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69Y1 -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69Y1
KR200481069Y1 KR2020140000322U KR20140000322U KR200481069Y1 KR 200481069 Y1 KR200481069 Y1 KR 200481069Y1 KR 2020140000322 U KR2020140000322 U KR 2020140000322U KR 20140000322 U KR20140000322 U KR 20140000322U KR 200481069 Y1 KR200481069 Y1 KR 200481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outhpiece
saxophone
neck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356U (ko
Inventor
장영갑
Original Assignee
장영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갑 filed Critical 장영갑
Priority to KR2020140000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6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과 챔버의 형상을 가공하여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연주되는 색소폰가 풍부하고 깊은 울림의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색소폰의 네크 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팁레일, 페이싱, 사이드레일, 챔버, 배플, 테이블, 연결구를 포함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와 결합되는 경우, 테이블과 리카츄어의 사이에 공동이 형성될 수 있도록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카츄어를 통하여 테이블에 결합된 리드의 울림이 상기 공동에서 공명을 일으키며 챔버의 내측으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는 색소폰와 연결하기 위한 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가 전달되는 챔버와 네크의 밀착면이 수평선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챔버를 유동하는 공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색소폰의 내측으로 전달되어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연주자가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주자가 발생시키는 호흡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를 챔버를 통하여 네크의 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도 챔버에 형성되는 요홈 또는 돌출부의 구성을 통하여 챔버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색소폰의 저음과 고음형성 또는 강하고 풍부한 소리의 형성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네크와 연결되는 연결구의 내측으로 요입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챔버를 통하여 네크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며 연주자가 내고자 하는 다양한 소리를 폭넓게 형성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챔버의 형상을 변경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챔버의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리카츄어를 통하여 결합되는 리드의 진동이 챔버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테이블의 일측에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의 테이블 형상을 통하여 리드의 편리한 결합을 물론이고, 리카츄어와 리드의 사이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리드의 진동이 챔버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마우스피스를 통한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소폰용 마우스피스{musical instrument for mouthpiece}
본 고안은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테이블, 챔버의 형상을 가공하여 색소폰와 연결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네크의 방향으로 마우스피스의 챔버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마우스피스를 통한 색소폰의 연주시, 색소폰이 풍부하고 깊은 울림의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용 마우스피스란, 색소폰의 네크부분에 결합하여 색소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입으로 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는 악기의 구조에 따라 따라 무황관(無簧管) ·황관(簧管) ·금관(金管)으로 구별되며, 그 모양이나 기능도 각기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위와 같은 마우스피는 형성되는 모양에 따라 색소폰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소리를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주로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챔버의 형상과 챔버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형상이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챔버를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마우스피스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의 재질을 변경하여 마우스피스를 이용하는 연주자가 편리한 연주와 세균감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등이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1) 및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피스는 연주자의 편의를 확보하거나, 세균감염 등의 예방을 이룰 수는 있으나, 관악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피스를 이용하여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내기에는 문제가 있었으며,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우스피스와 리드에 공동(아무것도 없이 빈 공간)을 형성하기 어려워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관악기의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내기에는 부족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관악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풍부하고 깊은 소리는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음, 저음, 강하고 풍부한 소리를 편리하게 낼 수 있는 마우스피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99154(2005.10.13)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00756(2009.05.27)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색소폰의 네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테이블과 챔버의 형상을 통하여 색소폰가 풍부하고 깊은 소리는 물론, 고음 및 강하고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소폰 연주자가 다양한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색소폰의 네크 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팁레일, 페이싱, 사이드레일, 챔버, 배플, 테이블, 연결구를 포함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와 결합되는 경우, 테이블과 리카츄어의 사이에 공동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리카츄어를 통하여 테이블에 결합된 리드의 울림이 상기 공동에서 공명을 일으키며 챔버의 내측으로 전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은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네크의 내측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탭레일에서 연결구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 형상의 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네크의 내측면과 동일 수평성산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탭레일에서 연결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내측으로 0.1~1.5mm 이내의 크기의 단턱을 형성하는 요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는 색소폰과 연결하기 위한 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가 전달되는 챔버와 네크의 밀착면이 수평선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챔버를 유동하는 공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색소폰의 내측으로 전달되어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연주자가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주자가 발생시키는 호흡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를 챔버를 통하여 네크의 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도 챔버에 형성되는 요홈 또는 돌출부의 구성을 통하여 챔버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색소폰의 저음과 고음형성 또는 강하고 풍부한 소리의 형성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네크와 연결되는 연결구의 내측으로 요입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챔버를 통하여 네크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며 연주자가 내고자 하는 다양한 소리를 폭넓게 형성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챔버의 형상을 변경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챔버의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리카츄어를 통하여 결합되는 리드의 진동이 챔버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테이블의 일측에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의 테이블 형상을 통하여 리드의 편리한 결합을 물론이고, 리카츄어와 리드의 사이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리드의 진동이 챔버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마우스피스를 통한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측면도.
