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916B1 -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916B1
KR102340916B1 KR1020200138267A KR20200138267A KR102340916B1 KR 102340916 B1 KR102340916 B1 KR 102340916B1 KR 1020200138267 A KR1020200138267 A KR 1020200138267A KR 20200138267 A KR20200138267 A KR 20200138267A KR 102340916 B1 KR102340916 B1 KR 10234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lead
piece
pack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서우
Original Assignee
정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서우 filed Critical 정서우
Priority to KR102020013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10D9/035Re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는 수직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의 카톤편을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 상기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시키는 리가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판지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이 도포된 카톤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A LEED STRUCTURE USING CARTON PA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톤팩을 재활용하여 갈대 리드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친환경적인 리드 및 이를 고정하는 리가춰로 구성된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 클라리넷, 오보에 등과 같은 관악기는 마우스피스를 결합하여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갈대, 나무,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발음체인 리드(reed)를 체결하여 악기의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드(reed)는 색소폰과 같은 관악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진동에 의해 악기의 소리를 내는 발음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납작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진 뱀프(vamp)부분과,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고정판 역할을 하는 스톡(stock)부분으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는 재질과 강도에 따라 분류되고 있는데, 주로 갈대의 일종인 물대(Giant reed)로 제작된 나무재질의 리드와, 합성수지재질의 리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리드는 유지, 관리가 편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에 대한 내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나무재질의 리드에 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재질의 리드는 상술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나무재질의 리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리가 풍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나무재질의 리드는 나무 결(섬유질)에 의해 풍부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충격이나 습도 등 외부환경에 따른 제약이 많고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끝부분이 얇게 제작된 나무재질의 리드는 조그만 충격에도 빈번하게 찢어지고, 작은 손상에도 제대로 된 소리가 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손상된 부분의 수선이 불가능해 재사용 할 수 없어 반드시 새로운 리드를 구매하여 교체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나무재질의 리드는 소모성이 매우 커 빈번하게 교체하여 사용해야 함에도 가격이 비싸 경제적이지 못해 연주자나 사용자에게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경제적이면서도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좋을 뿐 아니라 나무재질의 리드와 동일하게 풍성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리드 및 이를 고정하는 리가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1722684호 (등록일자 2017년 03월 28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의 카톤편을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 및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리가춰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편은 판지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이 도포된 카톤팩을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통용되고 있는 갈대리드와 동일한 음색을 낼 수 있으면서도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강할 뿐 아니라 카톤팩을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는 수직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의 카톤편을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 및 상기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시키는 리가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판지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이 도포된 카톤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톤편은 수직길이가 6.3cm인 제1카톤편; 상기 제1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5.3cm인 제2카톤편; 상기 제2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4.8cm인 제3카톤편; 및 상기 제3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3.3cm인 제4카톤편;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상기 카톤편 각각의 일단이 동일하게 맞춰지고, 타단이 단차지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는 상기 제3카톤편과 상기 제4카톤편 사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3.3cm인 알루미늄재질의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가춰는 다각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의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을 위한 조이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끈은 금속 와이어 및 상기 금속 와이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임끈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 상기 제1관통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과 수평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길이 방향의 