 및 챔버 조절관(160)에 체결되는 울림통부(18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울림통부(18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챔버 조절관(160)과 같은 구성요소에 통합 즉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의 마우스피스(190)를 도 2의 마우스피스(90)와 비교해 볼 때, 도 4에서는 울림통부(180)가 챔버 조절관(16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부를 통해 체결된 후, 챔버(120)내로 투입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챔버 조절관(160)은 상측으로 울림통부(180)를 체결하기 위한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도 1 및 도 2의 챔버 조절관(170)과 구분하기 위하여 제2 유형(예: B 타입)의 챔버 조절관(160)이라 명명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챔버(120)의 내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울림통을 가지고 있는 챔버 조절관(160)의 외치 나사산을 챔버 나사부에 결합시키고, 조절 드라이버(190)를 이용해 회전시켜 챔버 조절관(160)을 좌우로 이동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볼 때, 챔버(1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챔버 조절관(170)은 도 4의 챔버 조절관(160)과 비교해 볼 때, 제품의 전체 길이가 더 짧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은 제품 설계자의 의도나 색소폰 연주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통부(180, 185)는 본체부(100) 또는 챔버 조절관(160)의 일측에서 체결된 후 가령 기둥 형상을 이루는 울림통부(180, 185)가, 챔버(120) 내에서 이동하는 공기 즉 연주자의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지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이루되, 리드부(11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100)의 측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물론 이의 경우에도 챔버(120) 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령 기둥 형상을 이루는 울림통부(180, 185)는 반드시 수직을 이루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공기의 이동 방향과, 가령 챔버(120)의 일측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울림통부(180, 185)의 울림조절공간(320)을 어느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하고, 또 어떠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느냐는 음색의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마우스피스(90, 190)가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통부(180, 185)는 별도로 제조되어 본체부(100)나 챔버 조절관(160)의 일측으로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100)의 내부벽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조절공간(320)을 형성하거나 챔버 조절관(160)의 내벽에 울림조절공간(320)을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에는 제조 공정상에서 바로 형성되어 출고되므로 별도의 체결(혹은 조립) 절차가 필요없으므로 제조비용이 더욱 절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90)는 본체부(100)의 챔버(120) 내로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를 유입한다(S500). 물론 호흡 분출 공기는 복식 호흡에 의한 분출 공기일 수 있다.
또한,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90)는 유입되는 호흡 분출 공기에 의해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리드부를 움직여 즉 떨리게 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S510). 더 정확하게는 팁레일에 리드가 부딪혀 떨리면서 소리가 발생한다.
이어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90)는 챔버 내에서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울림통부가 기발생된 소리에 의한 음색을 조절한다(S520). 음색은 다른 소리와 구별되는 음의 색깔을 의미하다. 또는 음조의 질이라 표현할 수 있다. 각 악기들은 다른 음색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악기를 가지고 같은 음을 연주하면 그 음들은 같은 음높이를 가지지만 다르게 들린다. 배음의 분포가 다르면 음색이 달리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울림통은 진동하는 소리의 파장과 공기 흐름의 유속과 압력을 조절하며, 물론 복식 호흡의 정도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이와 같이 울림통은 음압과 음향 즉 소리를 적절히 믹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풍부하고 섬세한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기타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90)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리드부
120: 챔버 130: 팁레일부
140: 배플 150: 넥 삽입부
160, 170: 챔버 조절관 180, 185: 울림통부(혹은 울림통)
190: (조절) 드라이버 195: 제1 나사산
197: 제2 나사산 300: 본체 프레임
310: (제3) 나사산 320: 울림조절공간
120: 챔버 130: 팁레일부
140: 배플 150: 넥 삽입부
160, 170: 챔버 조절관 180, 185: 울림통부(혹은 울림통)
190: (조절) 드라이버 195: 제1 나사산
197: 제2 나사산 300: 본체 프레임
310: (제3) 나사산 320: 울림조절공간
Claims (4)