도 3은는 본 고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피스의 일측에 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피스의 일측에 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구에 요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10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색소폰의 네크(40) 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팁레일(11), 페이싱(12), 사이드레일(13), 챔버(14), 배플(15), 테이블(16), 연결구(17)를 포함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6)은 리카츄어(30)를 통하여 리드(20)와 결합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공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테이블(16)은 단면이 원형이나 일부면은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팁레일(11)은 마우스피스(1)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마우스피스(1)의 끝부분에 위치된 팁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페이싱(12)은 상기 테이블(16)의 길이와 팁레일(1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팁레일(11)에서 테이블(16)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즉, 상기 페이싱(12)은 상기 팁레일(11)에서 연장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사이드레일(13)을 포함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팁레일(11), 페이싱(12), 사이드레일(13)은 마우스피스(1)의 외관을 지칭하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테이블(16)은 본 고안에서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팁레일(11)의 방향으로 리드(20)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카츄어(30)를 통하여 고정되는 리드(20)의 일측이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은 테이블(16)과 리드(20)의 결합은 리드(20)의 진동을 얼마만큼 이룰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테이블(16)의 길이가 짧으면 리드(2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져 저음을 내기는 쉬우나, 고음을 내거나 음정을 컨트롤 하기는 어렵고, 테이블(16)의 길이가 길어 리드(2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면, 음정의 컨트롤이 쉽고, 고음을 연주하기는 쉬우나, 저음을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시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블(16)에 리카츄어(30)를 통하여 리드(2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사이에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공동(S)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1)를 이루는 테이블(16)의 외측으로 리카츄어(30)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테이블(16)의 일부면이 판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결합부위에 공동(S)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테이블(16)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부면은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팁레일(11)에서 연결구(17)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이블(16)의 일부면이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1)에 리드(20)를 결합하고자 리카츄어(30)를 마우스피스(1)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마우스피스(1)의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사이로 상기 리드(20)가 결합된 부분과는 다른 부분에 공동(S)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팁레일(11)의 방향으로 연주자가 바람을 발생키는 경우에는 상기 리카츄어(30)를 통하여 마우스피스(1)에 결합된 리드(20)가 진동을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리드(20)의 진동이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공동(S)에서 공명을 일으키게 되어 챔버(14)를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진동이 전달됨으로써 마우스피스(1)를 통하여 색소폰로 전달되는 소리가 풍부하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공동(S)에서 발생되는 공명현상이 챔버(14)를 통하여 색소폰의 네크(40)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전달되게 됨으로써, 챔버(14)를 통하여 네크(4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색소폰가 울림이 강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블(16)의 일부면을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사이에 공동(S)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테이블(16)의 폭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리드(20)의 진동을 전달받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폭이 너무 좁은 경우에 공동(S)에서 공명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동(S)의 형성과 이를 통한 공명현상의 유도를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구(16)에 네크(4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챔버(14)의 내측면과 네크(40)의 내측면이 동일 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탭레일(11)에서 연결구(17)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챔버(14)에는 홈 형상을 이루는 요홈(14a)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된 도 6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1)를 이루는 챔버(14)의 길이방향으로 홈 형상의 요홈(14a)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마우스피스(1)를 통한 색소폰의 고음 형성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챔버(14)가 마우스피스(1)로 공기가 들어가는 부분 즉, 연주자가 내뱉는 공기를 마우스피스(1)에 연결되는 네크(4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네크(40)와 연결된 색소폰에 소리를 형성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4)의 길이방향으로 요홈(14a)을 형성하여 챔버(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네크(40)의 방향으로 공기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음의 형성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17)의 내측에 네크(4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챔버(14)의 내측면과 네크(40)의 내측면이 동일 수평선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챔버(1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네크(40)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챔버(14)의 내측면에 요홈(14a)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결합에 의하여 공동(S)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요홈(14a)을 통한 챔버(14) 내측의 공기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유도됨과 동시에 상기 공동(S)에서 발생되는 공명현상이 공기의 흐름에 전달되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색소폰의 고음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챔버(14)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17)에 결합되는 네크(40)의 내측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챔버(14)의 외측면에는 상기 탭레일(11)에서 연결구(17)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b)를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챔버(14)를 통하여 네크(40)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챔버(1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b)를 거치며 진행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마우스피스(1)를 통하여 색소폰를 연주하는 경우에 강하고 풍부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챔버(14)의 외측으로 돌출부(14b)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네크(40)가 