아치형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카톤팩을 이용하여 리드를 제작하는 리드제작단계; 및 상기 리드를 고정하는 리가춰를 제작하는 리가춰제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리드제작단계는 물을 이용해 카톤팩을 세척하는 1차세척공정; 살균액으로 상기 카톤팩을 살균하는 1차살균공정; 상기 1차살균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물을 이용해 2차적으로 세척하는 2차세척공정; 상기 2차세척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카톤편을 생성하는 카본편생성공정; 살균액으로 상기 카톤편을 살균하는 2차살균공정; 및 상기 2차살균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편을 길이에 따른 순차적으로 접합하는 접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유팩과 같은 카톤팩을 수직길이가 상이한 4개의 카톤편으로 제작하고 상기 카톤편을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를 포함함으로서, 갈대리드와 동일한 음색을 낼 수 있으면서도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강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수직 길이가 6.3cm의 제1카톤편과 5.3cm의 제2카톤편, 4.8cm의 제3카톤편 및 3.3cm의 제4카톤편을 구비하고 상기 카톤편은 각각의 하단이 동일하게 맞춰지고, 상단이 단차지도록 접합되어, 상기 제1카톤편과 제2카톤편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부의 수직길이는 1.0cm, 상기 제2카톤편과 제3카톤편에서 형성된 제2단차부의 수직길이는 0.5cm, 상기 제3카톤편과 제4카톤편에서 형성된 제3단차부의 수직길이는 1.5cm가 되도록 정형화하여 구성됨으로써, 카톤편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리드가 종래의 갈대 리드와 균일한 음색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리드를 종래의 갈대 리드와 동일한 파형을 보이는 균일한 음색으로의 연주가 가능한 최적의 크기가 정형화됨으로써, 카톤팩을 이용하여 제작된 리드가 균일한 품질의 리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카톤편과 상기 제4카톤편 사이에 수직 길이가 제4카톤편과 동일하고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지지편을 구비함으로써, 리드의 형태를 유지시켜 리드의 울림을 지탱해주는 지지대 역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 조임끈 및 조이개로 구성되어 상기 리드를 지지하는 리가춰를 구비함으로써, 카톤팩으로 구성된 리드를 사용하여 제1음역 뿐 아니라 제1음역보다 높은 제2음역 이상의 소리도 안정적으로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리가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드를 물리적으로 잡아줄 뿐 아니라 상기 카톤편내에 닫힌 공간을 형성하여 소리의 울림과 진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임끈을 금속 와이어 및 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선줄로 구성함으로써, 폐전선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 구조체는 재활용품을 활용한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일 뿐 아니라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의 카톤편 및 지지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제작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제작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00) 및 이를 고정하는 리가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의 카톤편 및 지지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의 카톤편(110)을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100)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갈대 리드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상단면에 소정의 각도로 곡면진 곡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갈대리드와 동일한 파형을 갖는 음색을 낼 수 있는 친환경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100)는 갈대 리드와 동일한 파형을 갖는 음색을 낼 수 있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카톤팩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톤팩은 액체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용기로써, 천연펄프로 만든 판지의 양면에 무독성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도포하여 만든 원단을 원재료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톤팩은 우유팩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카톤팩은 사용된 우유팩을 재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며, 이 때 상기 우유팩을 후술할 제1세척공정(S110), 제1살균공정(S120), 제2세척공정(S130), 건조공정(S140) 및 제2살균공정(S160)을 거쳐 안전하게 세척, 살균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위생적인 재질로 상기 리드(100)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톤팩은 표면이 비교적 빼곡하여 소리가 흡수될 빈 공간 즉, 밀도가 낮은 부분을 보유하고 있어 갈대 리드와 매우 유사한 표면의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카톤팩은 소리를 흡수하지 않도록 촘촘하고 매끄러운 단면을 갖고 이러한 단면은 소리의 음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카톤팩은 소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인장 강도가 1.0 이상인 재질이며, 상기 갈대 리드와 유사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다수개로 포개 접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톤팩은 마우스피스(10)에 장착 시 소정의 간격으로 틈이 벌어지기 때문에 적합한 강도를 갖을 수 있는 두께로 구성되어야 상기 리드의 정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 때 항상 동일한 간격의 틈이 유지되어 균일한 음색을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100)는 다수개의 카톤편(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 1은 갈대 리드와 카톤팩의 인장강도, 표면모습 및 파형을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20112659033-pat00001
한편, 상기 카톤팩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갈대리드와 달리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갈대 리드의 경우 단 한번의 충격에도 쉽게 망가지고 찢어 지는 단점이 있으나 우유팩과 같은 카톤팩으로 생성된 리드의 경우 앞니로 여러번의 충격을 가할 경우에도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충격을 받은 갈대 리드는 충격 후 확연히 다른 소리를 냈으며 이에 따른 파형도 파괴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에 반해, 상기 리드(100)는 충격을 받기 전과 충격 후의 음색에 차이가 없었으며 파형의 변화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카톤팩으로 만들어진 리드(100)는 갈대 리드보다 높은 내구성을 갖으면서도 충격에 따른 파형 변화도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 2는 갈대 리드와 카톤팩 리드의 충격후의 파형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한 표이다.
