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438B1 - 악기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악기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438B1
KR102507438B1 KR1020220041057A KR20220041057A KR102507438B1 KR 102507438 B1 KR102507438 B1 KR 102507438B1 KR 1020220041057 A KR1020220041057 A KR 1020220041057A KR 20220041057 A KR20220041057 A KR 20220041057A KR 102507438 B1 KR102507438 B1 KR 10250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mouthpiece
chamber
insertion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찬
윤정일
Original Assignee
김규찬
윤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찬, 윤정일 filed Critical 김규찬
Priority to KR102022004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의 넥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를 교체하지 않고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보어부(20)와, 상기 보어부(20)와 연결된 챔버부(30)와, 상기 챔버부(30)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단부에 개방 형성된 베플부(40)와, 상기 베플부(4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플부(40)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음색을 변화시키는 삽입편(1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기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관악기의 넥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를 교체하지 않고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악기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의 넥(Neck)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는 연주자의 입술이 닿는 부분으로서,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종래의 마우스피스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보어부(Bore;20)와, 상기 보어부(20)와 연결된 챔버부(Chamber;30)와, 상기 챔버부(30)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단부에 개방 형성된 베플부(Baffle;40)로 구성된다.
상기 베플부(40)에는 리가추어(Ligature)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Reed)가 위치된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는 베플부(40)의 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음색을 갖게 되는데, 베플부(40)의 용적이 클수록 묵직하고 풍부한 소리를 내는 반면, 용적이 작을수록 가볍고 화려한 소리를 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연주자가 묵직하고 풍부한 소리를 내고자 할 경우에는 베플부(40)의 용적이 크게 제작된 로우베플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해야 하고 가볍고 화려한 소리를 내고자 할 경우에는 베플부(40)의 용적이 작게 제작된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서로 다른 마우스피스를 구입하는데 경제적 비용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766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서로 다른 마우스피스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더라도 묵직하고 풍부한 로우베플용 마우스피스 소리와 가볍고 화려한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보어부와, 상기 보어부와 연결된 챔버부와, 상기 챔버부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단부에 개방 형성된 베플부와, 상기 베플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플부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음색을 변화시키는 삽입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편은 상기 베플부의 상측벽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과, 상기 베플부의 양측벽면을 따라 밀착되는 양측밀착면과, 상기 챔버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후단과 상부밀착면을 연결하는 후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편의 후면은 챔버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입편의 하부면 중앙에는 챔버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베플부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삽입편이 베플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고가의 로우베플용 마우스피스와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를 따로 구입하지 않더라도 상기 삽입편을 착탈시켜 가면서 묵직하고 풍부한 로우베플용 마우스피스의 음색과 가볍고 화려한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의 음색으로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을 구성하는 삽입편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을 구성하는 삽입편의 저면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을 구성하는 삽입편의 저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피스금속이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보어부(20)와, 상기 보어부(20)와 연결된 챔버부(30)와, 상기 챔버부(30)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단부에 개방 형성된 베플부(4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와 보어부(20)와 챔버부(30)와 베플부(40)는 종래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플부(40)에는 삽입편(10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삽입편(100)은 합성수지나 목재 또는 금속 등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삽입편(100)은 베플부(40)의 상측벽면(41)을 따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110)과 상기 베플부(40)의 양측벽면(42)을 따라 밀착되는 양측밀착면(120)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100)은 챔버부(30)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하부면(130)과, 상기 하부면(130)의 후단과 상부밀착면(110)을 연결하는 후면(140)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삽입편(100)은 베플부(40)에 끼워져 베플부(40)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마우스피스에서 나오는 소리를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와 같이 보다 가볍고 화려한 음색으로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악기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삽입편(100)을 후면(140)이 챔버부(30)를 향하도록 베플부(40)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한다.
상기 삽입편(100)을 베플부(40)에 끼워 넣게 되면, 삽입편(100)의 양측밀착면(120)이 베플부(40)의 양측벽면(42)에 긴밀히 밀착됨과 동시에 삽입편(100)의 상부밀착면(110)이 베플부(40)의 상측벽면(41)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베플부(40)로부터 탈락되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편(100)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베플부(4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상기 베플부(40)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된 삽입편(100)은 미리 준비된 별도의 스틱(도시 안됨)을 이용하여 베플부(40)의 반대측에서 보어부(20)를 통해 삽입편(100)의 후면(140)을 밀게 되면 베플부(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 베플부(40)로부터 삽입편(100)을 제거하여 묵직하고 풍부한 로우베플의 음색으로 연주를 하다가 베플부(40)에 삽입편(100)을 끼워 가볍고 화려한 하이베플의 음색으로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밀착면(110)과 하부면(130) 사이의 두께를 달리하여 여러가지 종류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두께가 두꺼울수록 베플부(40)의 용적이 감소되므로 점점 더 가볍고 화려한 하이베플의 음색을 갖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고가의 하이베플용 마우스피스를 음색에 따라 여러 종류를 구입하지 않고도 단지 다른 두께를 가진 삽입편(100)으로 교체해 주는 것만으로 다양한 강도의 하이베플 음색으로 세밀하고 정교한 연주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삽입편(100)의 후면(140)은 챔버부(3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삽입편(100)의 후면(140)과 챔버부와의 단차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를 불게 되면 베플부(40)로 유입된 바람이 경사진 하부면(130)을 따라 이동한 후에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후면(140)에서 경사진 후면(140)을 타고 자연스럽게 챔버부(30)로 유입되므로 소리가 끊이거나 요동치지 않고 매우 균일한 매끄러운 소리가 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삽입편(100)은 베플부(40)의 형상에 따라 각기 다른 곡률과 각도로 제작될 수도 있고, 다양한 음색 변화를 위하여 상기 하부면(130)이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기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을 구성하는 삽입편의 저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편(100a)은 상부밀착면(110a)과 양측밀착면(120a)과 하부면(130a)과 후면(140a)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하부면(130)의 중앙에 챔버부(3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홈부(15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삽입편(100a)의 하부면(130a)을 따라 이동하는 바람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홈부(150)로 진입하여 챔버부(3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직선홈부(150)는 하부면(130a) 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매우 가볍고 화려하면서도 응축된 소리가 나게 되며, 연주시 반응속도가 빠르고 저항감이 적어 연주하기 수월하다고 느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직선홈부(150)를 빠져 나온 바람이 챔버부(30)의 상측까지 깊게 유도되면서 공명이 크고 깊어져 풍부하고 따뜻한 음색을 가진 소리를 내게 된다.
한편, 상기 직선홈부(150)는 바람이 자연스럽게 챔버부(30)로 이동하도록 챔버부(3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이가 증대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명이 더욱 크고 깊어지면서 더욱 따뜻한 음색을 가진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홈부(150)의 후단과 챔버부(30) 사이의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면서 홈부(150)의 후단에서의 와류 발생 없이 소리가 끊이거나 요동치지 않고 매우 균일한 매끄러운 소리가 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직선홈부(150)는 바람이 자연스럽게 챔버부(30)로 이동하도록 챔버부(3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증대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이 직선홈부(150)를 따라 이동할수록 풍속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면서 더욱 부드럽고 풍부한 음색을 가진 소리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본체 20...보어부
30...챔버부 40...베플부
41...상측벽면 42...양측벽면
100...삽입편 110...상부밀착면
120...양측밀착면 130...하부면
140...후면 150...직선홈부