- 연주자의 호흡 분출 공기가 통과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출 공기에 의한 떨림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드부; 및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분출 공기의 이동 방향과 지정 각도를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발생된 소리의 음색을 조절하는 울림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넥 삽입부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체결되어 상기 챔버의 체적을 변경하는 챔버 조절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울림통부는, 상기 챔버 조절관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리드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부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챔버 내로 삽입되는 하부에 상기 음색을 조절하는 지정 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957A KR102181661B1 (ko) | 2019-09-02 | 2019-09-02 |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957A KR102181661B1 (ko) | 2019-09-02 | 2019-09-02 |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1661B1 true KR102181661B1 (ko) | 2020-11-23 |
Family
ID=736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957A KR102181661B1 (ko) | 2019-09-02 | 2019-09-02 |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166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0147U (ja) * | 2007-12-26 | 2008-03-13 | 蔡瑞鴻 |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
KR200453252Y1 (ko) | 2009-09-11 | 2011-04-20 | 김의근 |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
KR20140019561A (ko) | 2012-08-06 | 2014-02-17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표면에 금 코팅층을 갖는 섹소폰용 금속제 마우스피스 |
KR101405991B1 (ko) | 2012-09-18 | 2014-06-18 | 김종민 |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
KR200476655Y1 (ko) * | 2013-12-05 | 2015-03-23 | 김종민 | 악기용 마우스피스 |
KR20170002784U (ko) | 2016-01-27 | 2017-08-04 | 고성훈 | 섹소폰 연습기 |
-
2019
- 2019-09-02 KR KR1020190107957A patent/KR102181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0147U (ja) * | 2007-12-26 | 2008-03-13 | 蔡瑞鴻 |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
KR200453252Y1 (ko) | 2009-09-11 | 2011-04-20 | 김의근 |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
KR20140019561A (ko) | 2012-08-06 | 2014-02-17 |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 표면에 금 코팅층을 갖는 섹소폰용 금속제 마우스피스 |
KR101405991B1 (ko) | 2012-09-18 | 2014-06-18 | 김종민 |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
KR200476655Y1 (ko) * | 2013-12-05 | 2015-03-23 | 김종민 | 악기용 마우스피스 |
KR20170002784U (ko) | 2016-01-27 | 2017-08-04 | 고성훈 | 섹소폰 연습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22979A (en) | Stringed instrument | |
US7326840B2 (en) | Mouth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 |
US5918299A (en) | Stringed instrument | |
US7667118B1 (en) | Mouthpiece for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 |
US6673992B1 (en) | Saxophone mouthpiece | |
US4449439A (en) | Mouthpiece for woodwind instruments | |
KR102181661B1 (ko) |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 |
KR101405991B1 (ko) |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 |
US7678980B2 (en) | End blown flute having an acoustic air space | |
US4212223A (en) | Mouthpiece for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 |
US6914179B2 (en) | Flutes with multiple chambers that share compound bisected toneholes | |
US20110126691A1 (en) | Tunable mouthpiece for a brass instrument | |
US6348647B1 (en) | Fipple flutes having improved airways | |
US7772472B2 (en) | Fipple flute made active by a brass instrument mouthpiece | |
JP2018132698A (ja) | 鍵盤ハーモニカ | |
KR101812481B1 (ko) |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 |
JP6867631B2 (ja) | 改善されたフルートヘッドジョイント | |
KR200481069Y1 (ko) |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 |
US11769474B2 (en) | Flute head joint, method of producing a flute head joint and flute | |
JP7084070B1 (ja) | 管楽器用リガチャーカバー | |
US3198054A (en) | Musical instrument of the wind type | |
JP2018531432A6 (ja) | 改善されたフルートヘッドジョイント | |
JP2020177204A (ja) | 金管楽器用チューニング管つき消音装置 | |
JP3105230U (ja) | 金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 | |
KR101812479B1 (ko) |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