Figure 112020112659033-pat00002
상기 카톤편(110)은 수직길이가 상이하고 수평길이가 동일한 길이 방향의 형체를 갖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카톤편(110) 각각의 하단은 동일하게 맞춰지도록 접합되어 상단이 단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톤편(110)은 상기 리드(100)를 구성하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써, 수직길이는 상이하고 수평길이가 동일하며, 4개의 카톤편으로 구성되는 제1카톤편(111), 제2카카톤편(112), 제3카톤편(113) 및 제4카톤편(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톤편(110)의 수직 길이는 상기 제1카톤편(111)이 6.3cm, 제2카톤편(112)이 5.3cm, 제3카톤편(113)이 4.8cm, 제4카톤편(114)의 수직길이는 3.3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는 상기 제3카톤편(113)과 제4카톤편(114)사이에 접합하는 알루미뉼 재질의 지지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120)은 수직 길이가 상기 제4카톤편(114)과 동일한 3.3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100)는 각각의 카톤편(110)의 하단을 어긋남없이 동일하게 맞춰지도록 접합되어 상기 리드(100)의 상단은 각각의 카톤편(110)의 길이 차이에 따른 단차가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110)는 상기 제1카톤편(111)과 제2카톤편(112)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부(112a)의 수직길이가 1.0cm, 상기 제2카톤편(112)과 제3카톤편(113)에서 형성된 제2단차부(113a)의 수직길이가 0.5cm, 상기 제3카톤편(113)과 제4카톤편(114)에서 형성된 제3단차부(114a)의 수직길이가 1.5cm가 되도록 정형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리드(100)의 형상이 갈대 리드 상단에 구비된 곡면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띠도록 하여 상기 리드(100)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가 갈대 리드와 동일한 음파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20112659033-pat00003
표 3은 상기 제2단차부(113a)의 수직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한 리드의 파형과 갈대 리드의 파형을 비교 분석한 표이다.
상기 표를 살펴보면 제2단차부(113a)의 수직길이가 0.5cm인 본 발명의 리드(100)가 낸 파형이 갈대 리드가 낸 파형과 거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편(120)은 상기 제4카톤편(114)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고 소정의 강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부재로써, 상기 제3카톤편(113)과 상기 제4카톤편(114) 사이에 접합되어 상기 리드(100)의 형태를 유지시켜 리드(100)의 울림을 지탱해주는 지지대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100)는 제2음역 이상의 안정적인 소리를 내기 위해 상기 리가춰로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상기 리드(100)는 상기 리가춰(200)가 배치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높여 상기 리가춰(20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2음역 이상의 소리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리드(100)는 상기한 바가 구현될 수 있도록 카톤팩보다 강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지지편(120)을 배치하여 상기 리드(1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120)은 수직높이가 3.3cm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가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00)를 마우스피스(1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가춰(200)는 상기 리드(100)를 상기 마우스피스(10)에 고정시키는 물리적인 외력을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상기 리드(100)에 의해 생성된 소리의 음역을 제1음역뿐 아니라 제2음역 이상의 소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100)의 닫힌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가춰(200)는 상기 리드(100)에 생성되는 소리의 울림과 진동에 관여하여 소리의 음역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가춰(20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종래의 리가춰와 달리 재활용품을 이용한 구성을 포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리가춰(200)는 카톤팩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리드(100)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지지대(210), 조임끈(220) 및 조이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대(2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10)는 마우스피스(10)에 배치된 상기 리드(100)를 눌려 고정시키는 다각형상의 함체로써, 내부에 상기 조임끈(220)이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210) 및 마우스피스(10) 둘레를 다수회 회전하여 묶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리드(100)를 상기 마우스피스(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10)는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 즉,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10)는 몸체(211), 제1관통홀(212), 제2관통홀(213) 및 아치형삽입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1)는 상기 지지대(210)의 외장을 구성하는 하우징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 즉,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면 외주면에 길이 방향의 아치형 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211)는 상기 몸체(211) 단면의 수직 길이는 3.0cm, 가로 길이가 0.6cm이고, 일면에 깊이가 0.3cm인 길이 방향의 아치형삽입홈이 구비된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12)은 상기 몸체(2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임끈(2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212)은 