Claims (4)

  1. 금속이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보어부;
    상기 보어부와 연결된 챔버부;
    상기 챔버부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단부에 개방 형성된 베플부; 및
    상기 베플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플부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음색을 변화시키는 삽입편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편은
    상기 베플부의 상측벽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부밀착면;
    상기 베플부의 양측벽면을 따라 밀착되는 양측밀착면;
    상기 챔버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의 후단과 상부밀착면을 연결하는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챔버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홈부는 바람이 상기 챔버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챔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이가 증대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의 후면은 챔버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악기용 마우스피스.
  4. 삭제
KR1020220041057A 2022-04-01 2022-04-01 악기용 마우스피스 KR10250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57A KR102507438B1 (ko) 2022-04-01 2022-04-01 악기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57A KR102507438B1 (ko) 2022-04-01 2022-04-01 악기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438B1 true KR102507438B1 (ko) 2023-03-08

Family

ID=8550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057A KR102507438B1 (ko) 2022-04-01 2022-04-01 악기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141A (ja) * 2004-10-12 2006-04-27 Toshio Shinohara 気流調整具
KR200476655Y1 (ko) 2013-12-05 2015-03-23 김종민 악기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141A (ja) * 2004-10-12 2006-04-27 Toshio Shinohara 気流調整具
KR200476655Y1 (ko) 2013-12-05 2015-03-23 김종민 악기용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473A1 (en) Mouthpiece for a wind instrument
CN106098033B (zh) 一种排箫
US7667118B1 (en) Mouthpiece for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US3062084A (en) Bass flute
US5303628A (en) Mouthpiece for a clarinet and a saxophone
US8664499B2 (en) Nose pipe instrument capable of modulating the tone thereof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CN217847424U (zh) 双簧管哨片稳定器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JPH10222157A (ja) 2オクターブオカリナ
JPH05507365A (ja) スピーカ・ベント
JP4440703B2 (ja) マウスピース
CN207818168U (zh) 一种适用于幼儿吹奏的八孔高音竖笛
KR200349305Y1 (ko) 원형(圓形) 오카리나
KR100451632B1 (ko) 오카리나 악기
KR101674359B1 (ko)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KR100849581B1 (ko) 오카리나
CN216212292U (zh) 萧笛
JP2545159Y2 (ja) ソプラノサクソフォン
CN211124991U (zh) 一种低音巴松手风琴音槽
CN211181620U (zh) 一种带有倒圆角的平行吹孔竹笛
KR102067532B1 (ko) 관악기
CN107025896A (zh)
KR200497968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CN211604657U (zh) 一种十孔唢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