연결구(17)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챔버(14)의 내측면과 네크(40)의 내측면이 도 9에서와 같이, 동일 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챔버(14)를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네크(40)의 내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챔버(14)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챔버(14)에 형성되는 돌출부(14b)를 통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이 굴곡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네크(40)로 유입되는 공기가 강하게 압력을 형성하며 유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테이블(16)과 리카츄어(30)의 결합에 의하여 공동(S)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4b)를 통한 챔버(14) 내측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유도됨과 동시에 상기 공동(S)에서 발생되는 공명현상이 공기의 흐름에 전달되어 더욱 강한 공기의 흐름이 네크(40)의 방향으로 유입되게 하고, 이를 통하여 강하고 풍부한 색소폰의 소리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챔버(14)는 배플(15)과 사이드레일(13)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배플(15)과 사이드레일(13)의 형상은 마우스피스(1)를 통하여 내고자 하는 소리의 음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과 기능은 종래의 배플(15), 사이드레일(1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17)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챔버(14)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내측으로 0.1~1.5mm 이내의 크기의 단턱을 형성하는 요입홈(17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요입홈(17a)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네크(40)가 결합되는 연결구(17)의 내측부에 형성하여 챔버(1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네크(40)로 전달되기 전에 상기 요입홈(17a)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마우스피스(1)의 챔버(14)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색소폰의 고음 형성을 더욱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14)에 형성되는 요홈(14a)과 돌출부(14b)의 형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챔버(14)의 수평부분 길이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며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챔버(14)의 내측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되는 색소폰의 음색을 더욱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마우스피스(1)를 이루는 챔버(14)의 형상과, 테이블(16)의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함으로써 챔버(14)의 내측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소폰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풍부하고 깊은 소리는 물론이고, 강한 울림의 소리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마우스피스 11: 팁레일
12: 페이싱 13: 사이드레일
14: 챔버 14a: 요홈
14b: 돌출부 15: 배플
16: 테이블 17: 연결구
17a: 요입홈 20: 리드
30: 리카츄어 40: 네크
S: 공동

Claims (5)

  1. 색소폰의 네크 단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팁레일, 페이싱, 사이드레일, 챔버, 배플, 테이블, 연결구를 포함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일부면은 0.5~1.5cm 이내의 폭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과 리카츄어가 결합될 때 상기 테이블과 상기 리카츄어 사이에 상기 판형상에 의하여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리카츄어를 통하여 리드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공동은 상기 리드가 결합되는 부분과는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카츄어를 통하여 상기 테이블에 결합된 상기 리드의 울림이 상기 공동에서 공명을 일으키며 상기 챔버의 내측으로 전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네크의 내측면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팁레일에서 연결구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 형상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면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네크의 내측면과 동일 수평성산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팁레일에서 연결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내측으로 0.1~1.5mm 이내의 크기의 단턱을 형성하는 요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2020140000322U 2014-01-15 2014-01-15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200481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2U KR200481069Y1 (ko) 2014-01-15 2014-01-15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2U KR200481069Y1 (ko) 2014-01-15 2014-01-15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56U KR20150003356U (ko) 2015-09-11
KR200481069Y1 true KR200481069Y1 (ko) 2016-08-09

Family

ID=543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22U KR200481069Y1 (ko) 2014-01-15 2014-01-15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05Y1 (ko) * 2019-04-12 2020-03-04 장홍상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064A (ja) * 1998-02-19 1999-09-24 Bicon Serge クラリネットまたはサキソフォンのマウスピース用の締付け具
KR200399154Y1 (ko) 2005-05-16 2005-10-19 이승윤 공기저항이 감소되는 마우스피스.
KR20060118652A (ko) * 2005-05-16 2006-11-24 이승윤 공기저항이 감소되는 마우스피스.
KR100900756B1 (ko) 2005-10-08 2009-06-05 양원동 은 나노가 함유된 악기용 마우스 피스
KR101386383B1 (ko) * 2012-06-11 2014-04-16 승 섭 고 리드몸체진동부를 형성한 리가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56U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6840B2 (en) Mouth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CN207264769U (zh) 用于管乐器的吹嘴簧片
KR200481069Y1 (ko)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KR200476655Y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US8664499B2 (en) Nose pipe instrument capable of modulating the tone thereof
JP2012190020A (ja) サックスフォン用リード
KR101405991B1 (ko)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KR200453252Y1 (ko)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US11145282B2 (en) Woodwind mouthpiece
KR100961435B1 (ko) 관악기
KR102181661B1 (ko) 색소폰용 울림통형 마우스피스
JP3140147U (ja)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US10699680B2 (en) Elliptical high-mass mouthpiece for brass musical instruments
JP6690330B2 (ja) マウスピース及びアタッチメント
WO2021035567A1 (en) A mouthpiece for use with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6867631B2 (ja) 改善されたフルートヘッドジョイント
JP2018531432A6 (ja) 改善されたフルートヘッドジョイント
US11769474B2 (en) Flute head joint, method of producing a flute head joint and flute
KR102422702B1 (ko) 사용자의 정확한 파지유도가 가능한 고리 및 로프타이 겸용 코피리
JP2009003357A (ja)
JP3105230U (ja) 金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
KR101812479B1 (ko)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JP3141194U (ja) オカリナ
JP3182098U (ja) 気鳴楽器
JP2019053218A (ja) リコ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