상기 제2관통홀(213) 및 상기 아치형삽입홈(214)과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212)은 폭이 0.3cm, 수직 높이가 0.5cm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끈(22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관통홀(213)은 상기 제1관통홀(212)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통홀(213)은 상기 제1관통홀(212) 및 상기 아치형삽입홈(214)과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통홀(213)은 폭이 0.3cm, 수직 높이가 0.5cm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끈(22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치형삽입홈(214)은 상기 제1관통홀(212) 및 상기 제2관통홀(213)과 수평하도록 상기 몸체(211)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길이 방향의 아치형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치형삽입홈(214)은 상기 제1관통홀(212)을 관통한 조임끈(220)이 오목한 홈에 결려진 상태로 상기 몸체(211)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치형삽입홈(214)은 걸쳐진 조임끈(220)을 유용하게 감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곡면을 갖는 아치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치형삽입홈(214)은 상기 조임끈(220)이 걸쳐진 상태에서 상하측의 이동없이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임끈(220)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상기 리가춰(200)의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끈(220)은 상기 지지대(210)를 관통하는 길이방향의 끈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10)은 상기 지지대(210)와 리드(100) 및 상기 마우스피스(10) 둘레를 일체로 다수회 회전한 후 상기 조이개(230)로 묶여 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리드(100)를 상기 마우스피스(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임끈(220)은 상기 제1관통홀(212), 상기 아치형삽입홈(214) 및 상기 제2관통홀(2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걸쳐지도록 상기 지지대(210) 및 상기 마우스피스(10) 둘레를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끈(220)은 양단이 상기 조이개(230)에 삽입된 후 묶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임끈(220)은 금속와이어 및 상기 금속와이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외피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선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임끈(220)은 폐전선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리드(100) 제작을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끈(220)은 더 이상 사용이 어려운 폐이어폰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폐이어폰과 동일한 규격의 폐전선일 수도 있으며, 이와 동일한 다른 공지의 전선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임끈(220)은 내부에 금속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와이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외피를 갖는 이어폰선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다른 공지의 선들을 제한 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이개(230)는 상기 조임끈(220)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을 위하여 상기 조임끈(2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이개(230)는 상기 조임끈(220)이 관통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된 끈이 이탈되어 용이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미도시) 및 본체를 관통해서 연장되는 본체홀(미도시) 및 상기 본체홀과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삽입된 조임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누름부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이개(230)는 길이 방향 끈의 양단이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임끈(220)에 매듭을 짓지 않고도 묶여질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끈 고정장치를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이개(230)는 상기 조임끈(220)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리드(100) 및 마우스피스(10)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조임끈(22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제작단계(S100) 및 리가춰제작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제작단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제작단계(S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팩을 이용하여 리드(100)를 제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제작단계(S100)는 1차세척공정(S110), 1차살균공정(S120), 2차세척공정(S130), 건조공정(S140), 카톤편생성공정(S150), 2차살균공정(S160) 및 접합공정(S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세척공정(S110)은 상기 카톤팩 내부를 오염시킨 우유와 같은 기타 물질들을 적정량의 물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세척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1차살균공정(S120)은 상기 1차세척공정(S110)을 마친 카톤팩을 살균하기 위한 공정으로, 베이킹소다 또는 알코올로 구성된 살균액으로 상기 카톤팩을 살균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2차세척공정(S130)은 상기 1차살균공정(S120)을 마친 카톤팩을 다시 물로 헹구어 내는 공정으로 상기 카톤팩에 묻어 있을 살균액을 물로 제거하기 위한 공정일 수 있다.
상기 건조공정(S140)은 상기 2차세척공정(S130)을 마친 카톤팩을 건조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카톤편생성공정(S150)은 상기 건조공정(S140)을 마친 카톤팩을 규격에 맞춰 커팅하여 다수개의 카톤편을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톤편생성공정(S150)은 상기 제1카톤편(111), 제2카톤편(112), 제3카톤편(113) 및 제4카톤편(114)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살균공정(S160)은 베이킹소다 또는 알코올로 구성된 살균액에 상기 카톤편을 살균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살균공정(S160)은 상기 카톤편(110)을 체에 담고 물과 베이킹소다와 알코올을 섞어 만든 살균액에 상기 카톤편(110)을 감그고 건지기를 다수회 반복 수행하여 카톤편(110)을 살균하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살균공정(S160)은 10회 또는 10회 이상의 담금과 건짐을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접합공정(S170)은 상기 2차살균공정(S160)을 마친 카톤편(110)을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리드를 생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공정(S170)은 상기 제1카본편(111)의 일면 상단에 상기 제2카본편(112)을 접합하고, 상기 제2카본편(112) 상단에 제3카본편(113)을 접합하며, 상기 제3카본편(113)의 상단에 제4카본편(114)을 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공정(S170)은 상기 제1카본편(111)의 일면 상단에 상기 제2카본편(112)을 접합하고, 상기 제2카본편(112) 상단에 제3카본편(113)을 접합하며, 상기 제3카본편(113)의 상단에 지지편(120)을 접합하고, 상기 지지편(120) 상단에 제4카본편(114)을 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제작단계(S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합공정(S170) 이전에 지지편을 생성하는 지지편생성공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생성공정(미도시)은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편(120)을 상기 제4카톤편(110)과 동일한 규격과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는 공정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가춰제작단계(S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가춰제작단계(S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00)를 고정하는 리가춰(200)를 제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가춰제작단계(S200)는 지지대(210)를 생성하는 지지대생성공정(S210), 조임끈(220)을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지지대(210)에 고정하는 조임끈고정공정(S220) 및 상기 조임끈(220)의 양단에 조이개(230)를 삽입하는 조이개설치공정(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유팩과 같은 카톤팩을 수직길이가 상이한 4개의 카톤편으로 제작하고 상기 카톤편을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를 포함함으로서, 갈대리드와 동일한 음색을 낼 수 있으면서도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강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수직 길이가 6.3cm의 제1카톤편과 5.3cm의 제2카톤편, 4.8cm의 제3카톤편 및 3.3cm의 제4카톤편을 구비하고 상기 카톤편은 각각의 하단이 동일하게 맞춰지고, 상단이 단차지도록 접합되어, 상기 제1카톤편과 제2카톤편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부의 수직길이는 1.0cm, 상기 제2카톤편과 제3카톤편에서 형성된 제2단차부의 수직길이는 0.5cm, 상기 제3카톤편과 제4카톤편에서 형성된 제3단차부의 수직길이는 1.5cm가 되도록 정형화하여 구성됨으로써, 카톤편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리드가 종래의 갈대 리드와 균일한 음색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드를 종래의 갈대 리드와 동일한 파형을 보이는 균일한 음색으로의 연주가 가능한 최적의 크기가 정형화됨으로써, 카톤팩을 이용하여 제작된 리드가 균일한 품질의 리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카톤편과 상기 제4카톤편 사이에 수직 길이가 제4카톤편과 동일하고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지지편을 구비함으로써, 리드의 형태를 유지시켜 리드의 울림을 지탱해주는 지지대 역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 조임끈 및 조이개로 구성되어 상기 리드를 지지하는 리가춰를 구비함으로써, 카톤팩으로 구성된 리드를 사용하여 제1음역 뿐 아니라 제1음역보다 높은 제2음역 이상의 소리도 안정적으로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가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드를 물리적으로 잡아줄 뿐 아니라 상기 카톤편내에 닫힌 공간을 형성하여 소리의 울림과 진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임끈을 금속 와이어 및 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선줄로 구성함으로써, 폐전선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드 구조체는 재활용품을 활용한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일 뿐 아니라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카본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10 : 마우스피스 100 : 리드
110 : 카본편 111 : 제1카본편
112 : 제2카본편 112a : 제1단차부
113 : 제3카본편 113a : 제2단차부
114 : 제4카본편 114a : 제3단차부
120 : 지지편 200 : 리가춰
210 : 지지대 211 : 몸체
212 : 제1관통홀 213 : 제2관통홀
214 : 아치형삽입홈 220 : 조임끈
230 : 조이개 S100 : 리드제작단계
S110 : 1차세척공정 S120 : 1차살균공정
S130 : 2차세척공정 S140 : 건조공정
S150 : 카본편생성공정 S160 : 2차살균공정
S170 : 접합공정 S200 : 리가춰제작단계
S210 : 지지대생성공정 S220 : 조임끈고정공정
S230 : 조이개설치공정

Claims (7)

  1. 수직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의 카톤편을 순차적으로 접합한 리드; 및
    상기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시키는 리가춰;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판지의 양면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 도포된 카톤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편은,
    수직길이가 6.3cm인 제1카톤편;
    상기 제1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5.3cm인 제2카톤편;
    상기 제2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4.8cm인 제3카톤편; 및
    상기 제3카톤편의 일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3.3cm인 제4카톤편;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는,
    상기 카톤편 각각의 일단이 동일하게 맞춰지고, 타단이 단차지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제3카톤편과 상기 제4카톤편 사이에 접합하고, 수직길이가 3.3cm인 알루미늄재질의 지지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가춰는,
    다각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의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을 위한 조이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끈은,
    금속 와이어 및 상기 금속 와이어를 커버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재질의 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임끈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
    상기 제1관통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과 수평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길이 방향의 아치형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카톤팩을 이용하여 리드를 제작하는 리드제작단계; 및
    상기 리드를 고정하는 리가춰를 제작하는 리가춰제작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제작단계는,
    물을 이용해 카톤팩을 세척하는 1차세척공정;
    살균액으로 상기 카톤팩을 살균하는 1차살균공정;
    상기 1차살균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물을 이용해 2차적으로 세척하는 2차세척공정;
    상기 2차세척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팩을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카톤편을 생성하는 카본편생성공정;
    살균액으로 상기 카톤편을 살균하는 2차살균공정; 및
    상기 2차살균공정을 마친 상기 카톤편을 길이에 따른 순차적으로 접합하는 접합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200138267A 2020-10-23 2020-10-23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7A KR102340916B1 (ko) 2020-10-23 2020-10-23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67A KR102340916B1 (ko) 2020-10-23 2020-10-23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16B1 true KR102340916B1 (ko) 2021-12-17

Family

ID=7903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67A KR102340916B1 (ko) 2020-10-23 2020-10-23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9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336U (ko) * 1990-04-03 1991-12-19
JPH08504039A (ja) * 1992-05-04 1996-04-30 ハリー ハルトマン 音を発生させる吹奏楽器用リード
JP2006163382A (ja) * 2004-11-11 2006-06-22 Ishimori Kangatsuki:Kk リガチャ
KR200476655Y1 (ko) * 2013-12-05 2015-03-23 김종민 악기용 마우스피스
KR101722684B1 (ko) 2016-10-06 2017-04-05 김두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JP3225226U (ja) * 2019-08-30 2020-02-20 株式会社紙宇宙 組立式ラッ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336U (ko) * 1990-04-03 1991-12-19
JPH08504039A (ja) * 1992-05-04 1996-04-30 ハリー ハルトマン 音を発生させる吹奏楽器用リード
JP2006163382A (ja) * 2004-11-11 2006-06-22 Ishimori Kangatsuki:Kk リガチャ
KR200476655Y1 (ko) * 2013-12-05 2015-03-23 김종민 악기용 마우스피스
KR101722684B1 (ko) 2016-10-06 2017-04-05 김두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JP3225226U (ja) * 2019-08-30 2020-02-20 株式会社紙宇宙 組立式ラッパ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26336 UR
JP03225226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469B2 (en) Pitch modulator drum
Wegst Bamboo and wood in musical instruments
US5922979A (en) Stringed instrument
KR102063190B1 (ko) 악기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음향 보드로부터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현악기 및 제작 방법
JPH08234728A (ja) 音量強化とバス再生のための装置を有する撥弦楽器
US8853514B2 (en) Wood stave drum with opto/acoustic shell windows
WO2017033733A1 (ja) 弦楽器
US4320685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60140940A1 (en) Percussion, wind and rattling instrument and musical-instrument arrangement
KR102340916B1 (ko)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4111094A (en) Rhythm instrument
US10685632B2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with snare effect assembly
US20020092406A1 (en)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US6376755B1 (en) Guitar construction
US4256006A (en) Multi-tone percussion instrument
KR101402225B1 (ko) 기타 울림통
KR20200052636A (ko) 가야금
TW202105360A (zh) 弓弦樂器
US644817A (en) Musical instrument.
KR20110009100U (ko) 에코 활성부가 구비된 악기용 리드
KR200497968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체결링
US2861494A (en) Single string bass viol
US716025A (en) Resonating or sounding toy.
JP3806068B2 (ja) 組立楽器
KR101194134B1 (ko) 개량 해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